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급성복통을 동반한 소아의 척추 경막외 농양 1예

        정은영,이연경,김석헌,공병구,김광우,박영수,김동원,Jeong, Eun Young,Lee, Youn Kyung,Kim, Suck Heon,Kong, Byoung Gu,Kim, Kwang Woo,Park, Young Soo,Kim, Dong Wo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1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8 No.1

        저자들은 발열과 복통을 주소로 입원한 환아에서 연속적으로 요통 및 둔부 동통을 보여 실시한 자기 공명촬영상 요추 부위의 척추 경막외 농양을 진단하고 수술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pinal epidural abscess(SEA) is a rare condition in children. Classic symptoms are spinal ache, root pain, weakness and paralysis. The earliest symptoms of SEA in the pediatric age group are nonspecific and variable. Early diagnosis may be almost impossible when local spinal pain is inconspicuous or absent, when toxic epiphenomena divert attention from subtle signs of neurologic dysfunction and when the patient is an acutely distressed and uncooperative child. Failure to diagnosis and treat condition on a timely basis may lead to permanent neurolgic dysfunction or even death. This infection, usually located in the dorsal epidural space of the mid thoracic or lower lumbar regions, is the result of hematogenous dissemination of bacteria, usually Staphylococci, from foci of infection in the skin, or respiratory or urinary tracts. MRI was the diagnostic method of choice. A combination of antibiotics and surgical drainage remains the treatment of choice. Prognosis is excellent if surgery is performed before the development of neurologic deficit. We report a case of SEA in a child whose first presenting symptom was abdominal pain rather than spinal pain. A case is diagnosed by MRI and successfully treated with laminectomy and drainage and antibiotics.

      • KCI등재

        안드로이드 기반 로고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정은영,정운국,임선진,문창배,김병만,Jung, Eun-Young,Jeong, Un-Kuk,Lim, Sun-Jin,Moon, Chang-Bae,Kim, Byeong-M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8 No.4

        스마트 폰의 등장과 모바일 인터넷을 제공함에 따라 휴대폰은 음성통신 수단이 아닌 웹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구 또는 각종 게임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놀이 수단으로도 발전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용량도 증가하였다. 사용량의 급증으로 인하여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증가 하였지만, 한정적인 출력 화면에 의하여 광고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로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로고 인식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이를 구현하여 실제 스마트 폰에 탑재한 후 다양한 성능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그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현 하드웨어 성능상 실시간으로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다. A mobile phone is becoming no longer a voice communication tool due to smartphones and mobile internet. Also, it now becomes a total entertainment device on which we can play game and get services by variety applications through the Web. As smartphones are getting more popular, their usages are also increased, which makes the interest of advertising industry in mobile advertisement increased but it is bound to be limited by the size of the screen.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ugmented reality logo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to maximize the effect of logo advertisement. After developing software and mounting it on a real smartphone, its performances are analyzed in various ways. Th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real world but it's not enough to provide real time service because of the low performance of hardware.

