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문화 교과서의 STS 관련 내용 분석 -정보화 단원을 중심으로-

        주주자 ( Ju Ja Ju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herent point of view on the relation between scientific technology and society in the unit `Information` in the Society·Culture textbooks. For this purpose, I critically analysed the unit of `Information` in the 7th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n and textbooks. The criteria of my content analysis, above all,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discourse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ientific technology and socie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on the whole, the unit of `Information` is based on the technological determinism. First, the content of scientific technology is regarded as `black box`. Second, scientific technology appears to be value neutral. Third, one-way influence of technology on society is emphasized. Fourth, Human actor is described as passive and diminished image keeping up with a leading technology urgently. Eventually existing approach in the unit of `Information` is apt to result in a surge in the number of a passive citizen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spects in society. As directions for a balanced viewpoint in a Society·Culture textbook, I suggest as followings; first, scientific technology should be showed as `social construction` which is made of and used involving actors with conflicting interests. Second, scientific technology and society both 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co-evolve. Third, the optimism and pessimism about scientific technology should not be arranged in a row but presented dynamically related with actors with conflicting interests surrounding the potential uncertainty of scientific technology. Fourth, an opportunity of reflections on the value we should cherish related with scientific technology in our society should be given. Fifth, human actor`s positive and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scientific-technology policy decision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사회적경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주주자(Ju, Ju Ja),이은주(Lee, Eun J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 동아리담당 교사들의 사회적경제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논의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서 사회적경제 동아리 활동에 관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 교육 개념·필요성·교육역량 인식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학교협동조합과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사회적경제 교육은 사회과뿐 아니라 모든 교과와 관련이 있고, 교사와 외부강사의 협력수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회적경제 교육내용으로 협력과 연대의 가치, 학교협동조합을 제안하였고, 사회적경제 교육은 민주시민교육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사회적경제 교육 활성화의 장애요인으로 학교장 인식 부족, 교재 부족, 교육과정 편성역량 부족을 언급하였다. 상대적으로 사회적경제 교육 역량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등학교 수업방법과 평가에 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사회적경제 교육이 시민성교육에서 접근되고 학교급, 학생특성, 학교규모, 학교밖 연계방식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사회적경제 교육과정 편성 운영 모형 개발, 수업 평가 모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awareness of education of social economy and present measures for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involved in social economy clubs about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the necessity,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competency, and problem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eachers thought that cooperative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should be activated in the school. Since social economy is related to all subjects as well as social studies, cooperation classes between teachers and external lecturers are necessary. Value of cooperation, solidarity, and the school cooperative were proposed for the content of the class of social economy. Most teachers think that education of social economy is a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y had opinions that the lack of awareness of school principals,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lack of ability to organize education courses could be barriers. Thus, education of social economy should be approached from citizenship education. A model of education of social economy is needed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school level, student characteristics, size of school, and connection outside of school is needed. In addition, a model of class evaluation is needed.

      • KCI등재

        시민참여 합의회의 모델을 활용한 과학기술쟁점중심 숙의적 토론수업

        주주자(Ju, Ju-Ja)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합의회의를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숙의적 토론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시민성 변화 경험을 알아보는 것이다. 합의회의는 일반인들과 전문가들의 상호소통과 학습을 통해 일반 시민의 목소리를 의사결정 과정에 반영하도록 하는 과학기술영역에서의 시민참여 모델이다. 합의회의를 활용한 과학기술쟁점중심 숙의적 토론수업은 토론주제 설정, 패널구성, 1차 패널탐구, 1차 본회의, 2차 패널탐구, 2차 본회의, 보고서 작성, 공개 토론의 8단계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숙의적 토론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기술쟁점에 대한 지식과 통찰력, 효능감을 갖게 되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집단의 교류의 필요성과 윤리적 책임, 그리고 과학기술관련 정책결정 과정에서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과학기술쟁점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였고 과학기술쟁점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고 자신의 견해에 대해 신중하고 성찰적으로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plan for scientific technological controversial centered discussion utilizing consensus conference as part of STS education. A consensus conference as a popular citizen participation model in the area of scientific technology, gives lay peopl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experts and to learn about scientific issues and reflect on them, and finally to lead a multidimensional approach for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The consensus adapted discussion is composed of eight steps; setting up the discussion topic, panel composition, first preliminary inquiry, first regular session, second panel inquiry, second regular session, making a report, and open discussion. Through the liberative discussion, students came to be possessed with knowledge, insight, and self efficacy about scientific technology, and came to realize that mutual interchange between different experts, ethic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scientific technology policy are needed. Students appear to show interest in and multidimensionally approach about the scientific technological issue.

