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thotrexate를 사용한 비파열성 난관임신의 내과적 치험 1 예

        정혁,황관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저자들은 1989년 8월 4일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비파열성 난관임신으로서 methotrexate를 투여하는 보존적 치료 및 이차적인 복강경 및 HSG로 완치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increasing in the world, and this reproductive complication has had and adverse impact on subsequent fertility or immariage state. Advance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ectopic pregnancies have been designed to preserve future reproductive potential, but conservative surgery may fail to completely remove the trophoblast. And so, we experienced a case of treatment of unruptured ectopic pregnancy with methotrexate and leukovorum rescue in 22 year-old woman, and this case wa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근종으로 인한 자궁출혈과 빈혈에 대한 GnRH의 치료효과

        정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저자는 자궁근종으로 인한 월경과다증이나 지속되는 자궁출혈에 의해서 나타나는 빈혈에 대해 수혈을 하지않고 인위적인 무월경을 일으켜서 혈액소견을 교정해 보고자 GnRH agonist를 6개월간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emoglobin은 치료전 평균 8.07 gm/dL +or- 0.7이었으나 치료 3개월 후 10.23 +or- 1.08 gm/dl 을 보였고, 치료 6개월 후에는 12.3 +or- 1.13 gm/dl을 보여 치료 전과 치료 3개월(p$lt;0.01), 치료 3개월과 치료 6개월(p$lt;0.01), 치료 전과 치료 6개월(p$lt;0.001)의 비교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2. Hematocrit 역시 치료전 24.61 +or- 3.14%에서 치료 3개월 후 32.01 +or- 2.84%로 증가하였고 치료 6개월후 39.03 +or- 3.99%로 증가하여, 치료 전과 치료 3개월(p$lt;0.001), 치료 3개월과 치료 6개월(p$lt;0.01). 치료전과 6개월(p$lt;0.001)의 비교에서 모두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3. 혈청 iron도 치료 전 28.40 +or- 12.43 micro g/dl에서 3개월 치료 후 49.24 +or- 13.10 micro g/dl로 증가하였고 치료 6개월 후 64.86 +or- 11.79 micro g/dl로 증가하여서 치료 전과 3개월(p$lt;0.01), 치료 3개월과 치료 6개월(p$lt;0.01), 치료 전과 치료 6개월(p$lt;0.001)의 비교에서 모두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4. TIBC의 경우에는 치료 전 416.57 +or- 186.09 micro g/dl에서 치료 3개월 후 311.00 +or- 154.65 micro g/dl로 감소하였고 치료 6개월 후291.14 +or- 154.65 micro g/dl로 감소하여, 치료 전과 치료 3개월(p$lt;0.05), 치료 3개월과 치료 6개월(p$lt;0.05), 치료 전과 치료 6개월(p$lt;0.05)을 비교한 결과 모두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5. 자궁용적의 감소는 GnRH agonist 투여후 3개월에 약 50%의 용적감소를 보였으며 3개월과 6개월의 용적비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6. 치료동안 hormone의 변화는 FSH,LH,estradiol 모두가 GnRH agonist 투여 1개월 후에 현저히 감소하였으며(p$lt;0.01), 그 후 5개월동안에는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7. 치료동안의 GnRH agonist이 부작용으로서는 얼굴의 화끈거림 10예(91%), 식은땀 8예(73%), 우울감 및 일시적인 두통이 각각 5예(45%), 질의 건조 4ㅖ(36%), 성욕감소 2예(18%) 등 이었으며 탈모증, 성욕증가, 신경질증가, 흉부압박증상이 각각 1예(9%)로 나타났다. Menorrhagia and abnormal uterine bleeding are the most frewuent symptoms in women with uterine myoma. We induced transient hypoestrogenism with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goserelin, in a depot formulation, to resolve severe anemia in 11 women with uterine myomas.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goserelin 3.6 mg was repeated every 28 days for 6 months. Eight patients became amenorrheic in 5 weeks and 3 cases reported scanty uterine bleeding. Gonadotropin(FSH, LH) and estradiol fell to postmenopausal levels after one month`s treatment. Uterine volume decreased by 49% after 3 month`s treatment but subsequent reduction was not achieved. Mean hemoglobin rose from 8.07 +or- 0.66 gm/dl pretreatment to 12.30 +or- 1.13 gm/dl at 6 months(p$lt;0.001). Hemoglobin, hematocrit and serum iron increased constantly during the 6 months.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therapy in severely anemic patients with uterine myomas and abnormal uterine bleeding is practical, safe and may avoid the need for preoperative trasfusion.

