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서 미술과 중심 문화·체험학습 방안

        정제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는 경제 성장과 지식 기반 사회로의 이행 등 사회 각 영역에서 새로운 변화를 일구어 내고 있으나 그와 동시에 사회 각 계층간 격차 및 지역간 격차와 갈등도 심화되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이 가진 잠재력과 역량을 교육을 통해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누구나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국정과제로 삼고 지역, 학교,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복지정책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은 학습, 문화·체험, 복지,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문화·체험 프로그램은 흔히 ‘방과후학교’의 개념과 혼동하기 쉬우나 이 사업은 궁극적으로 공교육의 강화에 목표를 두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과 교육적 성장을 위해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업에 참여하는 학교 수는 늘어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특히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조직된 자료는 전무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음악, 체육, 봉사 관련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미술과 관련 프로그램은 일회적 성격을 지닌 활동에 치중되어 있기에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고찰하고 미술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미술과 문화·체험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미술과의 문화 요소들을 내용으로 하고, 다양한 체험 학습의 방법들을 조화롭게 활용하여 초등학교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성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미술과 중심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Ⅱ장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이해를 위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정의와 추진 배경 및 의의, 사업대상, 목표 및 학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프로그램 내용과 그 중 문화·체험 영역의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문화와 체험 학습의 의미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미술과 중심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실제를 다루었다. 먼저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를 설정하였으며 미술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립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아동의 포트폴리오 결과물, 교사의 수업일지, 아동작품을 참고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미술과 중심 문화·체험 프로그램이 아동들에게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었는지 표현활동 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미술과 중심 문화·체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과 연계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아동들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냈으며, 높은 출석률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술과의 문화 요소들을 교과서에 제시된 제재와 같이 운영하지 않고 나, 가족, 학교, 지역사회, 전통 문화와 같이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운영하여 나와 내 주변에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으며 이를 통하여 그것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심을 수 있었다. 교육과정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실에서의 미술 수업을 심화하여 학습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학교 수업 활동에서도 이는 학교 수업 활동에서도 미술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비용의 문제로 다양한 재료의 사용 및 체험 학습의 기회가 부족했던 아동들에게 문화적 결핍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고 이 과정에서 창의력 및 미술 표현 능력이 신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사업 대상 아동들에게 미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 호기심,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화·체험 프로그램은 미술과 뿐 아니라 여러 교과와 연계된 프로그램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자료의 개발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교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프로그램이 학교와 분리되어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교육과정과 더불어 운영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Improved cognitive control in young people with Tourette's Syndrome during task-switching

        정제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urette syndrome (TS)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motor and vocal tics. Tics are repetitive and uncontrolled behaviours associated with the abnormality of basal ganglia and frontal lobe that lead to impaired cognitive functions. We investigated cognitive control of TS group using an oculomotor task-switching. Participants performed a peripheral conflict task and a latency task. The peripheral conflict task, task-switching consists of 2 task types (pro-saccade and anti-saccade) and 2 trial types (repetition and switch). There are 4 conditions: repeated pro-saccade trials, switched pro-saccade trials, repeated anti-saccade trials, and switched anti-saccade trials. In latency task, control task,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perform pro-saccade trials only. We found that TS group showed greater accuracy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anti-saccade trials and switch trials in the peripheral conflict task.