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rease 시험법의 양성 반응과 연령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정혜성 ( Hae Sung Jung ),서지현 ( Ji Hyoun Seo ),김은아 ( Eun A Kim ),전진수 ( Jin Su Jun ),박지희 ( Ji Hoe Park ),임재영 ( Jae Young Yim ),유향옥 ( Hyang Ok Woo ),윤희상 ( Hee Shang Youn ),고경혁 ( Gyung Hyuck Ko ),백승철 ( Seung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진단의 여러 가지 방법 중 내시경을 통한 위생검조직을 이용하여 urease 시험법은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결과 판정 시 객관적인 동시에 민감도와 특이도에 있어서도 좋은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저자들은 위내시경적 생검조직을 이용한 urease 시험법의 양성 반응이 일어나는 시간과 연령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1996년 3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

      • SCOPUSKCI등재

        소아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방법 변화에 대한 고찰

        김점수,양정수,정혜성,이민혜,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Kim, Jum Su,Yang, Jung Soo,Jung, Hae Sung,Lee, Min Hye,Park, Chan-Hoo,Choi, Myoung Bum,Woo, Hyang-Ok,Youn, Hee-Sha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4

        목 적 :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의 최근 경향과 내시경적 적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소아에서 유연형 내시경을 통한 식도 이물 제거술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987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14년 6개월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와 이비인후과에서 식도 이물로 진단하여 유연형 내시경과 강직형 내시경으로 치료하였던 1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는 소아과에서 Olympus사의 XP-20, XQ-240과 Pentax사의 2731와 다양한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전신마취나 midazolam이나 diazepam 등의 약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결 과 : 1) 연도별 분포 : 1998년까지는 이물의 제거에 강직형 내시경이나 유연형 내시경이 비슷하게 이용되어 왔다. 1999년 이후부터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 연령별, 성별 분포 :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4례(6%)였고, 1-5세의 경우 43례(65.1%), 5-10세의 경우 17례(25.7%), 10-15세의 경우 2례(3.2 %)로 총 66례였다.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8례(13.5%), 1-5세는 42례(68.8%), 5-10세는 7례(11.5%), 10-15세는 4례(6.6%)로 총 61례였다. 두 경우 모두 1-5세가 호발 연령이었다. 남녀 비를 보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 1.64 : 1이었고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는 1.13:1로 남아에서 다소 많았다. 3) 이물의 종류, 증상, 제거까지 걸린 시간 및 합병증 : 이물의 종류로는 유연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는 54례, 강직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 42례로 동전이 제일 많았고 임상 증상은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무증상이, 강직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연하 곤란이 제일 많았다. 식도 이물을 제거까지 걸린 시간은 대부분 이물을 삼킨 후 24시간 이내였다(108례, 85%). 24시간 이후에 이물을 제거 한 경우는 병원에 늦게 온 경우이며 17례(5%)였다. 이중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11례로 미란이 7례, 궤양소견을 보인 1례, 출혈 2례, 천공 소견을 보인 1례가 있었다. 4) 동반 질환 : 동반된 질환아 있었던 8례(7.5%)였으며 식도 협착이 5례, 뇌성 마비가 3례였다. 결 론 : 본 병원에 소아 내시경실이 생긴 이후 과거 10년 동안 소아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뚜렷한 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던 강직형 내시경을 이용한 이물의 제거가 최근 2-3년 전까지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연형 내시경은 전신 마취의 불편함 없이도 쉽게 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최근 2-3년 간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식도 이물의 제거가 빈번해졌다. 앞으로도 내시경의 발달과 그 보조 기구의 발달로 인하여 전신 마취 없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이물의 제거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처음에 시도하는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atest tendency of esophageal foreign body's extraction and to obtain a consensus from recent trends of indications and techniques of flexible endoscopy of esophageal FB in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27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esophagus at Dept. of Pediatrics and Otorhinolaryng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NUH) from Jun, 1987 to July, 2001.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kinds of endoscopy : flexible endoscope(66 cases) or rigid endoscope(61 cases). Rigid endoscopy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at Dept. of Otorhinolaryngology but flexible endoscopy was performed without general anesthesia or sedative drugs(midazolam or diazepam). Results : An annual number of cases of two groups were similar from 1991 to 1998. But from 1999, flexible endoscopy was performed actively. Asymptomatic case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flexible endoscopy(28 cases/66 cases) but swallowing difficultie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rigid endoscopy group(25 cases/61 cases). Other symptoms were vomiting, irritability, chest discomfort and abdominal pain. The total number of cases with underlying disease(esophageal stenosis, cerebral palsy) was 8. The total number of cases with complications (erosion, ulcer, bleeding, perforation) was 11. The above cases were not correla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55 cases(83.3%) of the flexible endoscopic group and 53 cases(86.8%) of the rigid endoscopic group, foreign bodies in the esophagus were removed within 24 hours. Conclusion : We could not find any benefit in rigid endoscopic technique. Flexible endoscopic FB removal can be performed safely and effectively in children by an experienced endoscopist.

