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새로운 인적자원개발 (HRD) 프로그램으로서 공연예술교육(PAHRD)의 방향성 연구

        조준희 ( Joon Hui Ch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HRD1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창의성, 감수성 등이 중요시되는 새로운 트렌드에 공연예술교육 PAHRD 기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PAHRD가 창조경영에 구체 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기업 임직원들이 PAH RD 에 참여함으로써 정서 안정, 표현기술의 다양화, 대인관계 능력 함양, 인성 발달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대중을 위한 PAHRD 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ossibilities that how PAHRD could be applied to the change of the paradigm of new HRD trend, creativity, sensibility, and to examine how PAHRD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of a new creative management environment through practical examples. In result, employees and directors are able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communication skill, positive think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PAHRD so that I conclude that it should be developed for the general public systemically and positively.

      • KCI등재

        공연장에서의 어린이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비스디자인 활용을 중심으로

        조준희 ( Cho Joon Hu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3

        공연을 포함한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 어린이 및 가족 단위의 관객은 과거와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폭넓은 관객층을 이루었지만, 공공 안전 서비스의 수준은 아직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반복되는 사건과 사고로 인하여 공공 안전 서비스에 대한 불신으로 귀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그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어린이 공연장의 안전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서비스디자인의 관점과 기법을 도입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은 다 분야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서 가능한데, 안전 및 공연장은 서비스 산업인 동시에 어느 특정 학문 분야의 주도로 해결될 수 없는 특성을 갖고 있기에 서비스디자인을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법으로 판단하였다. 영국의 디자인 카운슬(Design Council)의 “탐색(discover), 정의(define), 개발(develop), 확정(deliver)”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어린이 공연장 안전 서비스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탐색 단계에서, 사용자, 수요자(공연이해관계자), 공연관련전문가 심층 인터뷰, 참여관찰(shadowing), 에트노그래피(ethnography)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어린이 안전 제품 개발 아이디어 워크샵을 개최하여 실제 사례를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정의 단계에서는, 참여관찰조사와 심층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외 공연장의 안전 서비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견한 갭(gap)을 유저경험맵과 유저경험시나리오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안전 이미지 워딩(wording) 스케치 워크샵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발 단계에서, 어린이 안전 브랜드인 세이프티 맨(Safety Man) 컨셉을 개발하고 시각화하였고, 어린이 대상 안전교육영상을 개발하여 안전교육프로그램을 테스트하였다. 또한 이해랑 예술극장의 안전관리 매뉴얼을 수요자 특화형으로 개발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정 단계에서는, 모든 영상, 프로그램, 매뉴얼, 어플리케이션, 안전제품 등을 프로토타입(prototype)으로 만들어 전문가 및 수요자 평가를 받고 유저테스트를 거쳤다. 본 안전 서비스디자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어린이 안전 서비스 인사이트(insight)는 어린이 공연장 안전교육을 위한 유무형의 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안전 매뉴얼 연동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및 수요자의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어린이 안전 서비스 전용 브랜드 및 캐릭터 제품을 들 수 있다.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어린이 공연장의 안전 서비스를 서비스디자인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수요자맞춤형의 통합적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무형적, 유형적 자원들이 상호 작동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관객, 극장 관계자, 프로덕션 관계자 등의 철저한 안전교육이 선행되어 이해관계자의 갭을 해소하고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는 안전 서비스 생태계가 구성되어야 한다.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ir family audience who enjoy children`s theatre and other shows which are allowed to see over 7 years old is rapidly growing in comparison with the past. But they have disbelief in the standard of public safety service in Korea because of repeated critical accidents recently. I attempted to set up the public safety system of children`s theatre so that used points of view and techniques of service design. The issues of safety and theatre belong to service industries as well as could not be resolved by one learning simply. Therefore, service design is the best solution for resolving the issues in terms of multi-disciplinary ways. I used the four step process, “Discover”, “Define”, “Develop”, and “Deliver” of British Design Council, and developed children`s theatre safety service design. In the Discover stage, I used the techniques of depth interview, shadowing, ethnography and so on for users in theatre, consumers, and experts in theatre and had a workshop for achieving ideas of developing safety goods. In the Define stage, shadowing and depth interview were applied to analyzing the safety service status quo of domestic and foreign theatre and some gaps were found. They were reflected in a user experience map and user experience scenario. In the Develop stage, I visualized the concept of Safety Man which is a children safety brand and tested safety education program through developing children safety education video. I also developed a high standard Lee Haerang Theatre manual and connected to a mobile application program. In the last Deliver stage, I tested all video, education program, manuals, mobile applications, safety goods as a prototype and received critical evaluation of experts, users, and consumers. I found some specific insights from this safety service design study : development of safety manual linked mobile application, studying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inspiring users and consumers` safety consciousness, visualization of exclusive children`s safety brand and character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attaining a user-consumer friendly unified safety system in children`s theatre in terms of service design. It will resolve the gap of interested parties and set up efficient and confident ecosystem of audience, their parents, users in theatre and individual production.

