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

        정준희(June Hee J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2

        외주제작은 한국 방송산업의 주요 화두 가운데 하나였다. 지상파 중심의 독과점적 엘리트 제작 구조 해체,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고품질성 촉진, 방송 제작 부문의 산업적 성장 등이 외주제작 활성화 정책을 뒷받침하는 주요 논거였다. 따라서 외주제작 정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런 목표가 정당한 것이었는지, 그리고 해당 정책을 통해 그와 같은 목표가 얼마나 성취됐는지를 가늠해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의 외주제작 정책의 의의에 접근하기 위한 여러 경로 가운데 하나로서, 영국의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수행해 보고자 한다. 가장 선도적이고 표준적인 정책이었으면서, 독립제작 부문의 국내외적 경쟁력 확보라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영국의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의 배경으로서 대처리즘의 기업가 정신과 신노동당의 문화통치 담론을 분석하고, 이 두 가지 버전의 지배담론이 어떻게 상호 구별되고 또 접합되었는가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영국 독립제작 정책이 실제로 성취한 바는 국가의존적 독립성이라는 일종의 역설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영국의 독립제작 정책은 방송 부문을 뒷받침하는 제도와 실천이 문화와 산업, 공공부문과 시장 사이에서 끊임없이 타협되고 재구성될 수밖에 없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research proposes that a critical reappraisal of the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in the UK could be helpful for furthe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outh Korean equivalent. The UK case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pioneered and exemplary application of the policy idea that promoting independent production will solve the problems of the oligopolist system of in-house production, boosting the quality and diversity of broadcast programmes and encouraging the industrial growth of broadcasting production sector in general. The analysis focuses on the discourses of Thatcherite entrepreneurship and New Labour’s government of culture as the conceptual and normative background of the policy. By doing so, this research tries to shed lights on the paradox of the independence reliant to the state. Based on this finding, this research concludes, though in a reserved manner, that what is shown in the case of the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of the UK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and practices of the broadcasting sector that is constantly negotiated and re-constructed between culture and industry, and public sector and the market.

      • KCI등재

        신규 복합 미디어 기업의 부상과 제작자 엑서더스

        정준희(June-Hee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6 No.2

        2010년 말의 종편 승인 결정에서 현재 시점에 이르기까지 한국 방송산업은 상당 수준의 구조적 변동을 겪고있다. 그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모습 하나는 단단한 수직결합 체계를 통해 국내 방송영상산업에서 강력한 콘텐츠 지배력을 유지해오던 지상파 제작 단위로부터 핵심 인력이 대규모로 유출되고 있는 현상일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제작자 엑서더스 현상의 배후로서, 상업적 거대 미디어기업을 통해 방송부문에서 시장논리를 확대하려는 목적의식적 제도설계의 존재를 지목하고, 이와 같은 외부 요인이 방송산업 내부의 다양한 요인들과 맞물려 어떠한 양상을 빚어내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 지상파 잔류보다는 이탈이 개인적?사회적 보상 차원에서 더 다양하고 더 큰 긍정유인을 제공한다고 본 제작자들 나름의 합리적 선택을 매개로 현재와 같은 대규모 이탈이 발생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복합 미디어 기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창의성 재배치 과정이, 장기적으로 제작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귀결될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의 제도적 설계에 내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South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has been under a significant level of structural change since the permission of new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in the end of 2010.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change may be the exodus of core manpower from the in-house productions of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which have been maintaining their dominant power over broadcasting content market based on their systems of tight vertical integration.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resence of a purposeful ‘mechanism design’ that aims to the expansion of market logics in South Korean broadcasting sector by promoting commercial media conglomerates, and analyses how this external design has been actualized while being interlocked with various internal factors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This paper shows that on the backdrop of the mechanism design, some of new media conglomerates has successfully provided various incentives in contrast with those disincentive of terrestrial broadcasters, which in turn, has facilitated the exodus of elite producers. This paper, however, raises a set of questions about whether this relocation process of creativity led by commercial media conglomerates would, in the long term, guarantee more opportunities and potentials for the producers, as promised. As part of conclusion, inherent problems of present mechanism design are highlighted.

      • KCI등재

        컨버전스의 현실화 : 다중 미디어 실천에 관한 인간, 문화, 사회적 관점

        정준희(June Hee Jung),김예란(Yeran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0 언론정보연구 Vol.47 No.1

        이 연구는 주어진 조건을구체적인 컨버전스 현실로 바꿔내는 인간주체들의 활 동, 즉 다중 미디어 이용자에 의한 컨버전스 현실화에 주목한다. 여기서 ‘현실화’는 기술적 · 제도적 환경 안에서 인간 주체가 특유한 사회문화적 관계를 생성하고 표현하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컨버전스에 관련된 철학적, 문화적, 사회적 이론을 검토하고 심층인터뷰를 수행한 결과, 첫째, 다중 미디어 이용자들은 시공간 질서가 혼성된 내러티브적 자아를 구성하면서 유동적인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다. 둘째, 하위문화 집단 및 문화산업과 관계를 맺는 다중 미디어 이용자들은 개인주의와 공동체 윤리 사이에서 갈등 · 타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때 문화와 산업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이 관찰됐다. 셋째, 기술적으로 평등하게 구축된 네트워크를 통해 위계성을 띤 정서적 사회관계가 형성되고 있었는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다중 미디어 이용자들이 표출하는 열정의 대중 정서, 특히 유명인에 대한 찬미와 숭배의 의례를 통해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yond the limit of a techno-industrial, functionalist perspective on media convergence, we aim to examine the mechanisms and the meanings of the actualization of convergence through human practices of multiple media use. The actualization of convergence is defined as people's practice of multiple media creating and expressing concrete cultural modes and social relations in media convergence ecology. Drawing upon those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research approaches the realities of convergence in Korean society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multiple media users. By and larg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users are constructing their everyday lives into media rituals on the personal, cultural and social dimensions. Firstly, we see convergence subjectivities that embody instantaneous, vagrant and weary experiences with more convenience and freedom given by a media-rich environment. Secondly, we see a culture in which the users conflicts as well as fuses with various sub-culture groups and cultural industrial organizations. Thirdly, we see popular social sentiments that voluntarily comply with and get crazed by the hierarchical emotional relationships of adoration and admiration, which seems to be in contrast with the technologically egalitarian designs of social networking.

