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향화학법을 이용한 아연페라이트 나노입자의 합성

        조준희,고상길,안양규,강건욱,안동현,최은정,Cho, Jun-Hee,Ko, Sang-Gil,Ahn, Yang-Kyu,Kang, Kun-Uk,An, Dong-Hyun,Choi, Eun-Jung 한국자기학회 2007 韓國磁氣學會誌 Vol.17 No.2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음향화학적 침전법으로 두 가지 크기의 아연페라이트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열분석장치(TGA/DSC)를 이용하여 열적 특성 및 결정화 온도를 조사하였고, 결정구조 확인을 위하여 X선 회절실험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입자는 $240^{\circ}C$ 부근에서 결정생성이 시작되었으며, 결정구조는 전형적인 스피넬 구조를 나타내었다. Scherrer식에 의해 측정된 입자의 크기는 11.2nm와 13.4nm이었다. SQUID를 통하여 자기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작은 크기의 입자에 대한 방해온도 $T_B$(Blocking temperature)가 큰 입자의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Ultrasonic irradiation in a solution during the chemical reaction may accelerate the rate of the reaction and the crystallization at low temperature. We have synthesized nanometer sized zinc ferrite particles using chemical co-precipitation technique through a sonochemical method with surfactant such as oleic acid. The thermal behaviour of the zinc ferrite was determined by the thermoanalytical techniques (TGA-DSC). Powder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 show that the samples have the spinel structure. Magnetic properties measurement were performed using a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QUID) magnetometer.

      • KCI등재

        1896년 을미홍주의병 선봉장 정인희와 정산 전투

        조준희(Cho, Jun-hee)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4 군사 Vol.- No.130

        본고는 ‘정산 전투’로 알려진 1차 홍주의병 정인희 부대 대 관군의 진압 작전을 면밀히 비교 분석한 연구다. 기존 학계에서 선봉장 정인희 그리고 관군 측 상황을 다룬 적이 없었고, 이에 문헌 고증과 필드워크를 시행했다. 1896년 1월 18일 청양군수 정인희는 선봉장이 되어 2천 명 규모의 부대를 편성한 뒤 41km 거리의 공주부 공격을 감행했다. 휘하에 참모장 이세영 등 유림들이 보좌했고, 금정역참 역민들이 부대의 주축이었다. 그러나 인원에 비해 무기 부족, 험준한 지형, 악천후가 겹쳤던 사실을 처음 확인했다. 그들은 18.6km 행군한 뒤 정산에서 3일간 지체했다. 그 사이 공주부 관군 100명 중 구완희 소대 50명은 정산과 공주의 경계에 있는 공수원에 매복했고, 백낙완 소대 50명은 후방을 사수했다. 1월 21일 저녁 출정을 재개한 부대 선발대는 공수원에 이르러 관군의 ‘양동 작전’에 기습당했고, 후발대가 도주하면서 결국 패했다. 소규모 관군이 화력뿐만 아니라 전술 면에서 우위에 있었던 점이 부대의 정산 전투 패전 요인으로 주목되었다. 학계에서 정산전투 접전 지역이 철마정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정산군 공수원(지금의 청양군 목면 송암리)임을 확정하였다. 정인희는 패전과 동시에 군수에서 파직된 뒤 끝내 충남 지역을 떠나게 되었다. 정인희 휘하 이세영 등은 홍주의병 참전 실패 경험을 통해 1906년 2차 홍주의병 봉기를 다시 일으켰다. 한말 전기 의병 대 관군의 전술 비교 분석 사례가 군사와 역사학계, 지역사 연구에 도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overnment troops’ military operation to suppress the First Hongju Righteous Army led by Cheong Inhee, known as the Battle of Jeongsan. Previous academic studies have not addressed the situations faced by both the vanguard leader Cheong Inhee and the government troop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field work. The governor of Cheongyang-gun, Cheong Inhee, became the leader of the army’s vanguard on January 18, 1896 and formed an army of 2,000 righteous soldiers. Then, Cheong Inhee attacked Gongju-bu, which was within a 41 km distance. Th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chief advisor Lee Se Young, had assisted under his command and the Station Staff of the Geumjeong Public stage station were key members of the righteous arm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equipment for the rugged environment and bad weather. They had marched for 18.6 km and stayed at Jeongsan for 3 days. At that time, 50 soldiers in the platoon of Koo Wanhee, among the 100 Gongju-bu government troops, were hidden in ambush at Gongsuwon at the border between Jeongsan and Gongju, and 50 soldiers in the platoon of Paik Rak-Wan defended at the back. The advance party of the righteous army that resumed their advance in the evening of January 21 was ambushed by the government troop’s feint strategy when they reached Gongsuwon and the late-arriving group ran away, at which point they were defeated. The main reason for the defeat was that the government troop, despite being smaller in size, had stronger firepower and their strategy was in a superior position. In academia, Cheolmajeong has been known as the Jeongsan battle area;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Jeongsan-gun Gongsuwon (currently Songam-ri, Mok-myeon, Cheongyang-gun) was the Jeongsan battle area. After the defeat, Cheong Inhee was dismissed from the position of governor, and left the Chungnam area. Others, including Lee Se Young who had served under Cheong Inhee, initiated the Second Hongju righteous army rebellion in 1906 following the failed experience of joining the war.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ategies employed by the government troops and the early Righteous Arm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research in military and history, as well as studies on regional history.

