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간호업무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

        조미경,구병철,김가란,천홍섭,이지영,이환희,조아라,황가람,강신후,오지현,진현아,Cho, Mi-Kyoung,Koo, Byung-Chul,Kim, Ga-Ran,Cheon, Hong-Seop,Lee, Jee-Young,Lee, Hwan-Hee,Cho, A-Ra,Whang, Ga-Ram,Kang, Shin-Hu,Oh, Ji-Hyeon,Jin, Hyun-A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7 간호학의 지평 Vol.14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xpected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of total care service recogniz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8 nursing students of E university a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the expected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of total care service were $4.07{\pm}0.58$ and $4.00{\pm}0.50$ respectively. The expected frequency of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Additionall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gree of recognition in the expected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of total care service among nursing students were comfortable care and respiratory care,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cted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and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on factors affecting the expected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in nursing practice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 효과

        조미경(Mi-Kyoung Cho),김미영(Mi 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학습동기를 파악하여, 플립러닝 적용 후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로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건강사정 및 실습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각 변수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핵심역량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플립러닝교육 후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0.33, p=.006), 대학생 핵심역량(r=0.51, p<.001), 교수-학생 상호작용 (r=0.72, p<.001), 학습만족도(r=0.7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든 다른 변수들 간에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동기에 대한 설명력은 71.3% (F=80.66, p<.001)였다. 따라서 플립러닝 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 전략의 마련이 필요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ducation method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for college students. Bo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were examine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teacher-student interac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identified.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was examine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to investigate its influence on learning motivation. A total of 68 second-year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E University were analyzed. A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was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a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was analyzed vi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learning motivation was analyzed using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creas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After an education session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a learning motivation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r=0.33, p=.006), college student educational performance (r=0.51, p<.001), teacher-student interaction (r=0.72, p<.001), and learning satisfaction (r=0.79, p<.001).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the other variables.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motivation were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explanatory power for learning motivation in the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these two variables was 71.3% (F=80.66, p<.001). Therefore, to enhance learning motivation in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and to establish a strategy that further vitalizes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 KCI등재

        국내 사회복지 관련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

        조미경(Mi-Kyoung Cho),김희영(Hee-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련 메타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AMSTAR) 도구를 이용하여 질 평가를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메타분석’, ‘사회복지’, ‘사회사업’을 키워드로하여 2000년부터 2015년에 KISS, DBpia, RISS4U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출판된 연구 중 42개의 메타분석 연구에 대해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집단 t-test,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되었다. 평균 AMSTAR 질 평가점수는 4.76±1.66점이었고, 낮은 수준이 19개(45.2%), 중간 수준이 22개(52.4%), 높은 수준이 1개(2.4%)이었다. 질 평가점수는 연구의 특성인 출판년도, 대상자, 분석논문의수, DB의 수, 저널유형, 재정지원 유무, 연구의 질 평가유무, 분석대상논문을 추출흐름도 유무, 주제에 따라 차이가 분석되었다. 질 평가점수는 출판년도, DB의 수, 연구의 질 평가유무, 분석대상논문을 추출흐름도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4개 요인이 메타분석 연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51.9%의 설명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과 분석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첫째, 메타분석 보고를 위한 공통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공유하는 것, 둘째, 근거기반의 실천적 개입을 위해서는 질 평가를 통해 근거강도가 높은 논문의 결과를 메타분석으로 합성하는 것, 셋째, 분석대상 논문의 연구특성을 제시하는 것, 마지막으로 문헌선택과 자료추출 과정에서 두 명이상의 연구자에 의한 독립적 실시와 최종 문헌추출을 위한 합의과정과 이해상충여부가 보고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meta-analysis of social work in South Korea using the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 (AMSTAR).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and RISS4U were searched for "meta-analysis",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from 2000 to December 2015, and 42 meta-analysis studies were includ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OVA. The mean score for AMSTAR evaluation was 4.766±1.66, while 19 studies (45.2%) were classified at the low-quality level, and 22 (52.4%) were at the moderate-quality level. The scores of quality assessment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number of studies included, number of DB, reporting study quality, extraction diagram and topic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changes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meta-analysis results in social work research: 1) common reporting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social work field, 2) quality analyses of each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achieve a high level of evidence of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s,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should be provided, and 4) a consensus and procedure based on at least two independent data extractors should be reported.

      • 일개 대학 간호학생들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신이나 ( I Na Shin ),이예진 ( Yea Jin Lee ),이지효 ( Ji Hyo Lee ),장은혜 ( Eun Hye Jang ),정혜린 ( Hye Rin Jeong ),차경민 ( Kyung Min Cha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5 간호학의 지평 Vol.12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cultural competency in university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correlational study involved 139 second- and third-year nursing students. They completed a 3-part questionnaire comprising items assessing general characteristics (9), empathic ability (30), and cultural competency (27). Results: The mean scores for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y were 106.0 and 78.7, respectively. Empath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general characteristics. However, cultural competency significantly differed by foreign language skill. Additionally,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ursing students’ empathic ability and cultural competency. Conclusion: Nursing students’ empathic ability and cultural competency need to be enhanced to ensure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nursing services to foreign patients.

