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김소월의 한시 국역 양상과 그 문학사적 의미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8

        본고는 1920~30년대에 17제 27수의 중국 한시를 국역한 김소월의 경우가 20세기초의 다른 시인들의 국역 작업에 비해 가지는 두드러진 특징을 살피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김소월은 국역이 분명한 16제와 한시와의 상관성이 깊은 1제 11수 등 총 17제 27수의 한시 국역시를 남겼는데, 그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백, 두보 등의 유명 당시(唐詩)를 많이 국역하였지만, 악부 민가나 노래로 불리는 것에 대한 부제를 곳곳에 기록해두어 시와 노래에 대한 관심을 모두 보였다. 둘째, 원시(原詩)가 단연체인 것과 달리 여러 연으로 길게 국역하거나, 원시도 다연체로 재배열하는 등 한시의 함축적이고 간결한 특성보다는 동어 반복 등으로 장형화되는 국역의 특징이 보인다. 셋째, 중국의 지명을 한국화하고 특정 성별이나 인간관계를 ‘님’, ‘젊은이’, ‘우리’ 등으로 보편화할 뿐만 아니라, 다룬 작품의 내용도 이별과 사별, 고향을 떠나온 상황, 나라 잃은 상황 등으로 보편성을 지향하는 국역을 하였다. 넷째, 동어 반복, 감탄구, 의성어, 대화적 문체, 지시사 사용 등 구술적 특성이 강화될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다는 생생한 현장감과 화자의 정서 표현이 강화되는 효과를 보인다. 이러한 국역의 특성은 단순한 번역에서 나아가 원시(原詩)를 수용한 수용자의 반응을 담아 표현하는 화답시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근대시가 나아갈 방향이 기록성과 문자성 위주의 고급문학으로서의 시(詩)로서가 아니라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일상 구어로 된 노래[歌]를 포함한 시가(詩歌)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로써 현재 위축된 시의 존재 기반을 넓히기 위해서는 시에서 시 · 가 · 요(詩 · 歌 · 謠)를 아우르는 시 의식을 회복해야 함을 김소월의 한시 국역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on Kim, So-Woel’s translation into Korean language of Chinese traditional hansi in 1920~1930s.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many poets translated foreign poetry into Korean language. It is important that it is beginning time to use Korean language as a public national written language. And some poets translated Europe contemporary poetry but others Chinese ‘traditional’ poetry. Kim, So-Woel is the representative in this literary phenomenon. First, Kim, So-Woel translated Dang dynasty’s poetry including folk songs and showed his concern on also songs not only poetry. Second, Kim translated longer than original hansi by adding new contents or dividing into several stanzas. Third, He translated Chinese original names of place and person into universal names to adjust Korean situation. And the contents of hansi are farewell, longing for lover or hometown, it is applicable to our people of Japanese colonial era. Fourth, his translated Korean poetr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rality like onomatopoeia, repetition of same words, exclamatory phrases, conversational style, demonstrative words, etc. Through these thins, translated poetry have vivid sense of realism and speaker’s emotional expression is reinforced. It shows that Kim, So-Woel’s translation is not simply change of language, but responding to Chinese poetry. Hansi was the center and representative genre in the old times, but Kim, So-Woel tried to show new modern Korean poetry’s direction by translated poetry of Korean classical rhythm and orality. His poetry consciousness shows us the way forward that modern poetry should have both orality and literacy by meeting songs.

