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동하는 소수, 침묵하는 다수: 브랜드 단지 내 어린이 사망사건으로 본 아파트 공동체성의 의미

        정헌목 ( Heon-mok J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2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의 대표적 특징은 ‘지상 의 공원화’이다. 기존 아파트 단지와 달리 주차장 대신 고급 수목과 산책로로 꾸며진 지상공간은 해당 단지의 자랑으로 여겨지고, 특히 이는 어린 아이를 키우는 가족의 입장에서 장점으로 간주된다. 또한 대부분의 브랜드 아파트 단지 내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함께 위치 해 있기에, 주거지와 등하굣길을 포함하는 아이들의 생활공간 전체가 차량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안전한 아파트’로 인식된 수도권의 한 브랜드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어린이 사망사고의 사례를 다룬다. 연구대상 단지에서 발생한 이 불의의 사고는 적어 도 차량에 의한 위험에서만큼은 안전할 것으로 믿었던 단지의 지상공간에 차량이 들어오는 예외의 경우였던 쓰레기 수거차량에 의해 발생했다. 하지만 이처럼 예외적인 상황에서 발생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발생원인과 수습과정은 해당 단지, 나아가 현대 한국사회의 보편적인 아파트 단지에 내재된 일반적인 속성을 드러냈다. 본 논문에서는 단지 내 공적인 의 사소통과 사회적 합의의 부재가 빚어낸 전형적인 인재(人災)였던 이 사고의 원인과 함께, 이 후 사고 수습과정에서 펼쳐진 입주민들의 집단적 실천을 분석하여 주거공동체로서의 아파 트 단지가 지닌 성격을 고찰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ar accident which happened in an upscale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a suburban area near Seoul. The spatial environment of upscale apartment complexes, which represents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model in South Korea, began to change since the mid-2000s. With the adoption of brand, the ground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is decorated with beautiful trails and a numerous of trees, instead of outside-parking lots which had been conspicuous in the older model of apartment complex. In particular, the attractive landscape of the brand apartment complex is regarded as advantageous for raising children, because the residents think that the control of car access in the ground space can help reduce the risk of car accidents. However, the case of the unexpected death of a child by car accident, addressed in this article, crushed the belief about “the safe apartment” and revealed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he apartment community. In spite of the exceptional situation which led to this accident, the causes and effects of the event revealed the nature of brand apartment complexes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ciden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tion of “apartment communities” in an upscale apartment complex.

      • KCI등재

        ‘아파트 영어마을’의 등장 배경과 현실: 입주민 주도 영어마을에 관한 사례연구

        정헌목(Jung, Heon-m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26 No.1

        영어 열풍이 몰아친 2000년대 후반, ‘영어마을’이라 불리는 기묘한 공간이 한국사회에 등장했다. 본래 영어마을은 영어권의 한 마을과 비슷하게 꾸며진 장소에서 해외경험 없이 영어를 익히도록 만든 공간을 가리킨다. 이런 목표 아래 전국 각지에 지방자치단체와 교육기관이 주도한 영어마을 조성 붐이 일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아파트 영어마을’이라는 이름으로 주거 영역에까지 확대되었다. 아파트 영어마을의 등장은 한국사회의 강력한 계급 지표인 영어와 아파트의 결합을 상징하는 사회적 현상이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의 한 브랜드 아파트 단지에서 진행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아파트 영어마을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문화자본으로서의 영어를 주거공간에 결합시켜 아파트의 가치를 높이고자 한 연구대상 단지의 시도를 성공이라 보긴 어렵다. 하지만 이 사례는 사실상 분양 미끼에 가까웠던 아파트 영어마을을 입주민들의 주도 아래 해당 단지의 상황에 맞게 전유하여 활용한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영어에 대한 열망과 부동산 가치 상승을 향한 욕망 그리고 아파트 단지의 주민관계까지, 2000년대 한국사회의 복합적 현실은 아파트 영어마을을 통해 모습을 드러냈다. As 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became emphasized, a weird space called ‘English Village’ appeared in 2000s South Korea. ‘English Villages’ mean immersion camps that provide short-term experience of the culture of English-speaking countries. A lot of local governments established an alliance with private English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boom of English Village has covered all over the country. This phenomenon has spread to residential sphere at last. Movements to invite English Village at an upscale apartment complex,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model in South Korea, emerged eventually. Based on an ethnographic fieldwork carried out in a metro city near Seoul, this article explores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English Villages at apartment complexes. Inviting English Village into their residential complex can be interpreted by an attempt to combine an apartment complex which is the most powerful class indicator, and English as influential cultural capital as well. Although this attempt did not succeed, it was a meaningful case reflecting the complex reality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such as the craving for English education, the desire to increase real estate value, and the resident relationship at apartment complexes.

