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R141b 포접화합물을 이용한 축냉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인성,김양규,이준식,노승탁,Jung, I.S.,Kim, Y.G.,Lee, J.S.,Ro, S.T. 대한설비공학회 1994 설비공학 논문집 Vol.6 No.4

        Experiments hav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mass ratio of R141b-to-water, stirrer speed, brine inlet temperature, brine flowrate, and additives, on the performance of the cool storage system using R141b clathrate. The cool storage system in this experiment was composed of storage tank, refrigerator, and hea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mass ratio of R141b-to-water, 1 : 3~1 : 3.5 gives the best performance and the stirring speed has optimum point as 600rpm. At this speed impeller Reynolds number is $1.01{\times}10^5$. The lower the inlet brine temperature and the highter the brine flowrate, the better performance. The addition of metal powder turned out to reduce the degree of supercooling. The supercooling reduction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metal power. However when metal powder was added more than 0.1 wt%, there was no additional supercooling reduction. The surfactants shortened the time consumed for cool storage to the half of no surfactant added case.

      • KCI등재

        DRM 환경을 고려한 보안 통신 API의 설계 및 구현

        정인성,신용태,Jung, In-Sung,Shin, Yong-Ta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2

        인터넷 환경에서 통신 개체간에 보안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통신 개체들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암호화/복호화, 보안 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한다. 또한, 보안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인증이 지원되어야 한다. SSL/TLS는 통신 개체간의 안전한 통신 채널을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TLS를 구현한 OpenSSL이 활발히 사용되고 안정성과 성능이 입증되었지만, 크기가 크며, 기존 암호 모들의 삭제 및 교체, 툴킷 형태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암호 모둘 삭제 및 교체론 수정된 OpenSSL을 기반으로 개발자들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안 통신 API를 설계, 구현하였다. 구현된 API를 사용하여 보안 통신을 지원하는 DRM 클라이언트/서버 사례를 통하여 실제 적용 결과를 확인한다. The additional mechanism Is required to set up a secure connection among the communication subject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Each entity should transfer and receive the encrypted and hashed data to guarantee the data integrity. Also,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should be processed using a secure communication protocol. The SSL/TLS is a protocol which creates the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among the communication subjects and sends/receives a data. Although the OpenSSL which implements the TLS is using by many developers and its stability and performance are proved, it has a difficulty in using because of its large size. So,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secure communication which the users can use easily by modification works of OpenSSL library API. We proved the real application results using the DRM client/server case which supports a secure communication using the implemented API.

      • KCI등재

        燕式土器文化의 확산과 後期 古朝鮮의 토기문화

        정인성(Jung In Seung)(鄭仁盛)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100

        영남지역에서 회도문화인 와질토기의 발생이 낙랑토기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더욱 소급된다는 주장이 제시되면서 후기고조선 토기문화의 이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 글에서는 後期古朝鮮의 토기문화를 단순히 漢文化를 제외한 무문토기 유형에서만 찾으려하는 기존의 이해를 비판하고 在地系 무문토기의 바탕에 戰國時代 燕國土器의 기술적 영향이 더해진 것으로 보았다. 즉 세죽리-연화보 토기도 후기 고조선토기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죽리-연화보 유형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연국 토기와 비교를 통해 형태론적인 측면은 물론 기술론적인 차원에서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죽리-연화보의 연식토기라는 것이 이미 요동지역에서 특화된 토기라는 것을 밝혔으며 그것이 점토대토기라는 무문토기의 바탕 위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뿐만아니라 燕國 釜形土器의 확산이 대릉하나 요하 주변을 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나아가 세죽리-연화보 유형에는 한대가 되어 새롭게 반입된 연토기 요소를 변별할 수 있었다. 결국 토기문화의 성격으로 보건데 세죽리-연화보에 포함된 燕土器 요소를 근거로 전국시대 燕國의 영역지배가 요동을 지나 청천강에 이르렀다는 해석은 문제가 있다. 그 영향력이 일시적으로 요동에 이르렀을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으나 세죽리-연화보로 대표되는 이 지역의 토기문화는 燕國의 土器文化가 아니라 後期 古朝鮮의 土器文化인 것이다. 더 이상 미송리형 토기가 고조선 토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분위기에서 탈피해야 한다. 南越國의 토기문화에서 드러나듯이 고조선 토기에 중원 토기의 영향이 상존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이다. 중원 물질문화의 영향이 전혀 인지되지 않는 공간에서 고조선과 그 문화를 찾으려는 접근방법에서 벗어나야만 고조선이 제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 믿는다. As the claim that the occurrences of grey pottery in the Youngnam region was not due to effects of Nakrang pottery but is more retroactive has been suggested, understanding of pottery culture of the late koJoseon(古朝鮮)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ubject. In this paper, pottery culture of late kojoseon(古朝鮮) was viewed as not simply a Han-culture(漢文化), but as a culture that added technical impact of Warring states period(戰國時代) Yanguo(燕國)pottery土器 to the culture of Mumun(無紋) pottery culture. In another words, Seijukri-Lianhuabao pottery is one of them. Along with a fact that typical diffusion of Yanguo(燕國) Pot-type(釜 形)pottery does not cross the Liao-ho (Ri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Pot-type(釜形)pottery, which belongs to the Seijukri-Lianhuabao, had became localized on the basis of Pottery with clay stripes(粘土帶土器) in the territory of Yyodong(遼東). In the end, judging by the nature of pottery culture, analysis that the area domination of the Yanguo(燕國) age of civil wars had past the territory of Yyodong to reach the Chongchon River is problematic. Although the possibility that their influence temporary reached the territory of Yyodong can not be completely denied, the pottery culture of this area, represented by Seijukri-Lianhuabao, should be viewed as pottery culture of late kochoseun(古朝鮮), not Yanguo(燕國).