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time between T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showed shorter duration and distance of eye movement in pro-saccade task than in anti-saccade task. The velocity of saccades did not exhibi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conflict task indicate that TS group perform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rials demanding high level of cognitive control, which is not caused by a general speed accuracy trade-off. And we found that TS group showed prolonged reaction time than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task. This result indicates that TS group perform poor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rials performed automatically. The current study supports and extends previous findings that TS group exhibits improved cognitive control compared to age-matched controls in the task requiring high level of cognitive control and impairs the ability to perform automatic response than control group. This might be attributed to a compensatory strategy which young people with TS use to suppress tics. 투렛 신드롬은 운동 틱과 보컬 틱으로 특징지어지는 신경 발달 장애이다. 틱은 반복적이고 통제되지 않은 행동으로 대뇌 기저핵과 전두엽의 이상과 관련된다. 우리는 투렛 신드롬 집단의 인지 통제 능력을 안구운동 task-switching 과제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task-switching 과제와 통제 과제를 수행하였다. task-switching 과제는 두 가지 유형의 과제(pro-saccade와 anti-saccade)와 두 종류의 시행(반복과 전환), 즉 4가지의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반복 pro-saccade 시행, 전환 pro-saccade 시행, 반복 anti-saccade 시행, 그리고 전환 anti-saccade 시행. 통제 과제에서는 실험 참가자들은 pro-saccade 과제만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투렛 신드롬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anti-saccade 시행과 전환 시행에서 더 높은 정확성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반응 시간에 있어서 두 집단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anti-saccade 과제보다 pro-saccade 과제에서 더 빠른 눈 움직임과 더 짧은 눈 움직임 거리를 보였다. Saccade 속도는 두 집단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Task-switching 과제의 결과는 투렛 신드롬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고차 인지 통제 능력을 필요로 하는 시행을 더 잘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 결과는 일반적인 속도-정확성 상쇄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또한 통제과제에서 투렛 신드롬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지연된 반응시간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투렛 신드롬 지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동적으로 처리되는 시행에서 수행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투렛 신드롬 집단이 고차 인지 통제가 요구되는 과제에서 향샹된 인지 통제 능력을 보인다는 기존 결과를 지지하고 확장한다. 그리고 투렛 신드롬 집단이 자동적 반응 수행하는 능력이 정상 집단과 비교할 때,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투렛 신드롬을 가진 처소년들이 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상적인 전략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 자녀 양육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엄마되기’ 학습에 관한 연구 : 고학력, 중산층, 수도권 거주 여성을 중심으로

        정제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women's participation in college and society have been active, but the problems of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re still obstacles to women's advancement. Currently,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in Korea has dropped sharply in their late 20s to late 30s, and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their late 40s. - Shape of M Curve. Since the late 1980s, various systems have emerged to support women's labor and public childcare at the national level to prevent women from leaving the labor market and increase female employment rates. However, women still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labor market and feel the lack of a child-rearing institution. The process of women entering and leaving the laboring market needs to be understood at the same time as a series of lifelong events leading to marriage, childbirth, raising children, and education for theire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of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who have quit or agonized over life events such as childbirth and childcare in terms of learning - “being a mother”. This study reveals one example of Korea's “being a mother” processes, which are mainly revealed around highly educated middle-class famil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mothers’ experience after childbirth affect the process of “being a mother”? Second, How does learning aspect turn out in the process of “being a mother”? In response, Ten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had preschool infants and toddlers were selected.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re organized into ①social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being a mother” and ②learning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being a mother”. Participants in the study felt that raising children has become much more difficult than before. The first thing they felt after childbirth was the difficulty of combining work and family. The participants adjusted the timing of pregnancy and quit their jobs after planning baby because childbirth could be unfavorable to employment. They postponed returning to work or abandoned their return to work after childbirth. As they raise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also felt the changes of the era. Unlike in the previous days when people matched multiple people in our neighborhood and raised children, parenting should be dedicated to the home these day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nt out with their children and received stinging attention