      • KCI등재

        예광 장성연의 현대가사에 나타난 전통의 지속과 변화

        정소연 ( So Yeon Chung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본고는 현대가사를 왕성하게 창작하고 있는 예광 장성연(1944~현재)의 작품을 대상으로 전통가사의 지속과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한 것이다. 현대가사는 여성작가나 지방문학에서 명맥을 유지한다고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으나 예광은 서울에 거주하는 남성작가로서 1만여 연에 이르는 가사를 창작한 작가로서 학계에 소개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예광의 가사는 현재적 갈래로서 어떤 양상으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가사의 현재적 계승을 위해 나아갈 길은 무엇인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예광의 현대가사에 나타난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과 표기에 있어서 4음절의 엄격한 유지와 4보격, 그리고 4행마다 연을 구분하는 변화를 보인다. 또 열린 結語를 통해 공동체와의 소통과 겸손한 위치에서의 하나됨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둘째, 창작의 현장성과 즉흥성에서 전통가사를 이르면서도 낭독·필사와 더불어 묵독 위주로 향유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셋째, 이야기나 한시, 고사성어의 가사화를 통해 전통시대의 갈래교섭현상을 볼 수 있다. 가사의 교육적 기능 및 교훈성 전달이라는 전통가사의 기능을 잇고 있는 것이다. 넷째, 기행가사, 교훈가사, 종교가사, 현실비판가사, <인생월령가>나 <효행가>, <뉴욕별곡> 등 전통가사의 다양한 세계를 재현하되 낮은 자세에서 청자를 향해 겸손히 말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다섯째, `변화속의 지속`으로서 이름 머릿글 가사라는 새로운 창작방식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창작세계는 전통시대의 미덕이자 이 시대에 부족한 사람간의 유대감과 친밀감, 공동체 의식을 기르는 효과를 거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be continual presence of Ga-sa genre today. To find the ways, I studied YeKwang Jang Sung-yeon(1944~present)`s Modern Ga-Sa works. According to previous study, Modern Ga-Sa is created by women writers or at provinces. But YeKwang Jang Sung-yeon as a man writer lives in Seoul and created numerous works. He has composed ten thousands of works, so we can find the succession and change of traditional Ga-Sa from his works.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YeKwang succeeded the formality of 4 letters and 4 metres, but he divided with several stanza. And unlike traditional Ga-Sa, he opened the closing remarks to pursue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speech of modesty. Second, in the ways of creation and enjoyment, he succeeded improvisation of traditional Ga-Sa. Third, we can find translation of several kinds of genres like traditional Ga-Sa works. Fourth, YeKwang represent diversity of traditional Ga-Sa sings travel, didactic contents, religion, criticism, etc. Fifth, YeKwang created new world of Modern Ga-Sa, namely, Name Ga-Sa that starts with the someone`s initial.

      • KCI등재

        기획 논문 :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6 No.-

        본고는 서사를 즐기는 새로운 한 방식으로서 온라인게임에 주목하고, 이를 문학적 현상으로 보고 고전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것이다. 2장에서는 문학사의 전개에 있어서 새로운 갈래의 생성을 둘러싼 향유층과 매체의 변화 중심으로 개관하면서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이 어떤 문학사적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향유층과 매체 변화, 새로운 갈래의 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논란 등을 중심으로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문학사의 담당층이 소수의 상층남성에서 상하남녀, 나아가 디지털매체의 서사를 통해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문학사의 주체로 등장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의 서사의 한 향유방식으로서의 온라인게임은 문학사에 새로운 주체로서 청소년의 등장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문학사의식에 기반한 문학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literary history by means focusing on online games as a new way to enjoy the narrative and Korean classical novels by comparing and reporting it as a literary phenomenon. Chapter 2 looked at changes in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surrounding the creation of new gen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ture examined whether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on any literary historical location. Chapter 3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change, focusing on such a controversial procedure that appears on the emergence of new genres looked at the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specifically. And I looked at the appearance of enjoying people(readers) of literary history, especially from a small number of upper male gender to high and low class, men and women, age and youth people were appeared as the subject of attention in the course of literary history. Chapter 4 was a enjoyment way of narrative as an online game now means the emergence of youth as a new subject in the literary history, so highlighted that literary history education must be made based on literature consciousness.

