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이상적이 교유한 청대 문인들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

        정혜린 ( He Rin Jung ) 수선사학회 2013 史林 Vol.0 No.45

        Lee Sangjeok(1804-1865) who was one of most able official interpreters has been focused had friendship with Qing literati as many as over one hundred. Why did the literati have a friendship with Lee and who were they? The friend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one was from Kim Jung-hee`s Chinese friends of the previous generation, belonged to a literary school, Tong Cheng(桐城派) gathered for worshipping Gu, Yan-Wu(顧炎武). Tong Cheng school interacted actively with literati of Ch`ang-chou(常州) as other Mid-Qing literati was generous to sects. The literati of Ch`ang-chou is the second group deserves to be focused. From late Ming, some families in Ch`ang-chou having blood ties one another shared scholarship and literature. The important figures from the families were representative poets, scholars and prose writers simultaneously in the region. The leading poets in Ch`ang-chou sang for sorrow and grief as well as unyielding spirit, sympathized familiar mood of Lee`s poems having resenting his social class, 中人, unable to up to first ranking political offices. Le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literati group in Ch`ang-chou writing a prologue of the collected book of their works. as a result, Lee was the first Korean who wrote for Chinese book, which was a fruitful result of his friendship. And more, Lee supplied them Korean paintings, calligraphy works, epigraphic inscriptions and books as they asked. Also It happened in the area of literature that books for only Korean began to be printed in China. Then why were Qing literati eager for collecting materials of culture in Joseon Dynasty? One of the reason seems to be their social position. Lee associated with deprived Han literati who were young successful career yet. The political disadvantages pushed Han literati to be official staffs(幕友) of local officialdom(幕府). They gave lectures at Academy(書院) or compiling books like local records. The literati need strengthen his academic competence with a large amount of academic materials and experiences and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like books and show them to his friends at kinds of social gatherings. Lee was invited at social gatherings with such characters and welcomed by showing cultural information of Joseon Dynasty to the members.

      • KCI등재

        후지츠카 지카시, 또 다른 얼굴 ―고증학·과학·제국주의―

        정혜린 ( Jung He-rin )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4

        후지츠카 지카시(藤塚隣)는 청대 고증학을 수용한 일본 古學의 계승자로서 유럽 실증주의의 기치 아래 일본 고증학 연구의 과학화를 추구했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 경학연구가 일본 제국의 위상에 걸맞게 한·중·일 경학의 지도자 역할을 담당하도록 이끌었다. 그에게 조선의 경학연구는 중국·일본의 문화 연구를 위한 효율적 수단이었고 김정희는 다른 조선학자들과 달리 동이지인으로서 모화심을 가지고 청대 고증학을 수용한 조선 최고의 학자이자 일본 고학의 성과를 주목했던 학자로서 후지츠카가 한·중·일 경학을 선도하는데 반드시 포괄해야 하는 조선 학계의 핵심인물이었다. 이에 김정희가 추구했던 ‘일정한 기준 위에서 청대 고증학을 종합한다.’는 학문적 관점은 후지츠카의 김정희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Fujitsuka Jikashi, identifying himself as a successor to philologists of Edo era who embraced the philology of Ching Dynasty, contributed to applying European positivism to Japanese philology at his days and to enhance it to the leader of the studies of Chinese classic in East Asia. He studied Korea classic considering it helpful to the cultures of China and Japan in past and evaluated Kim Jeonghui as an extraordinary scholar in Joseon Dynasty in that he took on the philology of Ching Dynasty with deeply respecting attitude as people on the fringe of China culture.: Fujitsuka erased Kim’s standpoint synthesizing the accomplishment of the philology of Ching Dynasty with his own criteria.