and did self-censorship. They became accustomed to consumption. Because the existence of children and mothers is made possible only by the constant consumption of money in the space of spending in modern society. They purchased and utilized various play services and plan their children's learning in the process from an early age. They described the private education for infants of the present era as something that everyone does. The participants also expressed difficulties in finding people or systems to tru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ctively utilizing their recent professional and scientific knowledge of the child, judging that it was better than that of the previous generations. Therefore, they often experienced conflicts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had difficulty finding a trusted caregiver. Child care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were also insufficient. Participants who do not find a fully reliable nurturing system decided to raise their children by learning, even if they lack a little. Through their experience after giving birth to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felt the difficulty of working and family together, the change of times, and the absence of a trusted caregiver or system. So they started to organize their lives as a “mother”, understood their social conditions and strived to be a socially appropriate mother. This can be understood as a “being a mother” process in the current era, and the learning aspects shown by research participants are organized into mediation, acquisition, and planning. Mediation began when the woman asked herself, “Can I continue to work?” At this time participants quit their jobs and focused on raising their children, or worked and raised their children at the same time. Research participants who quit their jobs considered that there was no one else in charge of raising children, that it was more economical to raise children by themselves, and that they were more active than their husbands. The study participants who continued to work wanted to take care of their own lives and maintained themselves through their work. However, the study participants' desire in this choise was rather in line with their desire to be a “good mother” to their children. As the good mother images imposed on modern mothers are becoming more diverse, working mothers and non-working mothers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cultivating their lives coordinating the two areas of work and family. Acquisition and planning are shown in terms of women acquiring information and managing their children's lives. Information acquisition was based on books and videos containing stories of experts, various online communities, and communication with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used books and videos containing expert stories. At first, they blindly followed expert and later found patterns that fit their children through compromises and variations. They got information through mom cafes, online communities of their university, and open chat rooms from SNS. Unlike previous generations, which communicated with their physically close neighbors, they communicated online immediately.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lso one of the channels to get information about children. Participants selecte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evaluating curriculum, a menu, and facilities. And they communicated with institutions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to institutions if necessary. Participants' child management aspects were shown in three aspects: knowledge-based growth management, systematic time management, and long-term planning leading to school. Participants thought that meals and sleep are 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growth. So they managed children's meals and sleep based on various scientific knowledge. If meal and sleep time are established constantly, the free time is filled with play and learning. They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under the lead of their mothers so that children do not waste their time. Private education may be used if necessary. Managing children of participants continued to a long-term plan with school. The plan wa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interests, aptitude, and social needs. Women who become mothers thought about what kind of mother they will b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they face. And they plan to become their “being a mother” process through various studies. In this process, they experienced conflict and confusion in work-family compatibility, child rearing and education. Participants actively collected information, managed children, and sometimes compromised with external circumstances to organize their lives and their children's lives in a chaotic situation. Their process of “being a mother” is a process of learning that is socially and chronologically appropriate to modern mothers. This study explored various aspects of learning in the event of women entering and leaving