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法眼宗의 등장과 그 海洋佛敎的 전개 : 10세기 중국 東南沿海의 한중 불교교류 An Sect and the Development of Marine Buddhism

        조영록 이화사학연구소 2003 梨花史學硏究 Vol.0 No.30

        法眼宗在禪宗五家中成立最晩, 其勢力一度最盛繁盛. 唐末五代, 在??國統治下的雪峰系統由法眼文益(885~958)創立法眼宗後. 曾廳南唐李王家之請在金陵淸凉山高法眼宗旗幟, 開示向國內外大肆宣揚其宗旨的. 那마其宗旨是什마? 병以此爲中心的韓中交流實況又如何니? 文益, 浙江余杭人. 曾出家受業于越州開元寺與明州育王寺, 后又至福州等處參問于雪峰系統之長慶慧稜及羅漢桂琛, 結果承襲了後者的法統. 因??州羅漢阮的桂琛(867~928)曾向雪峰之弟子玄妙師備參問法眼, 卽等于是雪峰之三傳弟子. 后來文益于應江西撫州(臨川)州牧之請, 住錫于崇壽阮. 及至李昇于937年建立南唐后, 將其延請至金陵建立法席. 法眼宗之宗旨, 最能表現于『宗門十規論』, 其重點是 "理事不二, 貴在圓融". 所謂 "理事圓融", 一方繼承禪宗之 "自證于心", 一方又攝合了華嚴宗之 "理事無涯觀". 亦卽標榜禪敎融和, 修正了其間由南宗禪所敎誨之 "敎外別傳"之軌道. 反映了五代以後禪較一致的綜合趨勢. 法眼文益曾展開活動的浙江話福建, 以及江西地方, 是羅末麗初, 僧侶來往求法的中心地區. 其中江西爲南禪宗之本源地, 求法僧侶進出頻仍. 浙江吳越國則不僅有普陀山和天台山, 幷且屬于東南海港, 是求法僧往來之交通要衝. 至于福州和泉州, 由于五代??國王家之支援, 雪峰禪極爲繁盛. 在雪峰門下, 亦曾有如靈照玄訥等東國高僧. 當桂琛住錫??州羅漢阮時, 該等在泉州的活動亦極普遍 : 玄訥曾開辦福淸阮, 進行敎化(該福淸阮規模雖已縮少但??今猶存) ; 在超慶阮亦由擬似出身東國之禪德精與筠編纂禪宗史書 『祖堂集』, 該『祖堂集』在中國, 因五代十國之亂未有流傳而傳至韓國, 附錄于『八萬大藏經』木刻板內, 而得以流傳于世. 在法眼文益門下, 直接事師之高麗僧有慧炬. 『景德傳燈錄』文益傳亦將其嗣法弟子列爲 : 天台德韶和文遂, 以及高麗慧炬等14人. 其中天台德韶(891~972)是在臨川參問后成爲法眼宗第二代祖師, 幷以吳越國忠??王之國師身分, 于與文化政策. 而忠관??之接受國淸寺義寂之咨請, 派使臣赴高麗求取因唐末爭亂而失傳之佛敎典籍, 亦得力于德昭之幇助. 其實在文益門下曾與德韶同門嗣法之高麗慧炬, 後來貴國後曾住錫道峰山傳燈幷被延請爲國師. 於是該兩位同門禪師. 似形成兩國之間佛敎交流之軸心. 例如 : 在吳越忠??王卽位時期, 入天台山德韶門下爲弟子之義通和尙, 亦흔可能由道峰山之慧炬??旋而踏上求道之路. 嗣后高麗之改革政治家光宗, 曾將年輕僧侶36人派至法眼宗第三代祖永明延壽門下, 學習法眼宗. 又將天台典籍和天台僧諦觀派往天台山, 爲復興天台山做貢獻等. 對奠定韓中佛敎交流基礎似乎扮演重要角色. 如此, 法眼宗曾以福建, 江蘇, 浙江等中國東南沿海地區爲中心, 淵源流長和發展. 値得注目的時, 該地區自第九世紀以來, 農業發達, 國際間貿易盛行. 而第九世紀中葉普陀山之開山. 亦在此種趨勢下由韓國商人和日本僧侶所促成. 據測, 在此一時期, 張保皐船隊亦可能隨張保皐之死, 面臨瓦解之危機, 一方面則將其活動舞台遷往南部沿海進行改組. 唐末五代發源于福州, 泉州之雪峰禪, 南唐時由法眼文益在南京淸凉山誕生爲法眼宗. 至此, 敎外別傳至南宗禪, 産生了禪敎融合的法眼宗旨. 而且由于文益之弟子天台德昭及其弟子永明延壽都成爲吳越國之國師, 使法眼宗在吳越地區大放異彩. 同時在高麗方面, 由于慧炬國師之活動, 亦使法眼宗之傳燈極爲活躍. 在第十世紀中葉, 兩國法眼宗如天台宗之交涉與發達. 都建立于張保皐以來海上貿易及海洋佛敎之持續發展基礎上.