      • KCI등재
      • KCI등재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19세기 말 20세기 초 시가(詩歌) 수용 태도 고찰 -노래에서 시문학으로의 시가 향유를 중심으로-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본고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헌인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편저자의 수용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작품의 목록과 배열, 구성 등을 통하여 한시의 비중이 상당한 점과 작품들이 일련의 관련성을 가지고 작품군으로 배열되고 있는 점, 기존 작품의 수용이 적극적 창작으로까지 나아간 점 등을 통해 국어시가의 노랫말을 기록하는 기존의 가집으로서의 성격보다는 시로서 한시와 국어시가를 대등하게 인식하고 시가에 대한 감상과 수용자의 인식 태도를 기록하는 시집의 역할이 크다고 보았다. 특히 기원전 4세기부터 12세기까지는 한시 위주로, 12세기 이후에는 한시와 국어시가를 함께 수록하고 있어서 국문 매체의 시대에 한시와 국어시가가 공존하는 시가사적 흐름을 잘 포착하였다. 나아가 편저자가 직접 짓거나 한역한 신출작을 소개하고 이 역시 수용자로서의 적극적 태도라는 점을 밝혔다. 3장에서는 편저자의 수용태도를 잘 보여주는 청홍점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추출하였다. 청홍점이 찍히지 않은 곳을 빼고 작품을 읽었을 때에 대화체가 약화되고 반복, 나열 등의 리듬감과 노래의 맛이 적어지는 등의 노래로서의 구술성이 적어지는 점, 내용 전개에 요긴하지 않고 장황한 설명이나 묘사는 빠지고 내용의 핵심적 전개를 보이는 점, 하층민의 삶에 해당하는 내용은 빠지고 상층 취향의 풍류를 즐기는 주제가 강화되는 점 등을 통해 노래로서의 시가가 아니라 시문학으로서 시를 읽어내는 지식인으로서의 수용 태도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해동유요》가 놓여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시가 향유의 한 측면이지만 특수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공동 향유 작품의 개인화, 가창 가사의 시각적 읽기 향유의 흔적들로서 《해동유요》의 문헌에 접근하였고, 이는 고전시가에 대한 수용 태도의 한 단면이자 고전시가의 수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관련해 교수학습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acceptance of Hae-Dong-Yu-Yo(海東遺謠), which is a book the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into the genre of poetry. In chapter 2, I searched for lists, constructions and arrangement of poems in Hae-Dong-Yu-Yo(海東遺謠). The book has not only 39 poems (gasa) in Korean, but also more than 20 poems (hansi) in Chinese. I also found two new poems by the editor of the book. This shows that the receiver fully accepts the poetry and that he has equal consideration for Korean songs as well as hansi ones. In chapter 3, I focused on the red and blue points inside letters. When we read only the red and blue points within the poetry, I realized that Hae-Dong-Yu-Yo(海東遺謠) created these for poetry’s literary value, not for music or songs. This reveals how the editor of Hae-Dong-Yu-Yo(海東遺謠) received the older famous poems as his own. This shows us the degree of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and therefore leads us to believe that this can be of use to present learners as well.

      • KCI등재

        〈普賢十願歌〉의 漢譯양상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8

        This article is the full-scale work which study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ranslation into Chinese poetry. I studied in the two sides, structure of contents and form. In chapter 2, I found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part of contents’ structure. Name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half which is from the 1st work to 5th work is [Buddhist → myself(poetic speaker) → me&others]. And the structure of second half is same with it of the first half. In chapter 3, I examined the basic structure of Korean songs(Hyang-Ga) and Chinese poetry. Korean songs have 5 lines and Chinese poetry 8 lines. So, I compared the translation appearances according to one lines in chapter 4. As a result, there were 3 kinds of translation principles, which are creation&addition, materialization and deletion. In chapter 5, I examined the translation aspects according to larger unit, more than two lines and found that Korean songs were translated into [4lines+2lines+2lines] or [2lines+4lines+2line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wo structure. In conclusion, I studied the whole structure of a three stage structure in Korean songs and a four stage structure in Chinese poetry. The whole structure in sequence of 11 works has antithesis, so the structure of antithesis in the one work agrees with that of whole 11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find the translation condition of Hyang-Ga(Korean songs) which is the sequence works into Chinese poetry in the history of diglossia in Korea.

