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르시펠트(C.C.L.Hirschfeld) 정원예술론의 의미와 가치의 현대적 해석

        조경진 ( Kyung Jin Zoh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크리스티안 케이 로렌츠 히르시펠트(Christian Cay Lorenz Hirschfeld)(1742-1792)는 18세기 독일의 미학자이자 정원이론가로 당대에 ‘풍경식 정원예술의 아버지’라고 불리었다. 그는 ‘정원예술론’이란 5권의 저작에서 정원이론을 집대성하였고 이는 현재까지도 가장 포괄적인 정원이론서로 여겨진다. 정원역사에서 식물소재, 공간구성요소와 정원유형 등을 다루고 있는 이 이론서는 당대에 유럽에 널리 알려졌고, 이로 인해 영국 풍경식정원을 널리 보급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하게 된다. 그러나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히르시펠트 정원론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현대적 관점에서의 주요 쟁점을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히르시펠트 정원이론은 18세기 독일 계몽주의와 낭만주의가 교차하는 지점에 태동되었고, 자연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독일문화의 산물이기도 했다. 당대 독서문화가 활성화되고 기행문학이 유행하게 된 사회 현상이 정원이론서가 소비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기도 했다. 오늘날 관점에서 히르시펠트 정원론이 기여한 바와 이를 재해석할 수 있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원예술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이다. 둘째, 히르시펠트는 정원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라는 전제 아래 자연의 원형 경관과 고안된 정원과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정원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표현하고 끌어낼때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지닐 수 있다고 주창하였다. 셋째, 히르시펠트는 특정 정원의 인상과 관념이 연합하여 화학적 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정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그는 유쾌하고 쾌활한 축제와 같은 정원, 온화하고 멜랑코리한 정원, 낭만적인 정원, 장엄한 정원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그는 정원에서의 움직임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국면임을 강조하였다. 움직임이 중시되는 풍경식정원에서 풍경화식 재현방식이 적절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로는 정원은 단지물리적 공간이 아닌 정신이 구현된 장소임을 환기시켰고, 나아가 삶의 은유로서 윤리적 정원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히르시펠트의 정원론은 18세기에 저술된 이론적 저작으로 현재적 시점에서의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가 부족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 하지만 그는 공공 정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19세기 도시공원운동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정원예술의 위상제고, 지역성의 강조, 실천이념으로 중재 개념이 그의 이론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무엇보다도 정원문화가 새롭게 부각되는 오늘날 인문학적 조경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hristian Cay Lorenz Hirschfeld is often regarded as ‘a father of landscape garden art.’ He was an aesthetics professor and garden theoretician in the 18th century. He put forth the most comprehensive garden theory book in five volumes between 1779 and 1785. His book, Theorie der Gartenkunst, was translated and widely circulated in his contemporary. The book, which dealt with diverse aspects of garden art such as history, design, material, and type, urged to promote the prevalence of landscape garden in European continents as well as in Germany. However, there have scarcely been discourses in the Hirschfeld’s garden theory. This essay aims to review Hirschfeld’s garden thoughts in his book critically and to reinterpret some issues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 theory and practice. Hirschfeldian theory was the product of 18th century German Enlightenment and romanticism. At that time, Nature was regarded as divine realm. There was a German affinity with natural world. The spread of reading culture and the fashion of travel literature were another background of the success of his garden literature. Several issues in Hirschfeld garden theory will discussed here. First, privileging garden art wa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in his theory. He emphasized that garden art was the most advanced art form among all art genres. Second, garden art was grounded on the mimesis of nature.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t still existed in garden making. However, garden art can be flourished when utilizing the potency of nature in itself. Third, there wa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mage and the idea in experiencing the garden. Some garden scenes stimulated the related emotional responses such as cheerful and merry, softly melancholic, romantic, solemn etc. Fourth, the movement was the essential aspect of garden art. Motion and emotion are come together in garden experience. To represent the landscape garden style in suitable way, the sketch or image seems to be preferable than the plans and views. Finally, garden art was composing of not only the physical space but also the spirit of place. He maintained the garden art as hortus moralis should be a social metaphor. Hirschfeldian garden theory has often been criticized as the lack of practical power and the old fashioned idea. However, his theory influenced on formulating the idea of public park in 19th century. Moreover, there are still some visionary aspects of his theory such as the reevaluation of garden art, the emphasis of locality and the introduction of Mittelweg idea. Recently, gardening culture are prevalent in various realms of art and life. Hirschfeld’s garden theory as humanistic landscape theory can provide us some insights in the contemporary practices.

