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의 필요성 - 퇴계 이황의 경우를 중심으로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2 No.-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에 대한 본격적인, 다시 말하면 현대적인 연구는 그의 문집과 기타 자료를 모은 퇴계전서(退溪全書)』가 영인 출간된 1958년을 기준으로 한다면 지금까지 60여년이 지났다. 그간 단독 저서를 포함해서 퇴계 이황 관련 많은 논문들이 나와있다. 특히 한국철학사에 대한 연구가 오랜 기간 동안 퇴계 이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철학 분야에서 연구 성과가 집중적으로 나오다가, 1980년대 이후부터는 한시와 문학론 등 문학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小訥年譜와 小訥門人錄 -『先府君編年』 抄譯과 『紫巖契帖』 原文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 Rho Sang-Jik’s (1855–1931) Life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compiled by his son, Seongjae Rho Ga-Yong (1893–1940).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death of Sonul, his son collected and compiled his father’s posthumous writings to publish them in 1932, and again planned to issue them as an appendix along with the funeral formulary. However, as things did not go smoothly as planned, there remains a manuscript with some of the revisions from its years and traces of history in a preceding column. This private collection consists of 39 pages, missing the records of “Peaceful Death” and “Mourning” at the end. Detailed annotations in double-columns are added to other parts of the text, which with its rich content, became a reliable reference of Sonul.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is a list of novice students of Sonul from 1898 (Gwangmu,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year of the dog; two years after (Geonyang, the reign of King Gojong), he built and taught his students how to make a thatch house in Nogok, Miryang, and until 1931, the year of the goat when he passed away. Currently, the 42-page manuscript only has two copies available, which are owned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his descendant Rho Gyu-Hyeon. There are a total of 807 people recorded in this work. Regionally, it reaches across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o Jeolla-do, Gyeonggi-do, Hwanghae Province, and Hamgyong Province. Before 1899, the year of the pig, it first recorded five people who became Sonul‘s students at a boot camp in Changnyeong, and they made their way to Miryang. Then, it documented the year and month of Buddhist rituals (or social gatherings), followed by the lists of participants of the events in the order of name, pen name, birth year, family clan, public post, and hometown. This list is a critical material that identified the size of Sonul‘s novice students, their regional distribu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copy edition by Rho Gyu-Hyeon)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owned by Rho Gyu-Hyeon). Moreover, the entir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translated, and detailed annotations of each item for the main body are put in square brackets with adequate adjustment. For figures, pen name, name, and birth/death year are revealed; for writings, their titles are put in round brackets referring to literary works. Additional information is also written in round brackets. Furthermore, some parts that have been slightly supplemented in th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For the List of Sonul’s Students, its original text has been written with an AD in round brackets next to the sexagenary cycle of the year, while revealing one’s hometown. However, this has been omitted as it is the same information recorded before. At the end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an account of Daenol Rho Sang-Ik (1849–1941) is added to promote understanding. 이것은 小訥 盧相稷(1855∼1931)의 年譜 『先府君編年』을 抄譯하고, 그 門人錄 『紫巖契帖』의 原文을 입력한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연보 『선부군편년』은 그의 아들 成齋 盧家容(1893∼1940)이 엮은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서거 후 그의 遺文을 수습해서 문집을 편찬하던 1932년경에 엮어서, 문집 발간 뒤에 다시 挽祭文 등과 함께 附錄으로 간행할 계획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러한 계획이 여의치 않았던지, 上欄에 年月과 事跡 등에 대한 수정사항 일부가 기록된 필사본의 상태로 남아 있다. 개인소장에 총 39장으로, 끝의 考終과 初喪 등을 기록한 부분이 缺落되었다. 연보 본문 항목 외에도, 필요한 경우 그 본문 항목에 雙行의 細註를 붙여 놓아, 현재 전하는 소눌 노상직에 대한 가장 내용이 풍부하고 신뢰할 만한 생애자료이다. 소눌 노상직의 문인록 『자암계첩』은 그가 1896년(고종건양1) 密陽 蘆谷에 紫巖草廬를 짓고 강학한 두 해 뒤인 1898년(고종광무2) 무술년부터 시작해서 그가 서거한 1931년 신미년까지 기록된 入門 제자들의 同講契帖이다. 필사본 총 42장으로,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본과 소눌 노상직의 후손 盧圭鉉 소장본의 두 종이 현재 전한다. 入錄한 사람이 807인에 이르고, 지역적으로는 경상남도뿐만 아니라 경상북도 전역에 걸쳐 있으며,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함경도 등에까지 미쳐 있다. 1899년 기해년 앞에다 昌寧 克己齋에서 入門했다가 밀양까지 따라와서 수학한 5인을 먼저 적고, 이어서 講會(또는 契會) 일자의 연월을 밝혀서 적은 다음, 그 강회(또는 계회)에 참여한 사람을 姓名, 字, 生年, 本貫, 官職, 出身地를 순서대로 기록하였다. 소눌 노상직 門人의 규모와 지역적 분포, 문인 개개의 기본 인적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래에서는 『선부군편년』(노규현 복사본)을 초역하고, 『자암계첩』(노규현 소장본)의 원문을 입력하였다. 먼저 『선부군편년』의 내용 중, 본문 항목은 전부 옮기고, 각 항목의 세주는 적절하게 가감해서 대괄호로 묶어 제시하였다. 인물의 경우 號와 姓名 및 生卒年을 밝히고, 저작의 경우 문집을 참조해서 그 제목을 밝혀서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또 필요한 보충설명도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이 외 연보 본문 항목 중 일부에는 약간 증보한 곳도 있다. 다음 『자암계첩』은 원문을 해당 연도 간지 다음에 서기만 소괄호에 넣어서 그대로 입력하되, 앞에 나온 인물과 동일하여 기록하지 않은 출신지 등은 밝혀서 적었다. 이와 함께 『선부군편년』 초역 뒤에 따로 大訥 盧相益(1849∼1941)의 略傳을 첨부해서 이해의 편의를 도왔다.

