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조물의 강성구조에 따른 파동 전파 특성의 이해(Ⅰ)

        조미라,홍창국,김기봉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01 環境科學硏究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현장 적용성으로 구조물의 비파괴 건전도 평가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충격반향기법의 신뢰성 향상과 정확도 개선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전파되는 탄성파의 전파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한 요소해석기법과 동강성행렬법을 도입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로써 기존에 보고되고 있는 총격반향기법의 수정이론을 검증하고 구조물의 전단강성구조에 따른 P파와 SH파의 전파 특성 등에 의한 평가방법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충격반향기법의 실험자료 분석 및 해석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ropagation of the elastic waves transmitting concrete structures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impact echo test, which is recognized as an excellent nondestructiv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structural integrit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analytical method of the dynamic stiffness matrix method were introduc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wave propagation, The study was first dedicated to the verification of the modified impact echo test (Kim, et at.,2001 ; Cho,2001), and then to the effects of factors such as stiffness structure and wane type (P-wave and SH-wave). This research enabled the impact echo test to be more reliable i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 KCI등재

        포스트휴먼과 그 이웃(1) -기술시대의 노인-

        조미라,김양지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4

        This thesis names those that are alienated and ostracized in a post-human age in which human ability is enhanced with the power of scientific technology 'neighbors of post-human' and focuses on 'the elderly in an age of technology' as the first type of neighbors. The elderly in a post-human age are subjects who can most actively receive the assistance of technology. This i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scientific technology can aid the elder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ir old, diseased, and decrepit physical bodies along with social alienation. However, observations of reality show that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situations of the elderly in an age of technology are progressing in ways that are different than what we expect. The social discrimination that the elderly experience is different from discrimination due to race or gender. Human gender and race are forms of biological nature that represent identities that cannot easily be changed.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aging is a stage of human life that progresses regardless of race or gender, social discrimination related to it is much more complex and contradictor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observations of the effects that technical development in a post-human age has on the elderly and human living along with the changes it brings through the analysis of film and animation contents. For this, first, it explores the dilemma of 'the cyborg elderly', which has appeared as a new social issue as aging and death have come to be viewed as issues of technology that can be overcome. Second, it examines how the ways that people accept death have changed as the human lifespan has become extended and observes the meanings of 'good living' and 'dignified death'. Third, it will ultimately look into the life that we pursue through convenient technology. 본 논문은 과학기술의 힘으로 인간 능력이 향상되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소외되고 배제되는(될) 타자들을 ‘포스트휴먼의 이웃’이라 명명하고, 그 첫 번째 이웃으로 ‘기술시대의 노인’에 주목한다. 포스트휴먼 시대의 노인은 테크놀로지의 가장 적극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다. 과학기술이 늙고 병들고 노쇠한 노인의 신체적 한계와 사회적 소외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현실을 들여다보면 기술시대의 노인은 우리가 기대하는 방향과 다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노인이 되어 겪는 사회적 차별은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차별과는 다르다. 인간의 성별과 인종은 생물학적인 본성으로 쉽게 바꿀 수 없는 정체성이다. 반면, 노인이 된다는 것은 인종이나 성별과 관계없이 누구나 경험하는 자연스러운 생애 주기별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차별은 훨씬 더 복잡하고 모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발달이 노인과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살펴본다. 첫째, 노화와 죽음이 극복 가능한 기술의 문제로 인식되면서 새로운 사회 문제로 등장한 ‘사이보그 노인’의 딜레마를 탐색한다. 둘째,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변화된 죽음의 수용방식을 검토하고 ‘좋은 삶’과 ‘존엄한 죽음’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셋째, 편리한 기술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가 추구하는 삶이 무엇인가를 가늠해본다.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 -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중심으로

        조미라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2

        When reviewing animation based on a mythical motive, the mythical imaginary power has been dependent only on audio visual senses thereby resorting to a fantasy nature regardless of reality, or there has been too much emphasis on an educational message and animation has been utilized as a conflicting composition between good and evil. Therefore, this thesis reviewed 1) whether the author’s consciousness was reflected in animation according to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mythical imaginary power and 2) whether the author included an internal meaning of a universal subject by having a short animation <Oneuri> that was produced by actively utilizing a mythical motive as a text. Also,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deduced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nimation based on a mythical motive i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reinterprets the theme of “universality”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before expressing the mythical objects through the senses such as by a brilliant image and sound. The products of such an analysis are supposed to solve the problem over how mythical factors need to be applied and utilized in creating animation. 그동안 신화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신화적 상상력을 시청각적 감각에만 의존하여 현실과는 무관한 환상성에 기대거나, 계몽적 메시지를 지나치게 내세워 선과 악의 대립 구도로 활용해온 측면이 강하다. 이에 본 논문은 신화적 모티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 <오늘이>를 텍스트로 하여 1) 신화적 상상력의 현대적 해석에 따른 작가의식의 반영 여부 2) 인류 보편의 주제화에 대한 내적 의미의 포함 여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분석을 토대로 신화적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화적 소재의 이미지와 소리 등의 감각적 구현에 앞서 신화적 소재가 가진 ‘보편성’의 주제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작가의식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물들은 앞으로 신화적 요소들이 애니메이션 창작에 어떻게 접목, 활용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식민성(植民性)

