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and Playground Equipment Choices

        Jwa Seung-Hwa(좌승화)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1

        놀이는 아동발달의 통합적인 양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유아들의 실외놀이 활동은 실외놀이 환경이 제공하는 놀잇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실외놀이 환경의 놀잇감이나 놀이기구가 유아들의 놀이 활동 및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아들이 실외놀이 환경에서 주어진 놀잇감 및 놀이기구와 어떤 사회적ㆍ인지적 놀이행동을 보이면서 상호작용을 하는지, 어떤 놀잇감과 놀이기구를 가장 많이 선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질적분석 방법을 통해 유아들의 실외놀이 행동의 가치 및 본질을 분석하였으며, 놀이기구 및 움직이는 놀잇감이 활용되어지는 상황을 직적으로 분석하여 유아들이 놀이기구를 선택하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유아들의 실외놀이 행동 분석을 통해 실외놀이시간에 유아들의 비놀이행동이나 놀이행동 이외의 활동을 줄여주고, 반면에 사회적 놀이와 인지적 놀이 활동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놀이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요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고정된 복합놀이 기구만으로는 유아들의 다양한 실외놀이 활동을 야기 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외놀이환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유아들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인지적인 놀이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움직이는 놀잇감(모래놀이 기구, 세발자전거 등)이 필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세발자전거나 주유기 등 움직이는 놀잇감을 더 많이 제공하면 유아들의 기능놀이를 극화놀이로 발전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무엇보다 실외놀이 환경에 움직이는 놀잇감을 제공하면 유아들이 좋아하는 그네나 자전거 타기 등을 위해 장시간 줄을 서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실외놀이 환경 구성가, 실외놀이 기구 회사, 실외놀이 환경 전문가 등에게 실외놀이 기구의 실제적인 활용도 및 가치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이 놀이를 실제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유아들의 사회ㆍ정서적 발달을 도모하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Play is an integral aspect of children's development. However, play does not occur in a vacuum, rather it happens within a context. This context has physical and social dimensions. Without an understanding of what that context is and of how it affects a child's play, we cannot hope o gain a full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Children play with something and/or someone, even if only in imagination, in a certain place and at a certain time, In this sense, it is evident that varying types of outdoor environments and available equipment influence the behavior of children in different ways. Thus, the study's primary focus was examine qualitative aspects of children's play behaviors in an outdoor environment: to investigate what is the nature of functional play, dramatic play, and chase games and rough and tumble play.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play qualitatively, the categories of play behaviors were quantitatively examined prior to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preferred equipment that does something movable and/or that is complex. Most unoccupied and onlooker behavior occurred at the playhouse near the wheeled vehicle path and the plastic timbers around the swing area. The playhouse was not a popular place for the children because it didn't offer enough loose parts. It was also evident that loose parts were the major components for preschool children's outdoor play. Children preferred to engage in functional play in the wheeled vehicle path, the swing, the teeter-totter, and the open space areas. The functional play seemed to enhance the children's self-confidence and their self-esteem. It was also found that each piece of equipment and play area on the playground could be used by the children for their dramatic play enactment. The area with the sand surface was the place most frequently selected by the children for dramatic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play provides the child with the copportujnity to make sense out of the world by using available tools.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교사 이미지의 유형화와 유형 특성의 분석: Q방법의 활용

        좌승화(Seung-Hwa Jwa),천희영(Hui-Young Chu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교사의 이미지 유형 특성은 교사의 교직 특성과 심리적 특성 변인의 관점에서 다루어졌다. 유치원 교사 46명을 P-표본으로, Q-표본 진술문 48개를 Q-방법으로 분류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요인분석, x<sup>2</sup>검증, Kruskal-Wallis검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전문적 교수자형(제1유형), 정의적 돌봄자형(제2유형), 관계지향적 교수자형(제3유형)으로 밝혀졌다. 이미지 제1유형과 그 외 제2유형 및 제3유형의 두 범주와 교직경력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지만, 제1유형인 전문적 교수자형에 속한 교사일수록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제1유형, 제3유형, 제2유형의 순으로 회복탄력성은 높지만, 이미지 유형과 심리적 소진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바람직한 교사 이미지 형성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유치원 교사 양성과정의 교사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교사상을 형성하는데 도움되는 합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the types of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a kindergarten teachers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image using Q-methodology. Characteristics of images of kindergarten teacher were analysed in terms of background of teaching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Forty eight statements of Q-sample was classified using Q-methodolog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Q-factor analysis, x<sup>2</sup>, Kruskal-Walli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Type I was an image of professional teacher, type Ⅱ was an image of affective care-giving and care. Type Ⅲ was an image of relation-oriented teacher. The relation between types of images and teaching career was not found, but teachers in Type Ⅰ worked more in private kindergartens than in public kindergartens. The degree of resilienc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ype Ⅰ, type Ⅲ, type Ⅱ, but any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image and resilience was not found.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eacher image formation and provided directions for teacher education with some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Revisiting Play Value of W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Jwa Seung-Hwa(좌승화)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논총 Vol.12 No.2