      • KCI등재

        교과서에 나타난 범죄 분석 -초,중,고 사회 교과서 법 영역을 중심으로-

        주주자 ( Ju Ja Ju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교과서 법 관련 영역에서 범죄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범죄유형 분류와 내용 선정 준거를 분석 도구로 하여 교과서의 법 단원을 분석한 결과, 범죄 유형에 있어서는 범죄의 전형으로서의 거리범죄와 개인적 법익 침해로서의 범죄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육 내용의 선정 준거인 학습 가능성에는 부합하지만 내용에 대한 타당성과 사회문화적 실제와의 일관성을 담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결국 법적 시민성 함양에는 제한적일 수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변화하는 사회현실을 반영하는 다양한 범죄 사례를 균형 있게 제시하고,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법익을 보호하는 범죄를 모두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 crime is described in the criminal law related parts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vel. Type of crime and content selection criteria are major study frames. The study shows that the textbooks had the traditional images of street crime and focused on the crime against personal legal interest, which fitted learnability, but did not meet the criteria of validity and consistency, and is expected to result in limited citizenship education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proposed that presentation of various examples of crimes in real life and carefully chosen crime examples from both crime against personal and social-national legal interest to develop the legal citizenship were necessary.

      • KCI등재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운영 현황 분석 -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주주자 ( Ju¸ Juj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4

        본 논문은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운영교를 대상으로 사회 교과특성화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현황을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계획서를 분석하고, 교원과 학생 면담을 통해 운영 현황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와 국제화 교과특성화학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특성화 과목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일반선택뿐만 아니라 진로선택, 교양교과, 전문교과가 다수 개설되었으며, 개설학년과 단위 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선택과목은 특히 단위수 격차가 크게 존재하였고 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해 공동교육과정과 소인수강좌개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면담 결과, 진로선택 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생 활동과 참여중심 수업으로 인한 학생성장효과 및 시민성 함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시수에 따른 과목개설, 전문교과 교수학습 역량 미비, 다과목과 시수부담 및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부재, 내신 상대평가와 진로교육 미비 등이 주된 문제로 제기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운영의 정체성, 진학중심의 과목개설문제, 다과목 교수의 가능성과 효과, 교육과정 다양화의 협소한 접근, 교육과정 기획력을 중심으로 논의사항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운영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 사회과교육의 인식 확대, 교육과정 개정 방향, 고등학교 교육과정-대입과 대학교육과정의 연계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operation status of social curriculum specialized schools for the operating schools of social curriculum specialization school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e school plans were analyzed and the status of its operation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social and internationalization curriculum characteristics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nd many career choices, liberal arts, and specialized courses were opened as well as general selection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gap in the number of units was large.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student growth effects and civic characterization were great due to student activities centered on career choice subjects and participation-oriented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main problems were the opening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lack of professional curriculum teaching skills, lack of multi-disciplinary and test-taking, lack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lack of relative evaluation of school records and career education.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social studies specialized schools and suggested the need to expand awarenes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revise curriculum, high school curriculum-college and university curriculum.

      • KCI등재

        교육지원청 수준에서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신철균(Shin, Cholkyun),주주자(Ju, Juja)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2019년 경기도 지역교육청 차원에서 운영한 고교학점제 선도지역 실천 사례를 고찰하고 향후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지원청의 지원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지역의 교원, 학생, 장학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교사는 고교학점제 이해와 실행준비도 및 실행의지와 같은 고교학점제 인식에 있어서 격차가 존재하였다. 학교교육과정 운영 시 의견수렴과 학교수업 및 평가에 있어서도 주로 교사가 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교육지원청의 향후 지원 우선순위로 교사는 인력수급, 하드웨어적 지원, 교육과정 운영모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제체기반 마련을, 학생은 하드웨어적 지원, 기초학력향상 프로그램 운영지원, 인력수급 순으로 답하였다. 논의사항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 격차문제, 공동교육과정 운영방법 문제, 고교학점제 개념에 대한 접근차이, 기초학력 책임지도와 최소성취수준 도달을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서는 교육지원청이 중요한 기관임을 전제로, 지역 특색교육과정 개발 및 지역기반 협의체 구성, 지역 특성과 혁신토양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모형의 필요성, 학교자율성 부여 여건 마련, 교육지원청 업무 재구조화, 플랫폼으로서 교육지원청 역할을 통한 사회적 자본 축적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es of leading area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ed by the local education office in Gyeonggi-do in 2019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future. To this e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eachers, student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in the two reg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ga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uch as preparation for implementation and willingness to implement it. In terms of collecting opinions and school classes and evaluation when operating school curriculum, teachers were mainly more positive than students. As a priority of future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answered in the order of manpower supply, hardware support, curriculum operation model, joint curriculum operation system, and students in the order of hardware support, basic education program operation support, and manpower supp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scussions mentioned the ga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 problem of how to operate the joint curriculum, the difference in access to the concep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ic education responsibility guidance and minimum achievement level. In conclusion, in order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Office of Education proposed developing regional curriculum and organizing regional-based consultative bodies, the need for curriculum operation model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soil, re-organizing school support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