      • KCI등재

        대형 이벤트 중심 프로그램으로서 주제공연 연출방향 연구

        조준희(Cho, Joon-Hui)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30

        지자체들의 지역문화콘텐츠 개발 열풍에 힙 입은 전국적인 지역축제·이벤트·박람회의 홍수 속에서 타 지역과의 차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주제공연을 제작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래서 이의 연구를 위해 국내 및 국외 사례에서 대형이벤트의 중심 프로그램으로서 주제공연의 적합성과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동시에 주제공연 자체가 대형 이벤트로 기획된 국내의 사례를 논의해 보았고 중국의 대형 실경 산수공연인 〈임프레션 시리즈〉도 비교 분석하였다.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주제공연 〈천년의 정원〉을 중심사례로 대형 이벤트의 중심 프로그램으로서 주제공연이 고려해야 할 요소를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하였다. 1. 관광자원으로서의 인포테인먼트 및 에듀테인먼트적 기능 ? 주제공연은 이벤트의 주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연출가가 선택한 뮤지컬 스타일, 대본 집필과정, 뮤지컬 넘버, 안무 스타일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2. 지역의 고유성 재발견 그리고 무대형상화 작업 ? 주제공연이 지역적 특성을 확립하여 해당 지역을 마케팅하여 관광 상품화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순천지역의 구비설화를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지역적 특색에서 보편적인 가치를 찾아내려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3. 지역중심의 전국적, 국제적 정원박람회로의 Event Identity 강화 ? 지역주도의 지역민참여의 공연을 기획하여 지역적 특색이 전국적, 국제적인 범위까지 확장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지역 관련분야와 지역 예술인들을 주제공연에 참여시키는 다방면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주제공연과 해당 이벤트와의 상관성을 밝히기 위해 2013 순천만정원박람회도 분석하였다. 박람회의 에코지오 컨셉이 어떻게 주제공연의 대본에 반영되었으며 무대형상화과정에서 구현되었는지를 세세히 살펴보았다. 위의 주제공연의 연출방향에서 도출된 세 측면은 주제공연이 해당 이벤트에서 수행해야 할 중요한 기능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지역 이벤트가 타 지역의 것과 차별화되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국적, 국제적인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서 주제공연은 이벤트 개최 시 필수적인 고려사항임을 확인하였다. The fever of loc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 encourages a lot of nationwide local festivals, events, exhibitions although most of them are similar to others initially. But some governments are attempting to produce theme performances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and to identify themselves uniquely. I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and practical possibilities of theme performances as a centered program in mega event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t the same time, I studied the performances that were planned as mega events internally and comparably Chinese mega nature landscape shows, 〈the Impression series〉 as well. I directed the theme performance, 〈A Millenium Garden〉 of Suncheon Bay Garden Expo 2013 and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that the performance should consider as a centered program of a mega event: first, the function of infortainment and edutainment as tourist attraction. The theme performance plays a role of the function of storytelling which delivers the theme of mega events most effectively. I analyzed the musical style, the process of writing a script, musical numbers, the choreographical style and so on for making sure the former mentioned two functions. Second, the rediscovery of a local characteristic and embodiment process of the stage. The theme performance can help local governments establish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m to do marketing the local region. I adapted the folks of Suncheon region in modern viewpoint. 3.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mega events which focuses on the local region and event identities.

