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복安鼎福의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비평과 반서학적反西學的 인식의 확산—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의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

        조지형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ademic pedigree and life histories of Nam Han-jo, a scholar from Yeongnam region, to researc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at he had, and to investigate the phases that the flow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was spread into Yeongnam region through him. Nam Han-jo originally studied under Lee Sang-jeong and succeeded to Yeongnam Yi School scholastic mantle. As he studied under Ahn Jeong-bok after his teacher died, he recognized the true nature of Western learning that was very problematic among Geungi Namin scholars and held critical position on it. While he was in charge of correction of 「Cheonhakmundab (天學問答)」 by his teacher’s recommendation, he left a book 「Ansunamcheonhakhokmunbyeonui(安順菴天學或問辨疑)」 that states his opinions and criticitisms. This book well shows Nam Han-jo’s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e tendency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done by 18th century Geungi Namin scholars affected Yeongnam region’s Namin with the medium of Nam Han-jo. Therefore, such scholars who had academic exchange with Nam Han-jo as Jeong Jong-ro, Jo Sul-do, HwangYong-han, Shin Che-in and Lee Dong-geub left their own books that contain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In addition, Ryu Geon-hyu, who was a pupil of Nam Han-jo, wrote 『Yihakjibbyeon (異學集辨)』. As shown above, Nam Han-jo played a great role in spreading anti- Western learning awareness throughout Yeongnam region in the late 18th century. 본고는 영남 출신 남인 학자 남한조南漢朝의 학문적 계보와 생애사를 검토하여 그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의 형성 과정과 실질을 살피고, 그를 통해 영남 지역으로 서학 비판의 흐름이 확산되어 가는 국면을 탐색하였다. 남한조는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서 본래 이상정李象靖 문하에서 수학한 영남 이학파理學派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이었다. 그는 스승 사후에 다시 안정복安鼎福에게 나아가 수학하면서 당시 근기 남인 사이에서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던 서학西學의 실체를 인지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는 스승의 권유로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교정 작업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과 비평을 개진한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라는 저술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조선에 서학이 치성하게 된 원인을 탐색하다가이성호천주실의발변의李星湖天主實義跋辨疑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 두 저술은 남한조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을 가장 잘 보여준다. 18세기 후반 근기 남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서학 비판의 흐름은 남한조를 매개로 하여 이상정 문하의 영남 이학파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에 남한조와 교유하던 영남 지역의 여러 문인들, 예컨대 정종로鄭宗魯, 조술도趙述道, 황용한黃龍漢, 신체인申體仁, 이동급李東汲은 각각 반서학적 인식을 담은 저술들을 남기게 되었다. 한편 남한조의 제자였던 류건휴柳健休는 『이학집변異學集辨』을 찬술하였다. 이처럼 18세기 후반 반서학적 인식과 흐름이 근기 지역에서 영남 지역으로 확산되고, 영남 지역 안에서 반서학 정서가 확고하게 자리잡게 된 배경에는 남한조의역할이 매우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 KCI등재

        안정복<SUP>安鼎福</SUP>의「천학문답<SUP>天學問答</SUP>」에 대한 비평과반서학적<SUP>反西學的</SUP> 인식의 확산 - 손재<SUB>損齋</SUB> 남한조<SUB>南漢朝</SUB>의 「안순암천학혹문변의<SUB>安順菴天學或問辨疑</SUB>」