      • KCI등재

        신산서원의 강학전통

        정석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Sinsanseowon was founded in 1588(Seonjo 21)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and blood ties of the series “Jo Sik, Shin Gye-seong→Jeong In-hong,” and based on Sanhaejeong in Gimhae, a middle-aged scholar’s school, as its mother.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but was rebuilt in 1609(Gwanghaegun 1), and in that year, along with Deokcheonseowon in Sancheong and Yongamseowon in Samga (Hapcheon), it became a major base seowon of the Nammyung School in Gangwoo, Yeongnam. In 1616(Gwanghaegun 8), while heading to Shin Gye-seong, the number of alumni reached about 70, and it developed into a large seowon with influence not only in Gimhae but also throughout the country. However, in 1623(Injo 1), Jeong In-hong died due to Injo rebellion and the Bugin regime collapsed, it was changed from Bugin-affiliated seowon to Namin-affiliated seowon. The early teaching spirit of Shinsan Seowon was inheriting the flow of realiz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ideals of the ancient Hyanghak system that led to Yi Hwang's Yeokdongseowon and Yi Yi's Eunbyeongjeongsa. In the early 1620s, Lee Myung-ho, who was the director of Shinsanseowon, actively adopted the contents of Lee Yi's "Eunbyeongjeongsahakkyu" and "Eunbyeongjeongsa's Promise" and set the Shinsanseowonhakgyu reflecting the moral spirit of Jo Sik, who practiced as a forestry practitioner. That is “Shinsanseowonipgyu”. However, as Jeong In-hong, the party who instituted such a school rule, and his disciples stood at the center of political power as Bugin and fell, the Sinsanseowon disappeared from the forefront of history without actually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school rule in reality. Around the 1660s, only the descendants of Geumhaeheossi Heo Gyeong-Yun, who took the lead in the reconstruc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ere in a state of emptiness to protect the seowon as owners. Around the 1690s, Gwangjuanssi Ahn Shin-hyeon, along with Changnyeongjossi[Nampyeongjossi] Jo Gu-ryeong and Jo I-chu, lectured on the book of Jo Sik at Shinsanseowon, followed by Jo Gu-ryung as the director for six or seven years after 1690(Sukjong 16). As a result of teaching while residing in the seowon as a teacher, the teaching function of Shinsanseowon was revived. As a disciple of Lee Hyeon-il, Jo Gu-ryeong preached the similarities and words and actions of Jo Si-sik together with Yi Hwang's "Seonghaksikdo", and the Shinsanseowon was transformed into a seowon with a scholarly style in which Jo Sik's studies and Yi Hwang's studies were uniformly combined. It is estimated that around this time, the runner's "Baengnokdonggyu" and Lee Hwang's "Isanwongyu" were published in the seowon instead of "Shinsanseowonipgyu." After that, the seowon was in a state of emptiness again. From 1780Jeongjo 4), Yu Munryong from Sancheong resided as the principal for 10 years from 1785(Jeongjo 9) and gave lectures. It was revived as a vow with a combined academic tradition. In 1866(Gojong 3), Heo Jeon took over as the director and ha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seowon in which the experienti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the Nammyung School and the speculative and theoretical studies of the Toegye School were harmoniously integrated. The ensuing ruins made lectures difficult any longer. However, even after the seowon was demolished, "Gyeokchiseongjeongga" ("Daehakpaljoga"), which is said to have passed on the ceremonies of inquisition to Jeong In-hong, and the first seven words and verse poems attached to it in Korean Until now, he was still deeply remembered by scholars of Gimhae region as his academic achievements. Also, the spirit of Shinsan Seowon was deeply remembered by scholars from Gimhae region. That spirit could not be continued in Gimhae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seowon, but it was fully realized later in the Jaam Seodang in Miryang.

