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업기억의 음운루프에서 내현적 조음억제행동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

        정용석,박주용,박창호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2

        Baddeley’s study (1986, 2000) suggesting that phonological loop of working memory consists of phonological store and articulatory rehearsal system used the paradigm that articulation of memory items could be suppressed by rehearsing irrelevant syllables simultaneously in the immediate serial recall task. He did not consider seriously whether articulatory suppression should be covert or overt. Chung et al. (2013) obtained the result that covert articulatory suppression could be automatized and working memory performance could be influenced by this. From the viewpoint of verbal mediation theory (Vygotsky, 1962), repetitive performance could facilitate speech automatization in the covert articulatory suppression condition, but inhibit it in the overt condition. And the effect of speech automatization, if it happens, could be distributed over all the memory items. Experiment 1 probed phonological similarity effect at each serial position of memory items in the covert and overt articulatory suppression con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vert condition observed generally more accurate responses, and phonological similarity effect at the middle position as well as the late (recent) positions. Experiment 2 probed the repetition effect of performing memory tasks, which showed that the covert condition resulted in generally better performance and the tendency of interaction between articulatory suppression condition and repetition.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could be explained roughly by the speech automatization hypothesis, which suggests that Baddeley’s model of phonological loop should be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automatization of articulatory suppression behavior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작업기억의 음운루프가 음운저장고와 조음시연장치로 구성된다는 Baddeley의 연구는 즉시순차회상 과제에서 기억항목에 대한 조음을, 이와 무관한 음절을 시연시킴으로써, 억제시키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조음억제를 외현적으로 하는지 내현적으로 하는지는 심각하게 고찰하지 않았는데, 정용석 등(2013)은 내현적 조음억제가 조건에 따라 자동화되어 작업기억 수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언어중재이론(Vygotsky, 1962)에서 보면 내현적 조음억제에서는 반복이 언어자동화를 촉진시키지만, 외현적 조음억제에서는 반복이 언어 자동화에 방해가 될 것이다. 그리고 조음억제행동의 자동화가 일어난다면 그 효과는 기억항목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실험 1은 기억항목 간의 음운유사효과를 조음억제 유형에 따라 제시위치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현적 조음억제 조건에서 외현적 조음억제 조건에 비해 정반응수가 전반적으로 더 좋았으며, 내현적 조건에서는 중간 제시위치 항목에 대해서도 음운유사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 2는 기억과제의 반복 수행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내현적 조건의 수행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지만, 조음억제 유형과 반복 여부의 상호작용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대체로 언어 자동화 가설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Baddeley의 음운루프 모형이 조음억제행동의 자동화를 고려하여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의 제안 등을 다루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기독교 여성관의 역사

        정용석 한국대학선교학회 2007 대학과 선교 Vol.13 No.-

        Most people have at one time or another heard, and perhaps even believed, that woman are ‘inferior' and ‘subordinate' to man. Woman has also been portrayed as ‘evil' and ‘unclean.' These sexist and misogynist attitudes and beliefs about woman were integrally tied to ancient patriarchal values and practices that had their origins in the Bible as well as ancient culture. These negative perceptions of woman were common in theological writings throughout the two millennia history of Christianity. Patriarchy has been the most pervasive and destructive manifestation of inhumanity in history. However, despite the prevalence of patriarchism in Christianity, we have been encouraged to uncover some thinkers and movements whose importance has been largely overlooked by mainstream historians.Recent works in Christian history, especially by feminist theologians, have uncovered a more varied role for women in the Church, from antiquity to the contemporary age. Theological studies have worked to present a more accurate view of Christ's teachings and treatment of women, and have thought to separate patriarchal constraints from the Gospel message and vision of the Church for all genders and races. This article traces, on the one hand, the enduring, powerful legacy of patriarchal attitudes toward women and, on the other hand, women's reaction against them. It is a vast survey ranging from the teaching of early Christian Fathers to contemporary feminist theology, examining a diversity of Christian teachings, and taking into account writings from a variety of sources which have influenced women's status and role in Christianity.

      • KCI등재

        이브의 후예들 –여성사 연구 동향–

        정용석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8 No.-

        이 논문은 여성사 연구 동향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다. 1960년대 후반 이후 여성 역사가들은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여성의 삶과 그들의 체험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그들은 또한 과거로부터 여성들의 역사적 저술들을 발굴했고,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기까지 여성 역사의 전통을 수립했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인상이 남는데, 그것은 여성들이 역사의 주류 밖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여성사는 근본적으로 역사로부터의 여성의 부재를 수정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러므로 여성사 기술의 목적은 여성을 역사에로 회복시키고, 역사를 여성에게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한편 1980년대 중반에 젠더 개념이 부각되었고, 젠더가 역사 내에서 분석의 비판적 범주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여성의 역사는 있을 수 없다고 주장되었다. 새로운 역사는 근본적으로 성(性)들 간의 변화하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젠더 역사의 적합성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만일 전통적인 방식의 역사 기술이 ‘그의 이야기’에 중심을 두고 있다면 이제 ‘그녀의 이야기’를 찾아내어 들을 필요가 있다. 여성사를 연구하고 기술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자료와 증거가 희박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때로 행간(行間)을 읽는 역사적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는 균형 잡힌 역사를 기술하는 것은 역사가의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This article is a historical research of the recent trends in the study of women’s history. Since the late 1960s historians of women have continually investigated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ives of women and their experiences. They also recovered women’s historical writings from the past and established traditions of women’s history dating back to ancient times. An overarching impression remains, however, that women are somehow situated outside the mainstream of history. Women’s history was primarily concerned to correct the absence of women from history. The aim of writing women’s history is therefore to recover women to history and to recover history to women. Meanwhile, during the middle of the 1980s the idea of gender arose, and the argument that gender must become a critical category of analysis within history came to the fore. And it was asserted that there could be no separated history of women; a new history must evolve that focused primarily on the changing relations between the sexes. The controversy on the legitimacy of gender history has continued. If the traditional way of writing history was centered on ‘his story,’ it is now necessary to find and listen to ‘her story.’ The study and writing of women’s history is not an easy job because sources and evidences are scanty. It sometimes needs historical imagination to read between the lines. It would be a historian’s significant task to write a balanced history including both men and wome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