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연구 : 현행 교육과정 , 교과서 , 수업현장 분석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 Textbooks ,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Observations

        조연순(Yon Soon Cho),최경희(Kyung Hee Choi),조덕주(Duk Joo Cho) 한국초등교육학회 1997 초등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연구의 하위과제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 것이다. 즉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사용지도서에는 창이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총괄목표에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특수영역의 지식과 기능인 과학에 있어서의 지식과 탐구방법^1) 이 기술되어 있기는 하나 교육과정의 내용및 교과서, 교사용지도서에는 '탐구방법'은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만 제시되고 있다. 또한 수업현장에서는 특수영역의 지식과 기능을 다루는데 있어서 확신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수업활동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서는 지식 뿐만 아니라 탐구방법이 중시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볼때, 교육과정에서는 탐구방법이 목표로서 뿐만 아니라 내용으로서 지식영역과 함께 다루어지도록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갈등이 있는 문제상황을 주고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절차를 따르는 것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문제해결방법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6th national elemant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teacher's guide and classroom practices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lementary science program focusing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conceptualized as an ac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solutions to problems and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general knowledge, domain-specific knowledge, motivation,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generated as follows: (1) Whether creative problem solving elements-domain specific knowledge(declarative knowledge and inquiry methods) were included or not in the 6th elemant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If so, how are they represented? (2) Whether the teachers tried to enhanc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of their students. Through content analyse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followings are founded: (1) Inquiry methods, which are important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were und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declarative knowledge. In other words, inquiry methods were regarded only as tools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2) It was hard to find the situations which teach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to their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1) Inquiry methods should be regarded as a goal not as a tool and be used to acquire inquiry methods themselves. (2) Teachers should not stick to the prescribed inquiry methods prescribed in the textbook, but to give opportunities for thinking various kinds of inquiry methods to improv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연구 : 현행 교육과정과 수업현장 분석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Observations

        최경희,조덕주,조연순 한국과학교육학회 199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를 위해 수행된 것이다. 기초 연구로서 제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교실현장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제 6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방법에 나타난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과학 수업 관찰, 교사면담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은 특징, 총괄목표, 하위목표 모두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이라는 용어를 명시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현 중학교 과학교육에 있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과정의 성격 및 총괄 목표에만 포괄적으로 기술되어 있을 뿐, 실제적으로는 실시되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과학 교사들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하여 대체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과진도 문제, 학급당 과다한 학생수, 지식 중심의 교과 내용, 입시와 연관된 평가, 교사의 준비 부족으로 인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배양을 위한 수업은 거의 하지 못하고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6th national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and classroom practices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secondary science program focusing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was conceptualized as an ac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solutions to problems and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general knowledge, domain-specific knowledge, motivation, divergent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generated as follows: (1) Whether creative problem-solving elements-domain specific knowledge(declarative knowledge and inquiry methods) were included or not in the 6th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If so, how are they represented (2) Whether the teachers tried to enhanc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of their students. Through content analyse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as follows: (1) Inquiry methods, which are important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science, were und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declarative knowledge. In other words, inquiry methods were regarded only as tools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2) It was hard to find the situations which teach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to their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1) Inquiry methods should be regarded as a goal not as a tool and be used to acquire inquiry methods themselves. (2) Teachers should not stick to the prescribed inquiry methods prescribed in the textbook, but to give opportunities for thinking various kinds of inquiry methods to improve divergent and crit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