the labor market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childbirth and parenting as a “being a mother” process. By understanding that mothers in modern society organized their lives as mothers through learning experience,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adult learners' research centered on lifelong institutions. The study also revealed what kind of society modern mothers perceive. This can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practical support policies for women who have children during this period. Finally,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that parents' research can be based on various scenes beyond 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called schools by revealing the learning patterns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근대 이후 여성의 대학 진학과 사회 참여가 활발해졌지만, 자녀의 출산과 양육 문제는 여전히 여성의 사회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 국내 여성의 고용률은 2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에 급격하게 낮아졌다가, 40대 후반 이후 소폭 증가하는 M자형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1980년대 후반 이후,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하고 여성 고용률을 높이고자 국가적 수준에서 여성의 노동과 공보육을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가 등장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들은 자녀 출산 시 노동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자녀를 제대로 양육해줄 양육자와 기관의 부족을 절감한다.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 과정은 결혼, 출산, 육아, 자녀교육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생애 사건들과 함께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진입과 퇴장, 그리고 출산과 양육이라는 과정에 놓여있는 여성의 삶을 ‘엄마되기’의 과정으로 명명하고, 출산과 육아라는 생애 사건을 겪으며 일을 그만 뒀거나 그만 둘 고민을 한 고학력 중산층 여성들의 자녀 양육 경험을 학습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로 수도권 고학력 중산층 가정을 중심으로 드러나는 한국의 ‘엄마되기’과정의 한 가지 전형을 밝힌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 출산 이후의 경험은 ‘엄마되기’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엄마되기’ 과정에서 학습의 양상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이에 연구자는 ‘일을 그만뒀거나 그만둘 고민을 했으며, 미취학 영·유아 자녀를 기르고 있는 수도권 거주 고학력 중산층 여성’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한 면담자료를 분석해 ①‘엄마되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조건, ②‘엄마되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습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를 낳고 기르는 과정에서 아이를 기르는 것이 이전에 비해 훨씬 어려워졌다는 사실을 체감한다. 그들이 처음으로 느끼는 것은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것의 어려움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출산이 취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신의 시기를 조절하고, 임신을 계획한 이후 직장을 그만두었다. 자녀의 출산 이후 복직을 미루거나 복직을 포기하기도 한다. 자녀를 기르며 연구참여자들은 시대의 변화 역시 크게 느낀다. 동네에서 여러 사람과 어울리며 아이를 키우던 이전 시대와는 달리, 요즘 육아는 가정에서 전담해야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아이와 함께 외출했다가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자기검열을 하기도 했다. 그들은 자연스럽게 소비에 익숙해진다. 현대 사회에서 아이와 엄마의 존재는 돈을 쓰는 공간에서 끊임없이 소비함으로써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가 어릴 때부터 다양한 놀이 서비스를 구매하여 활용했고, 이 과정에서 자녀의 학습을 동시에 계획한다. 연구참여자들은 현 시대의 유아 사교육을 누구나 다 하는 일이라고 평가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를 믿고 맡길 사람이나 시스템을 찾는 것에서도 어려움을 토로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최근 등장한 아이에 대한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지식을 이전 세대의 양육 지식보다 더 나은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종종 윗 세대와 갈등을 경험했으며, 믿고 맡길 양육자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동 보육과 교육 인프라 역시 충분하지 않았다. 충분히 믿을 수 있는 양육자와 양육 시스템을 찾지 못한 연구참여자들은 조금 부족하더라도 자신이 하나하나 배워가면서 아이를 길러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연구참여자들은 자녀 출산 이후의 경험을 통해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것의 어려움, 시대적 변화, 신뢰할 수 있는 양육자의 부재 등을 체감한다. 그들은‘어머니’로서의 삶을 새롭게 조직하고, 자신의 사회적인 조건을 이해하고, 사회적·시대적으로 적절한 엄마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현 시대의 ‘엄마되기’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연구참여자들이 보여주는 학습 양상은 조율, 습득, 기획으로 구분된다. 조율은 여성이 스스로에게 “일을 지속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시작된다. 이때 연구참여자들은 일을 그만두고 자녀 양육에 집중하기도 하고, 일과 자녀 양육을 병행하기도 한다. 일을 그만둔 연구참여자들은 본인 외에는 육아를 전담할 사람이 없고, 자신이 전담해 자녀를 기르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며, 본인이 남편에 비해 자녀 양육 정보를 적극적으로 알아보기 용이하기 때문에 일을 그만두고 자녀 양육을 맡았다. 일을 지속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은 일을 통해 ‘나’의 삶을 챙기고 자기 자신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 투과된 연구 참여자들의 욕망은 =자녀에게 ‘멋진 어머니’가 되고자 하는 욕망과도 맞닿아 있다. 최근 현대 어머니들에게 부과되는 좋은 어머니 상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일하는 엄마와 일하지 않는 엄마는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일과 가정이라는 두 영역을 조율하며 자신의 삶을 꾸리고 있었다. 습득과 기획의 양상은 여성들이 자녀의 삶을 위해 정보를 습득하고 자녀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드러난다. 정보 습득은 전문가의 이야기가 담긴 책과 영상,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 자녀교육기관과의 소통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들은 전문가의 이야기가 담긴 책과 영상을 읽으며, 처음에는 무작정 따라해 보고 이후 타협과 변주를 통해 본인과 아이에게 맞는 패턴을 찾아간다. 또한 그들은 맘카페, 출신 대학의 온라인 커뮤니티,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 정보를 얻었다. 물리적으로 가까운 이웃들과 소통하던 이전 세대와는 달리, 그들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즉각적인 소통을 나눴다. 