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 불교서사의 성격

        정환국(Jung, Hwan Kuk)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이 글은 베트남의 전통 불교서사물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일견해 본 것이다. 역사적으로 베트남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장구한 불교사회를 구현한 바 있다. 그에 따른 불교서사가 적지 않아 다양한 자료에 산재한다. 그런데 현재 남아 있는 관련 서사물은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이들 자료가 주로 유교사회로 전환하던 15세기 전후에 성립된 터라 구전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유교적인 관점에서 일정정도 훼손된 혐의마저 있어, 그 고유의 색채가 반감된 면이 없지 않다. 다음으로, 불교 소재가 베트남 고유의 神人사상과 접목되어 독특한 형태를 띠는 경우가 적지 않다. 동아시아 불교서사는 六朝시대에 형성되어 한국과 일본 등에서 초기서사의 중핵으로 자리했던 바, 그 형태는 동아시아적 공유성을 담보한다. 그런데 베트남의 불교서사는 이런 일종의 공식을 깨트리고 있다. 일단 그 내용은 고승담과 재생·환생담, 그리고 저승담 등으로 대별되며, 이는 불교서사의 일반적인 유형들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 불교적 영험은 神人사상과 도교가 혼효된 소재들과 결합하고 지역적 특성과 맞물리면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요컨대 불교 영험서사로서의 고유한 형태인 ‘구원’의 메시지로만 기능하지 않았다. 오히려 원한과 복수 등을 매개로 징치나 해원 따위에 관심이 많다. 무엇보다 현실의 상황 앞에서 자연스러운 인간의 반응들이 불교를 매개로 잘 드러나는 형국이다. 그런 점에서 현세이익적이다. 그러면서도 있는 그대로의 시선에 충실하다는 점에서 감성적이면서도 원초적이다. 이런 서사에서의 불력은 대자비와 대광명의 세계에 대한 메시아로서만 기능하지 않는다. 그 이유야 어쨌든 이념적으로 덜 분식된 이야기, 결국 이것이 베트남 불교서사만의 고유한 성격으로 봐도 무방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raditional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and investigated its characters. Historically, Vietnam has realized Buddhist society for the longest period in East Asia. Therefore, it has a lot of Buddhist narratives and those exist as various types of materials. Remaining narratives related with Buddhism have some characters as follows: First, it has a strong character of oral tradition, because most of these materials were formed around the 15th century when Vietnam changed into the Confucian society. In addition, as there is a suspicion of damaging a certain amount of materials on Confucian point of view, it seems like it marred its own color. Next, it often has a character that Buddhist materials grafted onto the Vietnamese own God-man idea and have a unique form. In general, East Asia’s Buddhist narrative has East Asian co-ownership in terms of its form, as formed in the Six Dynasties of China and held the central place of the early narrative in Korea and Japan.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however, is breaking this existing formula. Basically, in terms of its content, it simply shows general types of Buddhist narrative such as stories of high priests, rebirth and reincarnation, and afterlife. But if we deeply look into it, Buddhist divine effect combine with materials that Vietnamese own God-man idea was mixed with Taoism and engage with its regional features to make a considerable change. To sum up, it didn’t function only as the ‘salvation’ message that is a unique character of the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It rather has a lot of concern for functions such as discipline or retaliation one’s spite by the medium of grudge or revenge. After all, men’s natural responses are exposed in the realistic situation by a medium of Buddhism. It is unspiritual and for-profit, in that regard. And it could be seen as emotional and primitive at the same time in that it is faithful to its own eyes. This means that the power of Buddha in the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didn’t function only as the Messiah of the great merciful and brilliant world. Whatever the reason, the fact it is a story which is less divided into ideologically can be a unique character of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 KCI등재