        놀이는 아동발달의 통합적인 양상으로 영유아 시기의 사회성 및 인지 발달은 자유롭고 자발적인 놀이 행동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특히 실외놀이환경이 제공하는 놀잇감 및 놀이기구는 영유아의 놀이행동과 발달을 증진시킨다. 놀이가 걸음마기 유아와 걷는 유아 뿐만 아니라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영아의 놀이에 대한 연구는 걸음마기 유아와 걷는 유아의 놀이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유아의 발달 단계를 영아(infants), 걸음마기 유아(toddlers), 걷는 유아(preschoolers)로 구분하여 각 발달 단계에 적절한 놀이 환경과 놀이 특성의 고찰을 통해 영유아 놀이의 가치를 재개념화 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를 위한 실외 놀이 환경 및 놀이 활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으로 영아의 놀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영아의 놀이에 대한 몇 몇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아를 위한 실외놀이 환경은 유아들의 놀이시설과 분리되어 제공되어야 하며 놀이시설과 놀이감은 입에 넣을 수 있을 만큼 깨끗하며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걸음마기 유아는 자신의 신체뿐만 아니라 외부 세계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시기이므로 실외놀이 환경에서는 복합놀이기구 이외에 역할놀이 놀잇감, 움직이는 놀잇감, 다양한 질감의 놀잇감 등을 제공하여 걸음마기 유아의 탐색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셋째, 3세~5세의 걷는 유아는 모든 영역의 발 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놀이활동에서 응집력, 홍미부여, 놀이 의미의 다양화 등을 추구하는 이 시기의 유아는 위험한 놀이에 도전을 많이 하므로 실외놀이 환경이 완벽하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괴는 실외놀이 환경 구성가, 실외놀이 기구 회사, 실외놀이 환경 전문가 등에게 실외놀이 기구의 실제적 활용도 및 가치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이 놀이를 실제 교육과정에 반영함에 있어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during the early year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free, spontaneous play activities. The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play equipment and materials provided for play, is important elements for enhancing play and development.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play has developmental benefits not only to toddlers and preschoolers but also to infants. However, very little study has been done in the area of infants' pla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lay value in terms of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According to Piaget(1952), infant thinking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thinking of older children. Play materials for infants include unbreakable mirrors, soft, washable dolls, a variety of grasping toys, skill-development materials, bells, rattles, one-piece push toys, and climbing platforms. Unfortunately, playgrounds for infants are the most overlooked play environments. In designing playgrounds for infants, playgrounds should be simple, clean, edible, and rich in sensory/exploratory opportunities, and separate from playgrounds for older children. The infant playground needs to provide a variety of safe textures, surfaces, smells, and sounds. Mobile toddlers are avid explorers of their own bodies and what they can do, of other people and the interesting world around them. The toddler outdoor play environment should provide a variety of textures, loose parts, dramatic play props, and challenge. The preschool years, roughly from 3 to 5 years of age, are a time of accelerated development in all learning domains of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Because development at this age requires some risk taking, it is neither desirable nor possible to create a totally safe playground. The preschoolers are able to infer and imagine the role identity behind the pretend actions. This new capacity lends greater coherence, enjoyment, and meaning to the pretend activities of the child. Although infants and young toddlers initiate their own play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their play abilities is encouraged when they play with peers. Therefore, manufacturers and designers of playground equipment should understand information on development and the nature of the young children’s play to provid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nd challenging equipment.