      • KCI등재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정혜린 ( Jung He-r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고유섭(高裕燮)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미술사학자이자 미학 연구자로서 한국 미술사를 구축했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 바는 그가 「조선미술문화의 몇 낱 성격」과 「조선고대 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에서 한국 미술의 가장 큰 특징이자 전통으로 제시한 ‘구수 한 큰 맛’, ‘무기교의 기교’를 대표로 하는 자연미 계열의 개념어들이다. 이 개념들은 그 질박한 뉘앙스와 달리 서양 미학과 미술사, 일본·중국의 미술과 긴밀한 비교 속에 조성된 것들이다. 고유섭은 문화과학, 진·선·미와 지·정·의의 분류법을 수입하여 한 국 미술문화의 모든 역사 구간을 아우르는 ‘보편타당한 가치 표준’을 탐색했다. 이미 우 리에게 잘 알려진 구수함·고수함·맵자·단색·적조미·우아·단아, 이들을 구수한 큰 맛이 그것이다. 문화과학, 진·선·미와 지·정·의 등의 개념은 신칸트학파의 산물로서 경성제국대학에서 고유섭의 재학 시절 철학·미학을 담당했던 아베요시시게는 빈델반트, 리케르트 등의 신칸트학파의 대표적 전달자이다. 고유섭은 당시 최신의 선진적 학문을 따라 자신의 학문의 방법론과 연구대상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한국미술의 역사를 한국인의 손으로 서술하는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근대 유럽의 학문 체제와 가치로 한국 미술문화를 재단하고 번역함으로써 그의 한국미술사에는 시서화일치를 추구하는 회화가 제외되고 공예만 남았다. 한국근현대사에서 구수한 큰 맛과 같은 자연미를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으로 제시하는 발언은 수없이 이어져 왔는데 시기상으로 볼 때 고유섭 이야말로 이러한 논란을 학계로 끌어들인 근원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그가 제시한 공예 미로서의 자연미는 근현대 한국 문화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지만 그 개념들이 한국 자생의 것이 아니라는 점은 한번도 명확히 지적되지 않았다. 이제 구수한 큰 맛이 근현대라는 시대의 산물임을 밝혀 이 개념이 지시하는 과거, 이 개념에서 시작한 현재가 고유섭의 시대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Ko Yu-seoup, the first Korean scholar on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suggested some concepts including ‘Earthy and Generous Taste’ and ‘skillfulness of noskill’ as Korean original beauties. Ko imported Neo-Kantianism though Japanese Neo-Kantianism in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applied its famous cultural science as method for studying Korean art history and ideas of values, the Truth, Good and Beauty as its values. The result he got as Korean original art was just craft art and its natural beauty, for traditional Korean art lacked the idea of Beauty and fine arts of modern Europeans. He should have deduced Earthy and Generous Taste from traditional Korean art works and texts not from Modern European thoughts. Though Ko intended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art with the criteria of newest and advanced academic view and methods, he reduced the history to craft arts and natural beauty, which continues at some corners of academic fields and art world wide as well as Korea until now never criticized.

      • KCI등재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청대(淸代) 서파(書派) 수용과 절충

        정혜린 ( He Rin Jung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3 No.-

        ‘첩학(帖學)과 비학(碑學)의 절충’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서예 세계를 이해하는 관건으로 주목받아왔다. 필자는 이전에 김정희가 완원(阮元)의 업적을 수용하면서도 완원과는 다른 관점을 지녔다고 서술했다. 완원은 왕희지의 진적이 존재하지 않아 중국 서예사가 왕희지는 허상이었다고 주장하지만, 김정희는 왕희지 진적의 특징이 중국 서예사를 통해 실제로 계승되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 한 김정희의 관점이 옹방강(翁方綱)의 견해를 수용한 결과라는 점을 새로 제시할 것이다. 물론 김정희는 옹방강에 머무르지 않고, 골력(骨力)과 신운(神韻)의 강화라는 제 3의 길을 모색했다. 골력과 신운은 각각 완원이 제시한 북비의 미와 유용을 대표로 하는 첩서의 미를 지시한다. 결과 적으로 이 두 종류의 아름다움은 김정희의 작품에 선명한 명도 대비를 부여했고, 강한 개성으로 드러났다. 동시대인들은 이 개성을 ``괴이함’혹 은 ``기준괴특(奇雋怪特)``이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김정희는 첩학과 비학의 전통적인 아름다움과 더불어 제 3의 미적 이상으로서 기괴함을 추구했다. 그는 기괴함에 대해 서예사적 계보를 제시하여 그 정통성을 논증하 고, 정섭의 서풍을 변화시킨 ‘추사체(秋史體)’의 제 특징들로 구체화시켰 던 것이다. Kim Jeonghui, a scholar-officer in 19th century, has been one of most honorable calligraphers in Korea. His late works are known as eclectic style, which was from stone inscription style and brush writing style. Researchers regarded Kim accepted the researches on stone inscription by Ruan, Yuan, not giving clear account on Kim`s keen interesting in brush writing. One of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e much of Kim`s Knowledge and the standpoint on it to be influenced by Wen, Fanggang. The other one is that Kim, not satisfied with aesthetic principles of Ruan neither ones of Wen, searched new calligraphy style, compromising the stone inscription`s righteous and vigorous standard style and the latter`s style, rhythmical and free from the standard style. As a result, He strengthened the power of Wen, Fanggang`s style up to the one of stone inscriptions in Northern Dynasty and made it more rhythmical as works of one of liu, Yong. The coexistence of contrasting aesthetic principles in a work made people criticize it queer. Regardless of their criticism, Kim developed the techniques to making his calligraphy over common sense, confident with the strong personality of his works out of custom as many masters in past had gained.