        불교 영험서사의 전통과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정환국 ( Hwan Kuk J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이 글은 불교의 동아시아 동점 과정에서 형성된 영험기의 전통을 개괄하고, 『法華靈驗傳』의 집험기적 성격을 통해서 영험기의 해동에서의 전승/향유 양상을 일별한 것이다. 이는 초기 서사문학사에서 불교 영험기, 즉 영험서사의 서사적 의의를 규명하기 위한 예비작업에 해당한다. 後漢 무렵에 본격적으로 전래된 불교는 이후 중국 및 동아시아 세계의 사상과 문화를 재편시켰던 바, 문학 방면에서의 첫 사례가 高僧傳과 靈驗記였다. 이 중 영험기는 魏晉 시기에 성립되어 唐宋을 거치면서 소재와 내용을 다양화하면서 고유한 서사 양식으로 정착하였다. 이 영험서사는 동아시아 초기서사에서 독자적 위상을 선취한 예다. 이런 영험서사의 전통은 향후 불교의 전파에 따라 주변국가에도 자연스레 성립되었다. ``해동``은 기실 6,7세기 백제에서 영험서사가 형성된 사례가 확인되나 초기에는 중국의 영험기를 채록하는 수준이었다. 이것이 7세기 후반의 『法華經集驗記』이다. 그러다가 고려시대에 오면 본격적인 해동의 영험전이 등장하는 데, 『海東法華傳弘錄』이다. 이 영험기는 『해동고승전』과 『삼국유사』라는 대표적인 불교서사물과 함께 13세기 불교서사의 축적 양상을 규명하는데 긴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이 책은 현존하지 않는데, 바로 『法華靈驗傳』에 그 잔편이 수록되어 그나마 13세기 불교서사의 밑그림을 그리기에 유용해졌다. 『법화영험전』은 또한 당송대까지의 많은 영험서사의 자료들을 선별적으로 수록함으로써 集驗記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 자료이기도 하다. 요컨대 『법화영험전』은 고려시대 영험서사의 전승과 향유의 일단을 응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교 영험서사의 전통을 새롭게 음미하여 傳奇 위주로 재단되어 온 초기서사의 양상을 재고하는데 관건이 되는 영험기이다. This study outlined tradition of the tale of divine effect formed in the course of spreading and establishment of Buddhism in the East Asian culture. And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Beophwa Yeongheom-jeon(法華靈驗傳)> as collected works of the tale of divine effect which was spreaded and enjoyed in our country were investigated. This refers to a preliminary work for exploring narrative meaning of the Buddhist tale of divine effect in the Early narrative literary history, that is, the narrative of divine effect. After Buddhism was actively spreaded around the Later Han, Buddhism reorganized thoughts and culture in the China and East Asia. The first examples in the field of literature were the tale of the Great Monk and the tale of divine effect. Especially, the tale of divine effect was formed in the period of the Wei and the Qin dynasty. As its material and content were varied until Tang and Song dynasty, this was established as a unique narrative style. This is also an example which first got unique status in the Early narrative history of East Asia. The tradition of such divine effect narrative was natural phenomenon according to spreading of Buddhism and later such tradition was formed in the surrounding countries. The first formation of divine effect narrative in Korea is identified in the sixth or seventh century in Baekje dynasty. This is the <Beophwakyeong_jipheomgi(法華經集驗記)> in the later seventh century. This shows the level of extracting Chinese tales of divine effect. Entering Goryeo dynasty, the tale of divine effect of ``Haedong(海東)`` actively appeared. There was the <Haedong_ Beophwajeonhongrok(海東法華傳弘錄)>. This book is important material to explore aspect of accumulation of Buddhist narrative in the 13th century with representative books such as <Haedonggoseungjeon(海東高僧傳> and <Samgukyusa(三國遺事)> But this book is not extant. Only its parts are now shown on <BeophwaYeongheom-jeon(法華靈驗傳)>. This makes it possible to draw rough sketch of Buddhist narrative in the 13th century. Besides, <BeophwaYeongheom-jeon(法華靈驗傳)> fully shows aspect as a collected tales of divine effect because this book selectively included many materials of divine effect stories for the period until Tang and Song dynasty. In conclusion, <Beophwa Yeongheom-jeon(法華靈驗傳)> condenses part of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in Goryeo dynasty. Through this, tradition of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can be newly appreciated. This could be an interesting outcome with which aspects of Early narrative in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Jeon_gi(傳奇)``.

