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주시 임곡리 굴착공의 적정양수량 결정

        조병욱,윤욱,문상호,이병대,조수영,김용철,황세호,신제현,하규철,Cho, Byong-Wook,Yun, Uk,Moon, Sang-Ho,Lee, Byeong-Dae,Cho, Soo-Young,Kim, YongCheol,Hwang, Seho,Shin, Jehyun,Ha, Kyoochul 대한지질공학회 2017 지질공학 Vol.27 No.3

        상주시 임곡리에 굴착된 심도 100 m 지하수공(PW-2)의 적정양수량을 산정하였다. 시추코아와, 물리검층 자료에 의하면 지하수 산출 심도는 26.1~26.5, 28.0~30.0, 33, 58, 71 m로 해석된다. 단계양수시험에 의하면 40, 55, 70, 90, $132m^3/d$의 양수량으로 70일간 양수시 수위강하량은 각각 6.48, 11.56, 18.07, 28.99, 60.26 m로 예상되었다. $117m^3/d$으로 250분간 실시한 일정량양수시험에서는 양수 경과시간 120~150분에 영향추가 불투수층 경계조건에 도달하여 급격한 수위강하가 일어나 PW-2의 한계채수량은 $90m^3/d$로 산정하였으며 이때의 수위강하량은 28.82~31.27 m이다. 적정양수량은 한계채수량의 범위내의 정류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PW-2의 적정양수량은 $70{\sim}90m^3/d$로 제시하였다. 불투수층 경계조건에서 직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며 지하수의 DO와 ORP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PW-2를 중심으로 한 기반암지하수의 발달은 제한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We have determined the optimal pumping rate of the PW-2 water well (depth=100 m) at Imgokri, Sangju City. Cutting analysis and geophysical logging data reveal water-producing horizons at 26.1-26.5, 28.0-30.0, 33, 58, and 71 m. For pumping rates of 40, 55, 70, 90, and $132m^3/d$ over 70 days, the estimated drawdown from the PW-2 well was 6.48, 11.56, 18.07, 28.99 and 60.26 m, respectively. During a constant-rate pumping test at a rate of $117m^3/d$, the cone of depression intersected an impermeable boundary after 120-150 min of pumping. Therefore, we consider the critical pumping rate for well PW-2 to be $90m^3/d$. After pumping at $90m^3/d$ for 70 days, the calculated drawdown was 28.82-31.27 m. We suggest an optimal pumping rate for well PW-2 of $70-90m^3/d$, as the optimal pumping rate should be similar to the critical pumping rate. Sharp increases in the slope of the time-drawdown relationship,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and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during the constant-rate pumping test indicate the limited development of bedrock aquifers around PW-2.

      • KCI등재

        논문 : 논산지역 지하수중 우라늄과 라돈의 수리지질학적 특성과 정밀함량분포

        조병욱 ( Byeong Wook Cho ),김문수 ( Moon Su Kim ),김태승 ( Tae Seung Kim ),한진석 ( Jin Seok Han ),윤욱 ( Uk Yun ),이병대 ( Byeong Dae Lee ),황재홍 ( Jae Hong Hwang ),추창오 ( Chang Ho Choo ) 대한지질공학회 2012 지질공학 Vol.22 No.4

