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성기음반에 담긴 무성영화 중 “역사와 현실”을 테마로 한 무성영화의 주제가 연구

        조순자 ( Sun Ja Jo ) 민족음악학회 2015 음악과 민족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orean phonographic records of silent films, produced in the days of silent films (1924-1934), namely the early days of Korean film music, and then look into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ongs of movie of which themes were ‘history and reality.’ For this, audio data in 『the Collection of Silent Films』, a reprint of Korean silent film records, were used, together with the data of newspapers, magazines and collections of songs at that time The total number of silent films, produced with Korean phonographic records in the days of silent films, was estimated to be 13. Among them, films of which themes were ‘history and reality’ were five, including 「Arirang」. As a theme song of movie, Arirang was a typical example of silent films that underwent Japanese oppression and censorship, and contained such a text as expressing a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setting a traditional folk song to Western music of three-four time, 「Arirang」 reduced sigimsae and simplified melodies. Another theme song of movie, ‘Looking for Love’, did not directly reflect anti-Japanese consciousness onto the music score, but expressed it metaphorically in a close connection with film narratives. This song was a Japanese style song, consisting of yonanuki major scale with a five-scale system of ‘do, re, mi, fa and sol,’ and of binary time. And other thematic songs of movie, such as the theme song of 「Soldier of Fortune」, frequently presented such lyrics as mourning for the loss of country and accusing reality, and used such methods of score marking as simultaneous writing of numerical scores which were similar to staff notation, or as writing numerical scores only.

      • KCI등재

        전남지역에 전승된 강강술래 노랫말의 유형분류 및 특성 연구

        조순자 ( Jo Sun-ja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5

        본 논문은 전남지역에서 전승된 원무형 강강술래 노랫말의 유형과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강술래 노래는 가사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평소 여성들이 즐겨 부르던 생활민요의 가사를 차용하여 부르거나 선소리꾼의 가창능력에 따라 즉흥적으로 노랫말을 지어서 부른다. 그런 이유로 강강술래 노랫말은 전통적인 민요는 물론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의식 있는 가사가 창작되는 등 다양한 종류의 노랫말이 생성되었다. 본고는 강강술래 노래의 주제에 따라 시집살이 노래, 신세타령, 모정을 그리는 노래, 사랑노래, 일노래, 유희노래, 동심노래, 애국노래 등으로 분류 하였다. 각각의 주제에 따른 사설을 분석한 결과, 강강술래 노래는 전반적으로 당시 여성들이 향유하던 모든 유형의 여성민요를 아우르고 있었다. 대체적으로 여성민요의 주제가 가정을 둘러싼 인간관계 혹은 가사노동과 관련된 내용인데 반해, 강강술래 노랫말에는 이순신을 모티프로 한 애국의 정서를 담은 창작가사가 상당수 발견된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는 강강술래 유래설의 하나로 전래되는 이순신의 강강술래 용병술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강강술래 노래는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부르던 생활민요에서 가사를 차용하여 부르거나 선소리꾼이 즉흥적으로 지어 불렀던 까닭에 다양한 주제의식의 표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여성들이 부르는 다양한 여성민요의 수용과 변형이 일어났다. 둘째, 선소리꾼의 선창과 참여자의 응수로 강강술래 놀이에 참여한 모든 여성의 처지와 경험이 공유되었다. 셋째, “강강술래”라는 후렴구 제창으로 참가자들의 공동체의식을 고취시켰다. 넷째, 구비전승으로 세대를 거듭하여 전래된 이야기가 강강술래 노래에 반영되었다. 다섯째, 강강술래 노래는 지역성과 시대성을 반영한 민요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달밤에 연행되는 원무형 강강술래 놀이는 여성들의 해방구였으며, 새로운 여성민요의 전형을 만들어 내는 창작공간이었다. 본고는 강강술래가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전인 1960년대 초중반의 강강술래 노랫말이 전형성을 잘 간직한 것으로 보고 그 범위를 1960년대로 한정하였다. 후속 논문을 통해 1960년대 이후 시대의 변화에 따른 강강술래 가사의 내용의 진화과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anggangsullae Lyrics transmitted in Jeonnam province. The lyrics of Ganggangsullae are not fixedly defined, but they are often called by the lyrics of various folk songs that women usually enjoy singing, or by improvised lyrics based on the singers' ability to sing.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theme of Ganggangsullae, it is classified as women’s songs about living with in-laws, Sinsetareong, a song that misses mom's love, love songs, traditional work songs, play-folk song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patriotic song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anggangsullae included all types of female folk songs enjoyed by women at the time, including patriotic songs that were rarely found in female folk songs.