      • KCI등재

        박세당의 사상과 문예관 -경전의 인식지평 해석을 중심으로

        정혜린 ( He Rin 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7 No.-

        본 논문은 박세당의 성정론에서 性, 未發, 未發涵養와 格物致知의 개념을, 본체와 현실의 관계, 그리고 이들 개념이 논의되는 인식의 지평으로부터 살펴보고, 문예론에서는 性과 情의 관계, 예술작품에서의 정의 표현(思無邪), 정과 예술형식미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박세당은 주희의 초월적 본체론을 비판하면서 현실에서 性이 形而上者로서 내재하기보다는 기질 속에서 구체화된 마음의 도덕적 가능성이자 당위로서 제시했다. 형이상자를 부정함으로써, 역시 주자학의 주요 개념인 未發과 그 涵養도 비판될 수밖에 없다. 주자학에서 미발은 형이상자로서의 성을 주재하기 위해 기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조건 즉, 思慮未萌, 寂然不動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박세당은 미발과 주재의 모순 관계를 지적하면서, 미발은 사물과 접촉하지 않아 아직 감정이 일어나기 이전이지만 여전히 사려가 진행되는 마음의 양태로 간주한다. 초월적 본체를 거부하므로 자연히 언어와 사려 너머의 공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주희가 격물치지의 궁극을 주장하는데 비해 그는 현실의 ``특정한``일에 다가가 그 규범을 찾는 공부로서의 격물치지론을 전개하게 된다. 박세당에게서 모든 앎은 형이상자가 거부된 현실에서 언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며, 언어 안/밖의 차원은 존재하지 않고 동일한 인식지평에서 가깝고 멀거나 얕고 깊은 관계에 있을 뿐이다. 문예론에서 그는 악한 정으로 드러날 악한 성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주희의 성정체용론을 거부했고, 『시경』의 작품은, 주희가 제시한바 권선징악의 감상 효과가 아니라 선과 악이 공존하는 정을 진솔하게 드러낸(思無邪) 가치가 있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그는 문학작품의 중요한 목표인 성정의 진솔함을 훼손할 수 있는 언어형식미를 추구하는 것을 경계했다. Park Se-Dang, a scholar in late Choseon Dynasty criticizes Zhu-Zi``s transcendental snubstance, xing, and mifa, one aspect of mind where xing exists. Park argued metaphysical being which endowed to xing by Zhu-Zi cannot exist in this world including one aspect of mind, mifa owing to its out-of-material property. Mind of living life cannot stop thinking in calmness. mifahanyang, one of self cultivation struggling for stop thinking suggested by ZhuZi was denied as a result. Knowledge neither cant be out of language nor be out of epistemological horizon of common people. literary works be honest outcome of emotions, good or bad. the works pursuing artificial decorum as to concealing honest emotions are corruptive which He squared off most seriously.

