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典의 刻印, 콘텐츠의 挑戰 –‘가능세계’의 觀點에서 본 흥부전 과 영화 <흥부>(2018)의 서사적 成敗–

        정제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e movie Heungbu is based on Heungbujeon. This paper analyzes this work through the idea of “Possible Worlds.” Heungbujeon was enjoy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ich were the “Actual World.” However, Heungbujeon presents a “Textual Actual World,” indicating a “Textual Referential Worl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from reality in the work. Different versions of Heungbujeon continues to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times; it is not a work limited to a single genre, but extends to books, pansori, fairy tales, movies, and franchise brands, through which Heungbujeon has been recontextualized for the new era. This recontextualization led to the movie Heungbu. However, audiences did not refer to the historical events alone, for the original existed as a “Textual Referential World” for the audience. Hence, Heungbu is located between the new era and the original, whereby it created a new meaning, even though it failed at the box office. 정제호, 2022, 고전의 각인, 콘텐츠의 도전, 어문연구, 196 : 197~219 본고는 흥부전 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영화 <흥부>라는 콘텐츠가 갖는 시대적 맥락과 의미를 ‘가능세계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흥부전 은 18~19세기를 중심으로 창작 및 향유되었는데, 이런 배경을 바로 ‘실제세계(AW)’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흥부전 텍스트에 의해 만들어지고 제시되는 것이 바로 ‘텍스트 실제세계(TAW)’이다. 하지만 흥부전 에 나타난 텍스트 실제세계는 현실과 다른 여러 맥락들이 존재한다. 그래서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세계가 필요하고, 이것을 ‘텍스트 참조세계(TRW)’로 규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흥부전 은 시대가 달라지며 계속된 변이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시대에 맞는 새로운 참조세계를 통해 재맥락화되는 과정을 보여주게 된다. 이런 재맥락화는 영화 <흥부>로까지 이어진다. 특히 <흥부>는 당대의 역사적 사건들을 새롭게 참조하여 영화의 텍스트 실제세계를 만들어 간다. 다만 당대 향유층에게는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원작 자체도 하나의 참조세계로 자리하게 된다. 결국 영화 <흥부>는 시대적 맥락의 맥락화와 각인된 기억으로의 원작 사이에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면서도, 또 대중성 확보에는 실패하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돈전풀이>에 나타난 신의 형상화 방식과 신화적 의미