      • KCI등재

        유럽연합 건물 분야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정책 시행상의 과제와 개선 방향

        정혁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3

        This paper is purposed to present the status quo, the challeng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s after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f Nearly Zero Energy Building stressed in the EU’s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Directive (Directive 2018/844). Dealing with the varied definitions regarding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 incurred from differentiated costs for energy efficiency and climatic conditions among the Member States of the EU, the European Commission needs to regroup the Member States of the EU by climatic conditions and to reset the definitions on criteria of the value for the minimum amount of consumed energy of buildings, and to add the new relevant provision into the Directive. As for the weak legal basis of the generated power from renewable energy resources put into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the European Commission should give priority to the generated power by laying out the additional provision into the Directive. And concerning the ambiguity of definition with regard to the renewable energy, the Commission can consider setting the criteria on the kind of the generated power from allow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the amount of the power used in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for the solution. The European Commission can take into consideration providing financial assistance and the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experts that member states produce to tackle the lack of experts in the process of issuing the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of the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And As the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for the buildings collected by the EU Building Stock Observatory is poor in substance and is confined to a certain block of buildings, it needs to get applied to all blocks of buildings of the EU and the Observatory’s role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it shares and disseminates the aforementioned information to the Member States of the EU. But above all, the European Commiss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synergy effects by establishing the registration organization for registering the Certificates in parallel in terms of keeping the Certificates on track.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parallel approach to encourage the zero energy policy that it is currently implementing and expand the zero energy buildings in number for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의 건물에너지 성능 지침에서 강조하는 유럽연합 역내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정책상의 시행 현황, 도출 과제, 그리고 그 개선안들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회원국 별 에너지 효율성에 관한 비용 차이, 기후적인 요건에서 기인한 회원국 별 다양한 거의 제로에너지 빌딩에 관한 정의에 있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기후 조건을 기준으로 하는 회원국들의 그룹 조성 후 그룹 별 건물 내 최소한의 사용 에너지 수치를 기준으로 정의를 재설정하고 관련 조항을 지침 내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집행위는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내 투입되는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들의 약한 법적 지위를 위해서는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내 투입되는 신재생에너지원들의 발전량에 대한 법적 우선권 부여와 관련한 추가적인 조항 마련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정의 관련 모호성은 거의 제로 에너지 빌딩 내 사용되는 신재생에너지원 발전 전력의 종류와 관련한 허용 가능 에너지원과 그 에너지량에 대한 수치화 기준 마련으로 그 해결을 위한 접근이 될 수 있다. 또한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검사와 그 절차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가 부족은 회원국들이 양성하는 전문가 수에 비례한 집행위원회의 재정 지원의 시행, 그리고 그 확대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연합의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는 그 내용이 단순하고 특정 건물군들의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만 유럽연합 건물군 관측소에 의해서 수집되고 있어 모든 건물군들을 포함하면서 회원국들에 그 정보들을 공유, 배포할 수 있도록 유럽연합 건물군 관측소의 기능상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유럽연합 집행위는 병행적으로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등록을 주무로 하는 등록소의 설립를 통해 유럽연합 역내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관리 차원에서의 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정부도 현재 시행하고 있는 제로 에너지 빌딩의 확대를 위해서는 건물에너지 성능 인증서의 발급을 장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의 건물군 관측소의 기능적인 역할 강화와 제로 에너지 빌딩만을 위한 전문 등록소의 설립과 운영이라는 병행적인 측면의 접근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ODA 규모 결정요인 실증분석과 한국에의 적용

        정혁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5 No.1

        This paper studies the determinants of the size of the ODA which i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predicts the ODA to GNI ratio for Korea based on the empirical model. The communit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uggests the ODA to GNI ratio of 0.7% as a uniform norm to achieve for all DAC donor countries. However, there has been a big gap between the norm and the actual size of ODA to GNI ratio, 0.31% on average, for the last 60 years since the DAC launched. Important part of the reason behind such gap is beca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ODA does not systematically reflect various kinds of differences across donor countries in determining the size of ODA for each donor country. We perform multi-dimensional empirical analysis on the various cross-country variables for the 1965-2011 period to show that per capita income level, total scale of the economy measured by the total GDP, government’s fiscal factors such as fiscal tax revenue, government expenditure, public debt, the degree of external dependence measured by the total international trade volume to GDP ratio, years of experience of implementing ODA as a DAC member, and modality of ODA delivery such as the ratio of loans to total bilateral ODA explain the differences of the actual ODA to GNI ratio among the existing donor countries. The out-of-sample forecasting of our benchmark model suggests that the predicted values of the ODA to GNI ratio for Korea ranges from 0.215% to 0.218% for the 2013-2017 period. These are close to the target value of 0.2% which Korea’s Second Basic Pla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ims by the year 2020.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근간이 되는 공적개발원조의 규모의 결정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그 실증 모형에 의한 한국의 GNI 대비 ODA 규모의 크기에 대해 추정한다. 현 국제개발협력사회에서 모든 공여국에게 규범적 목표로 제시하는 GNI 대비 ODA 비율 0.7%를 제시하고 있으나 DAC 발족이후 지난 60여년의 동안 실제 ODA 규모는 GNI 대비 평균 0.31% 정도로 ODA 규모에 대한규범과 현실 사이에 큰 괴리가 존재한다. 이는 ODA 규모에 대한 국제개발협력사회의 요청이 각 공여국이 처한 여건의 다양한 차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하지 않음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1965~2011 년 기간 동안 DAC 공여국들의 다양한 국가수준 변수들의 다차원적 실증분석을 통하여 일인당 국민소득, 경제 총생산규모, 정부의 조세, 지출 및 부채 등의 국가재정 상황, 대외경제 의존도, 원조 경험 연한, 양자 ODA 유상비율과 같은 원조 양식 등의 변수들이 기존 공여국의 GNI 대비 ODA 규모의 차이를 잘 설명하는 주요 요인들임을 보인다. 이 실증모형에 의한 표본 외 전망은 2013~ 2017년 기간 한국의 GNI 대비 ODA 비율이 0.215~0.218% 정도의 범위로 추계됨을 보여준다. 이는 제2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2020년 한국의 GNI 대비 ODA 비율목표치인 0.2%와 근사한 수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