        조미라 영상예술학회 2008 영상예술연구 Vol.12 No.-

        그동안 한국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실천과 가치보다는 대중적 확산과 산업적 부가가치에 집중, 미국이나 일본 등의 애니메이션의 영향권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다. 물론 모든 문화가 그러하듯이 일정한 단계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와 융화되는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적 궤도를 따라가 보면 문화적 식민성의 사고와 의식이 뿌리 깊게 남아있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 애니메이션의 ‘보편성’과 한국애니메이션의 ‘독자성’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독자성’의 강조는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식민지’이전으로의 회귀가 유토피아적 상상력 속에서만 가능한 일이며, ‘보편성’의 강조는 문화적, 사회적, 민족적 차이에 따른 사고방식의 차이를 무시한 채 모든 예술을 한 하나의 보편적 잣대로 판단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부인(disavowal)’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적 식민성의 인정과 독자성에 대한 전면적 폐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 애니메이션은 서구 제국주의와 피식민이라는 두 문화간의 충돌과 만남으로 이루어진 혼성화된 문화라는 것을 인정했을 때, 앞으로의 식민지적 종속관계를 해체하고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동안 한국 애니메이션을 지배해온 피식민지적 현실을 인정하고, 그 역사적 과정은 모방과 뒤따르기에 다름 아니었다는 쓰라린 고백을 통해 자성과 성찰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Until recently, rather than artistic accomplishment and value of animation, Korean animation has focused on public expansion and industrial added value and has not been able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American and Japanese animation. Of course, as it is with all cultures,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o another culture is inevitable in certain stages. However, when we follow the historical track of Korean animation, it cannot be denied that deeply rooted mentality and awareness of cultural coloniality still remains. In order to overcome such mentality, two characteristic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Korean animation have been insisted upon. However, emphasis on “individuality” is only possible by returning to the utopia-like creativity that is pure and unpolluted from prior to colonization, and emphasis on “universality” has the problem of critiquing all forms of art with a single measuring stick, ignoring the differences and mentality that result from differences cultural, social, and ethnic differences.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complete abandonment of recognition of cultural coloniality and individuality of Korean animation based on the Freud’s disavowal theory. The reason is because when it is recognized that Korean animation until today is a hybrid culture that was formed through the collision of two cultures of Western imperialism and a colonized state, colonial subordinate relationship can be overcome. Therefore, through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colonized reality that ruled Korean animation in the past, and by painfully confessing that its history has been nothing more than imitations and followings, an opportunity for self examination and self reflection must be taken.