        조지형(趙志衡)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본고는 영남 출신 남인 학자 남한조南漢朝의 학문적 계보와 생애사를 검토하여 그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의 형성 과정과 실질을 살피고, 그를 통해 영남지역으로 서학 비판의 흐름이 확산되어 가는 국면을 탐색하였다. 남한조는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서 본래 이상정李象靖 문하에서 수학한 영남 이학파理學派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이었다. 그는 스승 사후에 다시 안정복安鼎福에게 나아가 수학하면서 당시 근기 남인 사이에서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던 서학西學의 실체를 인지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는 스승의 권유로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교정 작업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과 비평을 개진한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라는 저술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조선에 서학이 치성하게 된 원인을 탐색하다가 「이성호천주실의발변의李星湖天主實義跋辨疑」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 두 저술은 남한조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을 가장 잘 보여준다. 18세기 후반 근기 남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서학 비판의 흐름은 남한조를 매개로 하여 이상정 문하의 영남 이학파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에 남한조와 교유하던 영남 지역의 여러 문인들, 예컨대 정종로鄭宗魯‧조술도趙述道‧황용한黃龍漢‧신체인申體仁‧이동급李東汲은 각각 반서학적 인식을 담은 저술들을 남기게 되었다. 한편 남한조의 제자였던 류건휴柳健休는 『이학집변異學集辨』을 찬술하였다. 이처럼 18세기 후반 반서학적 인식과 흐름이 근기 지역에서 영남 지역으로 확산되고, 영남 지역 안에서 반서학 정서가 확고하게 자리잡게 된 배경에는 남한조의 역할이 매우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ademic pedigree and life histories of Nam Han-jo, a scholar from Yeongnam region, to researc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at he had, and to investigate the phases that the flow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was spread into Yeongnam region through him. Nam Han-jo originally studied under Lee Sang-jeong and succeeded to Yeongnam Yi School scholastic mantle. As he studied under Ahn Jeong-bok after his teacher died, he recognized the true nature of Western learning that was very problematic among Geungi Namin scholars and held critical position on it. While he was in charge of correction of 「Cheonhakmundab (天學問答)」 by his teacher’s recommendation, he left a book 「Ansunamcheonhakhokmunbyeonui (安順菴天學或問辨疑)」 that states his opinions and criticitisms. This book well shows Nam Han-jo’s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e tendency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done by 18th century Geungi Namin scholars affected Yeongnam region’s Namin with the medium of Nam Han-jo. Therefore, such scholars who had academic exchange with Nam Han-jo as Jeong Jong-ro, Jo Sul-do, Hwang Yong-han, Shin Che-in and Lee Dong-geub left their own books that contain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In addition, Ryu Geon-hyu, who was a pupil of Nam Han-jo, wrote 『Yihakjibbyeon (異學集辨)』. As shown above, Nam Han-jo played a great role in spreading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roughout Yeongnam region in the late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적법절차의 발전과 대서양 세계의 법문화: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를 중심으로

        조지형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8 世界憲法硏究 Vol.14 No.2

        본 연구는 실체적 적법절차를 중심으로 1215년의 대헌장에서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에 이르기까지 적법절차의 개념적 발전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적법절차는 흔히 절차적 적법절차와 실체적 적법절차로 구분되고 후자는 전자보다 나중에 등장하는 파생적 개념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처음 적법절차의 개념이 등장했던 대헌장의 제39조에 이미 실체적 적법절차의 이념이 `이 나라의 법`이라는 언어를 통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발전과정을 보여준다. 17세기 중반 에드워드 코크에 의해 이 나라의 법이라는 개념이 적법절차와 동일하게 치환되었다. 북아메리카에 영국 식민지가 건설되면서, 영국인의 권리와 함께 적법절차의 개념도 도입되었다. 식민지인들은 자신들의 영국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적법절차의 개념을 지방화하는 동시에 대헌장과 에드워드 코크의 권위 그리고 근본법의 개념에 의존했다. 미국혁명에 임박하여, 윌리엄 블랙스톤의 의회만능주의가 도입되었지만 실체적 적법절차의 개념을 소멸시키지는 못하였다. 미국혁명은 근본법의 정신과 실체적 적법절차의 개념을 강화시켰다. 적법절차의 개념을 잉태했던 영국에서는 의회만능주의가 만연하게 되었던 반면, 영국 식민지에서는 의회만능주의가 배격되고 실체적 적법절차의 이념이 혁명 정신의 일환으로 발전했던 것이다. 미국헌법 수정조항 제5조의 제정으로 적법절차의 개념이 헌법화되었다. 수정조항 제5조의 입헌취지에 대한 역사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명확히 구명되기 어렵다. 그러나 적법절차에 대한 알렉산더 해밀턴의 설명을 검토해보면, 실체적 개념이 분명히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연방대법원에서 실체적 적법절차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성문헌법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법제도적이며 법문화적인 걸림돌이 해소되어야 했다. 이에 비해, 주 대법원에서는 이내 실체적 적법절차가 분명하게 적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evolution of due process of law, with special regards to substantive due process. Critics of substantive due process have insisted that the concept of due process was initially a guarantee of procedural regularity and that judges invented a substantive reading of due process during the post-Civil War period. The "law of the land" of Chapter 39 of the Magna Carta, however, is comprehensive to embrac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safeguards against arbitrary royal command. In the mid-fourteenth century, the phrase of "due process of law" was first used by Parliament to confine the king`s council to the usual procedures of the common law. In some statutes, the term of "process" referred to writs of the common law. But the usage of "due process of law" and "process" does not mean that the concept of law in the phrase of "the law of the land" does not embrace substantive as well as procedural components since the statutes used the phrases of "old law" and "writ original" at the common law. In the mid seventeenth century, in his Institutes of the Laws of England, Sir Edward Coke first argued that "the law of the land" and "due process of law" had the same meaning. His higher-law interpretation on Chapter 39 prevailed in the co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American colonies. By provincializing the "law of the land," the colonies required the published law of the province to answer by due process of law substantively as well as procedurally. Additionally,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American colonists resorted to the Great Charter in their struggles with the King of England and Parliament over the power to tax, since they believed the Charter as substantive safeguards against arbitrary powers. As natural law limits on the powers of government were commonly assumed, the American colonists denounced parliamentary supremacy argued by Sir William Blackstone and paved a road to the revolution. This paper considers Alexander Hamilton`s comments on due process of law in the New York legislature in 1787 as formidable, if not conclusive, evidence for substantive components of the Fifth Amendment. In fact, there is no clue in the words of James Madison, who introduced the Fifth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to show that it embraced substantive components. Also there is no debate on the due process of law clause in the first federal Congress. Besides, the state constitutions and laws except New York had used the phrase of "the law of the land" instead of "due process of law." This leaves inferences about the framers` intent on the Fifth Amendment to be drawn from circumstances rather than analysis of direct evidence in the Congress. It was New York who proposed the term of "due process of law" for the Fifth Amendment in its 1787 state bill of rights. Eleven days after the adoption of the state bill of rights, Hamilton clearly defended his substantive reading of due process of law in 1787, while opposing a pending bill to disqualify former privateers from holding public office.