      • KCI등재

        明 正德朝의 亂政과 言官의 집단적 대응

        曺永祿 동국사학회 1986 동국사학 Vol.20 No.-

        군주가 무능하여 用人에 어두우니 劉瑨 江彬 같은 無??가 정치를 문란하게 만들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하에서 科道官은 그들의 言官的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여 가는가? 士木堡事變 의 발언권은 강화되어 갔으며 成 ? 弘間을 거치면서 그들의 정치적 지위는 한층 제고되어 왔다. 이렇게 성장해온 科道官이 저 같이 무도한 정치적 상황에 어떻게 저항하며 조정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이들에 대응하여 가는가 하는 문제는 정덕조의 정치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은 물론 명대 군주대제의 體質을 이해하는 하나의 지름길을 제공하여 줄것이다.

      • KCI등재후보

        明代의 科道官 硏究 : 정치·제도사적 측면에서의 성과와 관계

        曺永祿 명청사학회 2003 명청사연구 Vol.19 No.1

        明代科道官の硏究に關する政治史的硏究はほんとうに少ない. 拙稿の『明代政治史硏究-科道官の言官的機能-』(1988, 知識産業社)は, 明代科道官の設置から明が滅ぶまで, その言官的機能と役割についての政治·制度史的硏究である. 本稿では, これに開する成果を次のように三つの時期に分け, それを特徵的·內容別に整理した. 一つ, 明の太祖の六科給事中と十三道監察御史の設置である. 永樂以後から正德朝に至るまで, 彼らが科道官として體系化しながら, 次第に帝室の私的肥大化により, これに同調する宦官と內閣までを含め皇帝權を批判する言官(言路)的成長期. 二つ, 嘉靖以後から万曆未期まで, 君主獨裁權が强化される政治的變化に對應し, 場合によっては, 內閣權に同調して皇帝權を批判し, また場合によっては東林派と手を結び, 宦官·內閣を含めた皇帝權に對立した. 三つ, 万曆未期以後から未まで, 黨派政治が過激して政治不在の現象を惹起しだ際, 監察と言論を擔當した科道官は政局を主導したり, あるいは各??自分の因緣に從い, ある派閥に所屬しながら言論活動を行なった. 今後の科道官硏究は, 次のように, より具體的·分析的に行なう必要がある. 一つ, 諸般の政治的事件に對する科道官の對應方法を知る多樣な事例別硏究. 二つ, 科道官の言論活動を具體的にがる言官に對する個人別硏究. 三つ, 明末の黨派政治に言官が政局を主導したという事實を, 現代の政黨政治と比較して見ようとする硏究視覺を持つ必要があるという点などである.