      • KCI등재

        소규모 부동산중개업 경영인의 창업가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준희(Jun-Hee Cho),김철중(Chul-Jo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연구는 소규모 부동산중개업 창업가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사이에 창업교육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부동산중개업의 경영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18.0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중개업 경영인의 성취욕구와 위험선호 변수는 종속변수인 주관적 성과와 유의하였으며, 정(+)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취욕구가 높거나 위험을 선호하는 창업가 특성은 주관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창업교육 조절효과는 성취욕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다시 창업교육 유무로 집단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창업교육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보다 베타(β)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교육을 받은 부동산중개업 경영인들은 창업가 특성인 성취욕구가 향상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창업교육이 부동산중개업의 주관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창업교육 유무와 재무성과와의 평균치 차이검정 결과 창업교육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매출액 및 순이익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f real estate broker‘s on subjective performance, and confirmed if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between them has moderating effect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eeds for achievement and risk taking of real estate brokerage were significant with subjective performance,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t was shown as the positive (+) direction. This means entrepreneur factors of high needs for achievement or submitting to risk prefer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subjective performance. Second, moderating effect of a business school was only shown in needs for achievement. As a result of analysis after classifying it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completion status of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was shown the group that took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higher beta(β) than the group that did not take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other words, real estate brokerage who took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ws increase in needs for achievement, which is the entrepreneur factor. This signifies a business school has a positive effect in subjective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t-test for completion status of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it was shown the group that took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wed higher average of sales and net income than the group that did not take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net income, in particular, showed about the double difference.

      • KCI등재

        PMU Data 검증시스템을 포함한 WAMAC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조준희 ( Jun Hee Cho ),최미화 ( Mi Hwa Choi ),이명우 ( Myeong Woo Lee ),김상태 ( Sang Tae Kim ),우덕제 ( Doug Je W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 No.3

        PMU 기반 전력계통의 감시제어 시스템인 WAMAC(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 시스템은 PMU에서 계측된 정밀한 전력데이터를 시스템 전반에 손실 및 오류없이 전달/검증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MU에서 발생된 계측 데이터가 PDC, DSM Server 등 시스템 전반을 거쳐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 하였으며 각 시스템별로 필요한 샘플링만큼 정확히 전송되고 있는 지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효과적인 검증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 시스템의 테스트 시스템을 구성하고 각 시스템들에서 들어오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규약)을 만들었다. 또한, 해당 PMU에서 PDC/ PDC에서 DSM 서버간의 무손실 검증을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샘플링 방식을 검증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만들어 PMU와 상위시스템 간의 데이터 무손실을 검증할 수 있음을 프로그램 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검증시스템에 WAMAC 시스템에 반영되도록 설계함으로써 WAMAC UI를 통하여 도출되는 분석데이터와 예측 결과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PMU based power gri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AMAC (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s required system design for accurate power data without error and loss through a system-wide. In the paper, we propose system design that measured data from PMU transmitted without loss to PDC and DSM server. and we propose a method to verify the real-time "data has been transmitted accurately". Verification system has been designed to reflect the WAMAC system. Therefore the WAMAC can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it can monitor lossless real-time trend data.