      • Silicone봉지재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제조 공정 및 평가에 대한 연구

        정인성(Jung, In-sung),이범수(Lee, Bum-Su),양오봉(Yang, O-Bong),강성환(Kang, Seong-Hwan),김종일(Kim, Jong-Il)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Individual solar cells must be connected together to give the appropriate current and voltage levels and they must also be protected from damage by the environment. [1] PV module consists of aglass/ polymer encapsulation/ solar cell string/ polymer encapsulation/ back sheet. Usually, encapsulation materials is used EVA(ethylene vin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 PO(polyolefin)sheet. This study is about fabrication of module using silicone material instead of above them. We got to know advantage that is fabrication time and efficiency of modul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樂浪 高杯形土器의 특징

        정인성(Jung, Inseong) 중부고고학회 2012 고고학 Vol.11 No.3

        This paper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eatures of Pedestaled bowl in Naknang in an aspect of making techniques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the meaning which the Pedestaled bowl of Naknang has in the evolvement of the pottery-culture in Korean Peninsula. Potteries of Naknang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Talcum Pottery, Gray Pottery and White Coarse Potter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of clay and Pedestaled bowl is a sort of White Coarse Pottery. When it comes to the method of forming, Pedestaled bowl is largely classified as A-class which can be made in 'the covering-surface technique'(which means filling a round shaped pottery with new clay to make both of them form a whole) and B-class which can be made in the 'mould method'. The mould method recognized in potteries of Naknang primarily has its roots in Talcum Pottery which was originated from Yen(燕) in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戰國時代). In other words, in the potteries which consist potteries of Naknang, there are some kinds whose time of appearance are likely to cast back to their previous era and those are liable to have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period after Eastern Han dynasty for a long time. Earthen artifacts which are similar to these potteries can be also found in the central field of China and Liaodong Region but there exist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aspect of making techniques. A set pattern or regularity is hardly found in Pedestaled bowls of Naknang since they were produced in diverse ways. They might be used for ancestral rites bu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having been converted into incense burners. Pedestaled bowl in Naknang do not has a particular relation with Mounted dish which belongs to former age in the aspect of its shape and producing technique.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Pedestaled bowl of Naknang and the establishment of Pedestaled bowls in early days of Three Kingdoms Period can not be acknowledged, either. 이 글은 한반도의 토기문화 전개에서 낙랑의 고배형토기가 가진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그 특징을 제작기법의 측면에서 세밀하게 살핀 것이다. 낙랑토기는 성형에 사용된 점토의 성질에 따라 滑石混入系土器, 石英混入系土器, 泥質系土器類로 나누어지는데 고배형토기는 니질계 토기류 중의 하나이다. 성형법을 따지면 고배형토기는 圓盤充塡法으로 제작되는 A類와 형뜨기로 만들어지는 B類로 크게 구분된다. 원래 낙랑토기에서 인지되는 형뜨기 기법(mould method)은 戰國時代 燕國에서 유래된 활석혼입계토기에 기원이 있다. 즉 낙랑토기를 구성하는 토기 중에서는 출현시기가 소급될 가능성이 높은 기종이면서, 後漢代 이후까지 오랫동안 존속하였다. 이 토기와 유사한 자료는 漢代의 中國 中原地域과 遼東地域에서도 찾아지지만 제작기법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낙랑의 고배형토기는 다양한 제작기법으로 제작된 것이 많아 중국 內地의 것과는 달리 정형성이 높지 않다. 제의용으로도 사용되었겠지만 향로로 전용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낙랑의 고배형토기는 이전 시기의 豆形土器와는 형태적으로나 제작기법의 면에서 특별한 관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 초기의 고배류 성립과도 기형과 제작기법의 측면에서는 연관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