      • KCI등재

        羅ㆍ唐 동해 관음도량, 낙산과 보타산 - 동아시아 해양불교 교류의 역사 현장

        조영록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7 No.-

        관음ㆍ정취보살을 主尊으로 하는 낙산 동해관음도량은 義湘과 梵日이 입당구법하고 귀국하여 創 重創한 것이다. 이 연구는 韓中 東海觀音道場 형성의 비교사적 고찰이라는 점을 念頭에 두고 진행하였다. 의상대사가 창건한 낙산사는 중국 보타산에 비하여 건립된 시기가 빠르고 그 경관이 흡사하다. 그것은 대사가 7세기 후반에 입당유학하여 玄裝法師의 『大唐西域記』에 소개된 관음보살의 住處, 포달락가산(布呾落迦山)을 본국에 再現한 것이다. 그때까지 관념적으로 존재하던 관음주처의 신앙이 동아시아 최초의 관음 기도도량으로 출현한 것이다. 일연은 ‘낙산이대성’조에서 華嚴敎學의 雙璧 元曉를 함께 등장시켜 의상에게만 觀音親見을 허용하여 차별화시켰다. 『송고승전』 ‘의상전’의 선묘설화에서도 중국 관음설화의 주인공 妙善의 이름자를 倒置시키는가 하면 설화의 배경도 9세기 전반 張保皐 당시에 맞추어 선묘관음설화로 꾸며 의상의 沙門像을 찬미하고 있다. 낙산사의 중건은 858년 浙江지역에서 유학하고 온 梵日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이는 明州 普陀山의 開山과 같은 해이니, 결코 우연이라고만 할 수 없다. 보타산은 일본승 慧萼과 신라상인 그리고 현지 주민들에 의한 합작품이다. 이 보타산 개산의 주역들은 범일이 浙江 沿海지역에서 구법할 당시 인연을 가진 사람들로 추측되어 진다. 범일은 청소년기에 ‘入道 淨行’의 수행과정을 거쳤으며, 일찍부터 관음신앙이 성행한 浙東연해지역에서 구법하고, 귀국 후에는 낙산사를 중창하였다. 따라서 그를 선종의 祖師로서 만이 아니라 禪淨雙修的 수행승으로서의 본래면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In 『Samgukyusa(Remoniscence of Three Kingdoms: Silla, Goguryeo, and Beckje)』, Naksan temple which has GwaneumㆍJeongchuibosal as main Buddha and is Gwaneum dojang(sacred place of the Boddhisattva) in East Sea was founded by Uisang, a monk who went abroad Dang to seek for the truth, and constructed by Beomil. Priest Uisang entered Buddhism by the end of the 7th century, returned to Korea after seeing Podalnakgasan, the main shelter of Gwaneumbosal recorded in 『Daedangseoyeokgi』 of Hyunjangbeopsa, and built it in Silla. This became the first Gwaneum studio in East Asia. By mid-9th century, Beomil seonsa returned to his country after studying in Jeolgang area in China and constructed Naksan temple. Coincidently, this was the same year that Gwaneum studio in Putuoshan in the East Sea of China was founded. Also Putuoshan was a mutual work of Egaku, the Japanese monk, merchants from Silla and local residents. It is believed that Beomil practised on Jungto(Pure land) in his youth period. In the prime of life, he sought for the Buddha's truth in the area near Jeoldong coast where Gwaneum doctrine was prevalent, and reconstructed Naksan temple, the Gwaneum dojang after returning to Korea. In this aspect, he can be regarded as an ancestor of Namjongseon(The southern school of Ch'an(Zen) and a monk who combined practicing Jungto as well.

