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비교론적 관점에서 본 동북아공동체 형성 전략 - 유럽연합(EU)의 공동체형성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정창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2

        There can be no doubt about the fact the a new interregional dialogue among China, Japan and Korea is not only useful in the global triangular context but also per se as a means to boost the intraregional contacts of the three countries. The three northeast countries do not have yet a common recognition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lthough there are a lots of sites of related interest. Developments in the European Union(EU) since the mid-1980s have generated considerable debate on the dynamics of the pooling of sovereignty and concomitant reductions in the authority of national governments. While mos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U‘s internal market and monetary integration, its legal system is the clearest manifestation of burgeoning supranationalism. This study aims to trace a strategy for building the northeast community in a comparative approach.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U Model for building Community and its application for a future model for building the northeast community. 유럽공동체 구축에 대한 시도는 제2차 대전의 종전 후, 미국과 소련의 냉전체제하에서, 소련의 팽창주의에 대한 대항과 파괴된 유럽을 정치․경제적으로 통합시켜야겠다는 절실한 필요성에 의해 대두되었다. 이러한 통합의지는 1950년 5월 9일 프랑스 외무장관 슈망(R. Schman)이 경제전문가 쟝 모네(Jean Monnet)의 도움을 받아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를 창설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구체화 되었다. 이후 유럽단일협정(SEA, 1987)과 마스트리히트 조약(1992), 암스테르담 조약(1997) 그리고 니스 조약(2002)을 거치면서 행정, 입법, 사법의 기능과 구조를 갖춘 새로운 초국가적인 정치체(political entity)를 완성해 가고 있다. 동북아시아는 제2차 대전 이후 정치․군사적 갈등 때문에 경제적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였다. 특히, 정치적으로는 1990년대 소련의 붕괴로 국제정세는 탈냉전시대에 접어들었지만, 동북아에 남북한의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사회주의권의 체제전환이 진전됨에 따라 동북아는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지역으로 도약할 역사적 기회를 포착하게 되었다. 특히, 동북아 국가들 간 잠재적 갈등요인을 해소하고 역동적인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개방적 지역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동북아시아의 정치․경제적 배경 하에서, 동북아 국가들이 평화와 번영의 기반을 공고히 하고 경제협력과 정치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동북아공동체의 형성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미 準연방국가(quasi-federal states) 수준의 국가통합체를 달성한 유럽연합(EU)의 공동체 형성사례와 비교하여 동북아공동체 형성을 가늠해 보았다.

      • KCI등재

        GPS-X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2단탈질 공정에서 외부탄소원 적용성 평가

        정창화,심유섭,김태형,박철휘 대한상하수도학회 2004 상하수도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daptability of external carbon source using GPS-X program in pilot plant composed with 2-stage denitrification process. The result from analysis of pilot plant operation and GPS-X simulation showed that effluent concentration could be simulated similarly by modifying operation conditions, such as DO concentration, C/N ratio and other calibrated parameter. In order to satisfy the standard of the effluent water quality on T-N of 20㎎/L, it required approximately 3.1 of C/N ratio and 50% of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hen influent T-N is 36.9㎎/L. To maintain the stabl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water, the effluent T-N concentration should be less than 10-15㎎/L and the appropriate C/N ratio to remove nitrogen was 4.27-6.82. The analysis of sensitivity to kinetic coefficient and reaction constant showed that Y_(H) and μ_(mAUT) were most sensitive to nitrate and ammonia nitrogen, relatively and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ir were 1.32, 1.98. It was concluded that as Y_(H) decreased and μ_(mAUT) increased, the reaction rates of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increased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O₃^(-)-N and NH₄^(+)-N improved.

      • KCI등재

        Politik zur Institutionalisierung des deutschen Interkulturalismus: Entwurf einer institutionellen Verankerung der politischen Bildung in Korea im Lichte des deutschen Falls