      • KCI등재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송강 정철은 한시와 시조를 모두 지은 작가임에도 그간 한시와 시조에 대해서 각각 연구가 진행되었고, 송강의 한시와 시조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는 송강의 한시와 시조를 본격적으로 비교하고, 사대부 본령의 갈래인 한시 외에 왜 시조를 필요로 했는지, 시조의 효용은 송강에게 무엇이었는지, 그럴 수 있는 이유는 매체언어와 관련해 무엇인지 규명해냈다.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강의 한시와 시조의 주제를 비교한 결과, 한시는 작가의 삶과 밀착되어 시조보다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그러나 전쟁은 주로 한시를 통해, 백성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은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둘째, 두 갈래에서 모두 자연보다는 사람을 많이 다루나, 한시에서는 정철이 속한 사대부 남성과의 교유가 위주가 되고 상층 사대부가 많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시조에서는 임금부터 백성까지, 상하남녀노소의 다양한 사람을 다루었다. 셋째, 한시에서는 작시의 특정 상황과 특정인물이 제목 및 내용에서 잘 드러나는 데 비해, 시조에서는 ‘나’, ‘너’, ‘우리’, ‘늙은이’, ‘젊은이’, ‘부모’, ‘아들’ 등 누구나 대입할 수 있는 일반 명사를 사용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는 사람을 다루었다. 넷째, 한시에서는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지 않고 거의 일치하나, 시조에서는 실제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고 거의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시조에서 관심을 둔 사람은 실제 작가의 처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다섯째, 상층 사대부 남성이라는 작가의 실제 신분을 뛰어넘어 상하남녀노소의 보편적 인간에 대해 노래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인간이 죽음앞에서 동등하다는 의식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인식은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잘 드러난다. 여섯째, 보편적 인간에 대한 애정과 소통이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드러날 수 있었던 것은 매체언어의 특징과 밀접하다. 사대부 남성의 기록 매체인 한문으로 짓는 한시는 사대부 본령의 갈래로서 작가가 속한 신분과 생활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비해 시조는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사용하는 모국어로 짓기 때문에 다룰 수 있는 범위가 훨씬 넓다. 일곱째, 보편적 인간애는 문자보다 소리를 통해 표출하기가 쉽다. 문자는 사람의 손을 떠나 있고, 영원히 존재하지만 소리는 사람을 통해 전달이 되고 일회적이다. 소리의 특성은 죽음을 겪는 초초한 삶을 사는 인간 삶의 특성과 맞닿아있어서 문자로 짓는 한시보다는 소리로 향유하는 시조로 나타내기가 더 알맞다. 본고는 송강 정철 당대에 한문과 국어가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로, 상위어와 하위어로 기능했던 양층언어적 현상을 중심으로 한시와 시조를 비교함으로써 송강에게 있어서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과 갈래적 기능을 본격적으로 규명해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ough Song-Gang Jeong-Chul composed both Sino-Korean poetry (Han-Si) and Korean songs(Si-Jo), but it has not been studied in earnest. So, I researched Comparative Study of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 and Korean songs(Si-Jo) and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of genre and language choice, and what the necessity of Si-Jo was to Song-Gang Jeong-Ch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ubject, Song-Gang treated more several subjects in Sino-Korean poetry than in Korean songs(Si-Jo). Second, Song-Gang paid attention to human than nature in both genre, but the social status of people were different.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almost upper class’ male, but those in Korean songs(Si-Jo) were several, from King to farmers, men and women of all. Third,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specific men. We can know their name and status because of the title of Han-Si. On the other hand, the nouns in Korean songs(Si-Jo) are ‘me’, ‘you’, ‘us’, ‘the old’, ‘the young’, ‘parents’, ‘son’, etc, those are general nouns, so any person can be applied. Fourth,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coincide in Sino-Korean poetry, but, the distance of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far in Korean songs(Si-Jo). So, the poetic speaker can be extended to universal human, jumping over the position of real writer. Fifth, this cognition of Song-Gang Jeong-Chul comes from that all humans are equal before death. It is well showed in Korean songs(Si-Jo) than in Sino-Korean poetry(Han-Si). Six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It is closely connected the character of language choice. The Korean language is a mother tongue which all people use from birth, so, it is natural that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is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Seven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by voice, spoken language than by written language. Written language exists leaving the man and be forever, but spoken language always exists with man and be temporarily. These characters of voice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s life.

