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대주의를 넘어서는 ‘상황적 지식들’의 재구성을 위하여: 파편화된 부분성에서 연대의 부분성으로

        정연보 한국여성철학회 2013 한국여성철학 Vol.19 No.-

        이 논문에서는 다나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들”에서 제시하는 ‘부분성(partiality)'의 의미가 상대주의의 부분성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보편주의는 부분성을 포용하지 않지만 상대주의와 상황적 지식은 모두 모든 지식과 관점의 부분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상대주의에서 보여지는 무관심에 기반한 파편화된 ‘부분성’의 개념보다는 상황적 지식들에서 제시하는 상호의존성, 변화가능성을가진 ‘부분성’의 개념이 중요함을 검토하였다. 즉, 대화를 위해서는 단지 각자의 관점의 부분성을 인정하는 것에 그치는 것은 부족하며 다른 관점들의 부분성과의 연결성을 인식하고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들’은다른 입장들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기는 하였으나 어떻게 무관심에도 불구하고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다른 이의 경험을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루고네스의 “‘세계’-여행”의 개념은 부분성의 감각을 잃지 않으면서 다른 이들의 시각을 그들 자신의 맥락에서 상상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상황적 지식들”의 논의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월경과 몸의 혐오에 대한 도전 -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 분석을 중심으로

        정연보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아시아여성연구 Vol.58 No.2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는 월경과 몸에 관한 금기와 통념들에 도전하고, 여성 경험의 경청을 통해 여성 연대의 유의미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로서의 의의를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다큐멘터리가 여성혐오의 기반이 되었던 여성의 몸에 부착되어온 부정적 의미들에 대한 문제제기와 몸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촉구하는 점을 분석하고, 보다 넓은 몸의 정치학과 우리 사회의 혐오현상 및 페미니즘의 흐름 속에서 맥락화하며 논의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특히 몸의 물질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이 분리될 수 없다고 보는 페미니스트 접근을 통해, 몸과 동물성을 여성에 더 가까운 것으로 묘사하면서 여성의 몸을 문제화해온 가부장적 방식의 ‘이상적 몸’의 개념에 대해 문제제기하는 계기로서 이 영화가 촉발한 월경에 관한 논의를 주목한다. 월경은 모든 여성의 보편적 경험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지역, 문화, 세대, 계급, 장애, 젠더 등에 따라 다양한 경험이 있다. <피의 연대기>는 다양한 월경 경험이 이야기되는 시작점을 제공하지만, 향후 개인적 선택의 이슈를 넘어 몸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소외된 몸들의 연대를 위한 인식론으로 더 발전되기 위한 논의를 과제로 남긴다. For Vagina’s Sake is a documentary film that challenges taboos and conventional ideas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and the body and illuminates women’s experiences and solidarity. The film contributes to the feminist intervention against the negative meanings attached to women’s bodies that have been the basis of misogyny. This paper examines the film and situates it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s of the body, the politics of disgust, and recent Korean feminist movements through the lens of feminist new materialism. Feminist new materialism argues that materiality and culture are inseparable.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patriarchal way of thinking of the body, which, it determines, is more akin to that of women and, thus, problematizes the notion of the “ideal body.” Women’s experiences of menstruation are not universal but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region, culture, generation, class, disability, gender, and sexuality. This film explores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women based on culture, generation, and class, but further discussion on disability and queer bodies are needed. More importantly, it is critical to engage transformative rethinking in body politics and solidarity to move beyond the liberalist frame of individual choic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토양 박테리아로부터의 Pyrocatechase 에 관한 연구 (제1보). 효소정제와 특성연구

        정연보,이현재,Yeon-Bo Chung,Hyun-Jae Lee 대한화학회 1980 대한화학회지 Vol.24 No.1

        토양에서 분리한 Pseudomonadaceae 속 박테리아로부터 pyrocatechase를 추출, 분리 정제하였으며, 이 효소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pyrocatechase는 catechol에 대하여 기질 특이성을 보여줌을 알았다. 효소 활성도의 최적조건은 pH 7∼10 부근과 온도 $35^{\circ}C$임을 알았으며, catechol에 대한 $K_m$값은 $1.9{\times}10^{-6}M$ 로 얻어졌다. 기질 유도체에 의한 효소 저해 실험결과 벤젠 고리의 ortho 위치에 두개의 수산기는 효소-기질간의 결합반응에 참여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기타 SH-잔기와 작용하는 화합물 또는 중금속 이온등의 첨가에 따른 효소 활성도의 저해 효과를 검토 하였으며, 효소 활성부위에 대하여도 검토해 보았다. Pyrocatechase as a phenolytic dioxygenase was extracted from the benzoate-induced cells of a soil bacterium, a member of Pseudomonadaceae, and purified partially by DEAE-cellulose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75 gel filtration. Final preparation of the enzyme yielding 200 fold purification over the crude extracts showed a specific activity of about 40 ${\mu}moles$ per minute per mg protein based on catechol as the substrate. The enzyme showed a very limited substrate specificity towards catechol for its catalytic activity. Based on the inhibition study with the substrate analogues, it was assumed that ortho dihydroxy groups on the aromatic ring may participate in the enzyme-substrate binding. The $K_m$ value for catechol was obtained as $1.9{\times}10^{-6}M$, and the optimum activity of the enzyme was obtained at the pH range of 7∼10 and $35^{\circ}C$. With SH-group blocking agents the enzyme was inhibited seriously. The activity of enzyme was also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some heavy metals, $Ag^+$ and $Cu^{2+}$, but was not affected by EDTA. General property of the enzyme was characterized and the possible nature of the enzyme active center was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젠더-난자제공과 여성의 노동 및 참여를 중심으로-