      • KCI등재

        일반논문 : 영상연기방법론에 대한 재인식 연구 -메소드 연기를 중심으로-

        조준희 ( Joon Hui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영상연기만의 특화된 연기방법론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기존의 영상연기 방법론들이 매체적인 특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기의 본질적인 특성에 대해 간과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정신생리학이나 인지신경과학 등의 다양한 현대의 과학적 방법과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적 시각에 기반을 둔, 연기에 대한 학술적 재인식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학문적 흐름에 발맞추어 영상연기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시도하여 기존의 할리우드 메소드 연기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불식하고 영상연기의 재인식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할리우드 메소드 연기의 대표적인 세 명의 지도자인 리 스트라스버그, 스텔라 애들러, 샌포드마이즈너와 그들의 방법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논의하고, 영상연기에서의 배우의 현존을 위한 자기화 과정의 잘못된 이해와 인물창조의 중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상연기에서 신체적 연기의 중요성과 그를 담보하는 내적 정당성 확보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영상연기는 연기의 스타일이라는 측면에서 매체의 기술적인 요소를 반영한 하나의 독특한 연기 스타일로 발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erms of post-postmodernism, I attempted to find new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media acting methodology which focused on the Method acting because we have to reconsider acting with new scientific ways such as cognitive neuroscience, physiological research and so on. I analyzed the misunderstandings of three master teachers, Lee Strasberg, Stella Adler, and Sanford Meisner of the Method and its prejudice. The misconception of presence through actors`` personalization and misunderstandings of m edia acting characterization which is based on texts were studied. Finally, I examined the absolute needs of inner justification in physical acting which existing media acting specialists emphasize. I hope I would supplement the previous Korean media acting theories. From now on, Korean media acting research has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in comparison with theatre acting and has been toddling as a unique acting theory. But I asserted that media acting has to find its own unique acting style in terms of various acting style of theatre history.

      • KCI등재

        디자인에서의 롤플레잉 의미 변화에 관한 연구

        조준희(Cho, Joon Hui),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디자인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 방법론에 적극 도입되고 있는 롤플레잉의 개념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연구자마다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롤플레잉 용어를 연극학적 개념과 해외 디자인선행연구의 비교를 통해 재조명하여 그 기준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롤플레잉 용어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법론으로 통용 가능한 롤플레잉 용어 사용 방향성 정립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롤플레잉 용어의 정의에 중점을 두고 해외의 롤플레잉의 용어, 개념, 방법론 등의 키워드를 담고 있는 논문 52편을 1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연극학적, 연기 미학적 관점에서 롤플레잉의 본질적인 의미의 기준이 되는 8개의 중요 용어를 도출하고, 8개 용어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디자인 방법론으로서 중요성이 높은 4개의 용어로 압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각 용어에 대한 등장배경, 현재 사용 기준, 디자인 연계 시 필요한 관점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에서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각되고 있는 롤플레잉의 본질적 의미를 고찰해 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연극학 분야에서도 세부 분야인 실용연극, 교육연극, 연극치료 등의 접목을 통해 롤플레잉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onception of role-playing which has been positively adopted in design process according to design trend chang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terms of the role-playing in terms of the concept of theatre studies in order to reestablish a new definition and standard. For preparing a direction of widely using role-playing terms in design,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essential meaning of it. As a research method, I suggested the aim of reestablishing them from theatre studies and acting aesthetics after examining the tendency and definition of role-playing terms from foreign representative advanced research earlier. I mostly focused on the overseas research because domestic role-playing ones were very limited unfortunate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meaning to provide new standards for role-playing terms which were scattered around every individual researcher in design process. I hope to cooperate with the branches of theatre studies-applied theatre, theatre in education, theatre therapy-and brain science, cognition science on the role playing concept and terms through enlarging research scope. It could help us to rebuild the professional and popular role-playing terms.