      • KCI등재

        김치젖산균에 의한 당근 발효음료의 물리화학적 성질

        조순자(Sun-Ja Jo),오수명(Soo-Myung Oh),장은경(Eun-Kyung Jang),황기(Ki Hwang),이삼빈(Sam-P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당근을 이용하여 점질물 생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당근주스로부터 분리한 후 당근 발효음료 제조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발효 당근음료에 대한 물리화학적 성질 및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당근 생즙으로부터 분리된 점질물 생성 젖산균은 16S rDNA sequencing에 의해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으로 동정되었다. Dextran의 최적생산을 위하여 0~20%(w/v)의 sucrose를 첨가한 당근주스를 25℃에서 24시간 발효한 결과, sucrose 농도 15% (w/v)일 때 발효 당근음료의 점조도가 3.5 Pa·sⁿ으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pH 3.8, 산도 0.88%를 나타내었다. 최적조건에서 발효한 당근발효음료의 저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에서 4주 동안 저장한 결과 pH 및 산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점조도 값은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발효 및 저장기간 중의 β-carotene 함량의 변화는 발효 전에는 142 ㎍/mL에서 24시간 발효 후에는 72 ㎍/mL으로 49% 파괴율을 나타내었다. 냉장 저장 1주에는 54 ㎍/mL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젖산균을 이용하여 당근주스의 젖산발효를 수행하는 경우 탄소원 sucrose를 첨가함으로써 dextran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당근발효음료의 침전물 억제 및 물성 개선을 할 수 있었다. 특히, 당근발효음료는 냉장 저장 4주 동안에도 색, 맛, 풍미, 물성 및 기능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isolated from a raw carrot was used for the fermentation of carrot juice (CJ).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J was performed at 25℃ for 24 hr with 0~20% sucrose concentration,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mucilage. The fermented CJ showed the complete conversion of sugar into dextran after fermentation for 24 hr in the presence of sucrose below 15% concentration. With 15% sucrose, the fermented CJ had pH 3.8, 0.9% acidity, consistency index of 3.5 Pa?sⁿ. After cold storage for 3 weeks, fermented CJ showed slight increase in acidity and relatively constant value in pH; however, the consistency index, red color value and viable cell counts were slightly decreased for 3 weeks. The β-carotene content in CJ was drastically decrease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for 24 hr, indicating 72 ㎍/mL as compared to 142 ㎍/mL. The fermented CJ had improved body texture, red color and stability without sedimentation.

      • KCI등재

        영화음악을 중심으로 본 국책영화 『병정님』 의 프로파간다에 관한 고찰

        조순자(Jo, Sun-ja)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국책영화 『병정님』의 영화음악에 내재된 프로파간다와 음악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영화에는 군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나팔신호, 클래식 음악, 악대 퍼레이드, 일본대중가요, 그리고 위문공연시 라이브로 펼쳐지는 마금희, 히라마 분주, 계정식의 연주와 합창 등 다양한 음악이 배치되었다. 영화주제가는 신문공모방식으로 곡을 선정하였고, 라디오방송을 통해 대대적으로 주제가를 지도하였다. 주제가 『日本男兒』와 『母の歌へる』를 비롯한 영화음악 곳곳에 배치된 상징체계는 ‘전쟁과 군가’시대의 조선인에게 강제된 내선일체와 징병제를 합리화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영화의 내러티브와 삽입곡에 내재된 프로파간다 책략이 영화음악의 쓰임과 긴밀한 상관성을 가지고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propaganda and musical property inherent in the film music of 『Dear Soldier』, a movie of national polic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iverse musics were laid out in the movie, i.e., bugle signal that controlled soldier"s behavior, classical music, band parade, Japanese popular song & Mageumhee shown in live during performance, Hiramabunju, the play and chorus of Gye Jung Sik. The theme music of movie was selected in the form of subscription on newspaper and theme music was prevalently instructed through radio broadcast. Symbolic system laid out in many parts of the movie music including 『日本男兒』 and 『母の歌へる』 rationalizes Naeseonilche and conscription system compelled to Koreans in the age of "War & Military Song". The author confirmed that the propaganda tactics inherent in the narrative and inserted piece of movie was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film music through this dissertation.