        논산지역 100개의 지하수공을 대상으로 자연방사성 원소인 우라늄과 라돈 함량을 분석하고, 지하수의 주요 수질특성항목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이들의 산출실태와 원인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방사성물질 정밀함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우라늄은 불검출에서부터 최대 378 μg/L까지 범위가 넓게 나타난다. 평균치는 8357μg/L, 표준편차 42.88μg/L, 중앙값은 0.56μg/L으로서 매우 낮다. 우라늄과 라돈의 상관계수는 0.42로서 약간 관련성이 있으나, 이들과 기타 수질항목들과는 거의 무관하다. 지하수의 우라늄함량 분포도를 살펴보면 우라늄 함량은 97%가 30μg/L 이하의 값을 가지며, 30μg/L 이상인 지점의 지질은 주로 화강암 또는 화강암과 변성암의 경계 부분이며, 옥천대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은 대부분 1μg/L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논산지역 100개 지하수 전체의 라돈 함량은 128~9,140Ci/L 범위, 평균 2,186pCi/L, 표준편차 1,725pCi/L, 중앙값은 1,805pCi/L로 나타났다. 라돈 함량이 4,000pCi/L 이상인 지역은 거의 쥬라기 화강암 지역에 있다. 전체적으로 라돈 함량이 높은 지역은 쥬라기 화강암지역이며, 낮은 지역은 퇴적암지역이다. 지하수증 방사성물질의 함량은 기본적으로 함우라늄광물을 배태하는 지질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A total of 100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Nonsan area and the behaviors of uranium and radon as natural radionuclide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other physicochemical components in the groundwa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occurrence, properties, and origins. Radionuclide levels were used to construct detailed concentration maps.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ranges from 0 to 378μg/L, with an average of 8.57μg/L, standard deviation of 42.88μg/L, and median of 0.56μg/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ranium and radon is 0.42, whereas these radionuclides show no relation with other physic-ochemical components in groundwater, It is noteworthy that the uranium level in most samples (97% of the samples) is less than 30μg/L, where the bedrock of the aquifer is granite or complex rocks located along the boundary bctween granite and metamor-phic rock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the uranium concentration of most groundwater is less than 1μg/L. Radon levels vares from 128 to 9,140 pCi/L, with an average of 2,186pCi/L, standard deviation of 1,725pCi/L, and median of 1,805pCi/L. High radon levels(> 4,000pCi/L) are most common in regions of Jurassic granite, whereas low radon areas are found in regions of sedimentary rock. In conclusion,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radionuclides are intimately related to the basic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in which the radiogenic minerals are primarily contained.

      • KCI등재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조병욱(Byong-Wook Cho)이변대(Byeong-Dae Lee,),윤욱(Uk-Yun),임현철(Hyun-Chul I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 자원환경지질 Vol.36 No.5

        Using 171 groundwater chemistry data, seawater intrusion in the Ulsan area was studied. The area near the down-stream area of the Taehwa River shows the higher Cl concentrations(11,300 mg/L in maximum), whereas the Cl concen-trations are generally low in the eastern coastal area maybe due to the geology of the area. When Cl concentrations are very low, groundwater shows Br : Cl weight ratios significantly deviating from the Br : Cl ratio of seawater(34.7×10-4). However, Br : Cl ratios are very close to the value of seawater when Cl concentrations are higher than 100 mg/L. Eleven groundwater samples having very high Cl concentrations(>500 mg/L) show that ionic ratios for Ca, Mg, SO₄, HCO₃and SiO₂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ose of seawater. This indicates that the origin of the high Cl groundwaters occur-ring along the Taehwa River are likely to be the residual salines from the salterns previously located on the alluviums rather than the seawaters intruded recently. These waters seem to be accumulated in the sediments before the drastic expansion of the c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groundwater system where the inflow exceeds the out-flow, it is anticipated that the high Cl concentration in the groundwater show a decreasing trend in the future. 울산광역시에 대한 해수침입 가능성을 171개 지하수 수질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에서 Cl의 함 량이 높은 지역은 남구의 태화강 주변 저지대로서 최대 11,300 mg/L이고, 동구 해안일대는 지질학적 특성 때문에 상당히 낮은 Cl함량을 보인다. Cl의 함량이 낮을수록 해수의 Br:Cl 함량비인 34.7×10-4에서 크게 벗어나지만, Cl의 함량이 100 mg/L 이상인 지수는 해수의 Br:Cl 비인 34.7×10-4에 근접함을 보인다 . 171개 지수 중 Cl의 함량이 500 mg/L 이상 되는 11개 시료의 Cl, Br, K, Na의 조성비는 해수와 비슷하나, Ca, Mg, SO₄, HCO₃, SiO₂의 조성비는 해수와 다르다. Cl 함량이 500 mg/L 이상인 11개 지하수 시료의 Na/Cl 몰비는 0.35∼2.08의 범위이며(해수 0.75), Ca/Cl 몰비는 0.001∼0.20의 범위 (해수 0.02), Mg/Cl 농도비는 0.001-0.22 의범위 (해수 0.09)를 보인다. 따라서 현재 태화강 일대 지하수의 Cl 함량이 높은 것은 해수침입보다는 과거 도시화 이전 충적층에 축적되어 있었던 염분이 고립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되며, 이 염분의 농도는 지하수 유출량보다는 유입량이 더 많은 도시지역 지하수 시스템을 고려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이천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함량 특성