      • KCI등재
      • KCI등재

        오도자(吳道子)와 당(唐) 화론의 미적 기준의 변화

        정혜린 ( Jung Herin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1

        본 논문은 당나라 회화 관련 문헌으로부터 오도자의 대한 비평을 추적하여 당 대 미적 기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오도자는 장회관의 『화단』에서 언급되기 시작하여 부재, 백거이, 원진을 거치면서 『장자』내 도를 터득한 여러 제작자들의 이미지들이 복합된 형상으로 전승 되었다. 이렇게 당 대에 진행되기 시작한바 화가의 정신 세계에 대한 관심은 두 저명한 화론에서 새로운 기술 방식을 수립하기에 이른다. 주경현의 『당조명화록』에서 오도자는 이전의 추상적인 기술 방식이 아니라 ‘일화’라는 객관적 사실 전달의 기술 방식을 통해 높은 정신 세계를 소유했으며 특히 춤과 같은 음악성을 지녀 속도와 힘의 강약 조절에 뛰어난 최고의 화가로 평가되었다. 이 기록은 당말 즈음이면 이제 회화의 선의 음악적 요소가 주목되기 시작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동시대 장언원의 『역대명화기』는 주경현이 음악적인 필선을 강조한데 비해 상대적으로 서예적인 특징을 강조했다. 이는 장언원은 장회관이 시작한 서화용필동론을 중국화론사상 뚜렷이 각인시킨 것이다. 아울러 장언원은 오도자에 관한 비평에서 뚜렷이 드러나는 바 육법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작가의 정신 비중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정신활동의 뛰어난 결과가 가능했던 근거로서 수양을 제시하여 중국화론사에서 작가론 강화의 중요한 결절점을 이루었다. 장언원은 서화동원론으로부터 그림의 기능을 이끌어내는 상고주의적 회화관 위에 오도자를 위시해 성당이래의 화가들을 품평론에서 제외하기도 했지만, 성당이후 특히 오도자에 대한 비평에 걸맞는 쇄신된 비평 기준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이는 당 대 유가와 도교, 치세의 이념과 문인 개인의 내적 이념의 균열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언원이 글씨와 그림의 기원의 동일함과 용필법의 동일함을 주목하는 동안 크게 눈길을 주지 않았던 묵법은 이후 형호의 『필법기』에서 중요한 창작 원칙으로 등장했고 이와 동시에 오도자는 더 이상 당대 미감의 기준이 될 수 없었다. Tang Dynasty has not been as much attractive to researchers as prior nor posterior Dynasties in which axioms e.i. Xing形 is to serve shen神, qi氣 and yun韻 should be live and vivid and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appeared. Though remarkable concepts or thesis were not shaped in Tang Dynasty, the anecdotes on painters appeared writing on painting, which this paper regards worthy not as its objective information but as expressing eye-view of the writer. It lies between the lines that prosperity of Taoism, growing interest in painters mentality and awareness of kinship between brush line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Wu Daozi吳道子, the representative painter in Tang Dynasty, came to be applauded after Zhang Huaiguan 張懷瓘's Huaji畵斷 by Fu Zai 符載, Bai Juyi 白居易, Yuan Zhen元? through accumulated images of kinds of superior experts from Zhangzi莊子. Wu was described in episodes probably thought historical facts by the writers, Zhu Jingxuan 朱景玄, writer of Record of Celebrated Painters of the Tang Dynasty唐朝名畵錄 and Zhang Yanyuan張顔遠, writer of Record of Celebrated Painters of Successive Dynasties歷代名畵記. Zhu described Wu tao-understanding and practicing painter through episodes with controlling power and speed as dancer or calligrapher did, which indicates musical movements of painting brush strokes recognized as important element in Tang Dynasty. Whereas, Zhang enlarged the roll of painter for masterpiece through reinterpreting Liufa六法 by Xie He謝赫 and exploring how the ability of superior performance can be possible. Also Zhang confirmed the ability realize to use marvelous brush strokes similar to calligraphic ones on painting works, which seems relevant to Zhang's belief that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one at their birth. Wu was the right model painter for these modern thoughts. Nevertheless the reformation of painting theories for painters of Tang Dynasty coexisted with his conservative historical point of view upholding mission of painting for morality and truth, omitting painters after High Tang period from ranks品 as a result. When effect of ink was recognized as important, the rank of Wu came to descent as in Bifa ji筆法記 by Jung Hao荊浩.