      • KCI등재

        李鈺에게 있어서 "여성" -여성 소재 글쓰기의 성격에 대하여-

        정환국 ( Hwan Kuk Ju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이 논문은 문인 李鈺(1760∼1815)의 여성을 소재로 한 글쓰기의 성격을 밝힌 것이다. 이옥의 여성 소재 글쓰기가 당대 다른 문인들보다 압도적이라는 점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그 동안 ‘여성정감’의 차원에서 『俚諺』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대개 남다른 개성의 발현이자 당대 문단의 새로운 국면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옥이 이언 뿐만 아니라 기타 산문 등 다양한 글쓰기 영역에서 여성을 복합적인 대상으로 응시함으로써 착잡한 시선을 투과시킨 점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요컨대 그 동안 연구에서는 이옥의 여성을 바라보는 지점이 너무 일률적이었다. 실제로 이옥은 이언 등의 한시는 물론, 『鳳城文餘』따위의 소품 산문, 그리고 傳이나 記文등 그의 글 전 영역에 걸쳐 여성을 前面에 배치하였다. 하지만 여기 등장하는 여성은 하나의 像이 아니다. 풍속과 세태 속에서 人情의 척도로 원용하는가 하면, 眞情의 주체로 추어 올렸다가는 어느새 불손한 대상으로 폄하하기도 한다. 심지어 남성 중심의 불편한 사회에서 여성의 희생을 통해 조화로운 정리를 꾀하려는 불손한 의도마저 드러난다. 하지만 이런 층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애정 소재 등에서는 여성을 내세워 진정한 만남의 난망함과 불가피한 인간의 운명을 논란한다. <北關妓夜哭論>과 <沈生傳> 등이 특히 그렇다. 이처럼 이옥의 글에서 다루어진 여성은 일률적인 모습이 아니라 복잡하며, 다소 착종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작자 이옥의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과 조응하고 있거니와, 그것이 자아정체성의 착잡한 뭉치로 類比되어 드러난 셈이다. 따라서 이옥에게 여성은 경우에 따라 ‘불손한 타자’이기도 했고, 필요에 따라 자신의 흔들리는 슬픈 자아의 한 모습이기도 했다. This study figured out the character of writing with material of woman among texts by a writer Lee Ok. It is well known that Lee Ok often wrote with material of woman far more than other writers. In this regard, studies until now have been proceeded with centered on a poem 『Yieon(俚諺)』 in the dimension of ‘woman sentiment’. The results mostly were understood as revelation of peculiar personality and a new aspect of contemporary literary circle. But Lee Ok dealt with woman, staring at woman as a complex object with complicated eyes in various writing areas such as 『Yieon(俚諺)』 as well as prose etc. Nonetheless, active discussion about this has not been made. In short, studies until now have a limitation that a point to see woman for Lee Ok was too uniform. Actually, Lee Ok arranged woman in front in writings of all categories such as Chinese poem like 『Yieon(俚諺)』 as well as short prose like Bongseongmunyeo, and Jeon(傳) or Gimun(記文) etc. However, woman appeared here is not one image. Woman shows these images_ a case used as a scale of humanity in the midst of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a case where woman is highly regarded as a subject of true sentiment; on the contrary, a case where woman is depreciated as an arrogant object; as the extreme case, even arrogant intention to aim at harmonious arrangement through woman`s sacrifice in that society of man oriented is revealed. Furthermore, there is another stratum. The writing dealing with affection shows difficulty of true meeting and unavoidable human destiny through woman. ``Bukgwangiyagokron`` and ``SimsaengJeon`` are especially so. Thus, woman shown on writings of Lee Ok is not uniform but complicated, and appears somewhat mixed without consistency. Such appearance corresponds to eyes with which Lee Ok sees human and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appearance discloses, being compared to each other as complicated bundle of self-identity. Accordingly, woman to Lee Ok was sometimes ‘arrogant others’, or according to necessity, reflected his own trembling sad self.

