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양어선 항해정보를 위한 RIA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정회준,박대우,Jung, Hoe-Jun,Park, Dea-W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0

        원양어선을 보유한 회사에서 조업 중인 어선의 항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항해 현황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PC 또는 DID(Digital-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선박 항해 위경도 표시 및 어획량 등 각종 항해 정보를 지도기반에서 visual하게 display하도록 설계한다. DB에 저장된 항해중인 37척의 원양어선 항해정보를 Flash 기술 기반의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를 통해 역동적으로 화면구현이 가능한 Web Application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다수의 어선상태를 한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항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의사결정을 신속히 가능하게 함으로 운영자 및 사용자에게 정보사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The company which have deep-sea fishing vessel have to improve their voyage dashboard that was operating by manually to grasp sailing information of fishing vessel. This thesis design sailing information that is ship location on the globe, a catch of fish, and line of longitude and latitude to display on the map more visually by using on-line PC or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Thesis considered about designing web application which is available to visualize sailing information of 37 deep-sea fishing vessels in operation by using Flash-based RIA technology. This system was improving operator's and administrator's satisfaction of using information because, It make possible not only to grasp status of many vessels in one display but also to monitoring situation and deciding proces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플랫폼을 위한 사용성 평가지표 연구

        정회준(Jung, Hoe Jun),김광명(Kim, Kwang Myung),조선(Jo, Sun),고영준(Ko, Young J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서비스디자인 플랫폼(Service Design Platform)은 지식경제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서비스 융합형 디자인컨설팅 지원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서비스디자인 기업들이 온라인에서 서비스디자인 과제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서비스디자인 플랫폼 개발과정에서 플랫폼의 사용성을 검증하고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참여에 의한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와 더불어 전문가에 의한 휴리스틱 평가(Heuristic Evaluation)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문가에 의한 휴리스틱 평가를 실시하기에 앞서 평가대상에 적합한 평가영역과 세부 평가항목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서 내부 연구자들이 사용성 영역과 평가대상인 서비스디자인 플랫폼의 특징요소, 설계요소, 커뮤니티 요소 등을 설정하였고, 이를 세부항목에 반영해서 평가지표를 분류하고 도출하였다. 이어서 평가지표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해서 4개의 평가영역과 44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지표는 체크리스트로 활용해서 향후 전문가에 의한 휴리스틱 평가 시 활용될 계획이다. Service Design Platform which has been developing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is aimed at facilitating service design consultancy to carry out service design projects smoothly online.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verify and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platform, heuristic evaluations by usability experts along with usability test done by user participation are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appropriate evaluation areas and detailed evaluation indices prior to carrying out the heuristic evaluation. For the study, first, the concept of the service design platform was identified and the features of its component were analyzed. Second, based on literature study of standards which are related to usability evaluation indices, usability evaluation areas and indices were analyzed. Third, in order to establish and verify evaluation areas and indic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evaluation,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evaluation indices with 4 evaluation areas and 45 detailed items were derived. Derived evaluation indices was made in the form of checklist and will be utilized for heuristic evaluation by usability experts.

      • KCI등재

        멀티미디어 수화 콘텐츠의 Semantic Logic 플랫폼 연구

        정회준(Hoe-Jun Jung),박대우(Dea-Woo Park),한경돈(Kyung-Don Ha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0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수화 콘텐츠가 청각장애인의 수화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수화교육에서 사용되는 대부분 콘텐츠는 한글단어에 대한 수화표현을 수화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내용이다. 수화를 처음 배우거나, 수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수화특성을 이해하기 어렵고, 수화표현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에서 수화표현을 학습하기 위해서 수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참고하고, Semantic Logic을 적용한 멀티미디어 동영상기반의 수화 콘텐츠 모형에 대한 플랫폼 설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broadband multimedia content, a deaf sign language sign language is being used in education. Most of the content used in sign language training for Hangul word representation of sign language is sign language videos for the show. For the first time to learn sign language, sign language users are unfamiliar with the sign language characteristics difficult to understand, difficult to express the sign is displayed. In this paper, online, learning sign language to express the sign with reference to the attributes, Semantic Logic applying the sign language of multimedia content model for video-based platform is designed to study.