        정제호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6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mythic meaning Through the depicition of God in <Donjeonpuri>. In this study, I studied the process of Gungsangi and Myengwolgaksi becoming a Donjeonsin(God of Money). In this process, Gungsangi chose ‘Charity’, not ‘Grow Rich’. And Donjeonsin became. This kind of money in Otherworld can be seen in the <Seminhwangjebonpuri>. Seminhwangje, rich in this life, is penniless in the Otherworld. It is because I did not help others in this life. So I had to borrow money from a good Maeil and Jangsang. Maeil and Jangsangl is the richest person in Korea with Charity. Gungsangi and Myengwolgaksi also gets the ‘Geonmangjungtae’ by saving the animals. Geonmangjungtae is something that keeps making money. Gungsangi and Myengwolgaksi becomes a Donjeonsin when he gets Geonmangjungtae. Through this Shamanistic Epics, people trust the Manmukguk. Participants can see that they spend money for The Deceased. And the participants can believe that The Deceased went to Otherworld well. So in the Mangmukguk, <Donjeonpuri> has an important value. 본고에서는 <돈전풀이>에 나타난 돈전신의 형상화 방식과 신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필자는 <돈전풀이> 서사를 다시 독해함으로써 무가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궁상이와 명월각시가 돈전신의 자질을 획득해 나가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특히 <돈전풀이>에서는 궁상이의 변화와 명월각시의 조력을 통해 부부가 돈전신으로 좌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궁상이는 ‘치부’를 추구했던 것에서 변화하여, ‘적선’을 행함으로써 저승에서 통용되는 부를 갖춘 돈전신으로 자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저승에서의 돈과 부에 대해서는 <세민황제본풀이>를 함께 살핌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이승에서의 부를 가진 세민황제 역시 저승에서는 무일푼의 존재일 뿐이다. 이승에서 적선을 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매일과 장상 부부에게 돈을 빌려 저승에서 변통하게 된다. 매일과 장상 부부는 이승에서 계속해서 적선을 행하는 인물로, 비록 이승에서의 삶은 보잘 것 없지만 적선의 실천으로 저승에서는 최고의 부자가 된다. <돈전풀이>의 궁상이와 매월각시 역시 죽을 위기에 있는 동물들을 구원함으로써 건망중태를 갖게 된다. 이 건망중태는 저승에서 통용될 수 있는 돈을 무한하게 만들어 내는 기물이다. 이 기물을 갖게 됨으로써 궁상이와 매월각시는 이승의 돈을 저승의 돈으로 바꾸어주는 돈전신으로 좌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돈전신으로의 좌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적선’을 통해 그들이 저승의 부를 가질 수 있는 존재로 변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돈전풀이> 무가를 통해 망묵굿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바치는 돈과 재물이 무사히 망자를 위해 쓰일 수 있게 됨을 확인하게 된다. 모든 망자가 살아생전에 적선을 많이 쌓았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망묵굿을 연행하는 것이고, 많은 돈과 재물을 통해 정성으로 망자가 잘 천도되길 비는 것이다. 이때 이승에서 바쳐진 돈은 돈전신의 존재를 통해 망자의 저승길에 잘 쓰일 수 있게 된다. 망묵굿에 참여하는 사람들 역시 돈전신의 존재를 <돈전풀이>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자신들이 바친 돈과 재물이 망자를 위해 쓰일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망자를 무사히 천도할 수 있게 되었음을 믿는 것이다. 그렇기에 함경도 망묵굿에서 <돈전풀이>를 중요한 가치를 가질 수밖에 없다 하겠다.

      • KCI등재

        <원천강본풀이>의 문화콘텐츠화 요인 분석 − <구복여행>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제호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ntent utilization of Woncheongangbonpuri. In fact, Woncheongangbonpuri is not a work familiar to the public. This is because it was only enjoyed by special people in special areas. However, it changes into modern content and is rather popular with the public. It was possible to change this way because of the various elements of the original book. This is clearly illustrated by the comparison with Gubokyeohaing. The two works are almost same narrativ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people, background and subject. This difference will allow Woncheongangbonpuri to be accepted as a more modern cultural content. This is because it has been used a lot as a content for children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work alone. It can become clearer through comparison with similar work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Woncheongangbonpuri were recognized through comparison with Gubokyeohaing. It is thought that this trend of research will continue in the future. 본고는 서사무가 <원천강본풀이>의 문화콘텐츠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실 본고에서 다룬 <원천강본풀이>는 고전 중에서도 익숙하게 만날 수 있는 작품이 아니다. 특수한 공간에서 특수한 환경과 사람들에 의해 향유된 이 신화는 오히려 현대의 문화콘텐츠로 재탄생하며 대중문화콘텐츠로 자리잡을 수 있게 되었다. 원작보다 새로 쓰인 콘텐츠가 더욱 넓은 향유층을 마련한 것이다. <원천강본풀이>를 활용하여 제작된 콘텐츠들이 다양한 양상으로 대중들과 만날 수 있게 된 것은 원작이 갖고 있는 몇 가지 요인들 때문이다. 이런 <원천강본풀이>의 문화콘텐츠화 요인들은 <구복여행>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선명히 드러날 수 있다. 두 작품은 서사의 큰 줄기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천강본풀이>는 <구복여행>과 인물, 배경, 주제의 설정에서 차이를 보인다. 서천서역국에 가서 부를 얻는 석숭의 이야기인 <구복여행>에 비해, 오늘이를 주인공으로 원천강에 이르러 부모를 찾고 성장을 이루는 이야기인 <원천강본풀이>가 현대의 콘텐츠로 이행되기 더욱 적합하다는 것이다. 특히 <원천강본풀이>를 새로 쓴 콘텐츠들이 주로 아동용으로 활용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더더욱 <원천강본풀이>의 여러 요소들이 적절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단일한 작품이 갖는 특성은 사실 명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서로 영향관계 속에서 형성, 전승 및 향유되었던 작품이 있어 이를 함께 비교할 수 있다면, 그 차이를 통해 각각의 작품이 갖는 특성들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매체로 횡단하며 활용되고 있는 <원천강본풀이>의 특성을 <구복여행>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우리 고전의 문화콘텐츠로의 이행이 계속되는 추세를 고려한다면, 이와 같은 방법론의 연구 역시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최척의 꿈, 김영철의 현실 : 혐오를 넘어서는 소통과 연대의 디아스포라

