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울 반사각 제어에 의한 가변형상 제작 연구 2 -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중심으로-

        조열,전신종,김선화,최병수,엄종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Digital media technology extends its application area beyond our imagination and takes its place as a part of our daily life. Under such environments, our research aims are to reduce not only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production by introducing digital media technology in the handmade creative process, but also trial and error by broadening the choice of the creating method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implementation process for creating a variable image through a mirror system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so, we propose the necessary computational algorithms for implementing the image creating process by using a computer. We propose two algorithms, one for reducing the number of colors and the other for computing the reflection angle of the mirror. In propos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variable images, we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lso, we discuss the creative process of variable images when the type of color board and the viewpoint of the spectator is changed. In conclusion, we discuss some problems arising in manufacturing the production. I think that our research result on converging digital technology and analog art will create a new dimensional added value.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우리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부문까지 영역을 확장하면서 일상적인 생활의 일부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본 연구는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작품제작 프로세스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시켜 작가의 작품 제작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은 물론, 제작방법상의 선택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많은 시행착오를 줄이고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토대로 거울 시스템을 통해 형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가변형상을 구현하는 과정을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컴퓨터로 구현했을 때를 고려하여 제작과정에 필요한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하려 하고자 한다. 단일형상 제작과정을 설명하면서, 색의 축소 알고리즘과 거울의 반사각 계산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가변형상 제작과정을 제안하면서, 가변형상 제작원리를 설명하였고, 반사소스의 변화와 시점의 변화에 따른 가변형상의 제작과정을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실제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와 같은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 예술의 융복합을 통하여 새로운 차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시각커뮤니케이션 요소분석을 통한 상점 간판 개선방안 : 건물전면관의 관계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relation of the facade of buildings

        조열,시가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2 기초조형학연구 Vol.3 No.2

        도시의 환경은 그 나라 문화수준의 단면이며, 간판과 사인물은 이러한 도시환경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도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상점 간판이 시각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간판과 건물과의 관계, 간판배경과 문자, 그래픽 등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 환경 구성요소를 분석과 최적의 방법을 찾아 시각 환경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차 설문조사와 지역별현황조사를 조사하고 시각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분류하여 어떤 요소가 상점간판에 기능적으로 이여하고 있는지 조사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기여도와 효용치를 측정, 발견함으로써 이상적인 도시 환경적 기능에서의 상점간판디자인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판은 건물의 모습과 조화되어야 한다. 오늘날 간판이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은 바로 ‘건축과 조화된 사인 디자인’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간판을 간판 자체로만 이해하기보다는 ‘시각적 환경’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건물과 유기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cityscape reveals a cross section of the culture level of country. The various signboards are the core elements consisting of the cityscape and the city image. This study 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visual environments. This study is analyzed the effects on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signboards, the influences on the signboards and the buildings and the buildings, the relations of the background and the elements of signboards. For the above this study have the inquiry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sample areas. In this study I classified the elements of the visual environment, measured the specific contribution and the effective values through the analysis which element functionally contributes to the store signboard, and pursued the improvement of the store signboard in the ideal function of city environment. Eventually the store signboard should be in harmony with the shape of building. Today the signboar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jures the beauty of city. For there is no conception, the design of signboard in harmony with the architecture. The signboard should not be understood the signboard itself and be designed, it should be understood a part of visual environment and designed in aspect of the harmony with the existing buildings.

      • KCI등재후보

        매장연출 P.O.P.광고의 시각적 상품화전략(V.M.D.)적용 사례 연구 (가전제품 및 통신서비스 매장을 중심으로)

        조열,홍장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2

        현대의 소비재 시장상황은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과거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기존시장의 개념이 붕괴되고, 소비자의 소비 행태와 경제활동의 스타일도 더 세분화되었으며,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유통구조도 커다란 변화를 맞고 있다. 광고활동도 이러한 시장상황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오늘날의 제품은 기능 및 기술경쟁의 시대에서 차츰 광고 및 디자인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이는 곧 소비자위주의 광고방향설정과 소비자요구의 결합이 광고효과의 극대화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소비자가 실제 제품을 접하게 되는 일선 판매점에서의 광고활동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어서 매장자체를 하나의 광고매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늘고 있으며, 마케팅전략 수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매장연출의 정교화와 시각적 이미지의 입체적인 통합을 필요로 하는 등 적극적인 매장 활성화를 요구한다. 본 논문은 국내 매장연출 POP광고의 발생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 특성을 파악하고, POP에 대한 기업의 적응노력과 변화과정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VMD적 관점에서의 매장연출 POP의 접근은 매장을 더욱 세분화시키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매장에서 다양하게 적용됨으로써 소비자에게 즐거움과 신선함 그리고 더 많은 정보와 감동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ever-changing market situation, the field of advertising is witnessing various changes as well. In the past, winning the competition for production technology was the key to success in the market, but today the era of advertising and design has set in. In this regard, combining consumer-oriented advertising with consumer needs can maximize the effect of advertising. Particularly, the importance of advertising activities in retail markets where consumers directly experience products is growing. For that reason, the notion that sees a store itself as a sort of medium of advertising is being widely accepted and actually influencing marketing strategies in many advertising companies. This trend leads to more segmentation of stores and integration of store image, enabling retailers to engage in more aggressive marketing by attracting more customers to their stores.This thesis refers to the background of how POP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as store display was introduced in Korea, how POP has developed based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OP advertising and how it has been developed in Korea and is being used by Korean firms to attract customers. Also, the introduction of VMD (Visual Merchandising) which became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POP advertising has set a new standard for the store segmentation and effective store management. At present, VMD is being applied in various places such as home appliance stores, big discount stores, and communication service stores, providing customers with more useful information and pleasure for shopping.