        정창화 한독사회과학회 2014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4 No.4

        The Beutelsbacher consensus is the result of a meeting of the National Center for Civic Education Baden-Württemberg in autumn 1976 in Beutelsbach/Germany. The consensus established the principles for political or civic education. Civic education was indispensable in building a liberal democracy in the Federal Republic Germany after 1945. This civic education can be assessed that the results of interculturalism in germanyIn this paper we present a way of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on the basis of case in Germany. In this context we also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arameters of civic/intercultural education. Im Jahr 1950 hatte die Kulturministerkonferenz die Einführung eines besonderen Unterrichtsfaches für die politische Bildung empfohlen. Politische Bildung ist eine Daseinsvorsorge der Demokratie. Daher gibt es berechtigte Gründe für die Annahme, dass Unterstützung und Angebot der politischen Bildung in Deutschland seither läufig sind. Der Institutionalisierungsprozess zur interkulturellen politischen Bildung sollte einer sozialen Integration zur Lösung öffentlicher Konflikte vorausgehen. Andersgesagt sollte zumindest zwischen den gesamtgesellschaftlichen Gemeinschaften eine Übereinstimmung getroffen werden. Dies bedeutet, dass die politische Bildung bei der inneren Einigung eine positive Rolle spielt, denn die politische Bildung wird zum bürgerlichen politischen Kulturaufbau und zur Verstärkung bzw. Verkündigung der Demokratie einen großen Beitrag leistenAus diesem Grund untersucht diese Arbeit im Bereich einer institutionellen Verankerung der politischen Bildung in Korea im Lichte des deutschen Falls. Zur Stärkung der demokratischen Gesellschaft ist es erforderlich, dass die politische interkulturelle Bildung in eine institutionalisierte Form gebracht wird. Ziel dieser Arbeit ist, einen Plan für die Institutionalisierung der politischen Bildung zu entwerfen. Hierzu werden zunächst die politische Bildung in Deutschland überblickt(II) und dann der Entstehungsprozess der politischen Bildung in Korea beleuchtet(III). Im vierten Kapitel wird die institutionelle Verankerung der politischen Bildung dargestellt, indem die Grundausrichtung der politischen Bildung sowie mögliche Organisationsformen durchdacht und Schritte zu deren Implementierung entworfen werden. Abschließend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ein Design für das Institut für die politische Bildung in Korea unter Berücksichtigung verschiedener Variablen und Theorien darzustellen.

      • KCI등재

        메셀로스폐액의 주입율에 따른 2단탈질공정의 질소 제거

        정창화,심유섭,김성준,박철휘 대한상하수도학회 2003 상하수도학회지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lution to reduce the cost of methanol as external carbon source. The raw water of J-S.T.P. contains low concentration of readily biodegradable organics and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due to the influents of industrial wastewater and leachate. Consequently, the influent C/N ratio is very low, and thus the supplemental addition of methanol is required to provide external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Pilot plant experiments composed 2-stage denitrification proces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and performances of the selected carbon source and the operation conditions for applications in practice. When the same amount of denitrifying substrates based on denitrification rate of methanol were injected, the effluent T-N concentration of using mecellulose wastewater was similar to that of methanol. Comparing the influent concentration of carbon source and the denitrification rate, it was shown that the denitrifying potential of mecellulose wastewater was 60% and injecting 1/3 of carbon source into the preanoxic tank was appropriate to ensure the stabilized effluent water quality. The COD,, requirement of mecellulose wastewater per nitrogen removed was 1.4 times of the required amount for methanol, and the settlability of sludge treated with mecellulose wastewater improved about 29%, which confirmed its potential as effective external carbon source.

      • KCI등재

        입법영향평가(GFA) 제도의 실효적 도입 방안: 독일 GFA의 제도화 사례를 중심으로

        정창화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8 EU연구 Vol.- No.48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issues of the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Gesetzesfolgenabschätzung) in Germany which has been promoted for 17 years. It will also mention the institutionalization situation within the federal government system, includ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 (Gesetzesfolgenabschätzung), and the review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e Legal Impact Assessment (GFA) deals wit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tended effects and unwanted side effects of legal norms. The purpose of regulatory impact assessments is to make state action more effective, and to include possible alternatives. The results of this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 in Germany can be evaluated positively. To increase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s, two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federal government in Germany, such as the National Regulatory Control Council(Nationaler Normenkontrollrat) and the Committee of State Secretaries for the Reduction of Bureaucracy. 입법영향평가의 개념화와 관련된 두 가지의 쟁점과 연계하여 입법영향평가(GFA)는 “의도성이 특정하여 효력 발생된 법규정(Rechtsvorschriften)의 사전단계에서 사후단계까지 그 결과 및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심사·평가하여 법규정의 최적화(Bessere Rechtsvorschriften)에 도달하는 절차적 수단”라고 정의될 수 있다. 독일에서는 지난 2000년 이후 입법영향평가(GFA)라는 제도가 도입·실행되고 있다. 즉, 독일의 모든 연방부처는 연방각부공통직무규칙(GGO) 제44조에 따라 법률안이 사전에 의도한 효과와 이행을 위한 비용 그리고 예측되는 부작용 등이 기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도는 지난 2006년과 2011년에 규정 개정과 새로운 입법을 통하여 입법영향평가에 행정비용과 이행비용의 두 가지 요소까지 부가되었다. 이러한 목적은 규제를 동반한 관료비용을 감축하고 입법개선(Bessere Rechtsetzung)을 통하여 최적의 법률을 찾아가기 위한 하나의 국가적인 전략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도화 이후 지난 17년간 추진되어 온 독일의 입법영향평가의 제도적 쟁점을 진단·기술하고, 입법영향평가의 제도화 과정을 포함하여 독일 연방정부체계 내에서 제도화 상황을 언급하여, 향후 동 제도가 착근될 수 있도록 실효성 제고를 위한 검토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 KCI등재