        정제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4 No.-

        Among the works dealing with drift and separation caused by war, Choicheokjeon and Kimyoungcheoljeon are the most well-known. Choi and Kim lose their families in the war and drift far away to another country. They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there and acquire the identity of other countries, but they only dream of returning to their hometowns. And in their hometowns, Choi and Kim have different endings. Choi won big award for return to hometown. On the other hand, Kim was only waiting for a lonely death from an old soldier. Different endings of dream and reality were presented to those who were drifting as refugees. This dissonance between dreams and reality is still repeated. In fact, the number of refugee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war. However, the world regards them only as objects of hatred, not objects of protection or acceptance. We, who are contemplating whether to accept refugees currently being mass-produced, were actually a country that had mass-produced such refugees not so long ago. A case in point is people commonly referred to as 'joseonjok'. They are called joseonjok, the language of others, not Koreans in China, and remain both objects of use and hatred to us. In other words, we are only providing 'Kim Young-chul's reality' to compatriots who have visited their homeland again. We need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ose who let us leave, even if we can't show 'Choi cheok's dream'. It will be essential to see our own identity right awa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2002년 국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직업군별 피폭선량

        정제호,권정완,이재기,Jeong, Je-Ho,Kwon, Jeong-Wan,Lee, Jai-Ki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4

        2002년 기준으로 국내 52733명의 방사선 작업종사자에 대해 5개 대분류와 28개의 세분류 카테고리로 나눈 직업군별 연간 피폭선량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진단용 X선 분야(치과용 포함) 종사자의 선량 통계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공하였으며 기타 종사자의 선량자료는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가 제공하였다. 직업군에 따른 선량준위별, 연령별 성별 종사자수와 연간 평균선량을 분석한 결과 거의 80% 정도의 종사자들이 연간 1.2mSv 이하로 피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총 집단선량은 66.4man-Sv로 나타났고 평균 선량은 1.26mSv였다. 직업군별로는 체내 핵의학 분야와 비 파괴검사 분야 종사자가 다른 분야에 비해 평균선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진단용 X선 분야 종사자에게서 연간 20mSv 이상 피폭자 수가 상당하여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기의 원자력발전소 작업종사자 중에는 20mSv를 초과하는 종사자가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30대 종사자 수가 가장 많았고 20대 종사자의 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이 전체 작업종사자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피폭선량은 남성의 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Dose distribution of Korean radiation workers classified by occupational categories was analyzed. Statistics of the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ORE) in 2002 of the radiation workers in diagnostic and dental radiolog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Food and Drug Agency(KFDA) who maintains the database for individual radiation dose records. Corresponding statistics for the rest of radiation workers were obtained by processing the individual annual doses provided by the Korea Radioisotope Association(KRIA) after dele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 ORE distribution was classified in term of 28 occupational categories, annual individual dose levels, age groups and gender of 52733 radiation workers as of the year of 2002. The total collective dose was 66.4 man-Sv and resulting average individual ORE was 1.26 mSv. Around 80% of the workers were exposed to minimal doses less than 1.2 mSv.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recorded doses exceeded 20 mSv for 43 workers in the industrial radiography and for 147 workers in the field of radiology. Particularly, recorded doses of 23 workers in radiology exceeded the annual dose limits of 50 mSv, which is extraordinary when the work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It is uncertain whether those doses are real or caused by careless placing of dosimeters in the imaging rooms while the X-ray units are in operation. No one in the workforce of 16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 units was exposed over 20 mSv in 2002. Number of workers was the largest in their 30's of age and the mean individual dose was the highest in their 20's. Women were around 20% of the radiation workers and their average dose was around one half of that of man workers.