      • KCI등재

        전통적인 장소의 변화와 “비장소(non-place)”의 등장

        정헌목(Heon Mok J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3 비교문화연구 Vol.19 No.1

        The interest on ``place`` and ``space`` in recent social theories is connected with rapid socio-cultural changes after the mid-20th century: such as urbanization, the spread of global capitalism, and the prevalence of electronic media. Especially, these changes brought about the dissolution of village communities, the privatazation of public space, the change of life style according to electronic media, and at last it was regarded that they caused ``the loss of meaningful places``. Many scholars who gave attention to these changes put forward new theories that emphasized the change or loss of ``the traditional places``. In this paper, I review the theory on spots which are not regarded as the ``traditional`` places. For this purpose, I focus on an anthropologist Marc Auge``s discussion about ``non-place``, and explore its meaning and preceding researches that apply his theory. According to Auge, a non-place is a space which cannot be defined as relational or historical or concerned with identity, and interactions in non-places are mediated by texts or images in contrast with ``anthropological place.`` Through examination about this discussions, I propose that the appearance of non-places cause qualitatively different, new spatial logics, and plural spatial logics compete in these places. In particular, I pay attention to the relativity of non-places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가치 있는 아파트 만들기

        정헌목(Jung, Heon-m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후반 이후 한국의 아파트 단지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집단적 대응을 분석한다. 이 시기는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의 여파와 가계대출 증가,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요소들이 결합하며 아파트 매매를 중심으로 한 재산증식 모델이 예전처럼 작동하지 않기 시작한 시기였다. 그에 따라 한국의 아파트 단지에서도 노골적으로 부동산 시장가치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과거와는 달리, 다른 종류의 ‘가치’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공유공간 관리나 아파트 단지 전반의 문제를 좌우하는 입주자대표회의와 같은 ‘사회적 요소’들로 엮인 생활공간을 둘러싼 가치가 부각된 것이었다. 이처럼 아파트 단지에서 고려해야 할 가치들이 다면화되면서 가치를 생성하고 평가하는 기준과 방법 역시 다양해졌고, 특히 거기에 관여하는 행위자들 역시 복수의 형태를 취하게 되면서 주목받게 된 것이 ‘집단’이라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배경으로 수도권의 한 브랜드 단지에서 등장한 아파트 자생단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의 아파트 단지가 처한 현실적 조건, 나아가 ‘공동체’의 호출 배경을 진단하고 그 속에서 형성된 집단적 활동을 고찰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ollective action against socio-economic transition related to apartment complexes in 2010s South Korea. The 2010s are a period in which the model for increasing one’s wealth centering on the purchase and sales of apartments began not to work as in the past due to the combination of elements including the effe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 increase in household loans, and an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Consequently, apartment complexes in South Korea have started to demand “values” different in kind from that pursued in the past. “Values” surrounding living spaces tied together with social element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shared spaces and residents’ committees, which dealt with problems related to apartment complexes overall, have come to be highlighted. As the “value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partment complexes have become diverse,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assessing value have become diverse, too. In particular, as the actors intervening in all of these activities likewise have become plural, what has newly caught attention is the issue of “collectives.” In this study, I analysis the activity of a small group which appeared at a brand apartment complex located near Seoul. Through this case study, I examine the practical conditions related to apartment complexes in South Korea, and discuss the collectivity and the nature of the “apartment community” formed under thos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증여의 네 번째 의무