      • KCI등재

        퇴계 『논어석의論語釋義』의 편찬 의도와 성격

        조지형(趙志衡)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본고는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논어석의論語釋義』를 대상으로 이 책이 편찬된 경위를 살피고 이를 통해 편찬 의도와 성격에 대해 재론한 것이다. 퇴계가 『논어석의』를 편찬한 시기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이 창제·반포된 지 약 100여 년이 지난 시점이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사림士林들이 정권을 장악한 지 50여 년이 지난 시점이었다. 당시 조선에서는 사림파들에 의해 성리학의 관점에 입각한 주석서들이 일부 나오기 시작하는 등 성리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단계로 진입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는 일부 우리말로 풀이한 현토류懸吐類·언해류諺解類들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 현토류·언해류 가운데는 경서의 역해譯解 과정에서 천착한 곳, 틀린 곳이 많아서 배우는 자들에게 오히려 해가 되고 있었다. 따라서 퇴계가 석의釋義를 기획한 의도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이치에 맞지 않은 해석들을 바로잡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에 퇴계는 주자의 해석인 집주集註를 근간으로 해서 기존의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논어석의』는 이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 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퇴계는 『논어석의』를 편찬하면서, 권근權近·류숭조柳崇祖·김계조金繼 趙·이극인李克仁·손경孫暻·이득전李得全·이충작李忠綽·신광한申光漢·이 언적李彦迪 등의 학설과 언석諺釋을 비교·고찰하였으며, 또 중국의 여러 주석가들- 쌍봉 요씨雙峰饒氏·신안 진씨新案陳氏·인산김씨仁山金氏·남헌 장씨南軒張氏-의 학설도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일부 수용하여 자 신의 주장에 근거를 삼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서적들도 참 고하였다. 『논어석의』는 기본적으로 주희의 『사서집주四書集註』와 삼경 三經에 기반하고 있으며, 아울러 13경 가운데 하나였던 『논어주소論語注疏』도 참고하였다고 생각된다. 특히 집주의 본의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 요한 경우에 『주자어류朱子語類』·『주자대전朱子大全』·『문헌통고文獻通考』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또 『장자莊子』를 참고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퇴계의 『논어석의』가 순수한 개인 연구 주석서일 뿐만 아니라, 후학 및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적 성격이 짙은 저술로 판단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①『논어석의』는 『논어』전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해석이 분분한 구절이나 난해구 등을 위주로 해설하고 있다. ②퇴계의 『논어석의』는 전체적으로 본문을 언해諺解로 풀이하는 방식을 취하 고 있다. 여기에 정확한 우리말 독음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③사서삼경석의四書三經釋義 가운데 유일하게 제자들과 주고받은 문답을 수록하고 있다. 제자들의 실명을 적시摘示한 경우도 있다. ④『논어석의』의 편찬 시기는 도산陶山에 은거했을 때이므로, 퇴계의 행적으로 보아 교육을 통해 후진을 양성하던 시기에 해당한다. ⑤『논어석의』는 어구의 의미를 정확하게 짚어 주는 해설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실제 수업에 기인한 방법들이다. ⑥경서經書를 공부하는 데 필요한 주요 어휘들을 설명하고 있다. 요컨대, 퇴계는 『논어석의』의 편찬을 통해 종래 해석이 분분한 구절들에 대해서 주희朱熹의 집주集註를 근간으로 우리말로 풀이된 모범적인 해 석을 제시하고, 이를 제자들의 교육에 적극 활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PTV VOD 가격 인상이 시청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벤트 연구