      • KCI등재

        영국 지상파방송사의 디지털 진화 전략 분석

        정준희(Jung, June-Hee) 문화방송 2014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4

        이 연구는 디지털 충격 이후 영국 공공서비스 지상파방송사들이 새로운 전략적 대응을 구성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디지털 다채널 대응 단계와 OTT 대응 단계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환경과 주체가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되는 역학관계를 제도설계와 기술 환경 그리고 이해 당사자들의 전략적 선택이 상호 교차하는 과정을 추적하여 사례분석한다. 우선, 제도설계 측면에서, 영국 정책 당국은, 국면에 따라 초점의 차이는 있었지만, 디지털 기술 환경에 선대응하기 위해 시장과 공공의 선순환적 구조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또한 지상파방송사들은 독자적 미들웨어 방식의 무료 다채널 서비스 프리뷰를 통해 과거의 지위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연착륙전략을 채택했다. 하지만 OTT 서비스의 등장으로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복잡화가 가속화되자 지상파방송사들은 통신사업자들과의 연합에 기초를 둔 유뷰라는 명칭의 IPTV 플랫폼을 구축하는 쪽으로 나아갔다. 이 전략은 상당히 공세적이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행위자들 사이의 불안한 결합력을 나타냈으며, 무엇보다 ‘공공서비스 주체들의 무료서비스 연합’이라는 개념을 불분명하게 함으로써 전망의 혼돈을 가져왔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뷰를 스마트 TV에 연동시키는 일종의 무료 HbbTV 전략인 프리뷰 커넥트 계획으로의 이동이 제안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갈림길 위에서 영국 지상파방송사들은 UHD 서비스 등에 연관된 새로운 제도설계를 압박하면서 혁신된 무료방송 플랫폼과 고품질 콘텐츠 제작 기지로서의 역량 강화를 통해 디지털 진화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of envisaging new strategic measures by the public service terrestrial broadcasters in the UK during the first phase of digital multi-channel and the second phase of OTT developed after the digital impact. The analysis is methodologically based on a case study of the dynamic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actors, in which a specific design of institution,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he strategic choices of stakeholders are intersecting each other. Against the backdrop of an institutional design to promote a benevolent circle between the market and the public sectors, the public service broadcasters in the UK tried to cope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environment by forming a public service alliance in the form of a free DTT service, Freeview, during the first phase of multi-channel era, and by forming a strategic alliance with Telcos in the form of an entitlement IPTV platform, YouView, during the second phase of OTT era. Even though the Freeview service as a soft landing strategy was more than successful, the YouView service as a proactive strategy is presenting a mixed picture. Thus the broadcasters are now seeking out an alternative OTT strategy, called Freeview Connect, a HbbTV platform extending an inherent free-to-view model of their own, while anticipating a new kind of institutional design favourable to their continuous upgrading strategy, including UHD service, is actualiz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 매체 체계의 특성 : ‘민주화 이행 모형’의 제안

        이준웅(June Woong Rhee),조항제(Hang-Je Cho),송현주(Hyun-Joo Song),정준희(June-Hee Jung) 한국언론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6 No.1

        이 글은 1987년 이후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한국 정치와 언론 매체는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그리고 한국사회 민주화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매체 체계론적 관점에서 한국사회 민주화를 기술하는 민주주의 이행모형을 제안하고, 한국 정치 체계와 매체 체계 간의 관계의 한국적 특수성을 논의한다. 이 글은 특히 ‘정치 병행성(political parallelism)’개념을 이용해서 정치와 언론의 관계에 대한 한국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가설명제를 제시하는데, 이는 민주주의 이행기의 초기 단계에서 한국 언론은 민주화에 실체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그 성과를 누리는 정도였지만,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확장된 민주주의 제도와 규범 아래 ‘민주적 담론 전략’을 활용해 정치 체계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관찰에 기초한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이행기에 언론 매체의 정치적 영향력이 정당을 능가할 정도로 커졌는데, 특정 언론의 정치적 영향력과 시장 지위가 강화될수록 공고화 단계에 있는 한국 민주주의의 전망이 제한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주장이 한국사회 민주화에 대해 갖는 함의를 검토한다. This essay attempt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media system and political systems have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contributed to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Korea. Based on the proposal of the transitional model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we examine the possibility in which media system has set the limit on the visions and directions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particular, we employ the notion of 'political parallelism' to characterize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system and political system in Korean democratization. The Korean way of 'political parallelism' accounts for the process in which mainstream newspapers and broadcasters have influenced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associations.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 of media system in democratic consoli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