        정헌목(Jung, Heon?m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증여론』에서 선물교환에 관해 모스(Mauss)가 전개한 논의에는 고들리에(Godelier)가 ‘네 번째 의무’라 지칭한 또 다른 주제가 존재한다. 모스 자신이 “신과 자연을 위해서 인간에게 행하는 증여의 문제”라 부른 이 주제는 바로 신과 자연, 조상의 영에게 행하는 증여에 관한 문제이다. 인간들 사이에 존재하는 주고, 받고, 답례하는 세 가지 의무 외에 신을 비롯한 신성한 존재에 대한 증여가 선물교환의 네 번째 의무로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여기에 주목하여 『증여론』에서의 선물교환 원리와 희생제의에 관한 이론을 연결하여 모스의 논의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희생제의의 원리와 모스가 설명하는 선물의 논리 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한 분석이 현대사회에서 어떤 시사점을 갖는지, 나아가 사회 혹은 공동체의 형성과 어떤 관련을 갖는지 분석한다. 특히 신성한 존재에 대한 증여가 사람들 간의 호혜적 의무와 동일한 층위에서 작동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증여의 ‘네 번째 의무’에 의해 구성된 위계적 세계를 공동체 형성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논의를 고찰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forgotten theme of “the fourth obligation” called by Maurice Godelier in the discussion of Marcel Mauss about the gift exchange. Mauss explained this theme as that of the gift made to men in the sight of gods or nature. It includes the sacrificing rites to the gods and spirits as the fourth obligation of gift exchange, beyond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humans based on three obligations to give, receive, and repay. Focusing on the similarity between discussions about sacrifice and gift exchange, I examine that the “total prestation” system of Mauss and the formation of society or community are closely linked. In particular, discussions about hierarchical worlds constituted by “the fourth obligation” are essential, because gift to the divine beings cannot be compatible with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humans. Based on reviews about this kind of discussions, I argue an obligation to give towards the divinitie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on another level.

      • KCI등재

        ‘작은 결혼식’의 대두에 따른 의식 변화와 실천:

        정헌목(Jung Heon mok) 한국가족학회 2018 가족과 문화 Vol.30 No.1

        현대 한국사회의 결혼은 과도한 상업화와 획일화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젊은 신혼부부가 감당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비용, 그리고 몰개성적이고 획일적인 예식 스타일 탓에 대다수 한국인은 결혼식에 수반되는 일련의 과정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안적인 형태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른바 ‘작은 결혼식’ 혹은 ‘스몰웨딩’이다. 기존의 획일적인 형태를 벗어나 상대적으로 비용부담이 작고 자신만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결혼식을 올리고자 하는 움직임은 결혼을 둘러싸고 등장한 새로운 현상 중 하나이다. 이 논문은 이처럼 결혼식의 탈정형화를 추구하는 자녀 세대와, 전통과 친족 의무를 중시 하는 부모 세대 간의 갈등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기존의 예식 형태를 부정적으로 보는 젊은 예비부부 사이에서는 ‘작은 결혼식’에 대한 인지도와 소망이 높아졌지만, 이를 정작 실천에 옮기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한국사회에서 결혼이라는 의례에는 부조금이나 예물, 예단과 같이 부모 세대의 이해관계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준비과정 전반에 부모의 경제적 기여도가 높은 탓에 자녀 세대가 주도권을 잡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녀 세대는 상대적으로 변화를 만들기 쉬운 예식 당일의 절차에 집중하여 나름의 방식으로 결혼식의 탈정형화를 추구한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한 사례들을 분석하여 부모 세대에게 익숙하지 않은 탈정형적인 예식에 대한 자식 세대의 선호가 세대 간의 타협을 통해 중간지점으로 수렴되는 양상과, 그 배경으로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찰한다. The marriage rite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as a lot of problems because of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The most Koreans have negative awareness about the process of marriage due to high costs and a uniform style of a wedding ceremony. In these circumstances, so-called the Small Wedding has begun to receive social attention. The movement to hold a wedding which cost less and departs from a traditional style is a new phenomenon. This case study examines conflicts between the young generation who are in pursuit of the Small Wedding and the parents generation who are more concerned with the tradition and duties among relatives. The young soon-to-be-married couples who want the Small Wedding have a lot of troubles to put it in practice, because of that the interest of parents, like wedding presents or a monetary gift for wedding, connects to the wedding as a ritual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young generation seeks the destandardization of marriage rites focusing on the process of the very day of wedding that has room for change. This study explores the socio-cultural context which effects a compromise that solves the conflict between the preference for an ex-formal wedding of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discontent of par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