      • 16세기 말 17세기 초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본 <雲英傳>

        Jung Hwan kuk(鄭煥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7

        Woonyoungjeon was approximately written in the late 16th or the early 17th century, the unprecedented upheaval of East Asia. In this period, the current of thought and literature was changing as rapidly as society. Woonyoungjeon deserved to be mentioned as the most problematic work of this period. I tried to trace what kind of basis of thought Woonyoungjeon was written on. In order to study this, I reviewed the text and looked into the stream of thought and change of literature from the lat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relying on textual and socio-historical survey of the work. First, I paid attention to introduction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spreading of it during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t was unexpectedly wide-spread although it was derived from change of the existing doctrines of Chu-tzu. In addition to change of the stream of thought,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field of literature as well: the style of Tang poetry a la mode. Woonyoungjeon reflects this change of thought and literature pretty well. The more Woonyoung was falling in love, the more she got to be self-conscious, and her love made her breakthrough unavoidable wall of reality. It was an affirmation for sensual desire. Nevertheless, she committed suicide. She even pacified Anpyungdaegoon's anger, but she got frustrated by the hard reality of what is called 'society' surrounding her. This critical issue of Woonyoungjeon is no more than a doubt on Confucian ideology. Until now there had not been such a chuanchi showing a drastic skepticism like this. It cannot be explained without thinking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creased gradually in those days. Through Woonyoungjeon we can see combination between the vogue of the style of Tang poetry(which affirmed human nature) and thinking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which came to an affirmation for sensual desire from intuitive knowledge). For the first time, I essayed this viewpoint. I think,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pecific inspection in the level of history of literature and thought. <雲英傳>은 16세기 말 17세기 초 동아시아 초유의 격변기에 창작된 작품이다. 이 시기는 사회의 격변만큼 사상적ㆍ문예적인 방면도 매우 도전적인 변화가 진행되었다. <운영전>은 바로 이런 격변의 시기의 가장 문제적인 작품으로 상정될 만 하다.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작품내외적 연구를 참고하되, 작품에 대한 다시 읽기와 16세기 후반 17세기 초 사상의 흐름과 文風의 변화를 통해서 <운영전>이 과연 어떤 사상사적 기반 위에서 탄생했던가 하는 점을 추적해 보았다. 우선 이 시기 사상사의 흐름에서 주목한 것은 16세기 전반에 소개된 陽明學의 도입과 전란 시기 전후 양명학의 확산이다. 이는 기존 주자학의 변화 와중에 파생된 것이지만, 의외로 빠른 속도로 조선에 퍼지고 있었다. 이런 사상사의 변화와 아울러 문예 분야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던 바, 唐詩風의 유행이 그 대표적이다. <운영전>은 이런 사상과 문풍의 변화를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다. 雲英이 사랑을 키워가면서 점점 자의식을 가지게 되고, 그 사랑은 불가능의 현실을 박차게 한다. 그것은 '情慾의 긍정'이었다. 그러나 결국 자결하고 만다. 安平大君의 진노도 누그러뜨렸으나, 그 뒤에 둘러쳐진 '사회'라는 엄연한 현실에 좌절하고 만 것이다. <운영전>의 이같은 문제의식은 유교 이데올로기에 대한 회의에 다름 아니다. 지금까지 이런 근본적인 회의를 보여준 전기소설은 따로 없었다. 이 시기에 점증하던 양명학적 사유가 반영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다. 성정을 긍정하는 당시풍의 만연과 '良知'를 미루어 정욕의 긍정에 이르게 되는 양명학적 사유의 결합이 <운영전>에서 간취된다. 본고는 이 점을 시론적으로 개진한 것이다. 앞으로 이는 문예사, 사상사 차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와 한국 초기서사의 환상성 -지괴,영험서사의 경우-