      • KCI등재

        19세기 중반 조선에 등장한 남종문인화론의 새 단계 -추사 김정희에 의한 관념적 예술미의 강화와 저변 확대-

        정혜린 ( Jung He-r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40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19세기 전반 경학, 금석학, 시서화 이론과 창작 방면에 걸쳐 최신의 중국의 학술성과를 수입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아울러 조선의 학술·문화계에 절충·적용하기를 도모했다. 그의 학술 경향을 염두에 두자면 중국의 어떤 이론들을 수용하고 어떻게 절충하고 조선 화단의 현실에 어떻게 적용했는가하는 점은 그의 회화론 연구에서 역시 방향등 역할을 할 것이다. 그는 경학분야에서 한송절충론(漢宋折衷論)이라는 학술 이념을 분명히 했듯이 회화론에서도 그 이념을 분명히 설정했다. 이른바 명말 동기창이래의 남종문인화론(南宗文人畵論)이 그것이다. 김정희는 동기창이래 직업화가와 문인화가의 엄격한 구분, 사의 (寫意)라는 창작 목표, 서화동필론(書畵同筆論)에 입각한 필묵법, 작가의 인품·학식의 전제 조건 등을 계숭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김정희의 남종문인화론은 동기창의 그것을 변화시켜 보다 관념적 예술미가 강화되고 문인화가 주체의 확산으로 나아갔다는 차별점을 지닌다. 그 차별점은 김정희의 회화론 연구에서 아직 뚜렷이 제시된 바 없다. 이제까지 미술사, 회화론 연구에서는 김정희에 의해 조선후기 실경화풍이 위축되었다는 점, 동기창이 활동했던 명말과 19세기 조선의 문화적 환경의 차이에 따라 조선문인화풍에서 창신의 측면이 위축되었다는 점을 언급했지만 문인화론의 이론 체계 속에서 논증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동기창과 김정희의 회화론의 구조와 구성 명제들을 비교하여 후자에서 작가의 경험 조건이 위축되고 이에 따라 형사와 창신의 여지가 축소되는 반면 이 변화와 양면을 이루는 사의성·예술미가 강화되었음을 제시했다. 아울러 본 논문은 이제까지 연구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바 김정희가 비평에서 한족(漢族)/남성 중심의 중화 문화인 남종문 인화의 양상에 대해 한족 외의 민족, 남성 외의 여성도 그 실천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19세기 중반 동아시아 문인화의 새로운 이론적 실천적 단계를 지향했다고 제시했다. Kim, Chong-hi金正喜 was leading scholar on the fields of philosophy, Epigraphy and art theorie and practice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century Joseon. He imported and eclecticized output of comtemporary chinese academy. On painting theory he transformed the theoretical structure with deleting one of necessary conditions of painter, experience from Namjong literary painting theory 南宗文人畵論 by Dong, Qi-chang 董其昌. as a result the basic goal pf painting, simulating form of object became naturally weakened and expressing painter's thought 寫意 and shenyun 神韻, artificial beauty strengthened. In short Namjong literary painting theory altered more idealistic. He appled the theory to criticism for contemporary painters. He admitted manchu painters as well as women painters as long as they comply with Namjong literary painting theory. The theory came to new stage, more idealistic and more generous to nation and gender of painters by Kim, Chong-hi.

      • KCI등재
      • KCI등재

        혁신학교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수업방법, 학교 만족도의 궤적 및 학교적응의 관계

        정혜린(Hye rin Jung),김은경(Eun kyung Kim),이강이(Kang y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 이론, 기본심리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혁신학교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 학교 만족도의 궤적, 학교적응의 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2012년, 2013년, 2014년도 혁신학교 소속 중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1차년도)을 사회적 자본으로, 학교 만족도(1, 2, 3차년도)를 기본심리욕구 이론에서 지칭하는 기본심리 욕구 충족으로 설정하여 학교 적응(1, 3차년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중학생의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학교만족도 궤적은 초기값과 변화율의 평균값, 초기값의 분산이 유의했지만, 변화율의 분산만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수업방법은 학교만족도 궤적의 초기값과 변화율, 그리고 학교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 중학생의 학교만족도 궤적 초기값은 1차년도 학교적응에, 그리고 학교만족도 궤적의 변화율은 3차년도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이 혁신학교 중학생을 비롯한 청소년기 아동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청소년기 아동의 발달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더 크게 발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sed on the social capital theory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ocial capital(learner-centered instruction), trajectorie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Innovative middle schools. This study analyzed 1st, 2nd, 3rd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938 students of Innovative middle schools in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performed the statistical procedures using SPSS 23.0 and AMO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itial value of school satisfaction through 1st to 3rd waves had increased, but only the variance of the change rate is not significant. Second,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of the school satisfaction trajectories. Also,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 adaptation. Third, the initial value of the school satisfaction trajector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wave, and the rate of chan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in the third wave.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school satisfaction is a major factor for school adaptation during the tim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f Innovative schools contribute to school satisfaction. This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Innovative middle schools, especially of being perceived by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