      • 소아의 위장관 이물에 대한 고찰

        이민혜,강기수,정혜성,서지현,임재영,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Lee, Min-Rye,Kang, Ki-Su,Jung, Hae-Sung,Seo, Ji-Hyoun,Lim, Jae-Young,Park, Chan-Hoo,Choi, Myoung-Bum,Woo, Hyang-Ok,Youn, Hee-Sha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2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5 No.2

        목 적: 위 이하의 소화관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제거를 요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상부 소화관 이물로 진단 받은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있었던 경우를 자연 배출이 되었던 경우와 내시경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이물의 위치,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 걸린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이불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0~15세 소아 환아 220명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위치했던 경우 96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이물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220명 중 내원당시 위나 소장 이하의 부위에 이물이 있었던 경우는 96례였다. 호발 연령은 2~5세였으며, 남아 60명, 여아 36명이었다(남 : 녀=1.66 : 1) 무증상이였던 경우가 62례(64.5%)였고 나머지에서는 구토, 이물감, 복통, 흉통, 보챔 등의 증상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로 이물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81례(86%)였고, 이물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바륨 조영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내시경적으로 위치를 확인한 경우가 37례였다. 이물이 발견된 위치로는 위가 71례로 가장 많았으며, 소장 및 대장에서 발견되었던 경우는 25례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40%)이 가장 많았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질이 27례 있었다 치료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가 37례(38.5%)였으며, 4례에서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로 제거하였다. 55례에서 자연 배출을 기다렸다. 자연 배출을 지켜본 경우 55례 중 37례가 이불 연하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이후에서 2주 사이에 내원한 경우 위내에 이물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하였다 이물 연하의 합병증으로는 출혈, 미란, 궤양, 미세천공, 장폐색이 있었으나 빈도는 적었다. 결 론: 본 저자들은 15년 간의 위 이하의 소화관 이불 96례에 대한 고찰한 결과 소아용 위장관 내시경의 발전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나 자연배출을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제거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Foreign body swallowing is common in children. Most of foreign bodies passed upper esophagus are removed spontaneously. But recently, therapeutic endoscopy in children is widely used. In this study, we reviewed gastric foreign bodies regarding types, location, interval from swallowing, complications, and treatment or method of removal.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96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at Department of Pediatrics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NUH) from Feb 1987 to Feb 2002. Results: The peak age of patients (male=60, female=36) with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was 2 to 5 years of age. Sixty two patients (64.5%) were asymptomatic. The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gastrointestinal tract were detected by simple X-ray in eighty one patients (86.0%), barium study (1 case), and gastroduodenoscopy in 37 case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stomach (63.5%). The most common foreign body was coin (41.7%). In thirty seven cases (38.5%), foreign bodies were removed with flexible gastroduodenoscopy. Fifty four patients (56.3%) visited GNUH in 24 hours after swallowing foreign bodies. The long interval (over 24 hours) of swallowing of foreign bodies is related with high frequency of endoscopic removal. Conclusion: The flexible gastroduodenoscopy was effective in diagnosis and removal of foreign bodies. Further studies for indication and validity of endoscopic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re needed.