        정환국 ( Hwan Kuk Jung ) 우리한문학회 2015 漢文學報 Vol.32 No.-

        이 글은 한국 환상문학의 성격을 그 역사적 소종래를 통해 자기 정체성의 산물로써 위치 짓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서사의 환상 지표와 환상성에 주목한 것이다 이는 그동안 서구 환상이론에 입각하여 논의되던연구 환경을 넘어 고전문학의 고유한 환상 성격을 정립하기 위한 첫 도정 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들을 일괄하였다. 가장 이른 시기부터 관심을 두었던 대상은 귀신과 요괴 따위였는데, 이런 비일상적인 소재들은 차제에 구체적인 환상서사를 구현해낸다는 점에서 주요 지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한 초창기 논란은 이것들의 실재성 여부였으며, 이런 대상에 대한 인간 인식의 문제에까지 확장하는 경향을 띠었다. 그러다가 육조시대에 정착한 도교와 불교는 ``神仙``과 ``觀音``이라는 새로운 을 창안하기에 이른다 이런 소재가 꿈 과 변신 모티프와 어울림으로써 仙界``와 ``冥界``라는 이계의 변주가 정립되었다. 이것이 육조의 지괴 서사로, 동아시아 환상문학의 서막이기도 했다. 이 환상 지표들은 우리의 초기서사, 즉 『殊異傳』과『三國遺事』 등에 그대로 이어져 초기 한국 환상문학을 형성하였다. 『수이전』 일문의 경우 ``神術``, ``暴死``, ``變身`` 등의 변괴 소재가 개별 작품들에 산포되는 형식으로 나타나는데, 다만 기속적 무속적 생사관이 불교적 영험세계와 함께 뒤섞인채 미분화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런 소재는 『삼국유사』 에 와서 좀 더 정련된 서사체계 속에서 구조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불가의 영험담이 전편에 구축된 삼국유사 는 승려는 물론 일반 민인들의 불가의 영험 주체들에 의한 환상적 체험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 골격 안에 특정한 소재-변신이나 꿈, 또는 이계와 이물, 귀신 소재 등-가 『수이전』 처럼 즉자적으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 좀 더 복잡한 단계를 거쳐서 집적된 양태를 띤다. 이를 요약하 자면, 환상 소재들이 『수이전』 에선 스틸컷(still cut)처럼 각인되는 반면, 삼국유사 에선 파노라마(panorama)의 형태로 구축되는 형국이다. 당연히 그에 따른 환상적 이미지와 미감의 차이를 예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우리의 경우 초기 환상담은 불교 영험류가 압도적이고 도교 쪽의 것은 거의 없는 편이다. 말하자면 불교 영험서사와 그 환상적 세계를 통해서 당대인의 욕망이 집적되었음을 확인케 한다. 그러나 이런 소재와 관련 작품들은 불가의 수혜성이 강조된 나머지 진정한 일반 민인들의 환상적 욕망의 결과물로 이해되지 않는다. 이것이 어쩌면 불교사회였던 시대의 至難했던 현실에 대한 집단적, 개인적 위무일 수도 있었겠지만, 반대로 하층의 욕망이 거세된 지배 욕망이 만들어낸 허상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 초기서사와 그 환상성의 문제는 같은 시기에 출현한 유가 문인지식인들의 인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 『崔致遠』같은 傳奇敍事까지 함께 다뤄진다면 좀 더 뚜렷한 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indicator of fantasy and the aspect of fantasy in Korean early narrative. This is a part of research to understa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fantasy literature has been continued from the historical root as a product of self identity. This attempt is also a first journey to establish the unique fantasy character of our classical literature by going beyond the research environment that had been discussed based on western fantasy theory. For this, this research firstly bundled up the indicators of East Asian illusion. The objects that were paid attention to since the earliest period were ghost, monster, etc., which materials were the major indicators in respect that they gradually realized concrete fantasy narration. At first, there was a dispute from whether of substantiality of these fantasy indicators to the problem of human awareness on the objects. While doing so, Taoism and Buddhism that were established during Six Dynasties created a new fantasy objects(幻物), i.e. ``Taoist hermit(神仙)`` and ``Avalokitesvara (觀音)``. These were reestablished as the variation of different world(異界), namely ``Taoist hermit``s world(仙界)`` and ``afterlife(冥界)``, being harmonized with the motif of ``dream`` and ``transformation``. This was the short strange narrative of Six Dynasties, the prelude of East Asian fantasy literature. These fantasy indicators also have formed early Korean fantasy literature by being continued to Korean early narrative, i.e. Suijeon and Samgukyusa. In the case of Suijeon, extraordinary materials such as ``Taoist magic(神術)``, ``Tragical sudden death(暴死)``, ``Transformation(變身)``, etc. appear sporadically in each work. However,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shamanism is showing undifferentiated state by being mixed with Buddhist miracle world. This material shows a structured tendency in a more refined narrative system in Samgukyusa. This is established the whole story with Buddhist divine effect tale and enables common people as well as Buddhist monks to experience fantasy by the miracle subjects of Buddhism, e.g. Avalokitesvara and God(天帝). In this framework, specific materials -transformation, dream, different world, other material, and ghost, etc.- show integrated aspect through more complex stages. To sum up, fantasy materials were carved as a still cut in Suijeon by literally realizing fantasy materials, they were established in a panorama shape in Samgukyusa. Naturally, The differences of fantasy image and sense of beauty along with it could be expected. However, in case of Korean early fantasy story,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is prevalent, with almost no Taoism narrative.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desires of people of that time were integrated through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and its fantasy world. but these works are not always the output of fantastic desire of common people, as the result of emphasizing the benefit of Buddhism. This could be probably the collective and personal expression of comfort against very hard reality of that time, which was a Buddhist society, on the contrary, a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either, that it could be an illusion that the desire of upper class created by eliminating the desire of the lower class. The fantasy of early Korean narrative could be established with more distinct image when it is treated along with jeongiseosa (傳奇敍事) such as Choichiwon(崔致遠) appeared in the same period which can be said to be an unity of Confucian literary intellectuals`` awarenes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초기한문학에서의 전기(傳奇) - 「최치원(崔致遠)」의 경우