      • KCI등재

        최서해의 초기 작품과 바쿠닌의 아나키즘

        조열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이글의 목적은 신경향파 작가인 최서해의 작품을 재인식하는 측면에서, 20세기 초기 아나키스트 바쿠닌의 사상이 한국에서 전개된 흔적을 고찰하면서 최서해의 문학의식과 바쿠닌 사상의 친연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3.1운동의 실패 이후 사회 혼란기에 처하여 지식인들은 과거의 봉건제도에저항하면서 새로운 길을 끊임없이 모색하였고, 이와 함께 사회주의 사상도 점차근대 한국에 유입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는 한국에서 민족주의, 사회주의 등 다양한 사상이 혼합된 시기이기도 한데, 개인의 주체성을 추구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건설하기 위한 아나키즘의 영향이 확대되면서 1920년대 초반기에는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 사이에 명확히 경계선이 없었다. 이러한 모호성과 당시 문학 작가들의 논설을 결합하여, 신경향파, 카프를 비롯된 프로문학 진영에 소속된 지식인들이 다소나마 초기 아나키즘의 사상이론을 접한 적이 있음을 추측할수 있다. 그중에 최서해의 독특한 창작 방식은 당시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동시에 그의 작품에서도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 사상이 공존하는 시대적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서해의 작품에 등장한 인물들은 대부분 폭력, 강도 등 극단적인수단을 통해 저항함으로써 사회질서를 타파하고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을 추구하는 하층민인데, 이러한 강한 반억압, 반계급적 색채는 아나키즘의 사상과 연동할 수 있고 특히 바쿠닌의 투쟁 방법론과 닮아있다. 마르크스와 대립 관계로 근대 초기의 한국에서 바쿠닌은 크로포트킨과 동등한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사회의 전체 환경을 보면, 크로포트킨의 이론적 지지보다 바쿠닌의 직접 파괴 행동에 대한 방법이 근대 한국 사회의 수요에 더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문은 근대 초기에 한국 문학계의 바쿠닌에 관한 기재를 고찰하고, 최서해의 초기 수필, 소설 등을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사회 배경을 이해하며, 작가의식과 바쿠닌의 사상적 요소와의 연관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narchist thinkerBakunin’s ideas in Kore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by re-evaluatingthe works of the new-tendency writer Choi Seo-hae. It seeks to exploreChoi’s literary mindset and his alignment with Bakunin’s ideology. Following the March 1 Movement’s setback, amidst social upheaval,intellectuals embarked on a quest for new paths while resisting theremnants of the feudal system. At the same time, socialist ideologiesbegan to seep into modern societies. However, this period also saw ablending of various ideas such as nationalism and socialism in Korea. With the influence of anarchism, which champions individual subjectivity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ocial order, the lines between anarchismand socialism were blurred in the early 1920s. By juxtaposing thisambiguity with the discourse among literary writers of the time, it can beinferred that intellectuals associated with the social literary movements,such as the New Tendency and KAPF, were exposed to the ideologicaltheories of the early anarchism. Among these, Choi Seo-hae’s distinctive approach to creationcaptured the attention of the literary scene, exhibiting the zeitgeistwhere anarchism and socialist ideas coexisted. Most of the charactersin Choi’s works are lower-class individuals who break the social order and strive for individual freedom and self-discipline by resistingthrough extreme means such as violence and robbery. This stronganti-oppression and anti-class sentiment resonates strongly with anarchistideology, especially akin to Bakunin’s methodology of struggle. Due tohis hostile relationship with Marx, Bakunin did not garner the sameattention as Kropotkin in early modern Korea. However, from theperspective of the broader social context, Bakunin’s strategy of directdestruction better aligned with the exigencies of modern Korean societythan Kropotkin’s theoretical support. Therefore, through an investigationof the records of Bakunin in the early modern Korean literary circle,this paper analyzes Choi Seo-hae’s early essays and novels to understandthe social background of the era and substantiate the correlation between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Bakunin’s ideological ele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