      • KCI등재

        구비설화 속 정탁(鄭琢)의 인물전승 양상 연구

        정은영 ( Jeong Eun-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1

        이 논문은 조선 중기의 명재상인 정탁(鄭琢)을 조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설화에 투영된 정탁의 면모와 거기에 드러난 민간의 전승의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 문헌 속의 정탁은 주로 강직함을 갖춘 관료로서 묘사되고 있다. 반면 설화 속 정탁은 고난을 극복하고 입신양명한 인물,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 참된 위정자의 표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일련의 설화에서 정탁은 탁월한 학문적 재능에도 불구하고 가난으로 인해 그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한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가난은 처가의 괄시라는 고난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묵묵히 학문에 정진한 정탁은 시련을 극복하고 마침내 과거에 당당하게 급제하여 입신양명하는 인물로 설화에 등장하고 있다. 반면 설화 중에는 정탁이 뛰어난 문재로 명나라 장수의 콧대를 꺾고 축지법과 같은, 보통 사람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남다른 능력을 가진 비범한 인물로 형상화된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정탁 설화는 실존했던 인물에 대한 이야기지만 전승자의 의도에 따라 역사적 사실은 과장ㆍ확대되었고 여러 허구적인 요소가 더해졌다. 결국 설화에 등장하는 정탁의 모습은 이 설화를 전승했던 사람들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정탁 설화 속에는 지금 현재는 좀 부족해 보이는 사람도 언젠가는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 힘없는 약자, 백성의 삶을 대변하는 한편 자신들을 먼저 생각하고 이해해주는 위정자를 바라는 전승자의 바람이 들어가 있다. 역으로 말하면 정탁의 삶이 그러한 설화 전승자의 의식과 일치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Jeong Tak is an able premier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d occurred not only had he taken the role of a guard for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but also recommended Generals such as Yi Sun-shin, Gwak Jae-u, Kim Duk-ryung to the Royal Court enabling them to exercise their abilities. Especially the story about him sending a letter to the King when Yi Sun-shin was in a near-death situation, and saved his life is very famous. Despite his contributions, research on Jeong Tak had been limited to his academical success and ideas and nothing on how the people in his generation or generations after regarded him as a person `Jeong Tak`. Within the historical documents, Jeong Tak is illustrated as a bureaucrat of integrity. However, in the tale of Jeong Tak, he has been illustrated as a person who had overcome difficulties and achieved success and as a man of remarkable abilities. Series of tales of the tale of Jeong Tak shows that he passes the state examination with his outstanding academical ability but this did not simply enabled him to overcome poverty but has lead to his satisfying revenge on his in-laws who had completely ignored him because of his poverty. Meanwhile, in the tales, the tale of Jeong Tak is illustrated as a person who has an extraordinary eye sight which cannot be expected on human and a remarkable person who contracts space by magic. However, even those extraordinary abilities do not appear recklessly but has been used to punish those who judge others by their current circumstances or appearan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le of Jeong Tak that appear within these tales are reflections of those who have passed down such tales over generations. Even though you are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at present, it delivers a message that there is hope that you will success one day and shows the politicians what their citizens want and how they should treat them.

      • KCI등재

        『일본왕환일기』의 통신사행문학적 위상 재고

        정은영 ( Jeong Eun-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일본왕환일기』는 1596년 병신사행의 정사 황신이 저술한 통신사행록이다. 병신사행은 임진왜란의 와중에 일본에 파견된 통신사로, 표면적으로는 명의 책봉사를 호종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일본의 현 정세를 파악하여 그들의 재침략 가능성을 탐지하는 것이 주목적이었다. 이에 따라 황신은 조선전기 통신사행록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행기록을 남겼다. 우선 황신은 일기를 사행록의 서술체재로 선택하여 급변하는 일본의 정세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일기의 말미에는 문견록의 형식을 수용하여 일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본왕환일기』의 이러한 서술방식은 후대 통신사에게 영향을 미쳐, 조선후기에는 일기, 일기와 문견록이 결합한 형태가 통신사행록의 대표적인 체재로 자리잡았다. 한편 『일본왕환일기』는 조선후기 통신사행원들이 일본정보를 판단하는 준거가 되었다. 아울러 일본을 바라보는 황신의 인식과 그에 따른 서술 태도 역시 조선후기 통신사행록에 그대로 수용되었다. 이처럼 황신의 『일본왕환일기』는 조선후기 통신사행록의 형식적ㆍ내용적 전범이라 할 수 있다. Ilbonwanghwan-ilgi (A Record of a Trip to Japan) is a Sahaeng-girok (Travel sketch) written by Hwang Shin that had been to Japan, following envoys of the Ming Dynasty. Especially, Ilbonwanghwan-ilgi is a record of a visit to an enemy country during a war and a work recording Japan by a method that could not be seen in Sahaeng-nok in the early Joseon period. Nevertheless, its volume was rough compared to other Sahaeng-nok, and its theme was not clear, so until now, no activ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Sahaeng-nok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was recorded by the king`s order or a need of the royal court, so it mainly contained limited information about Japan or was written in a direction that a necessary fact would be added to already known information. However, Ilbonwanghwan-ilgi, apart from the method of writing previous Sahaeng-nok, was recorded experiences in Japan in the form of a journal. Hwang Shin recorded every single experience in the journal so as to perceive Japan`s situations in the present time, accurately. He, also, explored a more variety of knowledge about Japan and left it in the form of Mungyeon-nok. Though it did not have an extra title of Mungyeon-nok, when the missions as an envoy ended, Hwang Shin arranged the forms of power, institutions, customs, flora and fauna of Japan on the back page of the journal, following a regular order. This method of description became a model of late Joseon Tongsinsa`s Sahaeng-nok. In addition, he recorded Mungyeon-nok, focusing on the heterogeneities between Joseon and Japan. Unlike early Joseon Tongsinsa`s Sahaeng-nok that aimed to maintain peaceful Gyorin (neighborly relations) System, Ilbonwanghwan-ilgi revealed Joseon`s hostility to Japan as well as the strained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it was. This perception of Japan, also, connected to late Joseon Tongsinsa`s Sahaeng-nok, intactly. In this sense, Ilbonwanghwan-ilgi is a material through which we can clear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t the time, which was being transformed b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a work as an example of late Joseon Tongsinsa`s Sahaeng-nok.