        조지형,김민영, 한국정보사회학회 2019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0 No.3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f price increase on VOD viewing when terrestrial broadcasters increased their PPV(Pay Per View) VOD prices in 2015. Specifically, we divided the price increase into two cases; Case 1 is defined as the case where the increased price is applied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series) and Case 2 is defined as the case where the increased price i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new program. We also consider the effects of viewing rates, genres. To compare the number of VOD views per episode before and after the price increase, we conducted t-tests. For the samples in Case 1, we did paired t-test while two-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samples in Case 2.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VOD views per episode a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applying increased price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whil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VOD views if the price increased at the beginning of the new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acts of price increase VOD users feel are different depending on how and when the price increase is applied. Meanwhile, VOD revenue increases as price increases, implying that demand for VOD services at this price level is inelastic. (2) The impact of difference in viewing rates on VOD views after the price increase is negligibly small. Because the popularity of programs in our sample is mostly high,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ice increase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viewing rate differences. (3) Regarding the difference in genres, VOD views significantly decrease after the price increase for variety and entertainment programs,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D views for dramas.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VOD users are more determined to watch dramas because dramas have stronger serial complementarity than other genr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broadcasters and pay TV service providers for VOD pricing strategy. First, there is the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 depending on the way of applying increased price. This suggests that viewers of broadcasting programs tend to recognize the same program as a single product.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to reduce the negative response of VOD users by changing the price when a new program starts, rather than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In addition, since VOD views of variety and entertainment programs have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drama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price increase more carefully in case of entertainment programs. Finally, the price increase in VOD during 2015 reduced the number of VOD views, but the revenue increased. This means that price elasticity is less than 1 at the current PPV price level, and that revenue is likely to increase unless it is a significant price increas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conducted experimental studies or analyzed the effect of indirect price changes on VOD views, our study improve the existing studies by utilizing actual data of IPTV operators and analyzing programs that are subject to price changes in 2015.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demand function estimation has been rarely done for VOD service due to some barriers,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literature by providing the event study results that analyze the effects of price increase on VOD viewing from various aspects. Last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price change itself, our research has also contributed academically by considering the serial complementarity of broadcast programs and deriving meaningful result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we conduct a relatively simple t-test with small sample size, and broadcasting companies are limited to terrestrial broadcasting. Future research will also need to take into accou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OD users. 본 논문은 2015년에 이루어진 지상파 방송사의 PPV(Pay Per View) VOD 가격 인상을 전후로 VOD 구매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하는 이벤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방영 중간에 가격이 인상한 프로그램들은 가격 인상 이후 회차들의 VOD 시청 건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방영 시작과 동시에 인상된 가격이 적용된 프로그램들은 인상 이전에 종영된 프로그램들과 비교할 때 VOD 시청 건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가격 인상 방식에 따라 이용자가 느끼는 가격 변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한편,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VOD 매출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VOD에 대한 수요가 비탄력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둘째, 시청률, 장르, 화질의 영향도 고려하였는데, 시청률 차이는 가격 인상 이후 VOD 시청 건수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르 면에서는, 예능 VOD 시청 건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드라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VOD 이용자는 시리즈 연결성이 강한 드라마를 연속적으로 시청하려는 욕구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화질(HD)과 일반 화질(SD) 서비스를 비교해 보았는데, 가격 인상의 영향은 SD보다 HD 서비스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HD 가격대가 더 높고 가격 인상률도 더 크기 때문에 이용자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VOD 수요함수 추정이 여러 제약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논문은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학문적으로 기여하였다. 한편, VOD 가격 전략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