      • KCI등재

        헤르만 F. 폰 퓌클러-무스카우(Hermann Furst von Puckler-Muskau)의 풍경식 정원론의 형성과정과 의미에 관한 연구

        조경진 ( Kyung Jin Zoh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헤르만 F. 퓌클러-무스카우는 1834년 ‘풍경식 정원의 예시’라는 정원이론서를 출간하고, 무스카우와 브라니츠 정원을 조성한 독일 정원사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무스카우 공국의 통치자였으며 작가이자 정원사로서 다면적 활동을 하였다. 그가 영향력을 끼친 독일의 풍경식 정원은 이성으로부터의 해방, 인간 본연의 자유를 추구하는 낭만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당시 지식인들이 풍경식 정원에 관심을 가지게 것은 이상화된 자연을 표상하는 정원의 문화적 의미에서였다. 본 연구에서는 퓌클러-무스카우의 풍경식 정원관의 형성과정을 생애와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퓌클러의 풍경식 정원론의 내용과 고유한 설계방식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함축하고 있는 혁신성과 현대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퓌클러가 풍경식 정원에 관심을 갖고 자신만의 정원론을 구축하게 된 것은 여러 나라의 경관과 정원 기행에서 비롯하였다. 계몽적 낭만주의로 대표되는 퓌클러가 살았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그의 개인적 경험 간의 상호관계는 그의 정원론을 이해하는 기반이 된다. 첫째, 그의 풍경식 정원론은 실제와 이상이 혼재되어 있는데 이는 낭만주의와 문학적 정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정원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18세기 후반의 표현을 중시하는 영국 풍경식 정원의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퓌클러의 정원 설계에서는 그의 내면적 성향과 개인 경험이 드러난다. 넷째, 퓌클러가 지역 주민을 위한 정원을 조성하고자한 것은 진보적 사상을 지닌 귀족으로서 모순적 성격의 자기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퓌클러 풍경식 정원론의 가치는 인문학적 정원의 전통과 사회 조건의 개선을 추구하는 실용적 태도와 깊이 관련된다. 이러한 결과로 나타난 그의 풍경식 정원론은 이상적 공동체와 윤리적인 건강성을 지향하는 경관론이면서, 지역의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을 담고 있다. 또한 개인적 영역에서 공공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정원의 개념과 의미를 확장하고, 실용과 미를 동시에 추구하는 종합예술을 지향한다. 이러한 통합적 관점은 오늘날 현대 조경이론과 실천에서 회복되어야 할 가치이며 지향점이기도 하다. Herman Furst Puckler-Muskau is one of important figures in German landscape architecture who designed both Muskau Park and Branitz Park and published garden book Andeutungen uber Landschaftgartenerei (Hints on Landscape Gardening) in 1834. He was a German nobleman who governed Muskau estates while working as both a writer and a landscape gardener. German landscape gardening was grounded on Romanticism, which was represented in diverse ways such as the reconciliation between man and nature, the liberation of reason, and the pursuit of liberty. The intellectuals came to have an interest on landscape gardening since the garden carried the cultural connotation such as the idealized epitome of natu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his idea of landscape gardening had been developed through his personal life and social background and to find out his landscape gardening theory and its unique gardening techniques. Finally, the inventive aspect of his garden theory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s in practices were discussed. Pucklers’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background provide us to understand the idea of garden. First, there was a mixture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n his garden theory. It was due to the influence of Romanticism and literary garden. Second, his gardening mentality and technique were influenced by the late 18th century English garden practices, which emphasized the expressive aspects. Third, Pucklers’ inner disposition and personal experience were represented in his garden design. Fourth, the intention of creating landscape garden for the local people might be a self realization of his contradictory characters between falling nobleman and liberal social leader. The significant value of Puckler’s garden idea might be closely related in the dual nature of humanistic garden tradition and garden practice for social agenda. Therefore, his garden idea pursued of the comprehensive landscape strategies toward ideal communities and ethical spirits while concerning ecological, social, economic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Furthermore, his landscape gardening aims at the total landscape encompassing garden to region as well as the Gesamtkunst combing the beautiful with the useful. Puckler‘s holistic attitude gives us fresh insights and new directions to contemporary landscape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Diffusion-Weighted MR Imaging of Upper Abdomen: Comparison of Breath-Hold, Free-Breathing, and Respiratory-Triggered Techniques