      • KCI등재

        자기서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조술생본 <원천강본풀이>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

        정제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4 No.-

        본고는 <원천강본풀이>의 각편 중 하나인 조술생본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를 살 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수본풀이로 분류되는 <원천강본풀이>는 단 두 편의 각편만이 존재한다. 문제는 지금 남아있는 두 편의 각편이 매우 이질적이라는 점이 다. 박봉춘본이 <구복여행> 설화와 유사하게 전개되며 주인공 오날이가 옥황의 신 녀로 좌정하는 내용이라면, 조술생본은 <아기장수> 전설과 유사하게 전개되면서 주인공 원천강이 심방으로 자리하게 되는 내용이다. 두 각편은 서로 다른 지향점을 갖기 때문에 하나의 분석틀 안에 넣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자연스럽게 보다 서사가 탄탄한 박봉춘본을 선본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조술생본은 자연스럽게 연구와 향유의 자장 안에서 이탈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조술생본 역시 유의미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원천강본풀이>가 심방들 자신의 입무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 조술생본이 더욱 적합한 각편이 된다. 조술생은 <원천강본풀이> 서사를 자신의 삶의 궤적과 유사하게 형상화한다. 자신을 떠난 남편, 그리고 삶을 영위하기 위해 무업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처지와 <원천강본풀이> 의 원천강을 동일시하여 파악한 것이다. 사람들에게 천시 받는 심방이라는 직업, 하 지만 여성의 몸으로 어찌 보면 유일한 생계 수단이 될 수 있는 직업이라는 양가적 감정이 <원천강본풀이> 서사 안에 모두 담겨 있다고 하겠다. 이렇게 조술생본은 심방의 자기서사로 자리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심방 개인 의 삶에 초점이 맞춰지게 되면서 조술생본은 심방 전체의 입무과정을 다루는 대표 성을 상실하고 원활히 전승이 되지 못한 것으로 추론된다. 하지만 서사무가의 다양 한 변이 요인에 있어 심방 자신의 ‘처지’와 ‘감정’ 역시 하나의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원천강본풀이>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epic features and meanings of Josulsaeng’ version Woncheongangbonpuri. There are only two versions of Woncheongangbonpuri. The problem is that the remaining two versions are very different. For this reason, researchers focus their research on Bakbongchun' version of the narrative, which is clearly developed. Josulsaeng' version naturally deviates from the realm of research. However, considering that Woncheongangbonpuri is a story of ‘Being a Shaman through’, Josulsaeng' version may be more appropriate. Josulsaeng embodies Hamlet as her life. Josulsaeng identified Woncheongang with her situation where her husband had to leave and become a simbang. A simbang is a profession that is despised by people. But it is also the only way to live for women. These ambivalent feelings are all contained in Josulsaeng's version of Woncheongangbonpuri. As such, Josulsaeng's version becomes the simbang's self-epic. However, this is why they lost their representation.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hange the shaman’s song. At this time, Woncheongangbonpuri shows that the situation and emotions of simbang can also be a factor.