      • KCI우수등재

        근세 서유럽 궁정과 시장의 관계 -1468~70년 부르고뉴 궁정 재정집행관의 장부를 중심으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4

        본 논문은 중세말 근대초 서유럽에서 궁정과 시장의 관계를 부르고뉴 궁정 재정집행관의 기록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5세기 후반 부르고뉴 궁정은 가장 화려하고 강력한 궁정이었고, 이는 당시 가장 선진 경제 지역인 저지대의 도시들을 지배하에 두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궁정과 시장의 관계는 당대에나 오늘날에도 우여곡절이 많아서, 한편으로는 궁정이 시장의 부를 전용하여 봉건지배를 연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궁정이 사치품 소비를 통해 시장발전을 견인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1468년 부르고뉴 궁정은 재정개혁을 통해 재정집행관직을 설립하면서, 궁정과 시장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상세한 지출 기록을 남겼다. 재정집행관의 기록에 대한 분석은 부르고뉴 궁정의 인적 유지 및 물적 토대가 시장에 의존하고 있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연대기 등 서사적인 사료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궁정문화의 이면을 밝혀준다. 그리고 궁정이 시장으로부터 구매한 물품을 추적하면, 시장과의 관계가 조직된 방식과 주요 인물들이 드러나면서, 궁정과 시장이 서로 중첩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궁정은 시장에 참여하여 “궁정행상” 등으로 임명된 상인들로부터 원재료를 구매하고, “공작의 종자”로 임명된 장인들을 통해 생산을 조직하며, 궁정과 시장의 경계를 허물었다. 즉, 봉건적 직제와 명칭이면에 근대적 운영과 시장 관계가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부르고뉴 궁정과 저지대 시장의 얽히고설킨 관계는 또한 근대국가와 자본주의의 태동 역시 서로의 합작과 혼종 속에서 찾아보아야할 것을 시사해준다. This paper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ely court and the urban market in western Europe during the late medieval and early modern era, based on the remarkable set of accounts left by the argentier of the Burgundian court. The courts of the Valois Dukes of Burgundy caught the imagination of their contemporaries and have long intrigued later observers because of their extravagance, and it was well known then as well as now that the source of this splendor was their suzerainty over the economically advanced urban network of the Low Countri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ely court and the urban market was tortuous in its time and the study of it has been tenuous in ours. The court is considered at once an expropriator of urban wealth, extending its feudal rule and culture, and a conspicious consumer whose insatiable demand for luxury goods fueled commerce and stimulated the rise of a modern economy. The detailed account of expenditures left by the argentier allows us to excavate this relationship concretely. The accounts reveal how the maintenance and magnificence of the Burgundian court could only be realized by engaging the market, and allows us to probe a history that is often glossed over in the famed chronicles and memoirs of the period. By tracing the goods and services that the court acquired through the market, we can see how the court w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market. The court purchased material from “merchants following the court” and organized production through “valets of the chamber,” thereby incorporating urban merchants and artisans. Commercial personnel and market relations were embedded into the court structure under the guise of nominally feudal positions and obligations. This intertwined nature of court and commerce in the Burgundian Netherlands asks us to reconsider the contemporaneous rise of the modern state and capitalist economy, by focusing on their collaboration and commingling.