      • KCI등재

        한국 무형문화재제도 변천사 연구-국가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조순자 ( Jo Sun-ja ) 민족음악학회 2016 음악과 민족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ransformation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ith an emphasis o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encompassing the period from the preparation of the Act’s establishment to 2015 when the Act was actually established in a longitudinal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analysi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4 periods including the Period of Establishment, the Period of Development, the Period of Takeoff, and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1955-1969)-, such systems as designat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ayment of subsidy for transmission activities, and mandatory disclosure of cultural heritage holders were introduced.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Period of Development (1970-1989)-, such diverse systems as obligatory recogni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holders, local cultural heritage system, recognition system of holder organizations, obligatory system of transmission education, and 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 system were newly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third period -The Period of Takeoff (1990-1999)-, ground-breaking institutional reforms were carried out such as empowerment of cultural heritage holders and streamlining of transmission education system. The fourth period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2000-2015)- was characterized by such innovations as introduction of honorary cultural heritage holders, recognition of transmit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ocated in North Korea as part of municipal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modification of the obligatory recognition system of cultural heritage holders, which were intended to comply with the global standard. As can be seen in the above description, from 1950s to the mid-2010s,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in 2016, the transformation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is faced with a new turning point.

      • KCI등재

        개화기 창가교육의 수용과 전개 - 개화기 근대학교를 중심으로 -

        조순자(Jo, Sun-ja)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본 연구는 개화기에 설립된 근대학교를 중심으로 초기 창가교육의 수용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창가교육은 개화기에 미국 선교사가 설립한 근대학교에서 찬송가를 교재로 한 ‘노래 부르기’ 형태로 시작되었고, 20세기 초에 창가가 근대학교의 정규교과목으로 편성되었다. 개화기 근대학교에서 한국 역사상 최초의 교가가 등장하였으며, 모두 창가형식을 띠고 있었다. 개화기 창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 창가교육은 미국 선교사들이 교회예배와 학교교육을 통해 전파한 찬송가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개화기에는 동일한 선율에 가사만 다르게 부르는 트로핑 창가가 하나의 음악현상으로 유행하였다. 셋째, 개화기의 ‘반외세 저항창가’는 조선침략의 야욕을 드러낸 동아시아 및 서구열강을 향한 저항의 노래다. 넷째, 개화기의 낮은음자리표는 알파벳 ‘F’의 모양대로 오른쪽을 향하도록 표기했으며, 1910년대 후반에 현행의 낮은음자리표 표기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개화기에 설립된 일부 근대학교에 한정되었다. 추후 사례를 확대하여 개화기 창가교육과 교가의 특징을 세밀하게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infancy Changga education centering on modern schools established in Early Korean Novel. Changga education in Korea began in the form of ‘singing a song’ using hymns as a textbook at a modern schools established by an American missionary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first school songs in Korean history appeared at modern school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y were all in the form of a Changg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ga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re as follows. First, Changga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riginated from the hymns spread by American missionaries through church worship and school education. Secon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roping Changga’, singing the same melody with different lyrics, became popular as a musical phenomenon. Third, ‘Resistance Changga about Anti-Foreign power’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s a song of resistance towards East Asian and Western powers that revealed the ambition of the invasion of Joseon. Fourth, the bass clef in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written to face to the r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phabet ‘F’, and in the late 1910s, it was converted to the current bass clef notation method. This study scope of this thesis was limited to some modern schools establish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expand the case studies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ongs and Changga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detail.