        조경은,유정식,정재준,김주희,김기황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4 No.5

        Purpose: To compare the image quality and stability of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in diffusion-weighted MRI (DWI) of the upper abdomen among the breath-hold (BH), free-breathing (FB) and respiratory-triggered (RT)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rameters of 204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DWI (BH-DWI, FB-DWI or RT-DWI; n=68 in each technique). Qualitative parameters included liver contour, vascular landmarks, intra-slice homogeneity, and inter-slice discontinuity on DWI with a b-factor of 800 s/mm^2 and a four-grade scale. Quantitative parameters included inter-slice or intraslice inhomogeneity of ADC in the spleen. Results: RT-DWI showed better liver contour compared to BH-DWI (p <0.001) or FBDWI (p = 0.001). As for the quality of the vascular landmarks, BH-DWI was inferior to FB-DWI (p = 0.025) and RT-DWI (p < 0.001). FB-DWI had the poorest result (p <0.001) for inter-slice discontinuity compared to the other techniques. FB-DWI showed significantly larger inter-slic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ADCs in the spleen compared with those of RT-DWI (p < 0.001). Intra-slice homogeneity was significantly better in RT-DWI and FB-DWI than in BH-DWI (p < 0.001). Conclusion: Compared with BH or FB techniques, RT-DWI appears to result in the best imaging by providing better anatomic detail without skipping continuous slices, in addition to more homogeneous ADCs.

      • KCI등재

        박지원(朴趾源)의 「불이당기(不移堂記)」와‘ 채움’의 수사학 - 액자 구성과 예술 체험 간의 상관성에 주목하여-

        조경은 한국수사학회 2018 수사학 Vol.0 No.33

        By a close reading of Park, Ji-Won (朴趾源)’s 不移堂記 (A Monumental Document for the Hall of No-Defection) one will notic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hematics and the distinctive discursive structure which this text seems to involve. I aimed to investigate the textual conditions show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a proper name and its substance, signifying a new house or a pen name, corresponding to its form of frame and the theme; it had already been known as the structural isomorphism. The repeating 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frames in 不移堂記 brings about the rhetorical effects very strongly which strengthen and harden the argumentative foundation that is the nature of writing of traditional monumental documents in Far East. As the new frame is presented again and again in this text, we, the readers, could identify a character’s whole life progressing forward the growth of his whole person. Here, the function of the framing structure invites us to join his journey of life and to gaze at it from the critical distance. On the aspect of the thematic horizon, 不移堂記 widens its basic issue, which has begun from concrete artistic symbols and conventions, as far as it includes the whole artistic act and the value system in the traditional world. With this frame-serial, we can appreciate that the various symbolic signs and codes often employed in the context of the East Asian traditional liberal arts, and the serious interpretive matters in the intellectual community, such as a black-and-white painting by a noble man, has been evolving into the whole system of the art and hermeneutics lying in the traditional world. In particular, the narrators in each frame show that they turn the conventional code and interpretation into their own intrinsic meaning through the thorough reforming of character by their own experience; it designates the procession of inserting a frame into another frame, on the phase of the isomorphic structure. This reflexive usage of framing takes the inner process of self-reflection to the concrete linguistic and discursive form, by the act of art producing as the core virtue of a noble man (君子). Therefore, through the framing structur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ritical distance and the life experience of reforming, 不移堂記 represents the problem of artistic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at it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devotion of entire lives of the interpreter, the reader as well as the artistic creator. 