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운(香雲) 정태혁 박사의 학문과 실천 -배우며 생각하며 수행하며 전념한 후학 양성-

        정승석 ( Seung Suk Jung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향운 정태혁 박사가 후학을 위해 개척하거나 개발한 학문적 업적의 특색을 세 방면으로 개괄할 수 있다. 첫째, 불교 연구에서 범어와 서장어를 통해 원전에 의거한 해석을 시도했다. 이것은 한문으로 번역된 2차 자료에만 의지하여 불교를 연구하던 종래의 풍토를 일신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로써 국내 불교학의 신기원을 이루었다. 둘째, 국내의 인도철학 분야를 개척하면서 특히 불교와 인도철학의 비교 연구에 주력하여, 이 같은 학풍을 실질적으로 주도했다. 셋째, 요가를 비롯한 인도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밀교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향운은 국내의 불교학계에서는 밀교를 학문적연구 대상으로 심도 있게 고찰한 최초의 학자로 인정된다. 향운의 학문과 삶을 일괄하자면, 그는 중관학을 기점으로 밀교를 섭렵하면서 불교의 이념을 수행으로 실천하는 학문과 삶을 견지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중도를 요가와 밀교의 수행법으로 실천함으로써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Dr. Jung Tae-Hyuk`s scholastic achievements for the future us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Dr. Jung (whose literary name is Hyangwoon) attempted to translate into Korean primary materials in Buddhist Studies such as Sanskrit and Tibetan texts, which he believed to be the right way to study Buddhism. He opened the door to the new way of Buddhist Studies by publishing the first Buddhist grammar books in Korea such as Standard Sanskrit and Basic Tibetan. His new way of study Buddhism as a momentum made lots of Korean scholars leave the conventional way of studying Buddhism that depended only on Chinese texts and begin to read texts in Sanskrit and Tibetan. It is the impact of Hyangwoon`s pioneering work that young scholars these days consider learning Sanskrit and Tibetan as a necessary and basic step of Buddhist Studies. Secondly, Hyangwoon pioneered the field of Indian philosophy in Korea, especially when he focused on comparative studies between Buddhism and Indian philosophy. Under his substantial leadership, Dongguk University formed the department of Indian Philosophy in order to pro mote Buddhist Studie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at provided cultural soil for Buddhism. Through his comparative studies Hyangwoon gave a lead in attaining the purpose of the department. Lastly, Hyangwoon opened up new horizons in studying Tantric Buddhism (Vajrayana) with his full understanding of Indian cultures. Because Tantric Buddhism is integrated with the elements of Hindu culture, it is a prerequisite for Tantric studies to fully understand Hinduism. Due to their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f Hinduism, few scholars in Korea had been exploring Tantric Buddhism until Hyangwoon discovered the core of Mahayana Buddhism in Tantric Buddhism and applied his energy to reveal the original significance of Tantric Buddhism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herefore, we can call him the founding father of Tantric studies in Korea. To sum up Hyangwoon`s life and work, it can be said that his scholastic projects started from studying the Madhyamika and ranged over an extensive literature of Tantric Buddhism, so as to carry the principles of Buddhism into practice. In his lifetime, he endeavored to realize the ideal of Buddhism by following the Middle Way with his practice of Yoga and Tantric practices. The Middle Way that Hyangwoon incessantly drew attention to means the way of life to actually practice one`s recognition of the Sunyata(Emptiness) in order to achieve realization. He believed Yoga and Tantric practices to provide dynamics for one`s practice of the Middle Way. In Hyangwoon`s philosophy, therefore, Yoga and Tantric practices were the most affirmative methods for the path of the Middle W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투고 논문 : 초기 한역(漢譯)불전에서 원어의 변용 사례 Bhadraka와 Alavaka를 중심으로-