      • KCI등재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 그리고 부산

        정은영(Jeong, Eun-Young)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Busan is closely connected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Joseon Tongsinsa(Korean missions to Japan). It was the place where the first battle of Japanese invasion took place and served as a logistical base of the Japanese military for seven years. So, it was a space that kept the traces of war. Besides, Busan was the destination of Joseon Tongsinsa s journey and point of departure to Japan. Therefore, various views of Busan was expressed in the Record of Joseon Tongsin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m is a record of the Japanese invasion. Since the route of Joseon Tongsinsa s journey within the country was similar to the marching-north route of the Japanese army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the traces of the war that was witnessed during the journey were recorded in the Record of Joseon Tongsinsa. Members of Joseon Tongsinsa tried to fulfill their duties as envoys submitting a report of King, suppressing the hostility to Japan, but they had to witness the traces of Japanese invasion and experience the economic inferiority caused by the war, during their journey within the country to Busan, and during their stay in Busan. Such experiences made them realize that the war was not over from the retreat of the Japanese army, and that the scar of war did not die away until the decades passed. The Record of Joseon Tongsin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clearly states that the war and the suffering caused by it cannot help going on forever as long as there are traces of the Japanese invasion However, as time went by, the traces of war gradually faded, and a space to remember the horrors and sufferings of the Japanese invasion was alternatively created by the state or provincial government. Members of Joseon Tongsinsa who were dispatched to Japan, at the time when no traces of war could be found, internalized the loyalty and incision of the ancestors who devoted their lives to their country and commemorated the Ming Dynasty which sent reinforcement for Joseon, through the monuments of Dongrae s Chungryulsa Temple, Busan Jinseong and Yeonggadae. In the process, they tried to remember the Japanese invasion and arouse attention to Japan. 부산은 임진왜란, 또 통신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산은 임진왜란 최초의 전투가 벌어진 곳이자 7년 간 일본군의 병참기지 역할을 했기에 전쟁의 흔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공간이었다. 아울러 부산은 통신사 노정의 종착지이자 일본으로 떠나는 출발지였다. 그래서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는 부산의 다양한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그 중 하나는 임진왜란에 대한 기억이다. 통신사의 국내노정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북상 경로와 비슷하였기 때문에 통신사행록에는 노정 중에 목도하게 된 전란의 흔적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통신사행원들은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애써 누르며 복명사신으로서의 임무를 다하려고 했지만 부산으로 내려오는 국내 노정 중에, 또 부산 체류기간 동안 곳곳에 남아있던 임진왜란의 흔적을 직접 보았고 전쟁으로 야기된 경제적 열악함을 몸소 겪었다. 그러한 경험은 일본군이 퇴각하는 것에서 전쟁이 끝나지 않았음을, 또 수십 년이 지난 시점까지 그 상처가 아물지 않았음을 깨닫게 하였다. 조선후기 통신사행록에는 임진왜란의 흔적이 남아있는 한 전쟁과 그로 인한 고통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 뚜렷하게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전쟁의 흔적은 점점 옅어지게 되었다. 대신 임진왜란의 참상과 고통을 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 국가 혹은 지방 주도로 조성되었다. 더 이상 전란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시점에 일본으로 파견된 통신사행원들은 동래의 충렬사, 부산진성과 영가대의 기념비 등을 통해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조상들의 충성심과 절개를 내면화하고 조선에 구원병을 보낸 명나라를 기념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임진왜란을 기억하는 한편 일본에 대한 경각심을 되새겼다.