      • KCI등재

        배우의 연기훈련 과정에서 선(禪)의 활용 가능성

        조준희(Joon-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배우들의 연기훈련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잠재의식을 끌어낼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연기방법론에 선 수행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선의 훈련방법은 무의식의 영역을 탐구하기 때문에 배우 훈련과정에서 직관적인 영역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기존의 연구로 입증된 선의 정신적·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출발하여, 연극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기성 배우들의 연기훈련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선의 훈련방법과 그 타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선의 수행은 뇌과학과 배우의 내면의 세계와 마찬가지로 우리에게 아직도 연구하고 고찰해야 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신대륙과 같다. 지금까지 입증된 선 수행의 효용성을 바탕으로 연기훈련과정에서 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배우는 무의식을 작동시킬 수 있는 방아쇠를 가질 수 있으며, 집중력 강화를 통해 무대 위에서 존재감을 얻을 수 있고, 정신적·심리적인 장애물들을 극복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뇌의 통합적 사용으로 인한 변형의 기술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배우들은 일상생활에서도 선 수련을 통해 정신적·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선의 잠재의식 및 무의식의 영역의 훈련방법을 배우의 연기훈련과정에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그를 통한 다양한 실제적인 방법론들에 관한 후속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동양의 독특한 연기훈련방법이 발견될 가능성도 크다. I discussed how the Zen training could be used to previous acting training methods focused on the way draw efficiently sub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the training of actors. It is believed that the practice of the Zen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raining subconsciousness of actors. I examined the validities of the Zen practices which could be helpful to young students and existing actors’ training processes and started from the existing proven analyses of ment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it. It is certain that the practices of Zen is a new continent which has infinite possibilities of analyzing and studying in terms of thinking highly of the Zen and brain science together. If we would utilize the Zen efficiently in the course of training actors, we could achieve four elements: the first, a trigger to operate actors’ subconsciousness, the second, establishing the presence of actor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concentration, the third, overcoming any mental and psychological obstacles, and the fourth, the establishment of transformation skills through the combined use of left and right brains. Additionally, actors could have ment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the Zen practice in their daily lives. I believe that we could also find a unique Eastern actor training way through vigorous and practical following analyses and practices which are based on the Zen tradition for training actors’ sub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 KCI등재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미래

        조준희(Joon-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지속적인 성장세인 국내 키즈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매김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현황과 미래의 지향점을 조명해보면서, ‘키자니아(KidZania)’, ‘푸이 뒤 포우(Puy du Fou)’, ‘디즈니 씨(Disney Sea)’, ‘산리오 퓨로랜드(Sanrio Puroland)’와 같은 외국 테마파크의 공연성의 극대화 사례를 통해, 국내의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가능성을 제시해보려 한다. 도심형 테마파크로 건립되고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는 관람객들의 재방문율이 상당히 중요하다. 캐릭터를 활용한 수준 높은 공연이 파크의 관람객과의 긴밀한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관람객의 테마파크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율이 높아질 것이며, 또한 다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와의 차별성을 부각시켜줄 것이다. I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limit of domestic animation character theme parks as a new trend of Kids industry so that diagnose the future of performing arts specialized animation character theme parks through the examples of foreign ones such as 〈KidZania〉, 〈Puy Du Fou〉, 〈Disney Sea〉, and 〈Sanrio Puroland〉. Revisiting ratio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omestic animation character theme parks which are being built in downtown. Close interaction with visitors will be possible through great quality character shows. Top quality shows could make this possible so that visitors could be more familiar with the park and the revisiting ratio must be raised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me park and others w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에 대한 고찰: 롤플레잉 적용을 중심으로

