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홈 인테리어 B2C 브랜드의 효과적인 SNS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연구

        정혜선(Chung, Hye Su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최근 급속히 성장하는 국내 홈 인테리어 산업의 기업과 개인의 거래(Business to Customer, B2C)는, 실내 건축 산업 중에서 비전문가 고객인 최종 소비자와의 소통이 상당히 중요한 분야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 홈 인테리어 산업 B2C 브랜드들의 SNS를 통한 홍보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이 산업의 잠재고객들과의 효과적인 소통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산업계에서 ‘홈 인테리어 B2C 브랜드’라고 불리는 사업 군이다. 연구 범위는, 대상 브랜드들의 대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방식 중 SNS상의 시각콘텐츠를 중심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논의⋅방향 모색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SNS 및 ‘홈 인테리어 산업 B2C브랜드’의 개념 및 동향을 서적⋅신문 기사 및 통계 자료를 참고로 고찰하였다. 또한, 이 업계에 속한 대표적인 브랜드 5사를 선별하여, 대상들의 SNS 시각 콘텐츠 활용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들은 SNS 운용 방향 및 게시물의 시각적 특성은 확연한 차이를 보이나, 대체적으로 시각 콘텐츠들이 각 플랫폼의 특징에 최적화되지 못하여 효과가 저하됨을 논의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SNS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이 분야에서 SNS를 통한 보다 효과적인 소비자와의 소통방법을 제시하였다. Home interior B2C industry, which is rapidly growing these days, is the field where non-expert consumer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customers compared to other interior and construction fields. Therefore,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matters in this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NS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of Korean home-interior B2C brands and to figure out effective ways for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customers in the industry. The target business group is so-called ‘home interior B2C brands.’ The research scope is their visual posts on social media by the target businesse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ed the target business group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in the industry and provide future directions. First,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books, news articles and statistic data to analyze the concept and current trend of social media and ‘B2C brands in the home interior industry.’ By selecting five representative brands of the industry, we analyzed and organized their utilization of visual posts on social media in a systematic way. As a result, the target businesses showed a noticeable difference from others when it comes to utilization of social medi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posts. However, a common feature was noted that their visual content was not optimized for characteristics of each social medium platfor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ir activities on social media was compromised. We also provided future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by analyzing examples of brands that utilize social media successfully.

      • KCI등재

        중세국어 의존명사 ‘줄’ 구성 연구

        정혜선(Chung, Hye-Sun) 한국어학회 2018 한국어학 Vol.80 No.-

        This paper deals with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bout the ‘jul’ construction in Middle Korean. First of all, I show that the basic meaning of ‘jul’ is status and ‘jul’ construction has meanings such as causal meaning and method according to co-occurring verbs and adnominal endings. I investigate how these meanings appear in relation to distribution. And I discuss that ‘jul’ construction has modal meanings possibility and ability due to irrealis ‘-l’. Also I explain that ‘-n/l jul’ has different functions compared to indirect interrogative forms. Finally, I reveal that ‘jul’ related to possibility is replaced by other linguistic forms but ‘jul’ related to ability isn’t replaced in Modern Korean and discuss that this phenomenon is concerned with co-occurring verbs.

      • KCI등재

        ‘ㄷ·ㅅ’ 구성의 변천 연구

        정혜선 ( Chung Hye-sun ) 한말연구학회 2017 한말연구 Vol.- No.45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 co nstruction in Middle Korean and Pre-modern Korean. And I discuss the historical change of `□` construction systematically. The basic meaning of `□` is similarity and it is related to comparison and epistemic modality. On the basis of distribution, I deal with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 in comparative, epistemic modal and other construction. `□` construction has the lexical meaning, similarity obviously in repetition construction and combining demonstrative verbs. `ㄴ/ㄹ □ □다` has the epistemic modal meaning and it is concerned with the quotation of speaker`s thought. `□ 식브다`, `-ㄴ/ㄹ □이` has the epistemic modal meaning newly and `□` construction combines idiomatic phrases and demonstrative verbs productively in Pre-modern Korean.

      • KCI등재

        ‘-고져’의 문법 기능 변화와 해석

        정혜선(Chung, Hye-sun) 형태론 2010 형태론 Vol.12 No.1

        일반적으로 중세국어 ‘-고져’는 연결어미로 다루어졌다. 이에 대해 본고는 중세국어 ‘-고져’는 연결어미의 기능뿐 아니라 종결어미의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위해 분포 유형에 따른 ‘-고져’의 의미 · 문법 기능을 확인한 뒤 종결어미로 파악되는 ‘-고져’의 예를 제시하였다. 중세국어 ‘-고져’는 고대국어 ‘*-고져’와 관련이 있는데 종결어미의 기능은 <원망>의 의미를 드러냈던 고대국어 ‘-져’에서 이어 받은 것이다. 기원적으로 종결어미였던 ‘-고져’가 새로 연결어미의 기능을 얻게 된 과정은 통시적 관점의 문법화론에서 설명 가능하다. 본고는 ‘-고져’가 연결어미의 기능을 획득하게 된 이유로 두 가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Generally ‘-kwocye’ in Middle Korean is said to be a conjunctive ending. This paper shows that ‘-kwocye’ in Middle Korean has the function as a sentence-final ending as well as a conjunctive ending. To show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semantic and grammatical function of ‘-kwocye’ according to its distributions, then gives examples of ‘-kwocye’ as a sentence-final ending. ‘-kwocye’ in Middle Korean is related to ‘*-kwocye’ in Ancient Korean, and the sentence-final function of ‘-kwocye’ takes over the function of ‘*-cye’ in Ancient Korean that has the meaning of <desire>. The process that ‘-kwocye’ has gained the conjunctive function can be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is paper presents two possible answers to why ‘-kwocye’ has attained such a conjunctive function.