      • KCI등재

        1910~20년대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연구 - 최남선, 김소월, 김억, 이광수를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본고는 20세기 전반기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한시 국역 현상에 주목하고, 이 중에서도 1910년대에 최남선의 한시 국역 7수, 1920년대에 김소월의 6수, 김억의 6수, 이광수의 3수에 주목하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그 국역의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에 한시 국역을 처음 한 1910년대의 최남선은 이백, 두보 등의 유명 당시(唐詩) 및 근체시, 특히 7언시를 국역하였다. 원시(原詩)는 노래의 성향을 적지 않게 띠고 있으나 최남선은 음보율에 더 나아가 음수율에 가까운 형식을 추구하고 행말이 명사나 부사어로 끝나게 국역 한다거나 문장으로 기록된 문체로 바꾸는 등 읽고 보는 시(詩)를 지향하였다. 또한 원시보다 행수가 같거나 더 짧게 국역해서 축약함으로써 군더더기나 부연을 줄이고 독자가 시어들 간의 해석에 적극 개입하고 해석하는 여지가 마련한 점도 기록문학의 특성을 지향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1920년대에 첫 한시 국역을 한 김소월도 이백, 두보 등 유명 당시(唐詩)를 대상으로 하였고, 노래의 성향을 적지 않게 띤 중국 한시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최남선과 반대로 원시보다 더 행수나 정보량이 길어지게 국역하여 부연이나 첨가의 내용이 추가되게 하였고, 단연체 시를 다연체 시로 국역하였다. 특히 감탄구나 의성어, 동어 반복 등으로 일상 구어에 가까운 구술성을 강화하고, 보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화자 등의 시어를 바꾼 점은 노래로서의 성격을 지향하는 국역 방식을 보여준다. 셋째, 1920년대의 김억도 이백, 두보 등 유명 당시(唐詩) 및 절구를 대상으로 국역했다는 점에서 앞의 시인들과 같으나 고려 정지상의 <송인>이 한 편 들어갈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을 합쇼체의 경어체로 국역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김소월처럼 단연체의 한시를 다연체로 국역하였고, 또 특정 율격을 추구하지 않고 내용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국역을 한 점이 이후 김억의 700여 수에 가까운 한시 국역과 다른 이 시대의 특징이다. 넷째, 1920년대의 이광수도 당대(唐代) 시인인 두보의 한시를 국역하면서 다연체로 바꾼 점이 다른 1920년대 시인들과 같다. 이 외에도 대화체 및 현장감을 높이는 방식으로의 국역은 다른 1920년대 시인들과 같이 기록문학으로서의 시보다는 구술성을 추구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네 시인은 전통시대에 국어시가보다 위상이 높았던 중국의 옛 한시를 도리어 국어시가화하되, 1910년대의 최남선은 국문전용시대의 우리 근대시가 나아갈 방향이 기록성과 문자성을 추구하는 것이라 여겼다면 1920년대의 김소월, 김억, 이광수는 다수가 공감하며 보편성을 높일 수 있는 일상 구어 기반의 노래[歌]로서의 존재를 함께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시의식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시인들이 생각한 근대 한국시의 지향점으로서 기록문학성만 추구한 것이 아니라 구술문학으로서의 특성도 포함한 시가(詩歌)를 근대시로서 인식한 것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한자로 되지 않았으나 근대 국어로 된 시에도 한시가 지속되고 있다는 시가 사적 지속성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나아가 비록 22수에 불과하지만 1930년대나 40년대에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되는 전통 한시 국역 양상의 문학사적 흐름을 살펴보는 기반으로서의 의의도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language translations of traditional Chinese hansi in the 1910s and 1920s. In the 20<sup>th</sup> century, many poets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Korean language began to be used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poetry from several other languages had been translated into Korean. Choi Nam-sun in the 1910s and Kim So-woel, Kim Eok, and Lee Kwang-su in the 1920s translated Chinese traditional hansi, focusing on famous Dang dynasty poetry from Tu Fu and Li Bai, etc. Choi Nam-sun’s translation in the 1910s aimed to consider poetry as a written literature. On the contrary, Kim So-woel, Kim Eok, and Lee Kwang-su believed tha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their translations in the 1920s aimed to create songs as spoken literature by focusing on orality and universality. Though Korean is now the language, the literary history of hansi continues in modern poetry.