      • KCI등재

        장편 애니메이션 서사의 종결 유형 연구

        조미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1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closures in narratives in animated features, and analyze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closure. For this, total of 24 theatrical animated feature films that were released after 2000s has been selected by target audience, commerciality, and cinematic quality, and also categorized into four closure types by pattern commonly revealed during the conflict solving (or unsolved) proc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while the number of films of which 'wish-fulfilling colure form,' in which pursuing emotional fulfillment and recovery by resolving conflicts and aims has been decreased, it has been changed and expanded by the following forms of closures. These are, ‘experience share type of closure,’ focusing on character’s psychological undergoing during the conflict resolving process rather than perfect conflict resolution, ‘closure of question presentation,’ revealing the very nature and contents of the conflicts rather than perfect solution to the questions, and 'closure of voluntary ending,' indefinitely delaying the solutions to the presented questions. Such facts that the traditional form of narrative closure, which long been ruling over story structure of animations, has been gradually transfigured into various forms of closure reflect that the narrative closure has become ‘smart device,’ not a mere conflict solving device. However, suspense and surprise, the classic narratives pursuing constructive integration of conflict resolution, that come from ‘what will happen in the next?’, ‘who has done it?’ are still one of the pleasures of having the narratives. Therefore, it cannot be a standard of whether mer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conflicts or closures can be success or failure of the narrative.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with the changing reality, it has to be transformed and progressed toward the ‘something’ the audience is trying to grab, not it has to be fixed in a uniformed form. Furthermore, these various forms of closures are expected to be another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animation and audience. 본 연구의 목표는 애니메이션 서사의 종결 유형을 분류한 후, 각 종결 유형에 관한 의미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개봉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들 중에서 관객 대상, 흥행성, 작품성 등을 기준으로 총 24편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갈등이 해결(혹은 미해결)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에 따라 총 4가지의 종결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의 결과, 목표와 갈등이 해결됨으로써 정서적인 만족이나 안정의 회복을 추구하는 ‘소망 충족의 종결 유형’의 작품 수는 감소한 반면, 다음과 같은 종결 유형으로 변화 ․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갈등의 완벽한 갈등 해결 보다는 갈등 과정에서 겪는 인물의 심리적 체험이 강조되는 ‘체험 공유의 종결 유형’, 질문에 대한 완벽한 해결보다는 갈등의 내용과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는 ‘질문 제시의 종결 유형’, 그리고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끝없이 연기하는 ‘임의적 중단의 종결’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처럼 고전적인 내러티브 종결 방식에서 점차 다양한 종결 유형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것은 서사 종결이 단순히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생각하는 장치’로 변모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하지만 갈등 해결의 구조적 완결성을 지향하는 고전적인 내러티브 즉,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와 ‘누가 그것을 했는가’라는 놀라움과 서스펜스에서 오는 즐거움은 여전히 이야기가 갖는 매력임에는 틀림없다. 따라서 갈등의 해결 유무(有無) 혹은 종결의 존재나 부재 자체만으로 서사의 성공과 실패의 표준으로 삼을 수는 없다. 보다 중요한 것은 종결 방식이 하나의 유형으로 고착화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현실과 함께 관객이 찾으려고 하는 그 ‘어떤 것’을 향해 변화, 발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다양한 종결 유형을 통해 애니메이션과 대중들이 소통하는 또 다른 방식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이방인의 타자성 연구 : <별별 이야기>, <페르세폴리스>, <아주르와 아스마르>를 중심으로

        조미라 영상예술학회 2009 영상예술연구 Vol.15 No.-

        애니메이션은 단순함 속에서도 풍부한 이미지와 상상력으로 영화와는 다른 감동을 전달한다. 소박하고 단순한 흑백 이미지만으로도 이란을 바라보는 서방의 낯선 시선을 자연스럽게 그려낸 <페르세폴리스>, 미셀 오슬로의 <아주르와 아스마르>, <프린스 앤 프린세스> 그리고 <별별 이야기1, 2>와 같은 작품들은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상들을 외면하지 않고, 애니메이션만이 가진 차별화된 표현방식으로 관객에게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들 작품은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현실에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타자’, 그 중에서도 낯선 자로 살아가는 이주민 혹은 이민자들을 소재로 동서양 문화의 소통, 차이와 다름에 대한 성찰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동안 인간을 전체의 한 부분으로 보는 철학에 대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책임의 이름으로 ‘타자’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한 레비나스의 철학의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별별 이야기>에서는 타자와의 문제가 언어, 문화, 민족성의 차이나 이질감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타자를 내 안으로 끌고 들어와 그 ‘타자성’을 제거하고 자신과 동일화하려는 욕망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인권이 유리되고,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전쟁의 원인은 무엇이고,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느냐를 질문하는 <페르세폴리스>는 그 책임이 현실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존재, ‘나’와 ‘너’에게 있음을 단호하게 말하고 있다. 그리고 미셀 오슬로의 <프린스 앤 프린세스>와 <아주르와 아스마르>에서는 그동안 타자의 자리를 배제시킨 ‘주체’에 대한 사유를 비판하고, 사랑의 의미를 타자성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신비의 관계로 승화시키고 있다. Animations, with the plentiful images in its simpleness, deliver unique sens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movies. Persepolis that conveys the life of an Iranian girl who had to live as a foreigner in black and color images, Azur and Asmar and Princes and Princesses by Michel Ocelot that express various stories by silhouette and 3D method, and Odd Stories 1 and Odd Stories 2 in Omnibus structure deliver sensational messages to the audiences by differentiated methods. These works are telling about the introspection on the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of ‘the others’ who are definitely existing in the reality, especially the immigrants who are living as foreigners. This study, based on the dignity and responsibility of human, looked into the relationships to the others appeared in animations focusing on the ‘otherness’ by E. Levinas who had reestablished the position of ‘the others’. Also, the study aimed to criticize the reasons from ‘the subjects’ who have excluded the positions of the others so far, and provide the healthy otherness.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비교

