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대중기념관’과 기억의 정치학

        정헌주(Heon Joo Jung)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2

        <Kim Dae Jung Nobel Peace Prize Memorial>, established on Samhakdo, Mokpo in 2013 as one of public spaces that commemorate and represent Kim Dae Jung, (re)constructs knowledge about him and his winning of Nobel Peace Prize in 2000 in particular manner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Kim Dae Jung Memorial> was built and its contents and representation methods to investigate its founders’ intention as well as its political implications. At the backdrop of its establishment exist not only political and economic motivations of political leaders in local governments but also symbolizing efforts to “reinstate” the city of Mokpo as the main locus of local politics. Moreover, the memorial commemorates Kim Dae Jung and his Nobel Prize winning in unusual ways. First, it places his Nobel Prize winning in the very first exhibit by inverting the time sequence, which forces visitors take this event for granted and “de-problematize” it. It also visually represents the moment of prize winning, making visitors feel “strange” and attaching immortality in this “legendary” event of Kim Dae Jung as the first Korean who won the Nobel Prize. At the same time, Kim Dae Jung is represented as an “impeccable” figure as “uncomfortable” past is forgotten in the memorial. This study examines polit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Kim Dae Jung Memorial> as a political space and institution.

      • 금융기관의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이미지 제고의 전략적 방안 제시

        정헌주(Hun-Joo Jung),이동명(Dong-Myung Lee)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유형 중에서 금융기관이 보다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회공헌활동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최적의 유형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금융기관의 전략적인 사회공헌활동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계층분석방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활용하였으며, 금융기관의 사회공헌활동 부서에 근무중이며 사회공헌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성을 지닌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공헌활동 유형별 중요도에서는 공익사업활동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사회공헌활동 세부 항목을 비교해보면 공익사업활동 중에서도 지역사회, 환경보호에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공헌활동 유형과 세부항목을 종합하여 분석해본 결과에서도 지역사회, 환경보호 그리고 사회봉사 부문이 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역사회와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한층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사회공헌활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프로그램 외에 추가적으로 환경보호등에 관련된 새로운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사회공헌활동 세부항목별 업종선호도를 비교해보면 은행업은 지역사회, 환경보호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증권업은 사회봉사활동이, 보험업은 교육, 학술지원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업종별 선호도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현재 업종별로 추진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 항목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므로, 업종별로 좀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의 전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focus more on among various type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optimal types that build up positive images of their company and to research the strategic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financial institu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social contribution department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have objectivity to evalu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irstly, public service activities are relatively significant in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hen comparing the detail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priority is given to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mong public service activities. And secondly, communit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ocial service sector ranked high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and detail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is can be seen as a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new programs rela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in addition to the programs currently being promoted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irdly, when we compare the preference of the industry by the sub-item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banking industry highly emphasizes social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system while the securities industry focuses on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the insurance industry concentrates on education and academic supports. Respectively, this seems to be due to these differences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are currently being promoted by these industries. In conclusion, various unlocking innovation across multiple dimensions of thei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hould be build up.

      • KCI등재

        대만의 국제개발협력, 국제규범, 그리고 파트너십: 대만 정부와 NGO의 개발협력사업을 중심으로

        정헌주 ( Heon Joo Ju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2

        대만은 1950년대부터 자국의 정치적, 외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외원조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1970년대 중국과의 경쟁에서 외교적 고립에 대응하는 수단으로써 해외원조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1980년대 민주화와 2000년 민진당의 집권은 대만의 해외원조정책이 개발협력에 관한 국제규범에 조응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동시에 대만의 경제성장과 민주화로 인한 시민사회의 역동성은 대만 국내NGO의 보다 적극적인 국제개발협력사업 참여로 이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만의 국제개발협력이 국제규범에 따르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만 정부와 대만 NGO의 개발협력사업을 비교 검토하고 민관파트너십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와 NGO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파트너국가 선정이 외교적 목적 달성 혹은 국제규범 준수를 강조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원국의 수교국 여부와 최빈개도국 여부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원조 패턴을 살펴보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해외원조는 2000년대 이후에도 여전히 수교국에 대한 개발협력사업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최빈개도국에 대한 원조사업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반면, 대만 NGO의 개발협력사업은 미수교국과 최빈개도국에 대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최근 대만 정부의 신남향정책을 고려하였을 때 대만 NGO의 동남아시아국가에 대한 다수의 개발협력사업은 대만의 개발협력 민관파트너십이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가 있다. Taiwan has extended foreign aid to achieve its political and diplomatic goals since the 1950s while foreign aid became even more significant as a policy instrument to cope with diplomatic isolation in the context of intense competition with China from the 1970s.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and power transition to the opposition party,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in 2000 brought changes in Taiwan’s foreign aid policy in a way that would conform to international norms. Meanwhile,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a vibrant civil society in a democratized society facilitated Taiwan-based domestic NGOs’ growing participation in overseas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the patterns of Taiwan’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with those of domestic NGOs’ overseas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ir development partnership. Specifically, it compares the patterns of their respective partnership with developing countries by two criteria―whether recipient countries are official diplomatic allies and least developed countries―to see if these actors stress diplomatic goals or international norms. It finds that the Taiwanese government’s foreign aid puts more emphasis on its diplomatic allies and middle-income developing countries while Taiwanese NGOs have more overseas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with non-allies and least developed countries. It suggests a potential for deeper public-private partnership between the Taiwanese government and NGOs in that the latter’s active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project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can be complementary to the government’s New Soundbound Policy.