        조병욱 ( Byong Wook Cho ),추창오 ( Chang Oh Choo ),김문수 ( Moon Su Kim ),이영준 ( Young Joon Lee ),윤욱 ( Uk Yun ),이병대 ( Byeong Dae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11 지질공학 Vol.21 No.3

        국내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함량의 범위와 특성 파악을 위하여 이천지역 74개 지하수를 조사한 결과 우라늄 함량은 0.02~1,640.0 μg/L (중앙값 2.03 μg/L), 라돈 함량은 40~23,400 pCi/L (중앙값 4,649 pCi/L)으로 나타났다. 74개 지하수 중 8개인 10.8%에서 미국 EPA의 우라늄 기준치(30 μg/L)를 초과하였다. 라돈은 44개인 59.5%에서 미국의 음용제안치(AMCL)인 4,000 pCi/L를 초과하였고 핀란드의 음용 제안치인 8,100 pCi/L를 초과하는 시료는 전체의 13.5%인 10개이다. U-HCO3 (0.71), U-Ca (0.69), U-Li (0.45), U-Sr (0.43), U-F (0.42)를 제외하고는 우라늄(라돈)과 주요 성분간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함량은 유사한 지질을 가지는 외국에 비교하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천부 지하수의 공내 유입으로 인해서 실제 함량보다 낮게 검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Concentrations of uranium (U) and radon (Rn) were measured in groundwater from 74 wells in the Icheon area,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 range and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s in an area underlain by granite (in this case, the Icheon granite). U concentrations ranged from 0.02 to 1,640.0 μg/L (median value, 2.03 μg/L) and Rn concentrations ranged from 40 to 23,400 pCi/L (median value, 4,649 pCi/L). U concentrations in 10.8% of the samples exceeded 30 μg/L, which is the maximum contaminant level (MCL) propos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based on the chemical toxicity of U. In addition, U concentrations in 59.5% and 13.5% of the samples exceeded 4,000 pCi/L (the Alternative MCL (AMCL) of the US EPA) and 8,100 pCi/L (Finland`s guideline level), respectively. We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U (Rn) and other constituents, except for U-HCO3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1), U-Ca (0.69), U-Li (0.45), U-Sr (0.43), and U-F (0.42). U and Rn contents in the groundwater are low relative to those in areas in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geological settings, possibly due to the inflow of shallow groundwater to the wells in the Icheon area.

      • KCI등재

        논문 : 단양지역 지하수중 자연방사성물질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과 분포특징

        조병욱 ( Byong Wook Cho ),김문수 ( Moon Su Kim ),김태승 ( Tae Seung Kim ),윤욱 ( Uk Yun ),이병대 ( Byeong Dae Lee ),황재홍 ( Jae Hong Hwang ),추창오 ( Chang Oh Choo ) 대한지질공학회 2013 지질공학 Vol.23 No.4