      • SCOPUSKCI등재

        경남 지역 가와사끼병의 역학적 조사

        양정수,조은영,정혜성,황지영,이동진,노은석,최명범,박찬후,윤희상,우향옥,Yang, Jeong Soo,Cho, Eun Young,Jung, Hae Sung,Hwang, Ji Young,Lee, Dong-Jin,No, Eun Suk,Choi, Myoung-Bum,Park, Chan-Hoo,Youn, Hee-Shang,Woo, Hyang-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가와사끼병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여러 차례의 역학조사와 임상 고찰을 통하여 원인으로 감염성 인자가 관여한다고 예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지역에서 역학 조사를 시행하여 발병 원인으로서 감염성 인자를 지지하는 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5년간 동부 경남의 울산 동강병원과 중부 경남의 마산삼성병원, 서부 경남의 진주 경상대학교병원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된 환아 7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병원에 연령, 성별, 발병일, 진단일을 적은 설문지를 보내어 연구 기간동안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된 환아의 정보를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본원에서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도별 발생자수는 1995년 151명, 1996년 140명, 1997년 134명, 1998년 136명, 1999년 156명으로 연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고, 4월과 7월에 높은 환자 발생을 보였다. 2) 동부 경남에서 연도별 환자 발생의 최고치를 보인 달은 각각 1995년에 4월과 7월, 1996년에 4월과 7월, 1997년에 7월, 1998년에 4월, 1999년에 4월과 7월로 나타났다. 3) 중부 경남에서 연도별 환자 발생의 최고치를 보인 달은 각각 1995년에 4월, 1996년에 4월, 1997년에 4월과 7월, 1998년에 7월, 1999년에 7월로 나타났다. 4) 서부 경남에서 연도별 환자 발생의 최고치를 보인 달은 각각 1995년에 11월, 1996년에 8월, 1997년에 10월, 1998년에 12월, 1999년에 11월로 나타났다. 결 론 : 동부 경남과 중부 경남은 매년 유사하게 4월과 7월에 높은 환자 발생 빈도를 보인 반면 진주 지역에서는 두 지역과 다르게 늦가을과 겨울에 환자 발생 최고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경남 지역내에서 단일 감염성 원인의 파급으로 인하여 발병 될 것이라는 가설은 검증할 수 없었으나 동부, 중부 경남에서 보인 매년 유사한 월별 발생 빈도를 볼 때 감염성 인자가 내재 되었음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볼 수 있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pidemiology of Kawasaki disease in the Kyung Nam area and to evaluate whether the results of this epidemiological study could support infectious etiology. Methods : We sent a questionnaire to three training hospitals in the Kyung Nam area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of Kawasaki disease from Jun. 1995 to Dec. 1999.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717 cases, with little differences of annual prevalence during the five years. In all cases, the monthly prevalence of Kawasaki disease was high in Apr. and Jul. At the eastern of Kyung Nam, the monthly prevalence was high in Apr. and Jul. in 1995 and 1996, Jul. in 1997, Apr. in 1998 and Apr. and Jul. in 1999. In the central area of Kyung Nam, the monthly prevalence was high in Apr. in 1995 and 1996, Apr. and Jul. in 1997 and Jul. in 1998 and 1999. In the western Kyung Nam, the monthly prevalence was high in Nov. in 1995, Aug. in 1996, Oct. in 1997, Dec. in 1998 and Nov. in 1999. Conclusion : In the eastern and central areas of Kyung Nam, the monthly prevalence of Kawasaki disease was similarly high in Apr. and Jul. However, in the western district, the prevalence was high in late fall and winter. We could not prove the hypothesis that Kawasaki disease occurred with the spread of single infectious agent, but the a nnually similar prevalence in eastern and central Kyung Nam supported the infection theory for the etiology of the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