      • KCI등재

        한국인의 손짓언어를 활용한 3D 제스처인터랙션 어휘연구

        정혜선(Chung, Hye Sun),김후성(Kim, Hoo S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자연스러운 인간-컴퓨터 인터랙션(Interaction) 수단의 하나로 제스처(Gesture)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통용되고 있는 몸짓언어는 직관적이고 기억이 쉬운 기호체계로서, 제스처인터랙션에 적절히 활용된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친근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디자인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수단인 일상의 몸짓언어 중 손짓을 제스처인터랙션에 보다 적극적으로 응용하기위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손짓언어를 보다 잘 활용하려면 다양한 손짓 중 제스처인터랙션에 활용하기 용이한 손짓을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인의 손짓언어를 대상으로, 제스처인터랙션에 활용하기 용이한 손짓을 선별하는 한 방법과 과정을 이해하는 목적 또한 갖는다. 몸짓언어는 한 집단의 약속된 코드(Code)이며 각 문화적, 세대적 차이로 인해 상반된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연구범위를 현 한국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손짓으로만 제한하였다. 또한 자연스러운 손짓이 활용될 수 있는, 비접촉식 3D 제스처인터랙션에 적용이 가능한 범위를 전제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첫째, 제스처인터랙션 어휘로서 몸짓언어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하고, 둘째, Top-down방식을 응용한 예비연구를 통해, 제스처인터랙션에 활용이 가능한 손짓을 선별하는 과정을 제시 및 분석하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몸짓 연구 자료에서2) 발췌한 한국인의 손짓 48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반응대상 5명이 참여한 ‘손짓-기능매치’ 및 선호도 설문에 참여한 25명의 답변을 취합하였으며, 대상 손짓들을 활용 용이성에 따라 활용이 용이한 손짓 11개, 활용 가능성이 있는 손짓 20개, 활용이 어려운 손짓으로 17개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스처인터랙션에 활용을 기대할 수 있는 31개의 손짓이미지 및 각 손짓에 매치된 예상 기능을 논문에 제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참가자들은 대부분 손짓의 모양보다는 관용적 의미와 연관하여 기능을 매치한다는 점과, 일부 손짓에 매치된 제스처명령은 선호도에 남녀차가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Gesture has been the key subject of research as a natural mean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Body language is an intuitive and easy-to-remember system of signals which, if properly used, can contribute to designing a more user-friendly interfac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hand gesture, one type of non-verbal communication means of body gesture, to be more actively used for gesture interaction. To that en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first what types of hand gesture are more appropriate to gesture interaction. In that regard, this study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method and process of finding hand gestures appropriate to be used as gesture interaction, with focus on Koreans" hand gestures. Body language is a code shared within a group of people and hence can have different meaning between groups of different cultures and generations. Given that,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hand gestures which are commonly used in Korean society today and are appropriate to non-contact 3D gesture interaction which accommodates natural hand gestures. The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ies of hand gesture as a language of gesture interaction was discussed. Second, a preliminary research with a top-down approa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and analyze the method to find out hand gestures appropriate for gesture interaction. The preliminary research assessed 48 types of hand gestures selected from the research documents on Koreans" body languages, and evaluated the result of the ‘hand gesture-function match’ survey involving five participants and the preference survey on 25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asy application to gesture interaction, the 48 hand gestur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sy to use for gesture interaction (11 hand gestures), possible to use (20) and difficult to use (17). In conclusion, 31 hand gestures which are appropriate for gesture interaction and their respective functio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s match hand gestures with functions by general meanings associated with them, rather than the shape of the hand gestures, an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ir preferred gesture-function match.

