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정용 감각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감각조절 및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 한국발달장애학회 2015 발달장애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how home based sensory integr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improve sensory modulation and daily of living func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ASD that 30 of the Children's Institute and Welfare in Gwangju, Jeonju, and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5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a control group. Program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used for verification is reduced Short sensory profile and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The program was to verify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5 experts. Research designs is a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conducted. A total of 10 sessions, twice a week, and 120 minut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scor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ANCOVA that used pre-test scores as covari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ndicated in the home based sensory integr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involved in this study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nsory modulation and daily of living function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As a result, the home based sensory integr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showed effectiveness in sensory modulation and daily of living func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조절장애를 동반하는 ASD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에게 가정용 감각통합 부모교육을 제공함으로써, ASD 아동의 감각조절과 일상생활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전주시, 서울시 소재의 연구소 및 복지관의 30명 ASD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고,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과 한글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전문가 5인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한 후, ASD 자녀의 감각조절과 일상생활 기능을 촉진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실시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10회기, 주2회, 120분씩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이후, ASD 아동들의 감각조절 과 일상생활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가정용 감각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작업수행과 시-지각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박관성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2 No.-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해서 지적장애 아동의 작업수행과 시-지각 기능이 향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시-지각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지적장애 만 10세 남자 아동 대상으로 부모님의 동의를 얻어 총 15회기, 주3회, 30분, 1:1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을 하였다. 프로그램을 위해 사전 사후 평가로 운동 시-지각 검사-3(Motor visual perception test-3 ; MVPT-3)을 사용하였고, 작업수행 평가를 위해서는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을 사용하였다. ◉ 결과 : 대상아동은 동화를 통한 시-지각 훈련을 통해서 원점수 28점에서 33점으로 만 6세 6개월에서 만 9세 6개월로 향상되었다. ◉ 결론 :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을 통해서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 기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이 있는 집단연구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utilizing a fairy tal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erform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visual percepti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improved is investigated. ◉ Methods : Visual-perception problem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ing 10-year-old man with the consent of parents for children with a total of 15 session, three times a week, 30 minutes, 1 : 1 for utilizing fairy tale - the training was perceived. As for the pre and post program evaluation exercise - Late check-3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 ; MVPT-3) was us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in order to measure the Canadian Operations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 was used ◉ Results : The children’s fairy tales over the city - through perception training raw score 28 points to 33, ages 6 months to 6 years to 6months to 9 years has improved. ◉ Conclusion : When utilizing fairy tale -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children through training, day to facilitate visual perceptual functions could be seen that effect.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collective research program is needed to prove a generalization of the will feed.

      • KCI등재

        InTime 음악에 기초한 리듬 동작치료가 20대 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김제영 한국무용학회 2018 한국무용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ress by applying Intime based on Intime music based rhythm movement therapy to twenties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 of stress symptoms. A total of 30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time music used in the research is rhythm based music which stimulates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rough auditory stimulation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and helps relieve stress. This promotes neurological changes by promoting natural auditory stimulation and improved motor performance. While listening to this music, they were allowed to perform free rhythm movement.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MANCVA) using SPSS IBM24. As a result, Intime music based rhythm movement therap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tress relief in twenties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ed of stress symptoms (P <.05).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ope that Intime music based rhythm movement therapy applied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Dance and Movement therapy technique for twenties college students who complain of stress symptoms.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증상을 호소하는 20대 여성 대학생들에게 Intime 음악에 기초한 리듬 동작치료를 적용하여 스트레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여대생은 총30명으로 스트레스가 지수가 높았다. 연구에 사용한 Intime 음악은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청각적인 자극을 통해서 중추신경계를 자극함으로서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는 리듬 기반의 음악이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청각자극과 운동능력의 향상을 촉진시켜 신경학적 변화를 촉진시킨다. 이 음악을 들으면서 자유로운 리듬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IBM24를 활용하여 일원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반응 하위요인의 변화를 알기위해서 특히 감각조절기능 하위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공변량분석 (M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Intime 음악에 기초한 리듬 동작치료는 스트레스 증상을 호소하는 20대 여성 대학생들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었다(P<.05).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Intime 음악에 기초한 리듬 동작치료는 스트레스 증상을 호소하는 20대 여성을 위한 치료기법으로서 활용되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학령전기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아동중심 감각통합 운동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정희승,황수진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7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sensory integration developmental play program based on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or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2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in school age.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in the environmental context suggested by Ayres' treatment intervention principle and used by the researchers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and the review of the preceding articles. Sensory input adaptation in steps 1-4 - Sensory distinction control step - Sensory control and sensory distinction reaction activation step - Sensory integration execution ability activation step and constructed to enhance motion prediction mechanism through basic and deepening proces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designed by the control group pre - post test, and the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rocessed by SPSS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 integration development play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 behaviors of school-aged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at p <.001. As a limitation, there i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because there are few participants in the program, but it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as basic research data.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에게 아동중심 감각통합 운동놀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감각처리기능 및 내재화 및 외현화 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학령전기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총32명이었다. 기간은 주2회 60분씩 총16회기였다. 아동중심 감각통합 운동놀이 중재프로그램은 Ayres의 치료중재 원리에 근거하여 구성 및 실시를 하였고, 프로그램은 선행논문 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서 연구자가 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1-4단계로 감각입력- 감각구별 단계–감각조절 단계-감각통합 실행단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기본과 심화과정을 통해서 학령전기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들의 움직임 예측기전과 정서행동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하였고, 공변량 분석(ANCOVA)를 SPSS 20.0으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중심 감각통합 발달 놀이 프로그램은 학령전기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과 내재화 및 외현화 정서 행동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학령전기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들의 정서 행동 변화에 영향을 주는 아동중심 감각통합 운동놀이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감각통합 대처기술 부모교육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유은영,정민예,박지혁,이택영,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3