      • KCI등재

        20세기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정소연 ( Chung So-yeon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본고는 20세기 시인들의 전통 한시 번역 양상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하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시인 한시의 국역이 1940년대까지는 전통 국어시가의 특정 율격, 곧 음보율이나 분연체 등을 추구하다가 50년대 이후에는 당대 자유시와 크게 다르지 않는 형식으로 국역하여 도착어인 국어와 국문시가 중심의 경향을 보인다. 둘째, 1960년대 이전까지는 이별과 그리움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여성 한시를 적극적으로 국역하였다. 이는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의 상황이라는 시대와 정서적으로 밀착되는 경향으로써 시대 반영과 치유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한시의 대중화라는 방향성을 보이는데, 절구나 율시를 더 작게 잘라 여러 연으로 내용을 나누고, 구술적 표현으로 쉽고 친근하게 하며 작가 소개나 구절 풀이 등 당대 대중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하였다. 과거 특정 사대부 남성이 즐기는 고급문학으로서의 이미지를 벗고 위항인, 상하 여성, 무명씨, 승려 등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를 적극 국역함으로써 한시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학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넷째, 해외 당대시를 번역하는 경향 속에서 전통 한시를 국역함으로써 중세 동아시아 문명권의 한시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환기하고 민족 문학사 재인식의 기회를 마련하며 근대시의 한 자리에 한시의 자리를 마련하고 수용하는 의미를 갖는다. 다섯째, 20세기 한시 국역 양상을 시기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1930년대까지는 한시의 전통 국어시가화, 40년대는 최대한 일대일 대응이 되는 번역시로서의 양상을 보이고, 50년대에서 60년대는 시인의 창작 자유시에 가까운 양상을 보이며 70년대 이후에는 자유시형이면서도 번역시라는 특징 역시 두드러지고 대중들에게 널리 소개하는 의도가 더 강화된다. 여섯째, 대상 한시와 관련하여 1910년대부터 20세기 내내 중국 한시, 특히 특정 시인중심의 당시(唐詩)가 적극적으로 국역된다. 한국 한시는 1930년대부터 국역되는데, 각 시대별로 고루 선정될 뿐만 아니라 상하남녀의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가 국역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써 중세 시문학의 중심이었던 한시를 한문에서 국문으로, 정형시에서 자유시로, 사대부 남성 중심에서 대중 향유의 시문학으로 수용함으로써 한시의 근대시화를 이루고자 한 시인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organizes the overall results of accepting aspects of traditional hansi by 20th poets and derives its mea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hyme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which include foot meter, division into several stanzas and so on is pursued by translating traditional Chinese hansi into Korean until the 1940s. However, after the 1950s, hansi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in the style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free verse's. Second, before the 1960s, the main contents of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were farewell and yearning. Also, hansi written by female writers was actively translated in those days. It shows that translated poetry was emotionally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It means that Korean language translation reflects its era and the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can heal people's emotion. Third, the translated poetry of hansi shows the directivity of the popularization of hansi. The contents of quatrain and regulated verses were divided into several stanzas. Its expression of orality could be easy and familiar to the public. Also, writer introduction, as well as explaining phrases, made people understand poetry easily. Originally, hansi had been the exclusive property for noblemen. However, poets tried to accept hansi as literature which everyone can enjoy by translating hansi of various authors: high-class and low-class women, the anonymous, Buddhist monk, and etc. Fourth, by translating into Korean, it evokes pride in the Chinese culture of the medieval East Asian cultural sphe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tendency of translating contemporary poetry from abroad into Korean. This means setting up a place for hansi in the Korean modern poetry literature and accommodating it. Fifth,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20th can be classified into periods. hansi was translated into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until the 1930s and into translated poetry as one-to-one as possible until the 1940s. Translated poetry was closer to a free verse that poets created from the 1950s to 1960s. In addition, it stood out as the characteristic of not only free verse but also translated poetry after the 1970s. In this period, the aim of introducing the translated poetry to the public strengthened. Sixth, Dang dynasty's poetry, especially certain poets wrote, was translated actively in relation to hansi being targeted. After the 1930s, Korean traditional hansi started to be translated evenly chosen regardless of its author's rank or era. As a result, we can see the crucial effort of poets to make hansi into Korean modern poetry, namely modernization of hansi by accepting hansi from the Chinese classics to the Korean language, from fixed verse to free verse and from gentry male-oriented to popular poetic literature.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I studied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of Il-yeon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 三國遺事)≫. It is stereotyped in three ways - descriptive attitude, analytical attitude and creative attitude. And I discusse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it and educational effect. We looked the knowledge, experi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were well fulfilled in this book. The mean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how the ancients receive classical songs and poetry. We could find ancient people had active interest in classical songs and poetry and the story surrounding them, attitude which takes advantage of context-related knowledge, Second, we could find the implications and wisdom for teaching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the classic documentary, ≪Sam-guk-yu-sa ( 三國遺事)≫. It shows that classic documentary could be repository of wisdom to find ways of classical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s. Third, we could find that the aim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re implicated in the classic documentary of the classical period, and seek educational measure of ``Critical Reception and Creative Production of Literature`` 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