      • KCI등재

        회답겸쇄환사의 일본정보 탐색 연구

        정은영 ( Eun Young Jeong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4 No.-

        임진왜란 이후 고조된 위기의식을 타개하기 위해 조선은 피로인 쇄환을 명분으로 사신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회답겸쇄환사라는 명칭으로 파견된 조선후기 통신사의 주요 임무는 일본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일본의 침략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것이었다. 1607년·1617년·1624년 세 차례 파견된 회답겸쇄환사는 조선전기 『해동제국기』의 내용을 관습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일본을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우선은 쇄환 과정에서 만난 피로인과 문답을 나누며 일본의 정세 변화와 전쟁 재발의 가능성을 파악했다. 또한 다양한 일본 문헌을 활용하여 기존의 일본정보를 확인·정정하는 동시에 새로운 정보를 확충하기도 하였다. 이런 방법을 통해 회답겸쇄환사는 수길 사후의 일본 상황을 파악해 나갔다. 관원합전과 대판전투 등 덕천가강이 막부를 개창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본의 내전의 양상은 물론 그 이후 막부가 펼친 권력 강화책에 대해서도 자세하기 탐문했다. 또한 일본의 재침략 가능성이 농후한 상황에서 그들의 전쟁 역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특히 회답겸쇄환사는 일본의 경제적 번영이 일본의 전쟁 역량 강화와 어떻게 이어졌는지에 대해서 깊이 살폈다. 이러한 회답겸쇄환사의 탐문 결과는 조선의 대외 정책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고, 그들이 모색한 탐색 경로의 다양화는 후대 사행원들이 일본을 점 더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Press agencies were dispatched in Japan 12 times for 200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era. 3 private conducts among them in the early days(1607, 1617, 1624) were dispatched under the name ``dispatch of the diplomatic mission,`` and the main duty was repatriating people who got kidnapp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owever, it was just a superficial justification of dispatching envoys. In fact, Joseon Royal Court had to expand the Japan information to prepare for Japanese invasion effectively, and they intended to purse this expansion through the dispatch of the diplomatic mission. However, Japanese information that can be collected during short stay in Japan was limited. Moreover, it was impossible to accurately investigate circumstances due to noncooperation of Tsushima Island. However, the kidnapped Chosun people who they met during the repatriation process of kidnapped prisoners provided help in overcoming limitations in collecting information that the press agency had. Therefore, unlike previous envoys, the dispatch of diplomatic mission helped to comprehend situations in Japan bas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from people who were staying in Japan. Also, the dispatch of the diplomatic mission intended to modify numerous errors on existing Sahaengnok or maps through Japanese literature to overcome an estrangement with Japan that cannot be done with their knowledge. The dispatch of the diplomatic mission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of Japan through these various channels. It was because the changed composition of power in Japan made direct influence on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Therefore, the dispatch of the diplomatic mission collected numerous rumors to investigate the public sentiment of Japan, and explored the already settled disputes again to understand the dominating power of the Japan`s feudal government accurately. Moreover, how economic power and various customs of Japan strengthened their warfare capability was identified. The Japan information search of the dispatch of the diplomatic mission was done extensively from the political strife aspect in Japan and power of Japan`s feudal government. This made great effect on the diplomatic strategy of Great Japan in Joseon Dynasty era.

      • KCI등재

        손의 형태학적 특성과 손감성지수와의 상관관계

        정은영 ( Eun Young Jeong ),류희욱 ( Hee Wook Ryu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4