        목적 : 본 연구는 감각조절장애를 동반한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자녀를양육하는 어머니에게 감각조절장애 증상과 대처기술에 관한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교육 참여 후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와 전주시에 거주하는 ASD 아동의 어머니 20명이 대상이며, 부모교육내용은 연구대상자의 사전검사 자료 분석과 선행연구를 통해서 구성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에적용하였다. 부모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KPSI)와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결과 : 부모교육 실시 후 부모양육스트레스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아동영역의 ‘보상’이 가장 큰 변화로 나타났고, 부모영역의 ‘애착’이 가장 큰 변화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도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감각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ASD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부모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양육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arent education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nd coping skills for parents to nurture. After parental education particip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conducted with mothers Gwangju and Jeonju 20 people twice a week to target a total of seven sessions of four weeks. Research tool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arenting stress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 and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was used for te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 After a parent education parenting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ategories (p<.001). Influence on the child area has shown that most parenting stress the ‘reinforce parent’ impact on the parent area parenting stress is ‘attachment’ appeared to be the largest of its kind. Parenting Efficac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categories (p<.001). Conclusion : In this study, conducted by a parent education program have reduce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o nurture and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조절기능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a sensory modulation function and adaptive changes in behavior, and play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nsory integration theraplay. Study Kwangju & Jeolla in the region with a sensory modulation 욘function, autism spectrum disorder, 30 children were 3 years old, was a five-year-olds. Received the 2 pediatric psychiatrist composed of 8 the validity, the play therapist,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 sensory integration theraplay, play activitie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saw. Was carried out six weeks a total of 12 sessions for 60 minutes, the session proceeds. Study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lay, sensory integration theraplay,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sense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actions to improve.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improve the sense of control and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ensory integration theraplay activities. When trea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stud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s utilized as a basis of the intervention plan sensory modulation function an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behavior is expected.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놀이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적용하고, 연구참여 아동의 감각조절기능과 적응행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라지역에서 감각조절장애 동반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 3세에서 5세 아동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감각통합치료놀이 활동은 놀이치료 전문가 3인, 감각통합치료사 3인, 소아정신과 의사 2인으로 구성한 8인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을 하였다. 연구설계는 실험 및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설계를 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회기진행은 60분씩 6주간 총 12회기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감각통합치료놀이에 참여한 아동은 통제집단과 비교 시, 감각조절기능 및 적응행동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감각통합치료놀이 활동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감각조절 기능과 적응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치료할 때, 중재 계획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진다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조절 기능 및 적응행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인지기반 상징 놀이에 기초한 DIRFloortime®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9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인지기반 상징놀이에 기초한 DIRFloortime® 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자폐정도, 전체지능과 의사소통 기능을 측정하였다. 중재 방법으로 사용한 것은상징놀이에 기초한 개별 DIRFloortime®치료를 하였다. 유사실험 설계로 한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실험 설계를 하였으며유의수준 .05에서 U 검증을 통해서 사전 및 사후검사를 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의사소통 기능의 구조적 및 화용적인 언어능력은 사후검사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5) 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향상은(p<.05)(p<.001)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상징놀이에 기초한 DIRFloortime®치료는 고기능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 효과가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RFloortime ® therapy based on cognition based symbolic play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hig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s' general autism, overal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measured. As an intervention method, individual DIRFloortime ® treatments based on symbolic play were performed. A group pretest posttest was designed similarly, and pretest and posttest was performed through U-test at significance level of .05. After the test, the communication function, namely the structural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for the post-test, and the social interaction function (p<.05) (p<.00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DIRFloortime ® therapy based on symbolic play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 KCI등재후보