      • KCI등재

        국제경영 : 한국 소비자들의 수입명품에 대한 제품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태리, 프랑스, 스위스 원산지 명품을 중심으로

        정헌주 ( Hun Joo Jung ),배경원 ( Kyung Won Bae )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소비자들과 수입명품과의 실증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구매하려고 하는 수입명품에 대한 원산지 이미지, 브랜드 이미지, 객관적인 제품 특성, 주관적인 소비자 특성 등의 속성(Product Attributes)이 소비자 제품구매의도와 제품선호도에 왜, 어떻게, 얼마나 영향을 실증적으로 미치는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연구방향 다음과 같다. 첫째, 원산지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가 수입명품의 선호도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파악한다. 둘째, 소비자가 수입명품을 선택할 때, 구매리스크가 다른 제품특성이 소비자의 제품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산지효과의 차이를 분석한다. 셋째, 제품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산지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품특성이 다른 제품 간의 차이를 규명한다. 넷째, 한국소비자의 구매태도를 분석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보편성을 조사하고 입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분석에 사용된 실증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델링이며 통계프로그램으로 Lisrel 7.0을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why and how these 4 factors (the images of country of origin, imported luxury brand, objective products` characteristics and Projective consumer`s peculiarity) impact product preferences &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s who plan to buy "Imported Luxury Branded good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directions are: 1. To find each impact of Country of Origin and Brand image which influence "the preference of imported luxury brand items". 2.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of Country or Origin" which impacts product preference when consumers buy imported luxury branded goods, which have different purchasing risks. 3. To verify the difference of products` characteristics that have different purchasing risks through comparing the image of country of origin and brand. 4. To analyze and compare "the purchasing behavior of Korean consumers" for achieving research universality. In order to verify that those 4 factors (the images of country of origin, imported luxury brand, objective products` characteristics and prospective consumer`s peculiarity) impact on product preferences & purchasing intention of consumers, the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model, 9 hypotheses were designed.

      • KCI등재
      • KCI등재

        포르투갈 다자원조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헌주(Heon Joo Jung),홍지영(Jiyoung Hong),손혁상(Hyuk-Sang Sohn)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20 국제관계연구 Vol.25 No.1