        조준희 ( Cho Joon Hui ),나건 ( Nah Ke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유니버설 디자인의 시대적 필요성과 그것의 도입을 통한 혁신의 당위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대표적 디자인 방법 외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검증의 방법으로 롤플레잉 기법을 제안하였다. 롤플레잉 시뮬레이션의 효용성을 다양한 페르소나의 체현(embodiment)을 통한 극단적 사용자 분석의 측면, 페르소나 롤플레잉을 통한 서비스 디자인의 감정이입(empathy) 능력 강화의 측면, 즉흥(improvisation) 기법을 활용한 사용자 시나리오 검증의 측면, 롤플레잉 워크숍을 통한 집단 창조적 디자인 프로세스 구축의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 고찰하였다. 기존의 국내 롤플레잉 적용 디자인 프로세스(W-I-P-R)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고 앞서 논의된 롤플레잉 기법을 국내 창의 워크숍에 적용하여 연기 전공자와 디자인 전공자에게서 어떻게 롤플레잉 기법이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s of the times of Universal Design and appropriateness for innovation through its introduction. I suggested role-playing techniques for embodying Universal Design as a verification tool. I examined the usefulness of role-playing in terms of four aspects separately: first, analyzing extreme users through embodying various personas, second, maximizing empathy capability of Service Design by persona role-playing, third, verifying user scenarios through improvisation techniques, fourth, building group creative design process through role-playing workshop. Before this procedure, I researched domestic role-playing adapted design process, W-I-P-R, in advance. I applied the advanced studies and abovementioned methods to domestic creative role-playing workshop. As a result, I coul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 new design process from the workshop that acting major and design major graduate students embody the role-playing techniques.

      • KCI등재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방법 연구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조준희 ( Joon Hui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필자는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는 뮤지컬 공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라이선스 뮤지 컬의 연출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어떻게 국내 관객들에게 오리지널 뮤지컬 프로덕션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과, 문화적·언어적 차이로 인해 전달이 불가능한 부분을 국내 환경에 맞게 어떻게 새롭게 창작할 수 있는가의 가능성, 그를 통해 오리지널 공연을 진정한 한국적 프로덕션으로 정착시키는 것이 라이선스 공연의 본질임을 확인하 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가 한국연출을 맡았던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2009년 3월 ~ 8월, 샤롯데 씨어터)을 중심사례로 다루고자 한다. <드림걸즈>를 주된 예로 사용하 고자 하는 이유는, 30년 만에 새롭게 재창작되는 라이선스 뮤지컬 프로덕션으로서 다양 한 연출적 시도를 생생한 사례를 통해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세밀하고 정확한 오리지널 프로덕션의 분석을 통한 재창작과 연기에 대한 코칭, 라이 선스 뮤지컬에 담겨있는 서구 문화의 한국화, 언어적 뉘앙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라 이선스 뮤지컬 연출에 중요한 방법론으로 판단되며,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가에게 제작사 와 오리지널 크리에이티브 팀과의 협업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임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I attempted to study the resolution of how I can show the essence of an original musical production to audience, the possibilities of how recreate impossible elements according to Korean musical environment because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and verify the meaning of adjusting an original production to Korean one through directorial approaches to licensed musical production. I mainly exemplified 2009 Korean <Dreamgirls> production (Charlotte Theatre, March ~ August, 2009) that I directed. The purpose that I wanted to analyze the case of Korean <Dreamgirls> production mainly is able to prove a wide variety of possible challenges rather than simply licensed ones because the former was recreated in 30 years after the first original production. Recreation and coaching to acting through fine and precise analysis of an original production, Koreanizing Western culture of the licensed musical, resolving the problem of linguistic nuances are the important ways to direct licensed musical. For licensed musical director, cooperation with original creative team and Korean production company must be the most important job.