      • KCI등재

        UNESCO 2003 협약 이후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변화와 판소리 전승

        조순자(Sun ja Jo)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2003년 유네스코 협약 이후 20년간 진행된 한국의 무형문화재 제도변화를 분석하고, 2024년 5월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유산의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여 개별법 체계로 전환한 국가유산 분류체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판소리의 전승 활성화를 위한 그간의 쟁점을 검토하고 필자의 소견을 피력하였다. 유네스코 협약 체결이라는 외생적 요인이 한국의 국가유산체제를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2015년 무형문화재법 제정 이후 2023년 9월 현재까지 총 8차에 걸쳐 법률이 개정되었고, ‘전형 유지’ 원칙 천명, ‘전승공동체’ 개념 도입, 그리고 ‘문화재’ 용어를 ‘문화유산’으로 변경하는 등 변화가 있었다. 향후 정비된 국가유산체제에서는 ‘문화재’를 ‘무형유산’으로 용어를 수정하여 「무형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로 명칭 변경될 예정이다. 2024년 5월부터 시행될 「국가유산기본법」 체제에서는 유형문화유산과 민속문화유산이 「문화유산법」으로, 현행 등록유산은 「근현대유산법」으로 정비된다. 판소리가 문화재라는 지위를 획득한 이후 지정 당시 기록물에 근거한 판소리 연행의 고정성이 강조되었다. 신법인 무형문화재법에 ‘전형 유지’ 개념이 도입된 후 학계에서 ‘전형’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여전히 ‘전형’ 용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국가유산체제로의 전환을 앞둔 현시점에서 그간 판소리학계에서 논의된 판소리 전승 활성화를 위한 보유자의 처우 개선 문제, 보유자 인정 시 판소리 유파 인정 문제, ‘전형’의 올바른 해석과 전승 현장에 안착하는 문제 등의 재론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무형유산으로서 판소리가 보전 및 활용되도록 전통예술의 생명력을 확보하고 자생적 성장을 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over the past 20 years in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n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and how it has been influenced by the 2003 UNESCO convention. This is scheduled to be converted to a different system with the new law,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to be implemented in May 2024. This will act as the upper law, with three individual laws under it. The global standard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nounced by UNESCO in 2003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national heritage system. These three types of individual laws, which passed the plenary session in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July 2023, are reorganiz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heritage.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acts as the parent law. I think this structur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national heritage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 고찰-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조순자 ( Sun Ja Jo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판소리 ‘창조(唱調)’는 그동안 음악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창조’가 소리와 아니리의 중간적 성격을 띠고 있어 연행과정에서 쉽게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성우향의 김세종제 「춘향가」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관련 음원을 채보 및 분석하고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창조’의 가장 큰 음악적 특성은 무장단(無長短)의 소리라는 점이다. 길은 우조길과 계면길로 구분되며, 우조길은 솔음계로 1자다음(一字多音, melismatic)이 많은 반면 계면길은 ‘1자1음식’(一字一音, syllabic)진행과 3음계(미-라-도)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둘째, 판소리 ‘창조’가 시조창 · 시창 · 송서 등과 음악적으로 공통점이 많은 이유는 각각의 음악형식을 판소리 ‘창조’에 차용함으로써 이들이 ‘창조’라는 틀 안에서 창조적으로 융합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창조’의 기능은 극적 상황의 전환점 · 의사소통을 돕는 보완제 역할 · 창자에게 휴식의 기회 제공 · 작중 인물의 감정상태 묘사 기능 등 네 가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판소리 ‘창조’연구의 첫 발을 내딛으며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창조’ 역사적 전개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창본 이외에 다른 판소리 창자들이 정리한 다수의 창본을 함께 검토하여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P``ansori 판소리 ch``angjo 唱調 has not received the much attention by music circles for a while, for it has the interim feature of ch``ang (song) and aniri 아니리 (narration) and this feature is not easy to be classified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ansori ch``angjo, focusing on Song U-hyang’s 成又香 pansori Ch``unhyangga 春香歌.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in Song U-hyang’s Kim Se-jong 金世宗 School Ch``unhyangga 春香歌. The method of study was to write and analyze a sound source and examine literatur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a biggest musical characteristic of p``ansori ch``angjo is that it is a no-changdan song. Its kil consists of ujogil 우조길and kyemyon‘gil 계면길, and ujogil is sol-scale, consisting of many melismatics, whereas kyemyoon’gil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syllabic progress and a three (mi-la-do) scale music. Second, the reason why p``ansori ch``angjo has many common musical points with sijo song, poetic song and reading seems to be in that it borrows these features and then internalizes them in its frame of performance. Third, the function of p``ansori ch``angjo can be classified into four: (1) a turning point of dramatic situations, (2) a supplementary role of helping communication, (3) providing resting time to its performer, and (4) describing characters’ emotional status. This study, which examin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ch``angjo, seems to be the first step to academically research into it. The author hopes studies in the future will deal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angjo and expand its research scope to other versions of p``ansori ch``angjo, sorted out by other p``ansori performers, in addition to Seong, U-hyang’s pansori Ch``unhyangga.

      •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과 초등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 비교 분석

        조순자 ( Sun Ja Jo ),최문희 ( Moon Hee Choi ),김효남 ( Hyo Nam Kim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by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about twenty elementary science gifted programs and nine elementary science STEAM programs and investigating about the feature of the programs. We used new program analysis tool developed by Kim Huh(2005) by modifying traditional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The criteria were consisted of the objectives of program, program contents, scientific inquiry proce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K province elementary science gifted programs emphasized cognitive objective, but S province elementary science STEAM programs emphasized all objectives(cognitive objective, affective objective and process objective). On the whole, the programs contained lots of divergent thinking. However, they included less convergent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Two types of programs contained a lot of communication skills but did not have enough activities for learning the nature of science. So when we develop science education programs, supplementation is needed. Most of programs that we had analyzed were enrichment programs and elementary science STEAM programs reflected recent trend. But two types of programs showed a low percentage for career guidance. Most programs that we had analyzed are possible self-directed learning and most are performance assessment. Elementary science STEAM programs compared with elementary science gifted program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duct assessment. However, they require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such as specific feedback and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