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慶州 南山 三花嶺 出土 彌勒三尊像의 樣式

        정예경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7 新羅文化 Vol.29 No.-

        In the Maitreya Triad from Samwharyung at Namsan, the each image is represented on the basis of baby's proportion. But the main buddha image is endowed with majesty by emphasizing the width, while by emphasizing the length the right bodhisattva image looks older than the left bodhisattva image who from the head to the foot shows the baby's body and spirit to be not developed.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Buddha image gives the manly impression, the right bodhisattva image gives slim and so feminine impression, and the left bodhisattva shows the state of the baby. Like this the main buddha image, the right bodhisattva image, the left bodhisattva image were endowed with the manly, womanly and infant Image, thus it seems that the triad were composed like a family structure consist of a father, a mother and a baby. The Sosan triad of Paekche shows this family-like construction as well, thus it is suppos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riad like a family were popular among the Silla and Paekche. And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riad like a family is not at all seen in the contemporary Chinese sculptures, It is thought that this unique construction reflected the humor and the warm emotion of the Korean While in that the outline of the main Buddha image shows unfixed form, the shape of the lotus pedestal gives the mechanical impression, the bowleg and the dense folds on the leg is not in harmony with the mature impression of the right Bodhisattva image and in the right and left Bodhisattva images, the forms of the right and left arm betray the difference , it is thought that the triad is a epigone which imitates the original triad of the contemporary period. Regardless of having not analyse the difference from the contemporary Chinese babylike Bodhisattva images on account of limited space, in that the left Bodhisattva image shows perfectly the state of the body and spirit of the baby differently from the Chinese one and the form of it is ever so much lovely and amiable , We cannot help estimating the artistic level of it is very hig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吐含山 石佛寺 十一面觀音菩薩像의 樣式

        鄭禮京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十一面觀音菩薩像은 顔面表現, 比例, 장식적 화려함 등에서 현저히 여성적인 이미지를 띠고 있다. 이는 十一面觀音菩薩像이 普賢菩薩像이나 文殊菩薩像의 남성적인 이미지와 대조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十一面觀音菩薩像에 여성적 이미지를 부여한 것은 觀音菩薩이 慈悲의 화신이라는 점, 그리고 아기가 위기에 처했을 때 어머니를 부르는 것처럼 중생이 고통에 처했을 때 觀音菩薩의 명호를 일념으로 부르면 그 소리를 듣고 몸을 나투어 중생을 고통으로부터 건져내어 준다는 觀音菩薩의 존재가 어머니의 존재, 곧 母性에 비유되고 있다는 점에서 十一面觀音菩薩像에는 여성적 이미지가 강하게 부여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석굴 主室 내부에 本尊像 외에 유일하게 正面向을 향하고 있는 것은 文殊菩薩像이나 普賢菩薩像이 본존이신 석가모니불을 온 마음을 기울여 禮拜, 讚嘆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는 데에 비해, 곧 本尊佛을 脇侍한다는 이미지가 강하게 투영되어 있는 데에 비해 十一面觀音菩薩像은 중생의 고통을 들어주고 치유해 주는 衆生救濟를 상징하는 존재라는 사실, 곧 예배자와 대면하여 그의 祈願과 苦痛을 들어주고 그것을 해결해주는 禮拜對象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부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그리고 十一面觀音菩薩像의 형태표현 자체도 本尊佛상이나 文殊, 普賢菩薩像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어, 다시 말하면 인간적인 면모를 띄고 있는 文殊, 普賢菩薩像보다는 보다 엄정한 종교적 위엄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러한 성격이 다시 확인된다. 石佛寺에서는 本尊像, 文殊, 普賢菩薩像, 十一面觀音菩薩像을 표현하면서 각 존상의 종교적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치밀한 형상선택을 통하여 그러한 의미와 관념을 시각화하고 있다는 데에 石佛寺 조각의 중요한 특징이 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다.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shows very feminine appearance in the face, proportion, and ornamental richness. This is different from the manly appearence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images. That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has been endowed with the feminine image is interpreted as that the Avalokitesvara is the avatar of compassion and this bodhisattva is compared to the motherhood, who incarnates to save the mankind from the misery when they call the name of Avalokitesvara in a whole heart as like the babies call their mother when they are in a danger. And this bodhisattva is only one who see frontward but the main buddha image, this seems based on this bodhisattva's religious character to hear the misery of the mankind and give them peace and happiness ultimately, comparing the Manjusri and the Samantabhadra images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worshipper of the main Buddha, in other words, two bodhisattva images have been endowed with the image attending the main Buddha in a whole heart. Also the form of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is the middle between the form of the main Buddha image to be worshipped and that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images to attend him.

      • KCI등재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에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사례 연구

        정예경,조성환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t has become natural for us, where the metaverse platform has become commonplace, to access the brand online rather than offline, and the brand image narrative perspective is emerging as a way to immerse it in the brand. The cas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by the global brand consulting group ‘Interbrand’, which is recognized around the world, from the top 100 best global brands in 2021.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synthesized the cases, it was found that 'descriptiveness' and 'interactionality' were the most emphasi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 of 'subjectivity' was the most insuffici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co-creativity'. It was found that this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users can more actively manipulate, create, and create on the metaverse platform. It can be seen that this result is because the brand must be recognized and the brand experience must be delivered through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is brand experience can induce sustainable participation and immersion, and it can help realize virtuous communication so that the brand can maintain its value and culture and form different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the basic steps on how to apply and utilize brand image narratives when performing brand communic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메타버스 플랫폼이 일상화 된 우리들에게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으로 브랜드를 접하는 것이 당연시 되었고 더욱 브랜드에 몰입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 관점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접근방법이 대두되고 있어 사례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에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례 선정 기준은 전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그룹 ‘인터브랜드(Interbrand)’가 2021년 베스트 글로벌 브랜드 100순위에서 선정하였고, 구축한 사례분석 특성과 요소의 틀을 통해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를 종합한 연구 결과에서는 ‘서사성’과 ‘상호작용성’을 가장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공동창조성’ 특성에서 ‘주체성’ 요소가 가장 미흡하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사용자들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조작, 생성, 창조 등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를 인지시키고 브랜드 경험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브랜드 경험으로 지속가능한 참여와 몰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그 가치와 문화를 유지하고 또 다르게 형성할 수 있게 선순화된 소통을 실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시 브랜드 이미지 내러티브를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기초 단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또한 추후 본 연구를 통해 적합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