      • KCI등재

        박은식의 서간도 망명기 저술 소고

        조준희 ( Jun Hee C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일제강점 후 국내에서 박해를 받던 대종교단은 서간도 회인현에 윤세복을 시교사로 파견하여 교당 겸 학교인 동창학교를 설립했다. 황해도 출신의 언론인이자 사상가였던 박은식은 1911년에 동창학교(환인시교당)로 망명해 한국 고대사 저서를 집필하였다. 그는 고조선의 단군, 고구려의 동명성왕·명림답부·연개소문, 발해의 태조 대조영, 금나라 태조 아골타를 주인공으로 한 6권의 책을 이곳에서 탈고 했다. 단군은 한국의 시조이자 대종교의 교조이며, 동명성왕, 대조영, 아골타는 민족 영웅이면서 대종교 선철·성인들이다. 유실된 『동명성왕실기』를 제외하고 현전하는 박은식의 저서에는 “한민족 고대 영웅의 정신을 계승하여 부국강병의 힘과 종교 정신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역사논문 『대동고대사론』과 역사소설『명림답부전』에는 박은식의 국혼사상이 담겨 있다. 그는 ``신교’ 곧 대종교를 국교이자 국혼으로 인식했다. 또한 약육강식의 냉혹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주체 실력을 키우자는 ``자강론’을 강변해 왔고, 자강의 방법으로 ‘교육’과 ‘민족단합’을 제안하였다. 그는 특별히 단군과 그로부터 이어 내려온 고유 종교인 신교를 교육과 민족단합의 정점에 두었다. 『천개소문전』과 『발해태조건국지』는 박은식의 영웅론이 담겨있다. 영웅한 사람 보다 ‘영웅을 대하는 자세와 정신’을 강조해 국민 각성을 하자는 내용이다. 그는 영웅숭배열이 국력의 성쇠와 관계있다고 확신하고 동포의 정신 속에 내재한 ‘영웅혼’을 일깨우는데 집필 동기를 두었다. 『몽배금태조』에서는 “나라의 승패와 존망이 땅의 크고 작음과 백성의 많고 적음에 있지 않고, 그 나라 인재 여하에 달린 것”이라 한대로, 한 사람 한 사람이 민족교육을 통해 영웅이 되어 서로 단결하면 민족자존과 국권회복의 희망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박은식의 서간도 망명기 저술은 대종교의 사명 아래 소설 형식으로써 미래의 주역이 될 동포의 자제들에게 민족의식과 신앙심을 고취시키고 조국 독립의 희망을 간직하도록 도모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Japan`s occupation of Korea by force, the order of Daejonggyo,which had been persecuted in the inside of the country, sent Yun Se-bok as Daejonggyo`s preacher to Huairen(now Huanren) County in the Qing Dynasty, founding Dong-Chang School, which act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s well as a Daejonggyo`s church. Park Eun-sik from Hwanghae Province, who was a famous journalist and great thinker, took refugee in China in 1911, residing in Dong-Chang School, and writing books about an ancient history of Korea. There he finished writing six books of Korean history, each of which featured Dangun in Gojoseon(Old Joseon) kingdom, Dongmyeongseongwang, Myeonglimdapbu and Yeongaesomun in Goguryeo, Dae Jo-yeong in Balhae and Wanyan Aguda in the Jin Dynasty. Dangun is the founder of Daejonggyo as well as the father of Korean people. Dongmyeongseongwang, Dae Jo-yeong and Aguda are not only the heroes of Korean people but also the saints of Daejonggyo. Park Eun-sik`s writings passed down to the present except for Dongmyeongseongwangsilgi, which has been lost, hold the idea that “Les`s develop the wealth and military power of our nation and the spirit of the native Korean religion.” First of all, Daedonggodaesaron, a historical article and Myeongrimdapbujeon, a historical novel include the idea of Park`s nation`s soul. He identified Shingyo(神敎), that is, Daejonggyo as a state religion. He asserted the principle of strenuous efforts that we should cultivate real power for ourselves to cope with the cruel circumstances of the law of the jungle and proposed a nation`s solidarity as a way of strenuous efforts. It was particular that he made Dangun and Shingyo, which had originated from Dangun, the most significant principle for education and a nation`s solidarity. His historical novel Cheongaesomunjeon and Balhaetaejogeongukji shows Park Eun-sik`s idea of heroes. Through these novels, he insisted that we should strive for a nation`s awakening by emphasizing the attitude and mind toward heroes rather than one hero himself. He convinced himself that heroes` worship had do to with the rise and fall of a nation. His motive for writing a series of books was to awaken the spirit of heroes inherent in the consciousness of fellow countrymen. His dream novel Mongbaegeumtaejo says that he seemed to think that his hope of the national self-esteem and restoration of Korea`s sovereignty would be able to come true if through national education, one by one the Korean nation was to be heroes and stand together one another, as saying that the victory and defeat and the rise and fall of a nation does not lie in the number of the people but in the number of talented persons of a nation. The characteristic of Park Eun-sik`s early Diaspora writings is that his writings had been written about the heroes of the antient Korean people and the saints of Daejonggyo in the form of a novel with the religious purpose of regaining the holy land. By doing this, he made sure that his writings inspired the national spirit and religious belief into young people of fellow countrymen who would be hosts of a future nation and made them keep the hope of independence of mother country.