        포르투갈은 2010년대 국내경기 침체로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자원조의 총액과 비중은 증가하였다. 포르투갈의 원조역사를 고려하거나 유사한 공여국들의 원조패턴과 비교했을 때 이는 전례를 찾기 어려운 현상이다. 본 연구는 원조규모가 늘지 않은 상황에서 다자원조의 비중과 총액이 증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원조배분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다양한 이론을 적용하였으나, 설득력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포르투갈 원조전담기구인 문화언어협력청(Camões, IP)의 조직적 이해관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대안적 가설을 제시하고, 현지에서 수집한 문서자료와 관계자 인터뷰를 활용하여 인과적 관계를 추론하였다. 분석 결과 포르투갈의 다자원조 증가는 하위국가(sub-national) 행위자의 동학, 즉 원조전담기구의 거버넌스 변화에 따른 조직 차원의 이해관계와 내적 제약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학문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원조 결정요인 연구가 여전히 국가를 단일한 행위자로 가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지만, 실제 원조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 하위국가 행위자, 특히 원조전담기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중소규모의 공여국들은 자국의 부족한 원조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자원조 및 위임협력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르투갈의 원조배분에 대한 국내외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포르투갈 현지조사를 통해서 공적개발원조 핵심관계자 인터뷰를 실시하고 원자료를 분석하여 인과적 메커니즘을 추적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가 있다. In the aftermath of the debt crisis in the early 2010s, the amount of Portuguese foreign aid declined while the amount of multilateral aid and its share in the total aid increased substantially. This aid pattern of Portugal is unprecedented in comparison with the patterns of its own past and of other OECD DAC donors. In order to examine the reasons behind this unlikely aid pattern by Portugal, this paper employs a variety of theories and approaches based on prior works on aid determinants, which fail to provide satisfactory answers. Instead, this paper presents an alternative hypothesis that puts an emphasis on organizational interests of Portuguese aid agency, Camões, IP, and causal inference, supported by official documents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aid decision-makers, scholars, development NGO activists, and other aid-related actors during field research. A closer examination shows that the increase of Portuguese multilateral aid since the mid-2010s is better explained by organizational interests and internal constraints on resources due to changes in governance of Camões, IP. This study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ree aspects. First, it shows that there is a great need to examine sub-national actors, especially aid agencies and their incentive struc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mechanisms and dynamics behind aid distribution. Second, small and medium-sized donors can employ a variety of aid strategies such as delegation cooperation to meet challenges resulting from their limited resources. Third,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at there are few works on Portuguese foreign aid.

      • 항만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항만노동자 상태 연구

        정헌주(Jung Hun-Joo)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09 노동연구 Vol.18 No.-

        20세기 후반 들어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의 가속화로 국제교역이 증대되면서 항만산업의 국제적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에 각국 항만산업도 효율성 진작을 위해 항만의 대형화, 하역장비의 기계화 등을 추진하게 되었고, 이는 전통적인 항만노동시장제도에도 변화를 가져 왔으며, 종국에는 항만노동자의 노동조건, 고용구조, 삶의 지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이런 항만산업과 항만노동시장제도의 변화를 추적하고, 항만노동시장제도의 변화가 항만노동자의 노동조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우리나라도 최근 항만산업의 개혁이 진행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항만개혁의 중심에 있는 부산 북항을 대상으로 항만개혁 이전과 이후의 항만노동자의 상태를 노동조건의 변화와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항만산업의 개혁이 향후 진행될 항만노동자 지위에 불안정적 요소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At last 20th century, international trade is increasing with globalization, internalization and open economy, therefore internal competition in harbor industry is more intensive. At this, in many countr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loading work in harbor, the mechanization of loading equipment, the enlargement of harbor size etc. have been performed, at the result, it is proved that it has effected to the work condition, employment structure, and the status of life of the harbor worker. This article traces the change of the harbor industry and the structure of labor market, and in turn, we will show how the chance of the structure of labor market has been effected to the harbor worker. In our country also the harbor industry is rapidly improving, especially Busan Bukhang harbor. We examined the conditions of harbor worker in Busan Bukhang harbor by the survey study and compared them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harbor labor market.

      • 영세 제조업체 실태에 관한 연구

        정헌주(Jung Hunjoo)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1 노동연구 Vol.22 No.-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중 자영업자를 제외한 근로자 1,500만 명 중 37%에 해당하는 550만 명 정도가 상시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뿐 아니라 1,500만~2,000만 명의 인구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다. 이들은 저임금, 장시간 노동, 열악한 작업조건, 4대 보험 사각지대, 고용불안 등의 위협에 노출되고 있음에도 이들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 글은 이들의 존재와 재생산 조건을 탐색하는 이론적 틀로서 이중노동시장이론과 비공식부문에 대해 살펴보고 영세사업체의 대표적 업종인 의류산업의 봉 제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의 실태를 조망해 본다. 그리고 끝으로 이들 영세사업체의 존을 위한 필요성과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In Korea 37% of 150 billion workers in economic activity population except self employers, that is about 55 billion workers, is engaged in entities under ten regular workers. They form not only an axis of Korean economy, but also are responsible for subsistence from 150 billion to 200 billon population. Notwithstanding they are exposed to low income, long-time work, coarse work condition, blind spot of four basic insurance, employment instability etc.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y of dual labor market and informal sector as theoretical frames inquiring their conditions of being and reproduction, and looks at their realities through a survey of employers and employees in sawing work of clothing industry, a typical very small company engaged under ten men and/or women. Finally, we propose the need to grope for the necessities and alternative for sustenance of the very small compan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