        독일 공무원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정창화 한독사회과학회 2010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0 No.1

        19세기 이래로 공법과 공법에 기초한 관료제를 근간으로 국가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독일에서의 공무원 노사관계는 국가업무가 지니는 공공성으로 인해 노사관계에 대한 상당한 제약이 가해지고 있다. 즉, 일반적 노사관계와는 달리 공무원의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을 금지하고 있다. 이는 공무원의 사적이해관계에 대한 집단적 추구를 제도화된 영역으로 진입시킴으로써 국가 업무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은 또한 공무원성에 근거하여 공무원 노사관계는 이원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도화된 공식적 영역뿐만 아니라, 비제도화된 비공식적인 영역에서도 노사관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직장평의회는 기관단위에서 공무원의 이해관계를 직접적으로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적 통로를 구축한 것이다. 즉, 민간부문에서 종업원평의회법(Betriebsverfassungfsgesetz)에 기초해 일반노동자들의 작업장참여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공동결정제도(Mitbestimmungssystem)를 직장평의회법(Personalvertretungsgesetz)을 통해 공무원에게 적용토록 했다. 이것은 국가기관 종사 공무원들의 직접 및 비밀선거를 통해 구성된 직장평의회에서 공무원들의 일반적 이해관계를 수렴하고, 기관장과 논의하여 결정하도록 하는 공무원의 직장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입법영향평가(GFA) 제도에 관한 연구: 독일 GFA 평가방법과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정창화 한국유럽학회 2007 유럽연구 Vol.25 No.2

        Gesetzesfolgenabschätzung (GFA) is an analyt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regulatory problems, encompassing a range of tools and techniques aimed at assessing the effects of regulation. It also provides a structured way of communicating results to decision-makers and to the public at large. Modern GFA systems are a means to an end, not an end in themselves. They neither replace the political process, nor limit the basis of legislative decision-making to quantitative economic factors; but they can help legislators to reduce the risks of regulatory failure and the risks of unintended consequenc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new regulations. GFA should inclu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need for regulation, the alternatives examined and the overall impact of the regulation. GFA should include analyses of potential major impacts of the regulation on public health and safety, the environment, consumers, business and society at large. In short, the GFA system should integrate and expand upon the existing, formal and informal impact assessment systems, such as the following analytical methodologies- cost-benefit analysis, cost effectiveness analysis, business impact assessment system, fiscal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입법영향평가(GFA) 제도는 정책의 구체화된 표현으로서 법률의 모든 차원의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법률의 질을 개선하는 것과 법률의 빈번한 개정에 따른 불안정성을 치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규제에 대한 비용과 편익을 계량화하여 그 효과를 입법영향분석 담당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비교검토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하여 법률의 제정을 즉흥적으로 하거나 불확실성을 배제하고 법률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동시에 입법자는 입법평가를 통하여 사회의 각계각층으로부터 합의를 도출할 것이며, 관련 법률은 폭넓은 토론의 성과를 반영하는 민주적인 방식으로 작성될 것이다. 실상 이러한 제도는 사전에 규제의 도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나, 기존 규제가 본래의 목적대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로 입법영향평가(GFA)의 개념, 기능 및 유형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둘째로 현재 독일을 포함한 유럽에서 진행되고 있는 입법영향평가(GFA) 3가지 평가방법 - ①사전입법영향평가방법, ②병행입법영향평가방법 그리고 ③사후입법영향평가방법 - 비교분석한다. 셋째로 입법영향평가(GFA)를 위한 다양한 분석기법들이 소개 및 상술되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