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행정가와 교사 간 교장리더십 인식 차이에 대한 예측 요인 탐색

        주현준,김영식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1

        Historically, investigations into principal leadership have been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However, criticism has surfaced, contending that studies exclusively focused on teachers' viewpoints inadequately capture principal leadership in an objective manner.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call for a thorough evaluation of leadership that encompasses the perceptions of both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employed the random forest technique on the 1st year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The objective was to discern factors predicting variations in the perception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ubsequent to this, Ordinary Least Squares (OLS), school fixed effect model, and school random effect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employing variables identified for their substantial predictive power through the random forest analysis. This approach facilitated an investigation into principal leadership factors influencing differences in self-evalu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ositive perceptions among teach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and teachers, the conduct of school affairs meetings, teachers' competency, and the efficacy of the school management committee were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the divergence in the perception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Conversely, a more favorable perception among school administrator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 and teachers,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council and student council, and the competencies of teachers in the school resulted in an augmented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Based on above results, this study aims to diminish the perceptual gap in principal leadership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Recommendations encompass encouraging teachers to perceive themselves as active members and leaders within the school organization, cultivating an awarenes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problems-solving processes.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objectively acknowledge their school's functioning and relationships with its members, making concerted efforts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in the school community.

      • KCI등재후보

        학교장 리더십 딜레마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주현준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6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OECD 주요 국가의 교장 리더십 딜레마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장 리더십 딜레마 발생 요인과 그에 따른 교장의 역할 변화를 고찰하고, OECD 주요 국가들의 현황과 한국 교장의 리더십 딜레마를 비교하였다. Wildy와 Louden(2000)이 제시한 교장 리더십 딜레마의 모형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뉴질랜드, 벨기에, 영국, 스페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학교장 리더십 딜레마 특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교장 리더십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장 리더십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Plan for the School-based After-School Programs : focusing on the case of Michigan

        주현준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after-school programs continues to grow. Repeated findings on schools have informed that unsupervised environment contributes to poor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misdemeanors. It has been raised to develop high-quality after-school programs in order to deal with the challenge. Facing the challenge, public school leaders have the responsibility to make every endeavor to relieve current conditions. Specifically, the role of school principals is "extremely important" to initiating and planning the school based after-school programs.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that could guide the administrative standards of planning after-school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chool principals with the standards in planning after-school programs and extract the implications for school principa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ineteen tasks and 143 days were required to plan after-school programs. Some implications for school principals were suggested.

      • KCI등재

        자율형 사립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제도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주현준,오세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자율형 사립고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을 위한 정책방안을 모 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0~2011학년도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결과를 분석하고, 문제 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현장 교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2010~2011학년도 현황을 분석한 결 과, 사회적 배려 대상 전형의 지원자격, 선발 비율, 선발방식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교원들은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에 상당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고, 학생선발의 자율권 확대 를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제도의 합리적인 개선방안으로 사 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심리적 ? 경제적 측면의 지원, 사회적 배려 대상자 지원자격 확대, 개 별지원자에 대한 개별적?종합적 검토, 단위학교의 선발 자율권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장리더십에 관한 양적연구의 문제와 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주현준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thodogical problems and offer recommendations for strengthening the methods used in future research of school principal leadership. To address these goals, the study identified 32 research of school principal leadership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tween 2009 and 2019. The author appli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analytical rubric for conducting systemic review. 32 research was analyz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a rubric based on a conceptual framework.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identif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overwhelmingly preponderated. There is disparities between research in school principal leadership. There is a tendency for research to omit key information concerning the methodological process including sampl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Lastly, the author offer recommendations for strengthening empirical research in school principal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한 교장리더십 논문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총 32편의 교장리더십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다. 총 3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연구모형’, ‘표집’, ‘측정도구’, ‘분석 방법’, ‘결과 해석’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기법 중 구조방정식모형에 편중된 문제, 논문 간 질적 편차, 통계방법의 오류를 문제점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회의 풍토 혁신, 학술지 심사방식 개선, 교육행정전공 대학원의 교육과정 개편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주현준,김태연,남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11년까지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를 분석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CMA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는 과거보다 현재, 중등학교보다 초등학교, 학생 수준보다 학급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지도성 유형 중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효과성의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지도성은 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학급을 만드는데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학교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개별 교사에게 권한과 자율을 부여하는 공유와 분산적 접근이 향후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현장 교사들이 권한을 부여받고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지도성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학교급과 지도성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