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 -공동육아어린이집/방과후의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조윤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7 No.-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paternal care through participation i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Although men have constructed their own life on the basis of breadwinner’s identity, fathers reconstructed their own child’ care as well as other child's care i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which gave chance to extend care boundary for society. In addition, fathers ha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so that they made collective intimacy which encouraged fathers to join i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voluntarily. And even though marital relationship often came into conflict, marital relationship which affect other couple as a advisor, a role model reciprocally became cooperative through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Therefore paternal care for children were reconstructed through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and after school clubs. 본고는 공동육아생활협동조합어린이집/방과후(이하 ‘육아협동조합’)에서 아버지들이 양육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육아협동조합’은 공동으로 아이를 키우는 대안적 육아제도이기 때문에 개별 가족을 중심으로 자녀 양육을 책임지는 양육 경험과는 다른 새로운 부모 경험을 선사했다. 특히 공적 영역에서 노동자로서의 위치를 중심으로 자신의 삶을 구성해 왔던 남성들에게 ‘육아협동조합’의 참여는 양육의 경험을 사회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남성들은 ‘육아협동조합’의 어린이들과 집단 친밀성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육아협동조합’에의 참여를 강화했고 자신의 인생관이나 직업관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더 나아가 ‘육아협동조합’의 평일 ‘아마(일일교사)’ 활동을 통해 아버지들은 자신의 아이에 대한 이해와 대화의 폭을 넓힐 뿐만 아니라 아이를 돌보기 위해 필요한 양육의 기술을 체득했다. 특히 양육과정에 소극적으로 참여했던 아버지들도 ‘육아협동조합’의 참여를 통해 양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등 ‘육아협동조합’은 그 동안 자녀 양육에 소홀했던 아버지들에게 부모 성장의 기회를 제공했다. 한편, ‘육아협동조합’을 배경으로 하여 아버지들은 자신의 아내와의 관계도 새롭게 정립했다. 조합원들은 ‘육아협동조합’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각종 회의, 가족 행사, 조합원 교육에 참여하면서 배우자와의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히고 조합원 활동을 서로 지원하면서 부부 관계는 더욱 협력적이 되었다. 또한 ‘육아협동조합’ 안의 부부들은(조합원들은) 다른 부부들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서로의 역할 모델이 되어 주기도 하고 조언자가 되어주기도 하면서 부부 관계의 긴장을 완화시켰다. 따라서 ‘육아협동조합’ 참여를 통한 아버지들의 양육 변화는 아버지들의 양육의 변화가 조합 참여라는 시민 사회적 조우를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공감적 스피치 능력에 관한 연구 : 비·언어적 능력 및 토론, 공감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윤경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에서 강조되는 비·언어적 요인 이외에 청중으로부터 공감을 끌어내어 마음을 움직이는 공감적 스피치 능력에 주목하여 공감적 스피치 능력과 비· 언어적 능력, 발표 불안증, 토론 능력(주장 능력, 분석 능력), 공감 능력(관점 취하기, 인지적 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스피치 관련 요인들이 피드백 필요성 인 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스피치 수업 수강생 2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비·언어적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발표 불안증은 공감적 스피치 능력에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공감적 스피치 능력은 언어적 능력과 정적 관계를 보였고 주장 능력과는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분석 능력 및 공감 능력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 다. 피드백 필요성 인식에 대해서는 공감 능력만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 과는 스피치 교육에서 말하기 기술보다는 공감을 끌어내는 소통능력에 집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aking competence based on the empathy and analyzes the deference in these speaking competen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these speaking competences with other communication competence such as debate competence (argumentation competence, ability to analysis), empathic ability (perspective-taking, cognitive empathy.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the argumentation competence relates to verbal and non-verbal analysis competence while it relates to competence based on the empathy negatively. Implications of study indicate that the educations of speech communication need to focus on competence based on the empathy to improve speaking competence.

      • KCI등재

        환경-행동적 평가를 통한 통합 학급에서의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의 행동 및 생태적 변인 분석

        조윤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he ecobehavioral assessment available in the community-based preschool inclusive classes, an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y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observational assessment tool. Experiences of 36 pairs of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72 children enrolled in the 3, 4, 5, year classes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 were observed by ecobehavioral assessment during the free-choice activities. Data of direct observation were collected by 5 second observation-25 second partial interval recoding methods. Results were as followed that the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showed the low engagement rate in spite of the active intervention of teachers, and the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didn't take part in the role model and peer-mediate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issue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omoting the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o engage in the group activities, improving the abilities and the qualities of teachers with in-service training. And availability, effectiveness and future use of the ecobehavioral assessment was emphasized.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 취학 전 통합 학급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와 더불어 체계적인 관찰 방법의 하나인 환경-행동적 평가 방법을 보완 수정하여 개발하고, 이 평가를 통하여 취학 전 통합 상황에서의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의 경험을 직접적인 관찰 평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장애 아동과 교사의 비율이 3: 1인 통합 어린이집 4곳에서 전일제로 완전 통합되어 있는 만 3세, 4세, 5세 학급의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를 짝지어서 36쌍, 총 72명의 유아를 관찰하였다. 주로 일상적인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5초 관찰-25초 기록의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관찰 결과 통합 학급에서의 장애 유아는 교사 개입이 많은 상황에서도 낮은 참여행동 등을 나타냈고, 일반 유아는 또래 주도 전략 등의 사용 면에서 미흡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대처 방안으로 장애 유아의 참여 촉진과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통합 상황에서의 장애 유아 교수 방법 개발과 교사교육 및 훈련과 환경 행동적 평가 확대의 필요성이 논의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