        정환국 ( Jung Hwan-kuk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이 글은 한국 초기한문학에서의 傳奇의 성격과 역할을 따져 본 것이다. 그 대상은 「崔致遠」이다. 그동안 나말여초 전기는 주로 소설사에서만 다루어져 왔고, 한문학 일반과는 별개의 대상인 양 취급되어 왔다. 하지만 전기의 성립 자체가 唐代 한시문의 혁명인 근체시, 고문운동과 궤를 같이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한문학과 애초 분리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전기는 한문학의 범주 안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확장성을 담보하는 대상이었다. 그럼에도 한국 초기한문학의 경우 자료의 존재 양태가 불안정한 데다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보니 대개 한시 위주로 재단되어 왔다. 이런 현실에서 나말여초 전기 작품인 「최치원」을 포함시켜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최치원」은 산문과 운문을 교직하여 주인공의 내면심리와 서사의 흐름을 일신한 새로운 서사 장르였다. 특히 한시의 비중이 절대적인 작품이다. 당대 유행하던 근체시를 적극 활용하여 남녀 주인공의 교감을 극대화하는 한편 가행체 장편시를 마지막에 배치하여 전체 서사를 갈음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주인공들이 화답한 염정시편과 전체의 서사를 통관하는 장편시는 이 시기 일반 한문학에서는 볼 수 없는 한시분야의 새 국면이었다. 내용면에서도 주인공들이 추구한 지기에의 욕망은 당대 소수의 유가지식인, 다시 말해 초기한문학의 창작 주체들의 세계관적 기저와 맞닿아 있었다. 이 외에도 일반 한문학에서 원용되는 經史 典故와 그 연원이 다른 이야기(서사) 전고가 이 작품에서 시작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전고의 활용은 한문학 글쓰기에서 중요한 요소였던바, 일반 전고와는 다른 서사 전고의 출현은 이 시기 한문학의 또 다른 면모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최치원」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한국 초기한문학의 지평을 확장시킨 작품으로, 초기한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을 조정시킬 대상임이 분명하다. 향후 한문학사의 구도에서도 한시문과 한문서사를 함께 보는 안목이 필요한 이유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s of Jeon-gi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The main subject is Choi Chiwon. Jeon-gi written in the period of Late Shilla-Early Corea has been recognized as a separate subject from the Sino-Korean literature while it being discussed merely in the history of novel until today. However, Jeon-gi could not be separated from Sino-Korean literature since it shares the ideas of the lineage of classical Chinese verse and the Movement of Ancient Chinese Prose in the Tang era. Thus, Jeon-gi is a subject that requires more attention besides the fact that it needs t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Sino-Korean literature. Moreover, the insufficiency of material has led the examination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being focused mostly on Han-si(漢詩). Under these circumstances, including Choi Chiwon would change the paradigm. Choi Chiwon opened a new genre that had interwoven prose and poetry to create a meaningful change in the narr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main character. Han-si had been given the absolute role in the piece. The author had efficiently utilized the trending verses to maximi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while placing a long Cursive Song poem at the end of the piece to replace the whole narration. The harmonious poetry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 long Cursive Song poem had opened a new phase in the field of Han-si. Further more, the desire to find a soul-mate was adjoining with the thoughts of the authors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The use of literary quotations[典故] from Confucian Classics and Shi-ji(史記) had also started with the piece. The utilization had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ituent in writing Sino-Korean literature as well. In conclusion, Choi Chiwon needs to be recognized as the piece that had widened the area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and also a piece that has an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it.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poetry and the prose need to be discussed at the same level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 KCI등재