      • KCI등재

        뮤지컬 <렌트(Rent)>의 브레히트 서사극적 특성 연구

        조준희(Cho, Joon-Hui)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5

        독일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베르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적인 감정이입(empathy)이, 관객의 작품에 내재된 정치적, 사회적 환경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막는 주요 요소로 믿고, 서사적 기법을 통해 관객이 ‘다시 바라보게 하는 것’을 서사극의 주요한 목적으로 삼았다. 그를 통해, 브레히트는 우리가 직면한 정치적, 사회적 진실을 바라보는 관점을 변화시키길 원했다. 그런데 상업적인 목적으로 탄생한 브로드웨이(Broadway) 뮤지컬이 단순한 엔터테인먼트의 단계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인 장중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였으며, 그 결과 해롤드 프린스(Harold Prince)나 스티븐 손드하임(Stephen Sondheim)과 같은 거장들에 의해 서사적인 뮤지컬이 제작되었다. 한편, 손드하임의 계승자라 스스로 일컬었던 뮤지컬 <렌트(Rent)>의 작곡가, 작사가인 조나단 라슨(Jonathan Larson)은, 자신의 예술가로서의 창작의 삶을 모티브로 한 자전적인 공연으로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대히트를 기록한다. 특이하게도 라슨은 한물 간 장르로 취급했던 록(rock) 뮤지컬과 마약중독, 에이즈(AIDS), 동성애, 홈리스(homeless)와 같은 1990년대, 동 시대의 민감한 사회적 주제를 과감히 선택하였다. 뮤지컬 <렌트>는 이러한 사회적 주제를 노래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기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뮤지컬 <렌트>의 음악적 특징은, 사회적 태도와 관객의 몰입을 동시에 노정하는 서사적 음악을 사용한 것이다. 현대의 뮤지컬 관객은 노래를 통한 드라마의 전달, 가사를 대사로 인식하는 연극적 관습의 패러다임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음악 자체는 관객의 몰입을 추구하고 가사의 텍스트적 의미로 서사극의 사회적 태도를 드러내었다. 둘째, 뮤지컬 <렌트>에서 서사적 특성의 드라마터지(dramaturgy)와 인물(character)를 구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서사적 인물, 마크(Mark)는 극을 이끌어나가는 서사적 인물로 등장하여 각 장면의 배경과 인물에 대한 설명과 입장을 표명한다. 그래서 이 작품에서는 마크의 내러티브에 의해 유기적인 장면 간의 트랜지션(transition)이 효과적으로 확립되었다. 셋째, 메타 연극적 특성이 반영된 서사적 공간을 확립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서사적 구조의 뮤지컬 <렌트>는 필연적인 메타 연극의 특성을 갖으며, 메타 연극이 가장 효과적으로 펼쳐질 수 있는 공간은 불특정의 빈 무대이다. 이러한 서사적 공간은 뮤지컬 <렌트>의 메타 연극적 특성을 더욱 공고히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 포스트모더니즘(Post-Postmodernism)의 시대에 부합 하는 브레히트의 서사적 기법의 재발견과 재확립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서사적인 뮤지컬은 서사적인 메시지 그리고 서사적인 메시지를 대하는 인물들의 태도, 연기 등등의 모든 서사적 요소가 함께 작동되어야, 관객이 객관적이고도 이성적으로 사회 현상을 다시 바라보게 촉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ertolt Brecht believed that Aristotelian empathy is the main element which5 prevents audience from their own inherent political and social criticism so that he established the Epic Theatre theory. He wanted audience to reconsider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rough it. Meanwhile, Broadway musical sought to find contemporary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fter the Great Depression although it was born to achieve commercial successes before. As a result, Broadway musical masters, Harold Prince and Stephen Sondheim produced epic musicals which were focused on Brechtian epic techniques and social issues as well. In 1996, Jonathan Larson who composed and wrote, the musical <Rent> and died before the preview, used Rock music and the delicate contemporary issues such as drug abuses, AIDS, homosexuality, and homeless. This musical has epic characteristics because Larson admires Stephen Sondheim and his musical style.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Rent>: first, the epic music of the <Rent> attempted to achieve the empathy and social attitudes of audienc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rrive at the goals, the music of the <Rent> is different from the epic styles of Brechtian <The Threepenny Opera> and focused on audience’s empathy as well as the lyrics of the music adopted Brechtian language so that the music of the <Rent> have had audience’s intellectual reconsideration and emotional empathy at the same time. It is a natural way to hold modern audience in theatre because they are living in a theatrical convention which actors singing is considered as talking. Second, establishing epic dramaturgy and characters in the musical shows Mark as a typical epic character and he provided the show with organic transition through whole scen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 theatre and epic space was excellent in the musical <Rent> because this show was born as epic theatre style. Both will be helpful to each other. In terms of Post-Postmodernism era, I examined we need to reestablish and rediscover Brechtian epic techniques. In epic musical, it is the most important that actors’ social attitudes and the epic messages of the show, epic acting should be worked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audience’s objective and intellectual viewpoints to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