        단양지역 지하수 100개공을 대상으로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특징을 규명하고, 주요 성분들과의 관련성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해석하였으며, 지질별 자연방사성물질의 정밀함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단양지역 지하수는 대부분 Ca-Na-HCO3가 우세한 유형을 보여 칼슘-나트륨-중탄산형의 지하수의 특징을 가진다. 우라늄의 함량은 0.02~251.0 g/L 범위이며, 평균 3.85 μg/L인데 미국의 음용기준치(MCL)인 30 μg/L를 초과한 지하수는 1%에 불과하다. 백악기 화강암과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지역의 지하수에서 우라늄 함량이높게 나타나며, 퇴적암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다. 라돈 함량은 13~28,470 pCi/L 범위, 평균 2,397 pCi/L인데, 전체의 15%가 미국의 음용제안치(AMCL)인 4,000 pCi/L를 초과한다. 라돈은 백악기 화강암류 지하수에서 가장 높고, 퇴적암 지하수에서 상당히 낮다. 우라늄과라돈은 서로 관련성이 없다. 자연방사성물질은 pH, 심도, Eh, EC 및 주요 성분들과 의미있는 상관성은 보여주지 않는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라늄과 라돈간의 상관계수는 0.15를 보여 이들의 거동특성은 서로 관련성이 거의 없다. 그 외에 이들은 여타 수질성분과 무관하다. 다만 라돈은 SiO2와 0.68, HCO3와는 -0.48의 상관계수를 나타낼 뿐이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특정한 요인이 자연방사성원소의 거동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들은 다소 독립적인 거동특성을 보여준다. 지질에 따른 자연방사성물질 정밀함량분포도는 향후 전국적인 자연방사성물질의 분포와 지질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Natural radionuclides in groundwater in the Danyang area were investigated to characterize the behaviors of uranium and radon with respect to lithology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s, which can aid our understanding of their occurrence, properties, and origins. To this end, a total of 100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radionuclide levels were used to construct detailed concentration maps. The water type of the groundwater, assessed using a Piper diagram, is mainly Ca-Na-HCO3. The concentrations of uranium range from 0.02 to 251.0 μg/L (average, 3.85 μg/L) and only 1% exceed USEPA`s MCL (Maximum Contaminant Level). Uranium is enriched in groundwaters of Cretaceous granites and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whereas it is depleted in groundwaters of sedimentary rocks. The concentrations of radon range from 13 to 28,470 pCi/L (average, 2397 pCi/L). Only 15% of the samples exceed AMCL (Alternative Maximum Contaminant Level) of 4000 pCi/L. The radon concentration is highest in groundwater of Cretaceous granites and lowest in groundwater of sedimentary rocks. In conclusion,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radionuclides are intimately related to the basic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in which the radiogenic minerals are primarily contained. The behavior of uranium is only weakly related to that of radon (correlation coefficient = 0.15). There are also weak correlations between radionuclides and the main chemical components, pH, EC, Eh, and well depth. Of no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adon and SiO2 is 0.68, and that between radon and HCO3 is -0.48. Factor analysis shows that radionuclides behave somewha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ecause there are no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ol the behavior of chemical components as well as radionuclides. The detailed concentration maps during this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useful database of radionuclide distribution and geological properties throughout Korea.

      • KCI등재

        논문 : 경상남북도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 우라늄과 라돈의 산출특징과 함량분포에 대한 수리지화학적 연구

        조병욱 ( Byong Wook Cho ),추창오 ( Chang Oh Choo ),윤욱 ( Uk Yun ),이병대 ( Byeong Dae Lee ),황재홍 ( Jae Hong Hwang ),김문수 ( Moon Su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4 지질공학 Vol.24 No.4