      • KCI등재

        지하철 실시간 운행정보 콘텐츠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정회준(Jung, Hoe Jun),고영준(Ko, Young J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지하철 승강장 및 열차내부에서 운행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실시간 디스플레이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열차의 위치 및 도착 정보 등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식 표지판이지만 각 호선마다 일관성 없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하드웨어는 고 사양으로 개선되었지만,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운행정보는 단순한 문자 및 문장위주의 표현에 머물고 있어 정보의 시인성이 미약하다. 국내 지하철 시설물에 대한 가이드라인에도 실시간 운행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UD) 측면에서 운행정보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위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를 위해 호선별 운행정보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선행연구 통해 지하철 안내사인의 UD 기준과 디자인 원칙, 교통약자의 고려사항을 조사하였고, 발단된 일본 전철의 사례를 통해 운행정보의 시인성을 향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승강장 및 열차내 운행정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장소에 따른 정보의 위계와 위계를 반영한 화면구조 및 크기가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고령자 및 색약자, 외국인 등 다양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이용자 중심의 콘텐츠 구성과 디자인 표현이 필요하다. 셋째, 하드웨어의 특징과 소프트웨어에 해당되는 콘텐츠 구조 및 디자인 등 균형 있는 개선이 이루어져야 실시간 운행정보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교통 및 공공공간에서 불특정한 이용자에게 일관적인 실시간 운행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합적인 운행정보 디자인체계와 가이드라인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al-time displays are rapidly increasing to display the operating information on subway platforms and the inside of trains. It is an electronic sign that provides the same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arrival information of a train, but is displayed in various ways inconsistently for each line. The hardware has been improved to high specification, but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user remains in the expression of simple character and sentence oriented, and the signal legibility of the information is weak. Since the guidelines for domestic subway facilities do not have no specific standards for real-time operating information, the basic research for operating information design guidelin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UD) is needed. For the study,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ng information for each line were identified and related problems were diagnos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UD criteria, design principles and the consideration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of subway guiding signs were investigated and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signal legibility of operating information could be derived through the case of Japanese train system. As a result of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ng information on subway platforms and the inside of trains, the hierarchy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 screen structure and size reflecting the hierarchy should be consistently applied, the user-centered content structure and design expression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users such as elderly people, color-blind people and foreigners. The improvement of the hardware feature, the content structure and Design as the software feature must be balance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real-time operating inform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operating information design system and guidelines to provide consistent real-time operating information services to unspecified users in traffic and public spaces.

      • KCI등재

        On/Off-Line 연계 학습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연구 - 3D 그래픽 학습 콘텐츠를 대상으로 -

        정회준 ( Jung Hoe-j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5 No.-

        본 연구에서는 Off-Line(강의실)의 수업자료와 On-Line 콘텐츠가 연계되어서 이러닝 콘텐츠로서 역할을 하고, On-Line에서 3D 그래픽 학습콘텐츠 사례를 참고해서 교과목 특성에 부합되게 이러닝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단순히 3D 그래픽 작업기법을 교육시키는 주입식 Off-Line 교육과 수업자료만 게시하는 On-Line 단순 공유방식에서 On/Off-Line 콘텐츠의 연계를 통해 학습콘텐츠가 개선되고, 재교육을 지원한다. 학생들 스스로 관련정보를 찾고 관련된 정보에 접근해서 작업에 활용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습득해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web 2.0 인터넷 환경에서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자가 On/Off-Line공간에서 참여, 공유를 할 수 있는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 콘텐츠를 설계해서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In this study, E-learning contents, which linked between off-line resources and on-line contents, were designed by referencing 3D graphics learning contents and customizing to coincide for each class. E-learning contents support retraining and improving teaching materials by changing from previous education methods which cramming off-line education and noticing lecture materials to connecting Off-line contents and On-line contents. Learners could solve their problems to search and access information which related to their works. The purpose is improving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designing learner-centered E-learning contents, which make professors and students to participate and share their class activities on Web 2.0 Internet environments.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원격교육지원 콘텐츠 연구

        한경돈(Han, Kyong Don),정회준(Jung, Hoe J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0 No.-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지식정보화사회로 발전하면서 개인과 사회, 국가 전체가 정보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소외 계층은 정보통신에 대한 접근성이 어려워 정보서비스에서 외면당하고 있다. 저 출산,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우리사회에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고령인구의 증가와 장애인구의 증가하고 있기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으로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인터넷 공간에서 균등한 정보제공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정보 교육지원를 준비해야한다. 효율적인 교육지원을 위하여 기존의 교육환경에서는 다른 환경과 시장애인 위한 지원을 통해 동일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원격지원 교육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각장애학생이 교육현장에 필요한 점역사와 수업 보조공학장비등의 부족한 현실에서 시간, 공간, 인적,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중심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 설계를 통한 원격지원 포탈서비스를 구축하고 사용자와 강의자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DB(Database)화 하여 활용함으로서 소외계층에 대한 정보격차감소를 할 수 있는 원격교육지원 서비스 관한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Disability student limit many kinds of life conditions in their education environments because they dep end on individual mental, physical, and mental abilities when they dedicate on their studies. Especially, blind people cannot read their text books and seldom use visual materials, so if they do not use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supports; for example, transforming of voice or sound systems to visual systems, the blind people are not able to get some information. Therefore, they need to have distance educ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in the fast internet and developed computer programs. In fact, many blind people seldom accept some systematical information if it does not transfer from visual information to sound material systems. In order to discover and handle some problems of education systems of blind people, this study analyzes data bases and collects many cases of studies in web-sites and computer home pages. For effective results and solving the problems, this project makes distance education support of portal site for blind people. Through analyz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the UI(User Interface) for helping voice system, checking web data bases, and supporting some programs for blind people are easy to have some information. Also, it is helpful to disable people to overcome so me information gaps and is able to take various contents in the interactive on-line commun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