        감각통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감각조절기능과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김제영 한국무용학회 2017 한국무용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아동에게 감각통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감각조절기능과 사회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소아정신과 의사 및 임상심리전문가를 통해서 진단받은 3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아동들을 위한 감각통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해 구성하였고, 이후 감각통합치료 전문가 3명, 표현예술치료사 3명, 무용 및 체육교사 2명, 총 8명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검증방법은 Fehring's diagnostic content validity model 의 내용타당도 검증방법 지수 (Content Validity Index:CVI)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IBM24를 활용하여 일원공변량분석(ANCOVA)와 다변량공변량분석 (M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각통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아동들에 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각조절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감각통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사회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안한 감각통합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활용 되어지길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sensory integration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focused on the sensory modulation functions and social skills for ADHD children were compared experimental group with control group. thirteen ADHD children, which are diagnosed by pediatric psychiatrists or clinical psychologist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was comprised of fifteen children. Evaluation of the main symptom, sensory modulation functions and social skills were performed by score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IBM24 ANCOVA and MANCOVA was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homogeneity in two group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sensory modulation functions and social skill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post-evaluation(P<.05). at the result, program will be able to be effective in supporting symptoms to improve a child with ADHD with 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 and social skills.

      • KCI등재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동작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 트럼 장애 아동의 정서 행동과 자기조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

        정희승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 동작 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서 행동 과 자기조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총20명으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증상으로 인해서 정서 행동의 문제와 자기 조절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었다. 연구에 사용한 중재법은 고 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기능을 촉진시키는 DIRFloortime® 치료 모델을 사 용하였고 무용 동작치료와 접목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기능 수준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적용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16회기 90분 동안 주2회로 제공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 정과 두 집단 간의 중재 후 정서 행동평가 및 자기 조절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맨 휘트니 U검정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효과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Cohen’s d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 동작 치료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증상을 개선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에서 다양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적용되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DIRFloortime® model on emotional behavior and self-regulatory function in children with high autism spectrum disorder. A total of 20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had problems with emotion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due to the symptoms of high-functional autism spectrum. The doubl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used the DIRFloortime® model to promot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in children with high autism spectrum disorder. Applied the program was offer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sessions, 90 minute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18.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ssess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Cohen's d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the DIRFloortime® model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symptoms of high function autism spectrum disorder.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pplied as one of various therapy methods in the clinic.

      • KCI등재후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한국형DIRFloortime coaching therapy의 효과

        정희승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및 우울 증상을 보이는 7세 남아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모에게 한국형 DIR/Floortime® Parent Coaching therapy를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모의 주 호소 문제는 아동의 반복되는 놀이 패턴에 대해서 모가 느끼기에 재미가 없고 늘 반복되는 놀이패턴에 대해서 어떻게 가정에서 지도해야 하는지 자녀와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개선되길 바라는 것이었다. 또한 아동의 우울이나 위축과 같은 내재화 정서 행동이 긍정적으로 바뀌길 원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모가 지각하는 주 호소 문제의 원인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결핍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사례 개념화를 하고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발달적 중재인 DIR/Floortime® Parent Coaching therapy를 한국형으로 보완 및 수정하여 10회기를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아동과 모의 기능적 정서 발달단계와 개인적 차이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최적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DIR/Floortime® 치료 원칙을 비디오 피드백을 통해서 훈련하고 상호작용 코칭을 한 후 상담하는 것이었다. 본 프로그램 치료목표는 첫째, 모와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이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이었다. 둘째, 모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에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가 개선되는 것이었고 셋째,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 증상이 개선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첫째 모와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 우울 증상이 개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형 DIR/Floortime® Parent Coaching therapy 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모와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기능 개선에 임상적 치료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pplied Korean DIR / Floortime® Parent Coaching therapy to 7 year old boy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depression, withdrawal, social immaturity. Mother's main complaint was that she had no interest in feeling repetitive play patterns of the child, and wanted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child. In addition, She wanted to change her child internalized emotional behaviors. Therefor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 that the cause of the main problem is the lack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of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Korean DIR / Floortime® Parent Coaching therapy, a developmental intervention fo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pplied 10 sessions. The content of the therapy was to train the DIR / Floortime® treatment principle through video feedback and to consult after interactive coaching to analyze the child's and mothers functional emotional developmental stag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profiles to ensure optimal interac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herapy, th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of t mother and child changed positively, the parenting stress decreased, and the child 's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symptom improv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Korea DIR / Floortime® Parent Coaching therapy has a clinical therapeutic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of mother and child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