        중생대 경상누층군(Gyeonsang Super Group)의 백악기 퇴적암과 화성암류가 분포하는 경상남북도 지역의 201개 지하수공을 대상으로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의 함량특징과 수리지질학적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요인분석을 통하여 방사성물질과 주요 수질성분과의 상관성을 해석하였으며, 또한 이들의 함량분포와 지질을 고려하여 자연방사성물질의 함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경상남북도지역의 지하수는 대부분 Ca-Na-HCO3가 우세한 유형을 보여 전형적인 칼슘-나트륨-중탄산형의 수리화학적 특징을 보인다. 우라늄의 함량이 미국 EPA의 MCL 30 μg/L를 넘는 지점은 1개소, 라돈함량이 미국 EPA의 AMCL 4,000 pCi/L를 넘는 지점은 3개소였으며, 전알파의 함량이 15 pCi/L 또는 라듐함량이 5pCi/L를 넘는 지점은 없었다. 우라늄의 함량범위는 0.02~53.7 μg/L, 평균 1.56 μg/L, 표준편차 4.3 μg/L이고, 중앙값은0.47 μg/L로서 매우 낮다. 우라늄의 평균치는 신동층군 > 중생대 화강암 > 하양층군 > 유천층군 > 신생대 제3기 퇴적암의 순으로 높다. 전체지역의 라돈의 함량범위는 2~8,740 pCi/L, 평균 754, 중앙값 510, 표준편차는 907 pCi/L이다. 라돈의평균치는 중생대 화강암 > 유천층군 > 신생대 제3기퇴적암 > 하양층군 > 신동층군의 순으로 높다. 경상남북도의 주요 지질단위를 구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라늄과 라돈의 상관성은 매우 낮았으나, 우라늄과 라돈은 일부 중요 수질항목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특정한 요인이 자연방사성원소의 거동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들은 다소 독립적인 거동특성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광역적인 방사상물질 연구에서는 행정구역단위 외에도 주요 지질별로 구분하여 방사성원소의 함유특징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 The occurrence, distribution, and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within different lithologies in Gyeongnam and Gyeongbuk province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01 groundwater samples from sedimentary rocks taking a large portion of the geology and from igneous rocks taking a small portion of the geology were analyzed and examined using factor analysis. Their radionuclide levels were used to construct detailed concentration maps. The groundwater types, defined using a Piper diagram, are mainly Ca-HCO3 with less Na-HCO3. Among the samples, one site exceeds 30 μg/L of uranium (i.e., the maximum contaminant level of the USEPA) and three sites exceed 4,000 pCi/L of radon (i.e., the alternative maximum contaminant level). No samples were found to exceed the 15 pCi/L level of gross alpha or the 5 pCi/L level of radium.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ranges from 0.02 to 53.7 μg/L, with a mean of 1.56 μg/L, a median of 0.47 μg/L, and a standard deviation of 4.3 μg/L. The mean concentrations of uranium for the different geological units in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Shindong Group, Granites, Hayang Group, Yucheon Group, and Tertiary sedimentary rocks. The concentration of radon ranges from 2 to 8,740 pCi/L, with an mean of 754 pCi/L, a median of 510 pCi/L, and a standard deviation of 907 pCi/L. The mean radon concentrations for the investigated geological units in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Granites, Yucheon Group, Tertiary sedimentary rocks, Hayang Group and Shindong Group.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or each geological unit, uranium and radon beha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no specific correlation. However, radionuclides show close relationships with some components. Regional investigations of radionuclides throughout the country require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main lithological units as well as administrative districts.

      • KCI등재

        논문 : 논산시 왕전리 수막재배지역의 지하수위 변화

        조병욱 ( Byong Wook Cho ),윤욱 ( Uk Yun ),이병대 ( Byeong Dae Lee ),고경석 ( Kyung Seok Ko ) 대한지질공학회 2012 지질공학 Vol.22 No.2