      • KCI등재

        “갈등, 불화와 분쟁” -15세기말 부르고뉴-합스부르크 교체기 저지대의 혼란에 대한 재고-

        조준희(Jun-Hee CHO) 한국프랑스사학회 2021 프랑스사연구 Vol.- No.44

        본고는 15세기말 부르고뉴-합스부르크 교체기 저지대가 겪은 혼란상에 대해서 새롭게 조명해보고자 한다. 15세기말 저지대의 혼란은 전통적으로 군주 가문의 교체에 따른 단절과 소요이자 구조적으로는 군주의 중앙집권화 정책에 대한 도시들의 특수주의적 반발과 저항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에 비추어 보면, 당대 혼란기는 부르고뉴령 시대와의 연속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하고, 결과적으로 저지대의 통합성과 독립성이 강화되는 계기였다. 또 당시 저지대에서 반란과 내전은 오히려 통치 체제 및 방식을 두고 벌어진 분쟁이자 도시 내의 사회적 갈등의 분출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저지대 도시민들에게 15세기말의 혼란은 무엇보다 통화의 문제로 대변되는 “공화”의 문제였다. 15세 혼란기를 거치면서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에서는 군주권이 저지대 도시들의 산업과 교역을 위한 안정과 평화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The last quarter of the fifteenth century is considered a pivotal mome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nation states. Yet in the Burgundian Netherlands, it was a period of turmoil, stemming from a succession crisis, urban rebellions, and economic disruption. These strifes have been explained in terms of dynastic rupture, princely centralization vs urban particularism, and as a failure in state formation. This paper critically reexamines these interpretations, highlights recent research that revises our understanding of the Burgundian legacy and polity, and suggests the question of the “common good” embodied in the issue of coinage debasement was crucial to the resolution of the crises.

      • KCI우수등재

        기사 소집령과 민병 무장령 -15세기 후반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에서 군사적 의무의 변모 과정-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서양사학회 2019 西洋史論 Vol.0 No.142

        본고는 15세기 후반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에서 군사적 의무가 어떻게 변모했는지 살펴본다. 1453년 하베레 전투에서부터 1492년 헨트의 항복에 이르는 기간 동안, 부르고뉴령 네덜란드는 장기간 정치적·군사적 격변을 겪으면서 군사 동원을 정당화하고 조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1470년대 대담공 샤를의 군제개혁은 근대 군사혁명론을 검토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한다. 부르고뉴 “칙령군”의 수립과 군비 확충은 지속적인 대규모 군사작전을 가능하게 했지만, 병력을 충원하고 재원을 제도화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다음으로, 부르고뉴공작들은 봉건적 의무의 부활과 전용을 통해서 근대적인 군사적 의무 체계를 보강하고자 했다. 전통적인 기사 소집령은 사실상 봉토에 대한 일종의 재산세로 운영되어 군비를 충당하는 방편이 되면서, 또 일부 하류 귀족층과 도시 상류층에게는 직접 중기병을 동원하여 몸소 출전함으로써 기사작위를 수여 받을 수 있는 특전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1480년대 내전기 동안 민병 무장령이 발동하면서 근대적 자원병의 강점과 약점이 드러났다. 도시 민병대는 단시일 병력충원이 가능했고 프랑스군을 격퇴하는 위력을 발휘했지만, 또한 근대적인 무장, 훈련과 보급 등을 위해서 도시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했다. 근대로의 이행기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의 경험은 군사적 의무의 수행을 위해서 봉건적인 전례와 근대적인 혁신이 상호 중첩되는 방식을 보여주면서, 근본적인 문제는 군사적 활동을 위한 인력과 재원의 부담을 누가 어떻게 지고 또 보상받을 것이었는지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considers how the just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military service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in the Burgundian Netherlands from the Battle of Gavere in 1453 to the surrender of Ghent in 1492.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5th century, the Burgundian Netherlands witnessed multiple military upheavals, from the Revolt of Ghent starting in 1449, the Wars of Charles the Bold in the 1460s and 1470s, to the subsequent dynastic turmoil, invasions, and civil wars of the 1480s and 1490s. First, the military reforms of Charles the Bold(r.1467-1477) provide a case-study to re-assess the “Military Revolution” thesis in European history.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ies of Ordinances” and the expansion of fiscal resources was crucial in sustaining the continuous military campaigns of the 1470s. Yet, the incomplete nature of professionalization and the lack of institutionalized sources for revenue and manpower exposed the limits of these reforms. Second, the revival and appropriation of ‘feudal’ obligations were instrumental in providing the means to expand military service. The traditional “call-to-arms” of vassals was transformed into a fine, based on the annual income of the fief, increasing the base of military service, while the few affluent fief-holders who could actually mobilize a band of “men-at-arms” to the battlefields were often rewarded with knighthood. Third, the urban militias that proliferated during the civil war in the 1480s demonstrat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citizen-based volunteer forces as well as the growing commercialization of military service. The experience of the Burgundian Netherlands at the cusp of the modern era reveals how the burden of military service was mediated through both medieval precedents and modern innovations and fundamentally linked to negotiating the insatiable demands for revenue and manpower. (Seoul National University / j.cho@s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