      • KCI등재

        교직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관심사 탐구

        좌승화(Jwa, Seung Hwa),오정희(Oh, J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에서 부담임의 역할을 하는 초임교사가 교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갖는 관심사는 무엇이며, 그 의미는 어떠한지를 초임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질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12월까지 초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 집단면담, 개별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임교사들은 교직 적응과정에서 관계형성, 업무수행, 정체감형성, 진로고민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다. 즉, 초임교사는 구성원들 간의 관계 속에서 자기의 위치를 이해하고 그 관계를 수용하는 한편 새로운 업무에 대한 부담감과 과중하게 주어진 업무로 인한 부당함을 느끼고 있으며, 교사로서의 무력감과 자신감 사이에서 교사의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면서 변화하고, 이 과정에서 진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초임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입문하여 교사로서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그들의 관심사에 주목하여 관심사에 따른 효과적인 지원방안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irst-year teachers’ concern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working environment in private kindergartens.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comprised of reflective journals, in-dept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on 10 first-year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12 months after appointed in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of 2017. Results showed that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ed human relationship, duty management, self-identification, and career path.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ood their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and accepted human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ey felt unfairness and a burden due to overloaded duties. They also felt confusion between helplessness and confidence in their own identity while they were in great distress to career path.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support system need to be implemented to help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to be adopted and developed in private kindergartens in terms of their concerns.

      • KCI등재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좌승화(Jwa, Seung Hwa),오정희(Oh, J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와 Y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75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감성적 리더십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2개월 동안 직접 방문, 우편, 전자메일의 방법으로 배포·회수되었다. 수집된 설문지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향후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직무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day dare center teachers’ resilience, job stres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job str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e subjects were 275 day care center teachers in the city of B and Y. The instruments were Resilience Scale(KRQ-53), Day Care Center Teacher’s Job Stress Scal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Scal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retrieved by direct visit, postal mail, e-mail from December, 2018 to January, 2019. The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linear regress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ay care center teacher’s job str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Second, day care center teachers’ resilienc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ere the predictive variables with a negative impact on job stress. Thir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worked as whole mediation about day care center teachers’ resilience affection on job stress. Based on the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mitigating cay care center teachers’ job stress. In this sense, it indicates that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좌승화(Jwa, Seung Hwa),천희영(Chun, Hui Young),이미란(Lee, Mi 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수준을 알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학생 193명이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교수방법, 교사의 가치관과 태도, 유 아의 학습방법, 창의인성교육의 운영방향의 4개 하위차원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평정한 자료를 기술통계분석, t검증하고, Borich의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of Focus 모델에 의한 우선순위 도출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고,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차원별로 교육요구도 분석 결과, 교사의 교수방법 차원에서는 유아의 발달수준과흥미 고려, 다양한 체험학습 제공 등이, 교사의 가치관과 태도 하위차원에서는 가정·지역사회·국가 간 원활한 연계 도모, 교사의 유아기 창의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학습방법 하위차원에서는 유아가 다양한 활동을 통한 배려·나눔·협력 경험하기, 유아가 자신의 생각이 타인의 생각과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등이, 창의인성교육의 운영방향 하위차원에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해와 존중에 기초한 창의적 사고 기르기 등이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교사양성과정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19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ree-year junior colleges. They answered the survey regard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ere high and the degree of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importance. Results of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showed that educational needs in teaching methods were prioritized in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considering children’s interests, and providing various hands-on experience. Connection among family, community, and country and teachers’ recogni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ere prioritized in teachers’ value system and attitude. Educational needs in learning method of young children were prioritized in experiencing caring and sharing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recognizing different opinions and perspectives with others, and helping young children solve problems. Educational needs in administration were prioritized in activat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positive parenting and cultivating creative thinking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human beings and n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DAP 관련 신념과 교수실제의 비교연구

        서현아(Hyun Ah Seo),천희영(Hui Young Chun),이미란(Mi Ran Lee),좌승화(Seung Hwa Jwa) 한국아동학회 2010 兒童學會誌 Vol.3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in regards to the DAP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A number of both teacher variables and classroom environment variables were also examined. One hundred and ninety three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85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Teacher Questionnaire as issu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terms of teachers` beliefs about DAP than DIP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Practice).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for teachers` beliefs about DIP. Second, Korean teachers` scores in terms of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DAP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s` age, and the scores for instructional activities related to DIP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any of the teacher variables. On the other band, Chinese teachers exhibited different scores for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both DAP and DIP, again depending on the amount of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ages,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they taught.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DAP was found to be in evidence in Korea, but not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