      • KCI등재

        톨스토이의 「산림벌채」와 「세 죽음」에서 나무의 모티브

        조미경(Cho, Mi-Kyoung)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4

        본 연구는 톨스토이의 초기 문학 작품 중에서 중편 「산림벌채: 어느 사관후보생의 이야기」(1855)와 단편 「세 죽음」(1859)에 나타난 나무의 모티브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산림벌채」에서는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인 벨렌츄크의 죽음을 나무 벌목 문제와의 연관 선상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단편 「세 죽음」에서는 이 작품에 대한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적 해석에서 벗어나, 물푸레나무의 죽음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 다양한 생태계 생물들의 죽음을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하여 비교분석한다. 「산림벌채」에서 나무는 화자의 의식 속에서 철저히 타자화 되어 사건의 배경을 구성하는 요소로 인식되거나 실용적인 목적으로 이용되는 물질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한편, 그것은 한 인간의 다가올 죽음을 예고하는 상징적 기제로 쓰이기도 하고, 기억을 떠올리는 매개체나 인간 내면의 정서적 변화를 표출하는 기제로 활용되기도 한다. 전쟁이라는 반인륜적이고 반생태적인 상황에서 초래되는 한 인간의 안타까운 죽음에 상응하여 무분별하게 파괴되고 희생당하는 생태계의 한 존재로서 나무가 비쳐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인간과 생태계의 갈등 문제는 그리 심각하게 다루어지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1850년대 후반에 쓰인 「세 죽음」에서 나무는 인간 존재와 동급의 생명체로 인식되어 보다 고차원적인 존재로서의 위상을 가진다. 그것은 「세 죽음」이라는 제목이 잘 보여주듯이 두 인간의 죽음과 한 그루 나무의 죽음을 같은 선상에 두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세 죽음」에서 톨스토이는 나무를 절대적 가치를 지닌 이상적인 존재이며 지고한 선(善)의 상징물로 인식한다. 본고에서는 나무가 가지는 의미를 좀 더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그것과 유사한 상황에서 죽임을 당하는 존재들이 등장하는 작품들로 중편 「산림벌채」와 단편 「귀룽나무」, 중편 「홀스토메르」를 비교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억울한 죽음 앞에서도 한결같이 평온했던 「세 죽음」의 물푸레나무와 「산림벌채」의 벨렌츄크는 죽음을 초월하는 정신적 가치인 희생과 정직, 이타성을 보여주는 존재이다. 또한 이 등장인물들은 죽음에 저항하지 않고 평화롭게 자신의 운명에 순종함으로써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와 평화주의 사상을 대변해 준다. 둘째, 단편 「귀룽나무」에서 귀룽나무의 죽음은 인간에 의해 저질러지는 생태계 파괴의 관점에서 톨스토이의 생태 의식이 반영된 것이라면, 「세 죽음」에서는 삶과 죽음에 대한 작가의 철학적 사유가 더 강하게 부각되는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세 죽음」과 「홀스토메르」의 비교분석에서는 두 작품의 주인공들이 식물과 동물로서 서로 종은 다르지만 타 존재들을 위해 완벽하게 자신을 희생하고 헌신하는 삶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이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 작품들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톨스토이의 반전사상과 비폭력 무저항주의, 평화주의 사상의 기반에는 인간을 비롯하여 식물과 동물 등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존재의 윤리의식, 그리고 생태사상이 깔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톨스토이의 사상은 20세기에 정립되는 심층생태학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과 함께 하는 행복찾기 프로그램의 실제 - 김포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

        조미경(Cho, Mi Kyoung),심영옥(Sim, Young 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본 연구는 김포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ʻ노인들의 행복 드리기ʼ 프로그램 일환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노인미술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년기는 생애 중 자신감과 자존감이 차츰 낮아지는 시기이다. 특히 은퇴자나 가정주부로 일생을 보낸 경우는 이들을 포용할 사회적 제도가 마련되지 못하면, 생에 대한 좌절감이나 포기가 더 빠르게 추락한다. 이에 ʻ미술과 함께 하는 행복찾기ʼ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이러한 노년기의 상황을 극복하고 자아존중감을 보존 및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나, 동반자, 가족, 희망의 4가지 영역으로 10회기의 노인미술 프로그램은 수업 마다 보여준 반응과 설문지 결과 약 87% 이상 어르신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ow art program which the writer has developed as a part of program ʻto give happiness to the senior citizensʼ at Gimpo City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GCSCWC), influenced on the self-esteem of the senior citizens. Typically, the senescence makes senior citizens feel less confident and have low self-esteem. Especially, in the cases of the retirees or those who have spent their whole lives as a housewife, they feel more frustrated or have bigger abandonment for life unless there is social system that could embrace them. So, the present paper aimed at developing a program to find happiness with art and applying it in order to help them overcome these situations in the senescence, keep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esteem of about 87 %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GCSCWC have been impro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responses for the 10 sessions of the senior citizensʼs art program in the four areas of I, Companion, Family and Hope, and their questionnair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미경(Mi-Kyoung Cho),김미영(Mi 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할 때 대상자의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2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높았고,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 모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평균이상인 학생이 평균미만인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3개의 변수로 구축된 핵심역량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1%이었고,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4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동기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5%이었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동기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만족도 모형의 설명력은 43.4%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핵심역량과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함께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nursing students.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in 3rd grade than in 2nd grade, and the core competency,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below average students. The explanatory power of a core competency model constructed us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45.1%. Additionally, the explanatory power of a learner motivation model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er motivation was 47.5%, while that of a learner satisfaction model constructed us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learner motivation was 43.4%.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increase core competency and learner motivation. To increase learne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to encourage learner motivation and to make the teaching-student interaction efficient.