      • KCI등재

        慧昭의 入唐求法과 道義와의 同行巡歷考 -『宋高僧傳』 「唐州 神鑒傳」과 관련하여-

        조영록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59 No.-

        Hyeso (慧昭) introduced the southern Zen school of Buddhism (南宗禪) early o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his epitaph, he entered China in 804 AD and studied under Shenjian (神鑒) in Henansheng Cangnzhou (河南省 滄州). He received upasampada (具足戒) in Shaolinsi Temple in Songshan (嵩山 少林寺)six years later and then came back to Cangnzhou to practice. He met another monk from his homeland, Doui (道義) in the southwestern area of China and accompanied him to search for the Dharma. After Doui returned to Silla in 821 AD, Hyeso spend nine more years in Zhongnanshan (終南山) and other places in order to practice Buddhism before returning to his own country. However, it is not clear which Buddhist sect Shenjian belonged to and in which area he actually dwelled. According to Hyeso’s epitaph, Shenjian lived in Cangnzhou but, beside the epitaph, there is no other record that confirms this information. The epitaph also states that Hyeso met Doui in the southwestern area of China and both searched all around for the Dharma, but the records fail to mention which areas they actually went to. In the epitaph of Kyeongyang (競讓), the author Lee Mong-yu (李夢游) of Koryeo mentioned that Shenjian belonged to the Hongju Sect. This information was referred to in the translation of Hyeso’s epitaph, and existing research consistently identifies Shenjian of Tangzhou, whose name is found in Sungkaosengchuan, as Shenjian of Cangnzhou. However, since Tangzhou and Cangnzhou are far apart from each other,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proper account for the identification of this historical figure. I assume that Shenjian mainly dwelled in Tangzhou. He once visited Maju (馬祖) and devoted himself to Buddhist Chants called Beompae (梵唄) when he was young. These facts coincide with records from the epitaph of Hyeso. But the fact that Shenjian was active mostly in of the middle of the Chang River (長江中流) area is in discord with the note in Hyeso’s epitaph which says that Hyeso was mainly active in the Huabei (華北) area. The middle of the Chang River area was where Hyeso and Doui went to seek for the Dharma and this can constitute evidence to support the assumption about Shenjian’s habitation. Tangzhou must have been miswritten as Cangnzhou in the epitaph of Hyeso by the author Choi Chi-won (崔致遠). Hyeso and Doui must have met each other in Xichuansheng (四川省) in the southwestern area of China. Xichuansheng was where Master Musang (無相大師) from Silla dwelled and could have been where Doui started his long pilgrimage after his mentor Xitang (西堂) passed away in 814 AD. During the six or seven years of pilgrimage with Doui, Hyeso must have deeply realized the doctrinal truth of the southern Zen school of Buddhism under the guidance of Doui. Doui was a Buddhist dignitary who was an authentic successor to the lineage of the Hongju Sect while his mentor Shenjian is identified as a Buddhist priest who has attained spiritual enlightenment. 慧昭는 중국 南宗禪의 초기 傳來者이다. 碑文에 나타난 그의 求法過程을요약해 보면, 804년 入唐하여 河南省 滄州 神鑑大師에게 法을 받은 6년 뒤嵩山 少林寺에서 受戒했으며, 다시 滄州로 돌아와 修行했다. 그 뒤 西南에서故國의 승려 道義를 만나 四方 먼 곳으로 同行 巡歷하고, 821년 도의가 귀국하자 終南山 等地에서 9년간 修行한 후 귀국했다. 그런데 神鑑의 法系가 不分明하며, 居住地 滄州 또한 다른 文獻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혜소가 20년 먼저 入唐한 道義와 ‘邂逅했다는 西南地方이 나 四方으로 巡歷하였다’는 地域의 範圍도 짐작하기 어렵다. 高麗 李夢游가 쓴 兢讓의 비문에서 처음으로 神鑑의 法系를 洪州宗이라고한 이래 慧昭碑文의 譯註에서 이 견해를 따랐으며, 근년의 연구에서는 『宋高僧傳』의 唐州(河北省) 神鑑(?-844)을 碑文의 滄州 神鑑과 동일시하는 경향이있다. 당주와 창주는 서로 먼 거리이기 때문에 양자를 동일시하는 데는 그에相應하는 설명이 隨伴되어야 할 것이지만 그렇지 못하다. 筆者는 신감의 중심 居住處가 오히려 唐州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는일찍이 馬祖를 拜謁한 적이 있으며, 일찍이 梵唄에 耽溺하는 등 慧昭碑文의내용과 합치되는 점이 많다. 그러나 그의 활동무대가 長江中流인데 대하여혜소의 활동무대는 華北일대라고 하는 비문의 내용과 相馳된다. 장강중류지역은 慧昭와 道義가 同行 巡禮한 지역과 일치된다는 사실 역시 唐州가 신감의 居住處일 가능성을 높여 준다. 최치원이 비문을 찬술할 때 아마도 당주를창주로 誤記한 것 같다. 도의와 혜소는 西南의 四川지역에서 邂逅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사천은新羅 無相大師의 거주처였으며, 814년 스승 西堂이 入寂한 뒤 도의의 遠地巡禮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6, 7년간 同行 巡禮하는 동안 혜소는 도의의 지도로 南宗禪의 宗旨를 깊이 깨달았을 것이다. 스승 神鑑은 道僧으로 평가되는 인물인데 대하여 도의는 홍주종의 嫡統을 계승한 高僧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普照体澄과 明州 大梅法常의 法嗣 迦智