이 논의는 박지원의 「불이당기」가 제기하는 주제 의식과 담화 구조 간의 긴밀하고도 독특한 상관성에 주목한다. 특히 이 작품이 주제로 삼고 있는 글쓰기를 포함한 예술적 행위나 상징물의 외연과 내포의 관계가 액자 구성이라는 담화의 형태에 대응하는 특이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불이당기」의 반복적인 액자 구성은 기문 글쓰기의 본질인 논증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자아낸다. 액자가 거듭되면서 동일한 인물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펼쳐지는데, 이는 텍스트 바깥의 독자까지도 한 인간의 내면적 성장 과정에 동참하는 동시에 이를 한 걸음 떨어져 지켜볼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불이당기」가 다루는 주제는 액자가 거듭되면서 전통 시대의 예술적 행위와 그 해석의 문제를 아우르는 데까지 확대된다. 문인화와 같은 전통 시대의 예술에서 익숙하게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징 기호들과 그 해석의 문제가 액자가 거듭되면서 하나의 거대한 구조로 엮이는 양상을 살필 수 있다. 특히 각 액자의 화자들은 생생한 예술 경험을 통해 낯익은 전통을 자신의 고유한 의미로 변화시킨다. 이 때 액자 속에 액자가 삽입되는 구조는 각자가 스스로 의미를 채우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과정에 대응된다. 그리하여 군자의 핵심 덕목인 ‘예술을 통한 자기 성찰’이라는 내적 행위를 언어적으로 구체화시킨다. 「불이당기」는 이렇듯 거리두기와 직접 체험이 한데 어우러진 액자 구성을 통해, 예술적 체험과 그 소통의 문제가 창작자뿐 아니라 해석자, 독자들의 전 인격적인 투신(投身) 아래 이루어져야 함을 웅변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작문매체와 학습자의 메타인지가 작문의 질과 길이 및 작문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은,김회수,염시창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9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작문에서의 컴퓨터(워드프로세서) 사용이 최근 작문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함께 작문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광주에 있는 U중학교 3학년 남학생 80명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수준별(상·하)과 워드집단과 지필집단으로 무선 배정한 후 수업시간에 작문을 하도록 하고 작문 결과와 작문 태도 검사를 통해 작문의 길이와 질, 그리고 작문에 대한 태도 및 그 상호작용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워드를 사용한 집단과 메타인지 상위 집단의 작문의 길이와 질은 더 좋았으나, 작문의 태도나 작문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작문의 길이와 질,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는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에 작문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은 작문의 길이와 질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작문의 태도 및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다양한 실험 설계와 충분한 시간,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작문 기회의 확대 등과 더불어 다시 논의되어져야 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a and metacognition and their interactive effects on writing quantity, quality,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 writing.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selected 80 male students from third grades at U middle school in Kwangju city. The research design was 2x2 factorial design with four groups by levels of metacognition and writing medm. On the basis of metacognition test scor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hgh vs. low), and these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e of word-processor writing group and hand-writing group, forming four groups in total. After pretest of writing attitudes, each group were given 45 minutes writing time and took the posttest of writing attitudes after a week. ANOVA and ANCOVA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significance level, alpha was set at a .05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d-processing group was superior to the hand writing group in writing quantity and quality. second, the high-metacognition group was superior to the low metacognition group in writing quantity and quality. But, writing media and metacognition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s attitudes. thir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writing media and the levels of prior metacognition on writing quantity, quality and students' attitudes. Last, in the word-processing group, high metacognition subject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low metacognition subjects. The findm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writing media and metacogni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writing quantity and quality, and that we must rethink