        정승석 ( Seung Suk Jung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Bhadraka-sutta에서 촌장의 이름으로 언급되는 bhadraka가 잡아함경 권32에서는 竭曇으로 음역되고, 별역잡아함경 권7에서는 驢姓으로 의역된다. 한편 잡아함경 권50에서는 竭曇이 귀신의 이름으로 阿臘과 함께 등장한다. 또한 별역잡아함경 권15에서 竭曇은 驢駒(당나귀)로, 阿臘은 曠野로 번역되어 있다. 원천 자료에서 阿臘의 원어는 alavaka로 확인되지만, 竭曇에 해당하는 원어는 없다. 음역에 의거하면 귀신 竭曇의 원어도 bhadraka가 될 것이지만, 의역에 의거하면 그 원어는 gadrabha(당나귀)가 될 것이다. 그러나 관련 설화와 다른 전거를 통해 竭曇=驢姓의원어는 bhadraka, 竭曇=驢駒의 원어는 gadrabha로 확정할 수 있다. 이처럼 역자들의 번역어 채택에는 일관성이 없고, 이로 인해 종종 원의를 곡해할 수 있는 상황도 발생한다. 이는 한자라는 중국어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고, 역자의 이해와는 무관할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한역으로 불전의 원의를 파악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본론에서 제기하고 검토한 문제, 즉 원어의 변용과 음역의 다양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A headman of one village is called bhadraka(or gandhabhaka) in Bhadraka-sutta of Samyutta Nikaya. This name is transliterated into jie-tan(竭曇) in Chinese version Vol. 32 of Samyukta Agama, and translated literally into `donkey family`(驢姓) in another Chinese version Vol. 7 of it. At the same time the jie-tan(竭曇) is appeared as a name of ghost(yakkha) together with another ghost called a-la(阿臘) in Chinese version Vol. 50 of Samyukta Agama. Besides in another Chinese version Vol. 15 of it, the jie-tan(竭曇) is translated into `donkey`(驢駒), and the a-la(阿臘) is translated into `the wilds`(曠野). Following up a clue of these words, though the original word of jie-tan(竭曇) is verified as alavaka in Alavaka-sutta, there is not the original word of jie-tan(竭曇). In this case, according to transliteration the original word of ghost jie-tan(竭曇) will be also bhadraka(or gandhabhaka). While according to literal translation the original word of it will be gadrabha(or donkey). But in the light of related narratives and other sourc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riginal word of headman jie-tan(竭曇) equal to `donkey family`(驢姓) is bhadraka(or gandhabhaka), and that of ghost jie-tan(竭曇) equal to `donkey`(驢駒) is gadrabha. As above Buddhist texts translated into Chinese lack consistency in translated terms. As a result, readers would misconstrue the original meaning of a word so often. This misconstruction may b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letters, and may have nothing to do with understanding of translators. However when we have to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of Buddhist texts on the authority of the Chinese version, we ought to investigate a point in dispute thoroughly, that is, the transfiguration of the original word or the variety of transliteration.

      • KCI등재

        유식(唯識)의 "동시 지각의 필연성" 개념에 대한 요가 철학의 비판

        정승석 ( Seung Suk Jung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8

        요가 철학의 일부 주석자들은 『요가주』에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은 ``동시 지각의 필연성``을 유가행파에서 주장하는 유식(唯識)의 근간으로 간주하여 상당히 심도 있게 비판했다. 이 비판의 내용을 면밀히 고찰해 보면, ``동시 지각의 필연성``을 둘러싼 쟁론의 연원은 불교 논리학으로부터 전개되어 유식설로 비화된 불교학의 전통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요가 철학의 주석자인 Vacaspati Misra가 이러한 전통 중에서 참고 했을 가능성이 현저한 것으로는 Vasubandhu의 유식설과 Dharmakirti의 불교 논리학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후대의 문헌인 『전철학강요』는 불교학의 전통을 개설하는 과정에서 이허한 정황을 충분히 입증한다. 요가 철학에서 ``동시 지각의 핑연성``을 비판한 것은, 불교 내부의 쟁론을 끌어들여 상키야 및 요가 철학의 실쟁론, 특히 순수정신의 독자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Samkhya-sutra의 주석자인 Vijnana Bhiksu는 『요가주』를 해설하면서 Vacaspati Misra의 새헐을 수용한 점에서, 유식설을 비판하여 요가 철학을 옹호한 vACASPATI mISRA의 논의가 후대의 상키야 철학에도 적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