        18세기 후반 한문단편의 성격 -한문단편의 세속화적 경향과 관련하여-

        정환국 ( Jung Hwan-kuk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4 No.-

        이 글은 18세기 후반에 출현한 한문단편의 성격을 세속화적 경향이란 차원에서 분석한 것이다. 현재 야담문학은 이본을 포함한 새 자료의 발굴과 찬자 확정 등의 성과에 힘입어 새로운 연구 환경을 맞고 있다. 특히 18세기 중후반의 면모가 주목되고 있는데, 이는 본격적인 한문단편의 성립과도 맞물려 있는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왕의 문제제기가 있었던 이 시기 한문단편의 성격을 새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주목한 것은 ‘出仕’와 ‘致富’라는 코드이다. 두 코드는 당대의 보편적 욕망의 양면이라 하겠는데, 이와 관련하여 먼저 惡漢 등의 등장에 착목하였다. 이들의 행위와 서사의 향방이 사회제도 안에서 수렴되지 못하고 개인 간의 힘이나 기지로 해결되는 점을 따져 본 것이다. 또한 ‘복수’나 ‘정욕’ 같은 소재들이 빈번한 점도 논란하였다. 이는 이 시기 한문단편 속 인물들의 세속화된 지점들을 탐색하기 위한 일환이었다. 이런 인물들의 출현과 좌절은 당대의 이데올로기로 포섭되지 못한 결과였다. 이런 결과는 당해 있는 인물들이 세속적인 욕망을 추구하는 과정의 산물이라는 점을 주목한 것이다. 한편 이 시기 서사는 이런 인물들이 개인의 욕망을 위해 당대의 보편적인 추구 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 ‘출사’와 ‘치부’를 향해 질주하는 과정에서 하층과 상층이 서로 얽히고설키게 되었거니와, 동시에 제도나 윤리가 뒤흔들리는 정황을 목도하게 된다. 여기서 신분과 재화가 일정정도 교환되거나 공유되는 현상까지 드러나고 있었다. 이런 세속적인 인물의 출현과 사회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기존의 계급질서를 흩트리며 제한적이나마 계층사회로 옮아가는 면모로 이해된다. 앞으로 이후 시기 한문단편까지 포괄하여 이 현상을 추가적으로 논의한다면 이 분야 연구의 신경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This is an analysis of the secularized short stories written in Hanmun appeared in late 18th century. Today, Yadam literature is facing a new research environment with the discovery of new materials and authentic author. Due to standardization of Hanmun short story in 18th century, this period is drawing scholars’ attention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s short stories in a perspective of enter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enriching oneself in fortune. This study discusses some notable facts of the appearance of villain and their action or the direction of the story are not collected in the social system but it is shown that the problems are solved by an individual’s wits or strength. And the fact that the theme of ‘revenge’ or ‘lust’ is common in this period’s short stories is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The appearance of villainous characters and their failure are a consequence of their maladaptation to the ideology. The narration of this period faces the confusion of social system or ethics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pursuing the same objective - entering into the government service or becoming rich. The status and goods are sometimes exchanged or shared in the process.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secular character and the change of society interrupted the original form of social class and worked as a footstep moving onto a stratified societ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investigation of this phenomenon shown in more short stories would expand our vision of approaching the Hanmun short stories of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