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The Upcoming Weekly Tides (Semaglutide vs. Tirzepatide) against Obesity: STEP or SURPASS?

        정한나,정창희 대한비만학회 202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31 No.1

        The rapidly increasing prevalence of obesity and obesity-associated morbidity is causing an ever-increasing global burden. Beyond lifestyle modifications, pharmacological approaches to losing body weight to achieve a decrease in cardiometabolic complications are in the spotlight. Pre-existing anti-obesity medications (AOMs) approved for long-term prescription use showed a weight reduction of around 5% more than placebo. In contrast to the modest efficacy of pre-existing AOMs, two newly developed, weekly-administered injectable drugs, semaglutide and tirzepatide, exhibited outstanding weight-loss effects in a series of multinational randomized phase III trials. Considering that these two peptides are the most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upcoming battle in the anti-obesity market, comparison of their efficacy and safety is essential. This review summarizes the body weight reduction efficacy, glycemic control, and safety of semaglutide up to a 2.4-mg dose and tirzepatide up to a 15-mg dose, focusing on the Semaglutide Treatment Effect in People with Obesity (STEP) 2, SURPASS-1, and SURPASS-2 trials, the subjects of which were all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자료『신생활』을 읽는 여러 갈래의 길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회도서관 디지털 자료와 영인본 비교-

        정한나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이 글은 1920년대 초 발간된 『신생활』의 생산 및 유통과정과 법적 지위를 검토하고, 이러한 생산 조건이 각기 다른 판본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핀다. 비교 대상이 되는 자료는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의 디지털 자료, 현대사(1993) 및 도서출판 청운(2006)의 영인본이다. 『신생활』제1~9호는 미국인 선교사 백아덕을 발행인으로 내세움으로써 출판규칙의 적용을 받는 잡지로 출간되었다. 출판규칙은 ‘제본’ 검열을 의무화했지만 『신생활』은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여 교정쇄 단계에서 검열을 거쳤다. 이 때문에 현존하는 『신생활』 자료는 검열본과 유통본으로 분리된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검열본을 제공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자료는 검열 주체의 흔적이 생생하게 남아 있다는 점, 검열로 삭제되기 이전의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서지정보가 불충분하거나 부정확하며 검열 주체의 흔적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점은 보완될 필요가 있다. 국회도서관은 시중 유통본을 제공하고 있다. 국회도서관 제공 자료는 『신생활』이 당대에 향유된 방식을 재구하는 데 가장 유용한 텍스트이지만 검열에 의한 텍스트 훼손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잡지 한 호 전체 열람이 가능하여 잡지의 편집 체제를 살피기에 적합하며, 자료 열람 및 저장 방식이 직관적이고 편리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현대사와 도서출판 청운의 영인본은 원본 잡지의 물질성과 유기성에 근접한 형태의 자료이지만 제작 과정 중의 제본 착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신생활』자료를 교차 검토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는 작업은 『신생활』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추적하고 『신생활』의 담론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생활』을 하나의 사례로서 검토함으로써 1920년대 초 매체 환경에 접근하는 길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의학교육의 코호트 구축을 위한 종단 데이터베이스 설계방안 연구

        정한나,김혜원,이이레,안신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3 의학교육논단 Vol.25 No.2

        Longitudinal data can provide important evidence with the potential to stimulate innovation and affect policies in medical education and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further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evidence-based decisions. Tracking and observing cohorts of students and graduates using longitudinal data can be a way to link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medical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practical methods and technical, administrative, and ethical consider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longitudinal database and presented examples of longitudinal databases. Cohort study design methods and previous examples of research using longitudinal databases to explore major topics in medical education were also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systematic design process is required to establish longitudinal data, and each university should engage in ongoing deliberation about this issue; (2) efforts are needed to alleviate “survey fatigue” among respondents and reduce the administrative burden of those conduct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3)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review iss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data security, and ethics regarding the survey respondents; and (4)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integrates and manages a longitudinal database of medical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hope is that establishing longitudinal data and cohorts at individual medical schools will not be a temporary phenomenon, but rather that they will be well utilized at the national level to innovate and implement ongoing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재확인 추구가 사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한나,김정민,박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7 인지행동치료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재확인 추구와 반추가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나아가 재확인 추구가 사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반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기타 소재 10개 대학(교)의 학생 총 48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변인은 자책, 일반적 위협, 우울반추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우울을 설명하는 변인은 우울반추, 자책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추는 재확인 추구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는 부분 매개하는 반면, 재확인 추구와 우울 간의 관계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reassurance seeking and rumination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surance seeking and social anxiety, reassurance seeking and depression. This study targeted 481 college students attend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other area. For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21.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proach, general threat, depressive rumin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depressive rumination, self-reproach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college students’ depression. Second, rumin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assurance seeking and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ruminat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surance seeking and depress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자의 적은 여자인가?: 상사 성별이 여성 근로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한나 한국노동경제학회 2017 勞動經濟論集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x of supervisor on the stress and promotion of Korean women workers in the workplace using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the direct boss of female workers was female, stress in the workplace was high and the promotion rate of staff and assistant managers was low. According to the theory of queen bee phenomenon and role congruity theory, a structure of glass ceiling and the male-dominated working culture does not require positive qualities of female leadership but requires a high recognition standard or competitiven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emale worker with the female supervisor showed more stress in the workplace and the probability of female promotion in staff and assistant managers is low.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를 이용하여한국 여성 근로자의 직장 내 스트레스 및 승진에 상사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직속 상사가 여성일 때 여성 근로자의 직장 내 스트레스는 높았고, 사원 및 대리 직급 여성의 승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왕벌 현상과 역할일치이론에 따르면 한국과 같이 유리천장이견고하고 상위 직급의 남성 밀집도가 높은 구조에서는 여성 리더십의 긍정적인 특성이 발휘되기보다 다른 여성에 대해 높은 인정 기준을 요구하거나경쟁적인 모습을 보여 여성 상사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 내 스트레스는 높고 낮은 직급의 여성 승진확률은 낮추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의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정한나,김영숙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2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31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migrant workers working at companies in K and B metropolitan citi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19, and used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Korea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29, p<.001), health promoting behavior (r=-.30, p<.001)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44, p<.001).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r=.50, p<.001)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44, p<.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51, p<.001). Furthermore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Z=3.26, p<.001), and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Z=3.98, 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ere shown to mediate health promotion behavior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grant worker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effective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depression, and support social support.

      • KCI등재

        시간 탄력적 근무제도가 직무 및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한나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직장 내 근무 형태 중 하나인 시간 탄력적 근무(시차‧탄력 근무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가 근로자 직무 만족과 일-가정 양립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자원이론에 따르면 시간 탄력적 근무는 시간, 에너지 배분 등을 유연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근로자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한편 자기통제이론에 따르면 시간 유연성은 가정에서 담당해야 하는 일을 늘려 근로자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분석 결과 시차‧탄력 근무제는 여성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일-가정 양립 만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시간 유연성이 근로자에게 더 많은 선택지와 결정단계를 주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효과가 존재한다는 자기통제이론보다 시간, 에너지 배분 등을 유연하게 관리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근로자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자원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만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근로자에게 제공되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는 직무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가정 양립 만족은 높였다. 어린 자녀가 있는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만족은 높이나 이것이 직무만족으로의 연결성은 충분치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