        20∼23세의 한국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손에 대한 손의 형태적 특성과 감성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감성평가 방법으로 손의 아름다움을 각각 10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를 손의 형태학적 특성과 감성평가 등급과의 상관관계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감성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손 길이와 손 폭의 비이었고, 손 길이와 손가락 길이 및 손가락 굵기의 비율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손 길이와 손톱 길이의 비와 손가락 길이와 손톱 길이의 비는 감성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높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아름다운 손)의 특징은 손, 손가락 및 손톱의 길이가 모두 길고, 손과 손가락의 폭이 좁으며, 특히 낮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톱의 길이가 모두 길고, 손과 손가락의 폭이 좁으며, 특히 낮은 감성평가를 받은 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톱의 길이가 더 길었다. 결과적으로 손의 모든 형태학적 특성들이 종합적으로 감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손의 형태학적 특성을 감성적으로 평가한 최초의 정량 및 정성적 보고로 손의 미적 요소에 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고, 이들 정보들은 손과 관련된 다양한 뷰티산업 제품 및 서비스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y of hands for beautiful hands were investigated for college woman in early twenties. Hand Emotional Quotient (HEQ) which is classified as 10 grades was newly suggested as one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s for the beautiful hands and was applied to asses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lationships betwe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Q. The factors influenced on the HEQ were in order as width-length ratio of hands, finger length-hand length and finger width-hand length ratios. Otherwise the influences of hand length-nail length and finger length-nail length ratios on HEQ were insignificant. The longer length of hand, finger, and nail and the narrower width of hand and finger, the higher HEQ hands get.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al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hands influenced on the sensitivity synthetically. The data constructed on the hand`s sensibility is very useful for various beauty products and service areas related to hands.

      • KCI등재

        교린체제 확립기(1636∼1655) 통신사의 三都 인식

        정은영 ( Eun Young 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17세기 중반에 이루어진 병자.계미.을미사행은 조선과 일본의 교린체제가 확립되어가던 시기에 파견된 통신사였다. 이 시기 통신사는 誠信交隣을 표방하였기에 포로 쇄환을 목적으로 파견되었던 이전의 통신사에 비해 자유로운 일본 탐색이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통신사의 정보 탐색의 대상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大坂.西京.江戶의 三都였다. 확립기 통신사는 우선 각각의 도시가 가진 기능과 중심성에 따라 三都를 분석했다. 三都 중 大坂은 海路와 陸路가 만나는 結節地로 상업과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었다. 한편 江戶는 德川幕府의 새로운 수도로써의 위용을 보여주었다. 江戶城에 축조된 천수대는 關白의 권위와 공권력을 상징하고 있었으며, 도시의 공간 구획과 구조는 막부의 통치이념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이 시기 통신사는 풍수지리라는 조선의 전통적 공간원리에 따라 三都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도시의 지리적 입지가 그 命運을 좌우한다고 생각했던 통신사는 天皇이 머물고 있던 西京과 關白의 근거지였던 江戶를 비교, 關白에 대한 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이렇듯 확립기 통신사의 三都 탐색은 일본 권력의 향방을 판단하여 조선과 일본의 외교 관계를 어떻게 정립해 나갈지를 결정하는 가늠 역할을 하였다. The late Joseon dispatched Tongsinsa (communication envoys) to solve internal and external anxieties. Especially, the growth of Qing Dynasty weakened even Joseon`s hostility towards Japan. Joseon dispatched Tongsinsa justifying congratulations to the accession of Gwanbaek apart from the purpose of existing dispatches of the repatriation of prisoners for the promotion of peaceful relations with Japan. Accordingly, Tongsinsa in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Gyorin (Neighborly Relations) System could experience Japan in a freer atmosphere and explore knowledge about Japan. At this time, Tongsinsa explored Japan`s cities, especially, Osaka, Kyoto and Edo with a great attention.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fulfill their assignments as envoys and at the same time, understand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Japan. Thus, Tongsinsa attempted to understand knowledge about Japan cohesively through the cities in a short time. Tongsinsa during the stage of establishment looked at the three cities of Japan from perspectives of urban functions and Fengshui (geometric geography). In terms of urban functions, Osaka, Kyoto and Edo were economic, cultural and political centers of Japan, respectively. In terms of Fengshui, Kyoto could play a role of capital for a long time as there was fertile land, but with such openness, it could not but be a place with vulnerability to defend against enemies. In contrast, since Edo, which was hard ground was good for defense, was a good location as the capital of the country. In sum, Tongsinsa understood the direction of power through the functions and natural positions of the major cities of Japan and got help in establishing relations with Japan considering those. Consequently, Tongsinsa`s exploration of the three cities of Japan was the start of an interest in the humanistic elements, which became an opportunity through which the areas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explored by Tongsinsa could be diversifi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