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사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조형심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은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과 유아교육에 관한 관심의 고조와 국제적인 추세로 사업 초기부터 취학 전 단계의 저 소득층 영. 유아들에게 예방적. 치료적인 개입을 통해 교육, 복지 문화측면에서 평등한 출발을 보장하며, 유치원의 수도 전국적으로 2003년 34개원으로 시작해서 2010년 375개로 그 수가 전국적으로 대폭확대 되었다. 하지만 최근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유치원의 수도 증가하고, 사업의 중요성에 비하여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사업의 효과성과 실태를 분석하고 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전문화와 활성화를 위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 사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3~5세 유아와 비 참여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의 행동발달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조사는 인천광역시 6개구에 있는 교육복지 투자 우선 지역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유치원교사와 유아, 참여하지 않는 유치원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무작위 할당표본추출 하여 조사하여, SPSS 10 window용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 처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 사업 참여에 따른 유아의 발달양상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 사업의 주요 프로그램을 비 참여 유치원에서도 같은 목적을 갖고 정서․사회적 발달 교육 프로그램, 종일반 운영, 문화체험교육, 언어, 인지 프로그램 등을 교육중점으로 실시하고 있어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유치원과의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에 기존의 유치원 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교육 복지만이 갖는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언어행동발달의 경우 만4세, 5세에서 참여집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인지행동발달과 사회정서행동발달에서는 만 4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유아의 연령에 따라 발달과정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근거로 특성화된 개입 방안들이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교육복지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의 프로그램이 전문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각 각의 참여 유치원마다 각 대상 유아들의 특성, 가정환경, 발달단계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좀 더 개별화 되고, 적합한 프로그램이 맞춤화 되어 제공 되어야 효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교육복지 참여하는 유치원 교사의 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비해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아 교육의 특수성에 비춰 교사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복지 사업에 대한 다양한 연수의 활성화를 통해 유아들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좀 더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향후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의 방향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적 전략과 인적자본 형성이라는 사회․ 전략적 관점에서 생애 초기 유아들에 대한 교육은 개인적 책임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책임으로 인식 하고, 국가가 중심이 되어 관련법 및 행. 재정적 지원체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청이 과거와 달리 보호와 교육을 동시에 요구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보육과 교육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유아 교육체계의 일원화 및 통합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 교육 복지는 저소득계층이나 소외계층 유아를 중심으로 한 선별주의가 아닌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아들의 교육환경 뿐만 아니라 생활환경 개선도 요구되기에 교육과 연계되어 통합적인 복지 지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1회의 설문 조사를 통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기에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유치원 교육 복지 우선지역 지원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이며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종단 연구나 질적 사례 연구 등을 포함한 심층적인 연구가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형심 남부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social stigma perceived by the mentally ill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o suggest practical policies to improve the degrees of satisfaction for the mentally ill. For this aim, practical research on the registered 200 mentally ill persons of the mental clinics and social welfare agenci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was done. Among 200 cases, 186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WIN 14.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social stigma is 2.540 and that of satisfaction of life is 2.578. 2. While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f social stigma is not found in general traits such as sex, age, marriage status, academic ability, and relig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is found in their jobs and earnings. The social stigma of the surveyed shows statistical difference in mental related traits. When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increases and the degree of medical salary is high, the social stigma becomes strong. 3. In social traits,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of life becomes higher in the group of old age and the religious group. In mental traits, the satisfaction of mood disorder person is higher than that of schizophrenic person. 4. A pure impact of social stigma is found to be 9 %. 5. The social stigma perceived by the mentally ill has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life. When they have less social stigma, their satisfaction of life becomes higher. As we have discussed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satisfaction of life, some practical policies for the mentally ill should be established. Policies suggested here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lessen the social stigma an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fe through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ill. 2. On the preferential basis, some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 low income level of the mentally ill. 3. Special care is needed for the frequent inpatient who has no family. 4. Social support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religious activity. 5. Various efforts need to lessen the social stigma. 6. Volunteer activity for the mentally ill should be activated. 7. A consultative group based on the family of the mentally ill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right of the mentally ill. In addition to these polices, further study on many positive factors which may help them to have self-respect and to improve the human relation skill should be practiced.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신장애인들이 삶의 만족을 얻는데 필요한 실천적 의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특성상 비확률적 표집방법인 편의적 표집(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통해 전국에 등록된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광주·전북지역의 정신장애인 2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6월 1일부터 2011년 7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이 용이하지 않는 14부를 제외한 18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장애 관련 특성을 살펴보았고 삶의 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낙인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사회적 낙인감의 전체 평균은 2.540(표준편차 .606)점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는 2.578(표준편차 .785)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낙인감의 차이검증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종교에 따른 사회적 낙인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직업 유무, 월 수입, 동거가족 유무에 따라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장애 관련 특성에 따른 사회적 낙인감의 차이에서는 입원횟수가 높을수록, 건강보험이나 의료급여 2종보다 의료급여 1종이 사회적 낙인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연령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종교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 집단이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가족 및 친 인척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기분장애가 정신분열보다, 입원횟수가 5∼6회이상인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의료급여 2종이 그렇지 않는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정신장애관련 특성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순수한 사회적 낙인감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약 9%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낙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표준화계수(β)값 - 0.380에 대한 t 통계량 -5.581이 p< .001 유의수준에서 선형관계를 가짐으로써,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낙인감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제언과 이론적 제언을 하였다. 먼저 실천적 제언에서는, 첫째,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통한 낙인감 감소와 이를 통한 삶의 만족 증진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둘째, 소득 수준이 낮은 정신장애인들을 중심으로 우선적인 사업 수행이 필요하다. 셋째, 동거가족이 없고, 입원 횟수가 많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전문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종교활동을 통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정신장애인의 낙인감 감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들의 자원봉사 활성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자들의 가족을 중심으로 협의체를 만들어 정신장애인의 인권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론적 제언으로 가족들이 인식한 사회적 낙인감이 보호자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족적 차원에서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며, 정신장애인의 긍정적인 영향요인인 자존감, 효능감, 대인관계 능력 등의 영향요인을 밝혀내고, 그러한 긍정적인 영향요인을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