      • KCI등재

        『退溪集』의 編刊 經緯와 그 體裁

        鄭錫胎 영남퇴계학연구원 2008 퇴계학논집 Vol.2 No.-

        『退溪集』은 退溪가 서거한 한 해 뒤인 辛未年(1571년)에 遺文을 輯錄하기 시작하여 庚子年(1600년)에 처음 간행되기까지 무려 30 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輯錄本인 初本 『退陶先生集』에서 문집 草 稿本인 中本 『退溪先生集』 원 텍스트, 中本 『退溪先生集』 원 텍스 트에서 中本 『退溪先生集』 重校本, 中本 『退溪先生集』 重校本에서 문집 中草本, 문집 中草本에서 문집 定稿本, 곧 定本 『退溪先生文 集』이 만들어지는 참으로 복잡한 편집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詩에 있어서는 退溪가 직접 刪節까지해둔 手錄本이 존재했기 때문 에, 그것에 의거해서 문집을 內集·別集·外集으로 나누어 저작 순서 대로 편집하는 방침이 그 편찬 초기부터 이미 정해졌다. 그리고 문집의 체재와 편차는 『朱子大全』의 것을 준용하되, 書簡만은 『朱 子大全』의 內容中心의 분류 편집 방식을 따르지 않고, 그것에서 한발 진전된 人物中心의 분류 편집 방식, 다시 말하면 書簡의 與 答人物을 그 內容도 함께 고려해서 時(時賢)·知(知舊)·門(門人)·家 (家人)의 네 부류로 나누어 편집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러한 편 집 방식은 重校작업을 주관한 鶴峯金誠一과 西厓柳成龍이 처음 적용하였고, 최종 편집자였던 月川趙穆도 그대로 따랐다. 그 점이 『退溪集』이 『朱子大全』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고, 『退溪集』 간행 이후 그 체재와 편차를 따른 우리나라 고문집의 주요한 특징 이기도 하다. 이처럼 書簡에서 진전된 편집 방식을 마련하고서도, 『退溪集』은 정작 西厓柳成龍이 草本을 가지고 판각했다고 비판할 만큼 그 초간본인 庚子本은 편집상 많은 문제를 안고 간행되었다. 전란을 겪은 뒤라서 출간을 서둘렀다면, 수정 보각 과정에 의당 바로잡았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여 추후의 改刊과정 에도 여전히 수정되지 못했고, 기존의 체재와 편차를 고수하려는 강한 관성 때문에 그대로 남겨진 채 계속 유통되었다.

      • 도형 언어 파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정석태 원광대학교 공업기술개발연구소 2001 工業技術開發硏究誌 Vol.21 No.-

        We developed a spatial parser generator, SPG, which can autnmatically create a spatial parser if CMG(Constraint Multiset Grammars) grammars for a visual language are provided by the user with GUI(Graphical User Interface). SPG has the following features. (1) The user uses a visual editor for to define the grammars of a visual language and draw the visual language which should be parsed. (2) The user roughly defines CMG grammars in a visual way at first. Then the user modifies them and defines final grammars. (3) Because SPG has a constraint solver, it maintains constraints in the parsed visual language accorking to the gramm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