        조영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신라 道義禪師가 唐 西堂智藏으로부터 처음으로 南宗禪法을 얻어 왔으나 남방의 불교계에서는 이를 마설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에 북방 설악산으로 옮겨 廉居에게 法을 傳하고, 염거는 다시 体澄에게 전하여 그를 宗祖로 하는 迦智山門이 비로소 열리게 된 것이다. 体澄은 도의의 心要를 얻은 뒤 다시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求法行脚을 펼친 뒤 귀국 후 迦智山門을 개창하였다.「迦智山寶林寺普照禪師碑文」에 의하면, 체징의 속성은 金氏이며, 804년 熊津 출생으로 어려서 불경을 읽었으며, 827년에 具足戒를 받은 후 설악산 億聖寺에서 道義의 제자 廉居에게 그 法을 傳受하였다. 837년에는 同學 眞育 虛會와 함께 入唐하여 여러 지역으로 巡歷하며 많은 善知識을 배알하였으나 “우리 祖師(道義)의 가르침에 더 보탤 것이 없으니 수고롭게 더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고 840년에 귀국하였다. 체징의 입당구법은 그의 나이 연부역강한 중반이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불교교류는 張保皐船團의 해양활동이 왕성할 때 그에 힘입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崛山祖師 梵日은 그 1년 전(836)에 입당하여 6년 동안 鹽官 齊安의 문하로 들어가 수행 중이었으며, 慧目山 玄昱은 같은 해 그리고 桐里山 慧徹은 2년 뒤에 구법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그 무렵 일본 天台宗僧 圓仁이나 普陀山 開山에 공이 있는 慧萼 등이 역시 登州나 揚州 혹은 明州港을 드나들며 구법행각에 분주하였다. 체징의 비문을 비롯한 여러 문헌에는 그의 在唐求法과 관계하여 어떠한 구체적 언급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전등록』 10, ‘明州 大梅山 法常禪師 法嗣, 新羅國 迦(伽)智禪師傳’의 제목 아래 간략한 두어 마디의 문답이 있지만 여기서도 그를 체징과 관계 지어 볼만한 내용은 없다. 혹시 저들 兩師가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동일인으로 본다면 그에 합당한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아야 한다. 첫째로 체징의 구법과 大梅法常의 傳法이 동일한 시기에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둘째 대매 법상선사와 가지산 선문의 법맥이 일치하는가? 셋째 명주 大梅山이 해외 구법승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지역이었는가? 하는 문제 등이다. 첫째 시기상의 문제다.『송고승전』 권11, 「明州大梅法常傳」에 따르면, 법상이 796년 天台山에서 明州 大梅山으로 옮겨 隱居修行하다가 836년, 그의 나이 85세에 비로소 禪院을 세우고 본격적 傳法活動에 임하여 6, 7백 명의 僧徒들로 성황이었으나 839년에 향년 88세로 示寂하였다. 법상의 傳法 3년 사이에 体澄이 입당하였으므로 그 문하로 들어갈 수 있는 기간에 해당된다. 둘째 법계상의 문제다.『전등록』 권7, 「대매산법상선사전」에 따르면, 법상은 “大寂(馬祖) 의 ‘마음이 부처’라는 한마디에 大悟하였다”고 한다. 체징이 본국에서 염거를 통하여 배운 道義祖師의 가르침 역시 馬祖-西堂으로 전한 馬祖의 嫡統이다. 兩浙地方에서 각각 이름을 얻은 大梅法常과 鹽官齊安이 모두 마조의 直傳弟子였으니 같은 법통이다. 셋째 구법 지역상의 문제다. 明州는 중국 동남의 대표적인 항구도시로 외국인들이 쉽게 드나들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승려와 상인들이 드나들기 용이한 海港으로서 중국에서 가장 오랜 동안 양국의 구법승들의 출입이 가장 잦았던 곳이다. 이상의 사실들을 종합해보면 체징은 入唐하자 중국 江南의 여러 叢林을 巡歷하기에 앞서 아마도 明州 大梅山 법상의 문하를 찾았을 개연 ... A Silia monk, Do'ui 道義, went to Tang China and attained Southern Chan teaching in the first time in history of Korea from Xitang Zhizang 西堂智藏. But the Southern Chan teaching was considered to be the devil’s, and excluded from the Buddhist society at the time. Because of this refusal, Do'ui languished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re, he had conveyed the Southern teaching to Yeomgeo 廉居, and then Yeomge conveyed it to Chejing 體澄. After Chejing had studied in Shilla, he entered Tang again, traveled various regions preaching the Buddhism, then he returned Silla and opened new Chan[Seon] school, Gajisanmun 迦智山門. According to his stele, he was born in the Kim family, at 804, in Ungjin 熊津. When he was young, he read the buddhist books. At 827, he had become the proper monk. After then, he was taught by Yeomgeo