        겨울철 수막재배를 하고 있는 논산시 왕전리지역의 지하수 취수량감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수시험을 실시하였고, 수막재배에 이용되고 있는 지하수 사용량과 월별 지하수위를 측정하였다. 8개 지하수공허1서 양수시험 결과 투수량계수는 119.9~388.1 m2/d, 저류계수는 1.5 x 10-4~5.5 x 10-4의 범위이고 주 대수층은 충적층으로 나타났다. 수막재배용 지하 수의 양수는 겨울철 약 3개월에 걸쳐서 일어나며 일평균 양수랑은 8.100m3/d 정도였으며 연간 최대 지하수위 변동은 10m까지 일어나고 있다. 연구지역의 지하수위는 수막재배용 양수가 중단된 지 5개월이 지난 8월에야 완전한 수위회복을 보인다. 이는 연구지역 대수층의 지하수 산출능력에 비해서 겨울철 수막재배시기의 과도한 양수에 의한 것으로 해석 된다. 연구지역 중심부 일대의 지하수위는 -3.0~4.38m로서 연간 8, 9, 10월을 제외한 나머지 9개월은 노성천 하천수위 보다 낮아서 하천수가 연구지역으로 유입되는 손실하천의 양상을 띤다. 연구지역에서 겨울철 수막재배에 띠룐 취수랑 감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규모가적은 수막재배시설을 운영하여 양수량을 줄이거나 수막재배에 이용된 지 하수를 재활용하는 인공함양 수막재베시스템 개발 등이 필요하다. We evaluated the results of pumping tests,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d by Protected Cultivation with Water Curtain (PCWC), and monthly depth to water table (DTW) at the Wangjeon-ri area, Nonsan City, to elucidate the cause of a decrease in pumping rate during the winter PCWC season. The transmissivity and storage coefficient at eight sites where the major aquifer is alluvium, vary from 119.9 to 388.1 m2/d and 1.5x10 to 5.5xl0, respectively, The pumping rate for PCWC during three months (Dec. to Feb.) averaged about 8,100 m3/d and the maximum water level in the area varied by about 10 m. Groundwater levels had fully recovered by August-five months after pumping for PCWC had ceased.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pumping rate during the winter PCWC season was excessive compared with groundwater productivity in the area. Groundwater level in the central PCWC area varied from -3.0 to 4.38 m, exceeding the water level of the Nosung Stream for only three months (Aug. to Oct.). This result indicates that Nosung Stream recharges the area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to July.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ed pumping rate during the winter PCWC seas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d for PCWC or to develop an artificial recharge system using recycled groundwat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도 서도 물골 지하수의 유출특성

        조병욱 ( Byong Wook Cho ),윤욱 ( Uk Yun ),이병대 ( Byeong Dae Lee ),송원경 ( Won Kyong Song ),황재홍 ( Jae Hong Hwang ),추창오 ( Chang Oh Choo ) 대한지질공학회 2011 지질공학 Vol.21 No.2

        독도에서 지하수가 유일하게 산출되는 서도 물골 지하수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충전 기구 해석, 5회의 유출량과 전기전도도(EC)를 측정하였다. 물골 지하수는 물골 상류에 내린 강수가 조면안산암와 조면암에 발달한 냉각절리를 따라서 하류로 이동하다가 물골의 동굴에 이르러 유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골 지하수의 유출량은 1.12~7.02 m3/d이고 EC는 2,650~3,390 μS/cm로 변화가 적은편이나 강수량이 많으면 일시적으로 EC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물골 지하수의 유출량과 EC의 변화는 물골 상류 지하수 충전 지역과 물골과의 거리가 짧으며 조면안산암와 조면암에 발달한 주상절리를 통한 물골로의 지하수 흐름이 빠르기 때문으로 판단되나 물골 지하수의 유출량 변화 파악을 위해서는 추가 유출량조사와 함께 정확한 강수자료가 요구된다.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Seodo Mulgol Spring-the only groundwater-producing area in Dokdo-were evaluated by measurements of discharge rat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on five occasions. The Seodo Mulgol Spring is fed by rainfall in upstream areas of the Mulgol cave, and the rainwater of the area moves down along cooling joints developed in trachyandesite II and trachyte, finally discharging at the Mulgol cave. The discharge rate of the Seodo Mulgol Spring varied from 1.12 to 7.02 m3/d during the study period and EC varied from 2,650 to 3,390 μS/cm, showing a sharp increase during heavy rainfall. The observed variations in discharge rate and EC at the Seodo Mulgol Spring are attributed to the relatively short distance between the recharge area and the Mulgol cave, and to the rapid movement of groundwater through columnar joints developed in trachyandesite II and trachyte. Additional discharge measurements, combined with precise rainfall data, are required at Dokdo to elucidate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Seodo Mulgol Sp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