        정연보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This study explores the discourse around the issue of egg extraction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By tracing the heterogeneous meanings attached to ova and bodies in the new biotechnology, this study reveals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s of woman, disability, nation, and science emerge and transform. Women and their bodies in stem cell research ar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resources for nat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materials for scientific experiments, or icons of life. As egg donors, women are also named as research participants or human subjects. The public understandings of women’s bodies take on such multifaceted meanings in regard to gender and science. Rather than representing women, disabled people, and patients as passive victim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ir multiple voices should be hear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the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of scientific research beyond emphasizing individual autonomy. 이 논문에서는 황우석 사건을 계기로 나타난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서의 난자 채취를 둘러싼 담론을 분석한다. 새로운 기술과 연관된 난자와 몸에 관한 이질적인 의미들은 ‘여성’이라는 젠더와 장애, 가족, 국가, 과학 등의 개념들이 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낸다. 여성과 여성의 몸은 실험의 ‘재료’, 국가발전의 ‘자원’ 에서부터 ‘생명’ 혹은 보다 능동적인 의미의 ‘연구 참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된다. 이 글은 이러한 재현들을 살펴보면서 여성과 장애인, 환자들을 수동적인 피해자 혹은 동원 대상으로만 그리는 경향에서 벗어나 이들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고지된 동의’ 등 개인의 ‘자율성’에 대한 강조를 넘어 과학기술의 연구방향과 기획의 결정과정에 개입하는 집합적 방식에 대한 고민을 촉구한다

      • KCI등재

        기후 위기 시대의 트러블과 함께 하기 ― 공동생성과 촉수적 사고, 생태주의적 돌봄을 중심으로

        정연보 한국여성연구소 2022 페미니즘 연구 Vol.22 No.1

        This article connects Donna Haraway's concepts of sympoiesis and tentacular thinking to the ecological turn of care. Through the concept of sympoiesis, Haraway pays attention to the symbiotic entanglement with not only machines and organisms, but also animals, plants, microorganisms, and all kinds of non-humans on Earth. The attention on the connected life of all beings and the making of a common world challenges the anthropocentric view that only humans are actors, and reminds us of interdependence and solidarity beyond the individualistic view of the human being that has emphasized independence or autonomy. In addition, the concept of odd kins, presented as a form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beyond the familiar kinship-centered, genealogical, and human-centered relationship, is noteworthy as a feminist critique of the existing racial, gender, and species-discriminatory views. In view of this change, response-ability based on the new epistemology of tentacular thinking is important. Viruses are also tentacular beings, and pandemics are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human interconnectedness and caring.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f sympoiesis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are examined by examining the practices of ecological care that includes non-human agencies beyond human care. 이 글에서는 해러웨이의 공동생성과 촉수적 사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에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생태주의적 돌봄 중심 사회 전환의 요구와 연결해본다. 해러웨이는, 『트러블과 함께하기』라는 책에서 공동생성의 개념을 통해 기계와 유기체뿐 아니라 동물, 식물, 미생물, 지구상의 모든 다양한 비인간과의 공생적 얽힘에 주목한다. 모든 존재들의 연결된 삶과 공동의 세계만들기에 대한 주목은 인간만이 행위자라는 인간중심적 관점에 도전하며, 독립성이나 자율성을 강조해온 개인주의적 인간관을 넘어 상호의존과 연대를 상기시킨다. 또한 익숙한 혈연중심적, 계보학적, 인간중심적 관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관계 맺기의 형태로 제시된 낯선 친족만들기는 기존의 인종, 젠더, 종 차별적 시각에 대한 페미니즘적 비판으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변화의 관점에는 촉수적 사고라는 새로운 인식론을 바탕으로 한 응답-능력이 중요하다. 바이러스 역시 촉수적 존재들로, 팬데믹은 인간의 상호연결성과 돌봄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나아가 인간 간의 돌봄을 넘어 비인간 행위성을 포함하는 생태주의적 돌봄의 실천 사례들을 살펴보며 기후위기 시대에 공동생성의 시사점을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