in the northern mountains. In the year of 837, he entered Tang with his fellows. He traveled various regions and met a lot of Chan masters to study the teaching. But he thought that there is nothing to add to what he had learned in Silla, he came back to Silla in 840. The literatures including Chejing's stel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s of his “trying to have a Buddhism’s law” while he was traveling around the regions of Tang. But there are some mentions about someone named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大梅法常, who might be Chejing in the volume 10 of Zhandenglu 傳燈錄. Isn’t there th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Chan masters are same person ? If one wants to accept the possibility, one should consider the conditions which the possibility makes happen. First, it should be the time of the searching of the law of Chejing and the time of his Chinese teacher, Damei Fachang, are in same position of timeline. Second, are the thought of Fachang and that of Gajisanmun identical? Third, was it easy to access to Damei mountain 大梅山 in the Mingzhou 明州 for the foreign Monks?The answers o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bring the subsequent questions. First subsequent question is the timeline. According to the biography of Damei Fachang in the Sung gaosengchan 宋高僧傳, Fachang was moving to Damei mountain in 796, where he was hiding from the world and studied. In 836, when he was the age of 85, Fachang was finally able to built his own temple and teach monks, but he passed away just three years after shortly. In this short three years, Chejing entered Tang and could be studied under the presence of Fachang. Secon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Chan lineage. According to Zhandenglu 傳燈錄, Fachang succeeded the teaching of Mazu Daoyi 馬祖道一. The teaching of Do'ui, which Chejinf learned was also the same line of Mazu Daoyi. The Third subsequent question is the problem of regions of “searching the law”. Mingzhou 明州, whicih was main port city of east-southern china, was the port which could be easy access for foreigners, especially to the monks and traders of Korea and Japan. All the answers combined and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Chejing could be a student of Fachang is probable. The year before the arrival of Chejing, Fachang built his own temple and have the fame around the areas. It could be possible that Chejing heard the fame and then became a student of Fachang. After the return from Tang, he gave the teachings in his homeland. Then the king asked him to move to a temple in Gajisan, in the spring of 860, to be the abbot of it. And he was given the title of Bojo Chan Master after his death by the Government. As the time passed, the news of his achievement spread to the Chinese Buddhism, it could be possible to say that he was recorded as ‘Silla master Gaji as a disciple of Damei Facha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