      • KCI등재

        <장자못> 전설과의 비교를 통해서 본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신화적 의미

        정제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6 No.-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mythic meaning through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a shaman song, <Jangjapuli>. In this study, the song is compared with <Jangjamot> passed down as a myth in order to analyze mythic meaning of <Jangjapuli>. Narrative structure in the introduction is analogous between the two pieces. However, the two pieces proceed separatively toward different endings as a result of Daughter-in-law's choices concerning salvation for a monk. The difference is decisive factor for figuring out the meaning of <Jangjapuli>. Daughter-in-low in <Jangjapuli> is not just a facilitator. She foresees Jangja's death, practices hospitality to messengers of death, and overcomes critical situations with her wisdom. This Daughter-in-low's conduct could not be considered an ordinary person and is dissimilar to Daughter-in-low in <Jangjamot>. Nevertheless, Daughter-in-low in <Jangjapuli> is not considered divine and not assigned holy duty. That is because she behaves as a middleman at home, in demonstrating abilities and between God and hum ans. Especially, she arbitrates in disputes between God and humans by practicing hospitality to God and consoling humans who are in crisis of death. In addition, she behaves as a middleman consistently, as a result, she cannot be considered as divine. However, she is analogous to a shaman. She presents the sense of afterlife and builds a chamber for comforting humans by connecting with God. In this context, <Jangjapuli> generates its own mythological world view as a shaman song by the depiction of charact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int of <Jangjapuli> is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death angels. The characteristics appear clea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angja as a human, Daughter-in-law as a middleman, and God as death angels. 본고는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이 무가가 갖는 신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장자풀이>가 갖는 신화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전설로 전승되는 <장자못>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장자못> 전설과 <장자풀이>는 초반부 서사를 거의 동일하게 가져간다. 하지만 도승의 구원 시도에 대한 며느리의 선택에서 두 작품은 엇갈리며 서로 다른 결말을 향해 달려가게 된다. 이렇게 <장자풀이>가 초반부를 <장자못> 전설과 유사하게 가져가면서도 며느리의 선택을 통해 후반부를 다르게 가져가는 것은 작품이 갖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지점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다. 장자의 죽음을 정확하게 예견하고, 굿을 열어 저승차사들을 대접하고, 다시 장자를 잡으러 온 차사들로 인한 위기를 지혜로써 극복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며느리의 모습은 범인으로 평가할 수 없는 모습으로, <장자못>의 며느리와도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신으로 좌정하거나, 신직을 받는 인물이 아니다. 이렇게 <장자풀이>의 며느리가 신격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은 그녀가 계속해서 ‘중간자’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며느리는 세 가지 층위, 바로 ‘집안 내에서’, ‘능력을 발휘함에서’, ‘인간과 신의 관계에서’ 중간자로 위치한다. 이러한 며느리의 위치는 인간과 신을 중재하는 인물로서 자리하기 때문에 중간자로 볼 수 있다. 죽음의 위기에 처한 인간을 위로하고, 인간에게 죽음을 내리는 신을 대접하여 양자 간의 상생을 이끌어내는 인물이 바로 며느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계속해서 ‘중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신격으로 좌정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하지만 이런 며느리의 모습은 신과 인간을 대리하고 중계하는 무당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무당들은 <장자풀이>의 며느리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투영하고, 무가 안에서 활약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저승에 대한 관념을 제시하고, 그 안에서 신과 연결될 수 있는 자신들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굿에 참여한 인간들을 위로 할 수 있는 지점들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장자풀이>는 며느리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하나의 무가로서 갖는 신화적 세계관을 만들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장자풀이>는 장자도 며느리도 신이 아닌 존재가 된다. 이렇게 신이 아닌 등장인물들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은 <장자풀이>가 갖는 가장 중요한 지점이 바로 ‘명관’들의 성격을 제시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즉, <장자풀이>의 중심은 바로 저승차사와 같은 명관들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장자 등에 초점을 맞춰 <장자풀이>의 신성성을 약하게 평가한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오히려 <장자풀이>는 인간인 장자, 중간자인 며느리, 신인 저승차사의 관계 속에서 명관들의 성격을 제시하는 무가로서의 기능을 명확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를 통해 장자, 며느리의 인물 특성이 보다 분명하게 제시됨으로써 <장자풀이>가 명관들의 성격을 풀어주는 무가로서의 성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