      • KCI등재

        제1형 당뇨병 환아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미경(Mi-Kyoung Cho),김미영(Mi Young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Crisisonomy Vol.17 No.3

        연구의 목적은 제1형 당뇨병 환아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었고, 연구의 디자인은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제1형 당뇨병 환아 부모 147명이며 자료수집은온라인 설문조사로 실시했다.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 통계, 상관 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0.65 ± 5.22세, 부모 중엄마가 116명 (78.9 %), 2명의 자녀를 둔 경우가 89명이었다. 제1형 당뇨병 환아 부모의 삶의 질총점은 60.19±16.24 (범위: 15.97~95.83)점, 당뇨병 가족갈등 점수는 27.35 ± 6.09 (범위: 19.00 ~ 57.00) 점이었다. 환아의 성별, 환아의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가족갈등의 세 변수로 구성된 제1형 당뇨병환아 부모의 삶의 질 모델의 설명력은 25.0%(F=17.15, p<.001)이었다. 제1형 당뇨병 환아 부모의 삶의질을 높이기 위해서, 당뇨병 가족갈등 정도를 낮출 수 있는 가족중심의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필요하겠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arents with type 1 diabetes childre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47 parents with type 1 diabetes children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0.65±5.22 year, female was 116 (78.9%), and there were 89 cases of two children. The total scores of quality of life in parents with type 1 diabetes children was 60.19±16.24 (range: 15.97~95.83) and diabetes family conflict scores was 27.35±6.09 (range: 19.00~57.00).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quality of life in parents with type 1 diabetes children model which was constructed by three variables of gender of children, duration of disease, and diabetes family conflict was 25.0% (F=17.15, p<.001).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type 1 diabetes children, interventions are needed to effectively manage diabetes family conflicts.

      • KCI등재

        데카브리스트들이 시베리아 지역에 미친 문화적 영향

        조미경(Cho Mi Kyou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7 슬라브학보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 cultural influence of the decembrists upon Siberian region. The Decembrist revolt was a great turnaround in the politics, history and culture of Russia. In our country, however, only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is incident that took place in Saint Petersburg are known in general, and few studies have ever attempted to examine their accomplishments in Siberia that was their penal colony. Itʹ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Russian Revolution this year, and itʹs needed to shed light on their humanism, which was embodied against all odds in the harsh penal colony, in order to reflect on the genuine meaning of the Revolution. Chapter 2 of the study was examined about ideology and doctrine, which had been aspired by ‘Union of Salvation’ and ‘Welfare Federation’ as a meeting that the decembrists organized with preparing for renovation, and then was figure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severe forced labor they came to undergo after leaving banishment to Siberia with failing in uprising. Paragraph 1 in Chapter 3 of the study was minutely addressed the achievements in V.F. Raevskii, I.D. Yakushkin, N.A. Bestuzhev among decembrist teachers who engaged in this work, while inquiring into the educational‐institution establishment and an educational method as their educational field activities. Paragraph 2 in Chapter 3 was suggested an influence of decembrist upon agricultural culture in Siberian region by dividing it into three characteristics. Decembrist, who contributed greatly to this agricultural development, included M.M. Narishkin, A.E. Rozen, F.P. Shakhovskoy, K.P. Torson. Paragraph 3 in Chapter 3 was intensively illuminated medical activity and its outcome in decembrist. For this, with examining achievements in P.S. Bobrishev‐Pushkin, I.F. Foht including doctor F.B. Vol’f who devoted himself to medical services. The Decembrist Revolution, which was attempted at the Senate Square in St. Petersburg in 1825, ended in failure. But the life in a place of exile that they showed can be tried to be interpreted as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unfinished revolution. Knowledge and technology that they had accumulated in its process became a sound footing of the development in community of Siberia. Also, their hard work and dedication that had been aimed to improve local residentsʹ poor situation led to having been formed strong ties of having overcome a difference in class, social standing and ethnic group r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