자녀교육기관 역시 자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창구 중 하나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육과정, 식단, 시설 등을 두루 평가해 자녀교육기관을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 기관과 소통하고 기관에 의견을 개진한다. 연구참여자들의 자녀 관리 양상은 지식에 기반한 성장발달 관리, 체계적인 시간 관리, 취학으로 이어지는 장기 계획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드러난다. 연구참여자들은 식사와 수면이 자녀의 신체발달과 직결된다고 생각하고, 여러 가지 과학적인 지식에 근거하여 자녀의 식사와 수면을 관리했다. 식사와 수면 시간이 일정하게 자리잡으면 빈 시간은 놀이 시간과 학습 시간으로 채웠다. 자녀가 시간을 허투루 보내지 않게 엄마의 주도 하에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다. 필요한 경우 사교육을 활용했다. 연구참여자들의 자녀 관리는 취학을 염두에 둔 장기계획으로 이어진다. 이 계획은 자녀의 흥미, 적성,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소양 등을 고려해 수립되었다. 엄마가 된 여성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과 조건에 따라 어떤 어머니가 될 것인가를 고민하고, 다양한 학습을 통해 자신의 어머니 됨을 기획한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일과 가정의 양립, 자녀의 양육과 교육 등에서 갈등과 혼란을 경험한다. 연구참여자들은 혼란의 상황 속에서 자신의 삶과 자녀의 삶을 조직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자녀를 관리하고, 때로는 외부적인 상황과 타협하며 자신의 삶을 구성했다. 이들의 ‘엄마되기’ 과정은 사회적·시대적으로 적절한 현대의 어머니로 거듭나는 학습의 과정이다. 본 연구는 여성의 성인기 이행 시기에 이루어지는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 자녀의 출산과 양육이라는 사건 속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의 양상을 ‘엄마되기’ 과정으로 탐구하였다. 현대 사회 어머니들이 경험과 배움을 통해 엄마로서의 삶을 조직해나가는 모습을 학습의 과정으로 이해함으로써,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성인학습자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현대 엄마들이 이해하고 있는 사회의 모습을 밝혔다. 이는 이 시기의 자녀를 낳은 여성들에게 필요한 실질적인 지원정책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엄마들의 학습 양상을 드러냄으로써 학부모 연구가 학교라는 정규교육기관을 넘어 다양한 장면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수능 영어 문법 문항 분석

        정제영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치러진 수능 읽기 영역에서 문법문항들의 출제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의 목표인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와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재 문법 문제의 흐름과 특징을 조사․분석하고 아울러 학생들이 문법문항을 풀 때의 어려운 점을 분석하고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수학습법에 방향을 제시하겠다.

      • Investigating human motor network using multimodal imaging

        정제영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How do we move? How do we walk, talk, and dance? How do we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works of art? All of these questions suggest that understanding human motor control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a wide range of everyday life activities. It is hardly surprising that motor control is vital to human behaviour as we continuously move our body parts. In order to understand how our brain deals with movements, from a simple reaching motion to complex motion control such as piloting a plan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brain systems involved in motor control. In this dissertation, I will explore how motor function is achieved by the human cortical motor system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of brain regions in the system. The experimental findings of brain structure related to motor control in the first chapter demonstrate the organization of the human cortical motor network. Three major areas, the primary motor cortex, the premotor cortex, and the supplementary motor areas, consist of the cortical motor network and are close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natomically and functionally. By employing multimodal imaging,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connectivity of brain networks related to motor control. The second chapter demonstrates a practical setup for concurrent TMS-fMRI and examines the effect of TMS over a vertex. Vertex stimulation in TMS literature has been used as a most common control condition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that it does not affect on-going processes in brain. The results from this chapter firstly show that vertex stimulation evoked decreased BOLD signal in many remote areas significantly. Next three chapters explore the dynamics of human cortical motor areas using the concurrent TMS-fMRI during a simple motor task. Stimulating each area with short bursts TMS reveals changes of connectivity in the cortical motor network. These results support that concurrent TMS-fMRI is a promising tool to examine inter-regional connections in brain networks and to establish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in activity changes and the effect of the stimulation. The last two chapters report that tDCS over motor regions can modulate functional connectivity in brain networks in a polarity-dependent manner. Changes in the networks also were depending on current brain state. These results suggest a prominent possibility of tDCS as a therapeutic method modulating neural activity of brain. In conclusion, the data presented in this dissertation suggest that combining brain stimulation with fMRI can bring benefits by utilizing advantages of two different techniques, providing a new method to investigate causal interactions between brain regions. The connectivity of motor areas in the motor network is involved in current task conditions and brain states. Thus, the changes in connectivity of brain network can predict performance on motor control.