      • KCI등재
      • KCI등재

        디자인하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연구

        정혜선(Chung, Hye Su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한 국가의 GDP가 3만 불에 이르면 사람들이 자신을 둘러싼 공간에 관심을 갖는 다고 한다. 이런 반증하듯 최근 집을 꾸미는 문화가 국내에서도 확산되면서,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되고 소비자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의 ‘자신의 공간을 스스로 꾸미는 문화’ 와 ‘홈 인테리어디자인 및 연관 산업의 급속한 성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변화하는 소비환경에 대한 실내 디자인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잠재고객과 보다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및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분석 · 논의 · 결론 제시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 먼저 최근 이 산업에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한 배경을 서적 · 신문 기사 및 통계 자료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실내디자인 실무자 5인 및 잠재고객 6인을 대상으로 현재의 실내디자인 소비 환경에 대한 의견을 개별 인터뷰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의 소비자는 ‘디자인하는 소비자‘에 가깝다는 논의를 전개하고,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소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홈 인테리어디자인’은 전문가가 실시한 실내 공간 디자인 뿐 아니라 거주자가 직접 실시하는 집 꾸미기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사용 되었다. 연구는 국내의 상황만을 다루며, 특히 소비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수도권을 범위로 한다. 또한, 연구를 위해 실시된 인터뷰는 디자인 및 소비활동이 활발한 3-40대 디자이너 및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홈 인테리어디자인 및 관련 산업에 대중의 관심이 증가한 사회 · 문화적 배경 및 ‘자신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소비자’ 확산의 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이 내용을 인터뷰와 비교 · 분석하여 변화하는 소비환경을 접하고 있는 실내디자인 잠재고객과의 보다 효과적인 소통방법을 모색하였다. It is often said when per capita GDP is nearing USD 30,000 in a country, people begin to pay attention to surrounding space where they are living in. The argument seems to hold true in Korea where home interior culture is growing as more and more people decorate their living space on their own and this trend led to boosting of relevant industries and changes in customers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results of analysis on ‘the trend of designing and building space they are living in’ and factors to drive ‘growth of home interior design related industry’ and there by understand evolving customers environments and find better ways to communicate potential customers in interior design market. For the study, the scope of home interior was defined, as a subconcept of interior design and it was reviewed what were the causes of customers’ growing interest in home interior desig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was discussed and concluded that customers in current market are becoming ‘consumers who are designing themselves’ and efficient communication is required between designers and customers in the evolving consumer environments. Also, individual interview with 5 professional designers and 6 potential customers was conducted for further analysi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customers environments in big cities in Korea, expecially in Seoul and nearing metropolitan areas. The interview conducted with designers and potential customers whose age were thirty to fifty. In this study, ‘Home interior’ means the ‘space decorated by those living in the space themselves’ as well as interior design performed by professional designers. The study results presente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behind the growing interest of the public in home interior and factors of growing number of ‘people who are designing themselves’ in an organized and systemic way. The content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individual interview to seek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s with potential customers.

      • KCI등재

        [익심]의 연결어미의 변천 및 문법 ―‘-을수록’을 중심으로―

        정혜선(Chung Hye-Sun) 우리말학회 2020 우리말연구 Vol.61 No.-

        본고는 [익심]의 의미를 담당하던 연결어미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근대국어 ‘-을수록’의 문법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중세국어에서 [익심]의 의미는 ‘-도록’과 ‘-디옷’이 담당한 반면 ‘-을수록’은 17세기부터 점차 그 예가 많아진다. ‘-을수록’은 17세기 언간류에서부터 그 예가 본격적으로 확인되는데, 그 특징은 선행절은 시간이나 사유의 더해감을 나타내고 후행절은 심리적 태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을수록’은 18세기에는 언해문에서도 그 예가 확인되는데, 선행절은 ‘갈수록’, ‘오랠수록’으로 나타난다. 17, 18세기에는 이 외의 절 연결의 기능을 하는 ‘-을수록’의 예는 드물게 나타난다. 19세기 ‘-을수록’의 문법적 특징은 비교적 초기 문법 양상을 반영한 구문(ⅰ유형)과 그렇지 않은 구문(ⅱ유형)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ⅰ) 유형의 ‘갈수록’, ‘생각할수록’ 구문은 대체로 이전 시기와 유사한 문법 양상을 띠면서 후행절에서 분포가 확대된 모습을 보인다. (ⅱ)의 유형은 19세기에 갑자기 높은 빈도로 출현하여 ‘-을수록’의 세력 확대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ⅱ)의 유형은 크게 개별 사건과 일반적 사건을 나타내는 예문으로 분류되는데, 17세기부터 개별 사건을 나타내던 ‘-을수록’은 19세기에 일반적 사건에까지 확대되어 쓰이게 된다. This study explain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을수록’ in the Pre-modern Korean after discussing the historical change of conjunctive endings expressing deepening. While ‘-디옷’, ‘-도록’ expressed the meaning of deepening in the Middle Korean, ‘-을수록’ appeared gradually from the 17th century. In the 17th, 18th century, ‘-을수록’ appeared in old vernacular letters. ‘-을수록’ constructions expressed the deepening of time or thought in the preceding clause and psychological attitudes in the following clause. ‘-을수록’ was also found in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in the 18th century. In these cases, ‘갈수록’, ‘오랠수록’ appeared in the preceding claus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ordinary examples of ‘-을수록’ were rar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을수록’ in the 19th century were discussed separately in the type of (ⅰ) that reflected relatively early patterns of grammar and the type of (ⅱ) that did not. ‘갈수록’ and ‘생각할수록’ constructions belonged to the type of (ⅰ) had similar grammatical patterns to the previous period, but the distribution tended to expand in following clause. The type of (ii) was largely classified as an individual event and a common event. ‘-을수록’ that has represented an individual event since the 17th century was used to represent a common event in the 19th century and it was directly related to the expansion of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