        조미라,이윤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The participants were 15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aged from 18 to 30 months, and 15 normal toddlers CA matched individually with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Communicative behavior sample was collected using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s(CSBS DP, Wetherby & Prizant, 2002). It was analyzed into the frequency of overall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use(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joint attention), and means use(gesture, vocalization, vocalization with gesture, word with gesture, word). The results were following: (1)Toddlers with language delay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communicative behaviors than normal toddlers. (2)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just in joint attention among three communicative functions.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used in significantly fewer than normal toddlers. (3)For the result in communicative means,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used significantly fewer verbal means than normal toddl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nverbal means. We discussed the result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and im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m. 이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8-30개월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유아 15명이다. 의사소통 행동은 Wetherby & Prizant(2002)의 ‘의사소통과 상징행동 척도(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의 일부 과제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체 의사소통 행동 빈도, 의사소통 기능범주별(행동통제,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주목) 빈도 및 하위기능의 빈도, 의사소통 수단범주별(제스처, 발성, 제스처 동반 발성, 제스처 동반 구어, 구어) 빈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전체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기능은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기능범주의 공동주목 기능, 하위기능의 보여주기, 언급하기, 정보요구하기 기능을 유의하게 적게 사용하였다. 의사소통 수단은 구어적인 수단에서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유의하게 적은 사용을 보였으나, 비구어적인 수단의 사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아의 조기평가 및 중재에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BMS-191095, a Cardioselective Mitochondrial KATP Opener, Inhibits Human Platelet Aggregation by Opening Mitochondrial KATP Channels

        조미라,박정우,정인상,이규양,유성은,정훈종,윤여표,권석형,신화섭 대한약학회 200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8 No.1

        We evaluated the antiplatelet effects of two classes of ATP-sensitive potassium hannel openers (KATP openers) on washed human platelets, and the study's emphasis was on the role of mitochondrial KATP in platelet aggregation.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as inhibit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by lemakalim and SKP-450, which are potent cardio-nonselective KATP openers, and also by cardioselective BMS-180448 and BMS-191095 (IC50: 1,130, >1,500, 305.3 and 63.9 µM, respectively), but a significantly greater potency was noted for the cardioselective KATP openers. The latter two KATP openers also inhibited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thrombin, another important blood-borne platelet activator, with similar rank order of potency (IC50: 498.0 and 104.8 µM for BMS-180448 and BMS-191095,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s of BMS-191095 on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ere significantly blocked by a 30-min pretreatment of platelets with lyburide (1 µM) or sodium 5-hydroxydecanoate (5-HD, 100 µM), a nonselective and selective mitochondrial KATP antagonist, respectively, at similar magnitudes; this indicates the role of mitochondrial KATP in the antiplatelet activity of BMS-191095. However, glyburide and 5-HD had no effect when they were added to the platelet cuvette immediately prior to the addition of BMS-19109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ardioselective mitochondrial KATP openers like BMS-191095 are able to exert cardioprotective effects in cardiac schemia/reperfusion injury via dual mechanisms directed at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the protection of cardiomyocytes, and both these mechanisms are mediated by mitochondrial KATP.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의 서술자 연구

        조미라 영상예술학회 2010 영상예술연구 Vol.16 No.-

        Animation is a genre which is able to freely deliver new forms and expressions with post-human eyes and senses, unlike realistic novels or movies that recreate the world objectively. This characteristic ultimately leads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animation narrators including the non-human narrator, the narrator in childhood, and the unconscious narrator. Therefore, this paper looked into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 of animation, and studied changes according to the discursive practices of a narrator. With this aim, the study analyzed certain types and characteristics by which each narrator works within a narrative by classifying animation narrators largely into the non-human narrator, the narrator in childhood, and the unconscious narrator. The analyzed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non-human narrator separates the narrative world from the rational, reasonable reality, and invites people into the space of the story. Second, the narrator in childhood features itself as a target (object) by escaping from the context of the social and reasonable system. Third, the unconscious narrator expands the role of the narrator into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by restoring even a ‘surrealistic and desultory memory’. 애니메이션은 세계를 객관적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이나 영화와 달리 탈인간적 시선과 감각으로 새로운 형식과 표현을 전달하는 데 자유로운 장르이다. 이러한 특성은 비-인간(非-人間) 서술자, 유년 서술자, 무의식의 서술자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서술자로까지 이어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애니메이션 서술자의 역할과 특징을 살펴보고, 서술자의 담론 행위에 따른 변화들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 서술자를 크게 비-인간 서술자, 유년 서술자, 무의식의 서술자로 구분하여 각 서술자가 내러티브 안에서 작용되는 방식과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 서술자는 서사적 세계를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현실로부터 분리시켜 놓고 사람들을 이야기의 공간으로 초대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유년 서술자는 사회적, 합리적 제도의 컨텍스트에서 벗어나 대상(사물) 자체가 되는 특징을 갖는다. 셋째, 무의식의 서술자는 ‘초현실적이면서 종잡을 수 없는 기억’까지 복원함으로써 서술자의 역할을 무의식의 세계로까지 확장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