      • Development of functional papers using chitosan/starch-silver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to Setoka packaging

        정제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패키징 소재는 제품의 충분한 유통기한 및 품질 유지를 위하여 물리적 보호 및 적정 수준의 물리화학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종이는 경제성, 생분해성, 유연성 및 재생 가능한 소재로써 패키징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이는 다공성 구조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흡습성으로 인해 고습 하에서 물질적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패키징 소재로써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능성 코팅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기능성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우선 음향화학적 방법으로 전분과 질산은 (AgNO3)을 활용하여 은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은 나노입자는 UV-visible spectroscopy 측정 결과 420 nm 파장에서 흡수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TEM 분석을 통해 20 nm 이하의 구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종이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 조성물을 확보하고 그라비아 코팅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전분-은 나노입자 용액과 키토산의 혼합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코팅을 통해 종이의 기계적 특성 (인장강도, 파열강도), 내수성,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키토산 9 : 전분-은 나노입자 1 혼합비를 최적 조성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최적 조성비를 그라비아 코팅 방식을 적용하여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이 때 희석에 따른 기능성 코팅지의 물성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희석비율 (1/6, 1/10)을 적용하였으며, 기계적 특성, 내수성,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은 희석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라비아 코팅 방식을 통해 제조한 기능성 코팅지의 신선식품 포장 소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천혜향 저장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 포장재와 무처리군에 비해 은 나노입자 함유 기능성 코팅지의 경우 천혜향의 저장기간 중 품질변화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신선식품 포장 소재 확대 적용을 위해서는 기능성 코팅제를 통한 종이의 추가적인 물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ackaging materials provide physical protection and create proper physicochemical conditions for products that are essential for obtaining a satisfactory shelf life and maintaining food quality and safety. Since papers are flexible, renewable, biodegradable, and low-cost, they are widely used as packaging materials. However, the hygroscopic cellulose and the porosity of fiber network of paper influenc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strength of paper-based materials exposed to high moisture contents. For these reason, a proper functional coating is needed to enhance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apers as packag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coating materials were prepared by two steps. In the first step, silver nanoparticles (AgNPs) were synthesized by the sonochemical method using starch and silver nitrate (AgNO3). The synthesized AgNPs solutions have absorbance peak around 420 nm and TEM image shows the AgNPs with a spherical shape and the size below 20 nm. Secondly, the AgNPs solution and chitosan were mixed in different ratios to find the optimum composition to enhance paper properties and apply gravure coating. Mechanical properties (tensile and burst strength), water barrier property,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coat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ratio for chitosan and AgNPs coating solution was chosen as 9 : 1. In the gravure coating, various dilution ratios (1/6 and 1/10) were tested to reveal the dilution effect on the properties of coated papers. The mechanical properties, water barrier property,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dilution factors. Finally, the gravure coated samples were used for Setoka storage test to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to the fresh food packaging. The shelf life of Setoka fruits with AgNPs coated paper samples was slightly extended than the fruits with commercialized packaging and neat paper. Therefore, an enhancement of the coated paper properties is necessary to extend the quality of fresh food pack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