      • KCI등재

        A Human Action Recognition Scheme in Temporal Spatial Data for Intelligent Web Browser

        조경은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5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8 No.6

        This paper proposes a human action recognition scheme for Intelligent Web Browser.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human action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ultiple articulation movements, the inference of stochastic grammars is applied to recognize each action. Human actions in 3 dimensional (3D) world coordinate are measured, quantized and made into two sets of 4-chain-code for xy and zy projection planes, consequently they are appropriate for applying the stochastic grammar inference method. We confirm this method by experiments, that various physical actions can be classified correctly against a set of real world 3D temporal data. The result revealed a comparatively successful achievement of 93.8% recognition rate through the experiments of 8 movements of human head and 84.9% recognition rate of 60 movements of human upper body. We expect that this scheme can be used for human-machine interaction commands in a web browser.

      • KCI등재

        불교 선시와 「청산별곡」 - 3장과 7장을 중심으로 -

        조경은 열상고전연구회 2021 열상고전연구 Vol.74 No.-

        고려가요 「청산별곡」 3장과 7장의 어석 연구는 단순한 의미 파악에는 어려움이 없으나 함의를 파악하기에는 분명하지 않은 점이 있고 3장, 7장의 내용과 「청산별 곡」 전체의 관련성을 설명하기에도 부족한 점이 있다. 특히 「청산별곡」 3장과 7 장의 장소와 그 장소에서 활동하는 사물의 행위에 관한 표면적인 의미 이해는 가 능하나 이는 일상적인 이해로는 파악할 수 없는 표현이다. 「청산별곡」에는 현실에 부합하여 살지 못 한 소외자가 공감할 만한 요소가 있는 데 이것이 바로 현실의 가치관을 초월하여 수용해야만 이해할 수 있는 불교적 성 격이고 남효온 추강집의 기록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최치원의 한시에서 는 청산이 삶과 유리된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불교의 선시에도 청산과 바다를 신성한 공간으로 간주하고 이를 형상화한 작품들이 있다. 「청산별곡」 3장에는 물속을 날아가는 새가 7장에는 장대에 올라 해금을 연주하 는 사슴이 등장한다. 3장의 물속, 7장의 장대는 각각 새나 사슴이 활동하는 공간 이 아니다. 따라서 역설로 표현된 모순의 상황은 현실 초월과 일상성의 전복이라 는 전제가 없으면 이를 이해할 수 없다. 그런데 불교 선시의 세계에도 모순 상황, 현실 초월과 일상성의 전복에 기인하는 세계가 드러나 있다. 불교 선시에서는 물 (바다) 속으로 들어가는 진흙 소, 무쇠 소, 바다 밑에 있는 학 등이 등장하고 장대 끝인 간두는 깨달음을 얻는 장소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청산별곡」의 주체인 화자가 물속을 가던 새를 보고 사슴이 장대에서 연주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 것은 세속의 영역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것이다. 「청산별곡」 3ㆍ7장의 주체인 화자가 각각 초월 영역의 새를 보고 사슴 연주를 듣는 경험을 하려면 속계와 비속계의 구분이 사라져야만 한다. 구분이 사라지면 화자가 작품 내의 새나 사슴과 상호 교차되고 주체와 타자의 구분이 모호해진다. 선시의 세계 도 현실과 초월 세계,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허물기, 분별 짓기를 무너뜨리는 사유 를 구현하는 것이고 선시는 이러한 경지에 이르러야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청산별곡」 3장, 7장의 내용도 선시의 세계와 마찬가지로 일 상적 관념을 탈피하여 주체와 타자의 경계를 허물고 속계 및 비속계의 공간이라는 집착에서 벗어난 상황으로 작품을 이해해야만 수용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청산별곡」 3장과 7장은 불교 선시의 영향이 반영된 노래의 일부분 이라고 할 수 있다. Chapters 3 and Chapter 7 of the “Cheongsanbyeolgok, “a Goryeo Gayo, casts some doubts in its interpretation because of implications, although there is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simple meaning of the words, and there are also insufficient points to explain the relevance of the contents of Chapters 3 and Chapter 7 to the whole of the “Cheongsanbyeolgok.”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uperficial meaning of the places and actions of objects in Chapters 3 and 7 Chapter of 「Cheongsanbyeolgok」. However, the expressions in those chapters have implications that cannot be understood by ordinary understanding. There is an element in 「Cheongsanbyeolgok」 that the marginalized, who have not lived well in reality, can sympathize with, which is a Buddhist character that can only be understood and accepted by transcending the values of reality.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cord of Nam Hyo-on's Chugang House. In Choi Chi-won's Chinese poetry, “Cheongsan [Green Mountain] is set as a space-separated from life, and many Buddhist Zen poems consider and embody “Cheongsan” and the sea as sacred spaces. In the 「Cheongsanbyeolgok」, there is a bird flying through the water in Chapter 3 and a deer playing the ‘Haegeum’ on the pole in Chapter 7. The water in Chapter 3 and the pole in Chapter 7 are not the usual spaces for birds or deer. Therefore, the contradiction expressed as a paradox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premise that it is the transcendence of reality and the subversion of everyday life. In the world of Buddhist Zen poetry, a world caused by contradictions, the transcendence of reality, and the subversion of everyday life is revealed. In Buddhist Zen poetry, a mud ox and a cast-iron ox going into the water (sea) and a crane under the sea appeared, and the tip of the pole serves as a place where enlightenment is attained. It is something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the secular realm that the narrator, the subject of the 「Cheongsanbyeolgok」, sees the birds flying through the water and hear the deer playing on the pole. In order for the narrator, the subject of Chapter 3 and Chapter 7 of 「Cheongsanbyeolgok」, to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seeing birds flying in the water and hearing deer playing on the pole in the transcendental realm,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cular and the sacred must disappear. When the distinction disappears, the narrator intersects with the bird or the deer in the work,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s becomes blurred. The world of Zen poetry also embodies the thought that breaks down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the transcendental world,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Zen poetry emphasizes that enlightenment can only be achieved by reaching this leve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Chapters 3 and 7 of 「Cheongsanbyeolgok」 can be accepted only by understanding the work as a situation that breaks away from everyday notions, breaks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escape from the obsession with the space of the secular and the sacred, just like in the world of Zen poetry. Therefore, Chapters 3 and 7 of 「Cheongsanbyeolgok」 can be said to be a part of the songs reflecting the influence of Buddhist Zen poet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