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차, 전기, 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상상력

        정보라 한국러시아문학회 2018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2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utopian themes in the less-known works of Andrei Platonovich Platonov (Андрей Платонович Платонов, 1899-1951) from the period from and after 1934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images of the train, electricity, and water. In Platonov, electricity and related installations and/or machines appear as the symbol of a utopian future where humans have overcome death through the magical power of electric energy; at times electric devices and apparatus are described as instruments in discovering or excavating water, which is the source of life. On the other hand, trains, especially steam locomotives, are depicted as though a living being that constantly needs human attention and care. However, the image of the steam locomotive in Platonov is rather ambiguous: it often appears as an object of human affection and emotional attachment, but may become fatigued and “sick,” leading to accidents that put human lives in danger. And water, which human beings obtain through the use of electrical machines or through hard labor, appears as a source of life and a symbol of hope. In the Soviet Union, after Socialist Realism was formulated and officially accepted, Platonov seems to “adapt” to Socialist Realism. However, the images of the train, electricity and water constantly appear in his works as symbols of an ontological utopia that Platonov has depicted in his earlier works. In this sense, even during the high Stalinist era Platonov does not completely lose his distinctly unique tendencies. Platonov’s works do not subjugate to Socialist Realism; one must say Platonov has subjugated Socialist Realism.

      • KCI등재

        유토피아의 소설적 해법

        정보라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3

        플라톤의 『국가』로부터 시작하여 도스또옙스끼의 『까라마조프의 형제』 중 『대심문관』과 자먀찐의 『우리들』에서 쁠라또노프의 『체벤구르』까지, 이상적인 사회를 주제로 한 서구-러시아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이상 사회의 공통점은 공동체로서의 화합과 조화이다. 그러나 『국가』에서는 공동체의 화합을 위해서라면 개인이 희생하는 것을 전제로 삼았고 『대심문관』 에서는 절대적인 권위로 인간을 억압하며, 『우리들』에서는 역사를 조작하고 수술과 처벌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사고하고 회의하며 인간적 감정을 느낄 능력을 박탈한다. 기본적인 생존이 보장되고 공동체 구성원들이 일체감과 유대감을 느낀다 해도 이러한 사회는 이상적인 사회일 수 없다. 반면에 『체벤구르』에서 체벤구르 마을의 구성원들은 고정된 일률적 강령 없이 여러 가지 실험을 거치면서 서로를 위해 노동하고 유대감과 목표의식을 공유하는 이상적 공동체로 발전해 나간다. 이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유토피아이다. 체벤구르 마을은 오히려 그 체제가 완성되고 난 이후에 내부로부터 부패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여 결국은 정체불명의 군대에게 습격당해 와해된다. 이것은 체벤구르 마을이 이상향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완전히 타락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작가의 장치이면서 또한 영원히 안정된 이상향은 존재할 수 없다는 절망의 표현으로도 보인다. 이러한 이상향의 타락은 유토피아 소설로서 『체벤구르』의 장르 구분에 문제를 제기할 소지가 되며,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작품 안에서 체벤구르 마을은 건설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있었을 때는 분명 행복한 공동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문학 속의 유토피아를 위한 하나의 해답이 있다. 건설적인 목표를 향하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자발적으로 함께 노력하는 과정이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이런 방향에서 접근할 때 유토피아는 역동적인 모습을 띠고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며, 구성원들에게 하나의 고정된 체제를 강요하기보다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하는 세계가 된다. 『체벤구르』에서 뿔라또노프는 이상적공동체의 건설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사상으로서의 유토피아와 유토피아문학에 대한 하나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유토피아 건설의 이상을 실제로 체험해본 사람만이 보여줄 수 있는 관점이다. 소비에트 문학 혹은 현대 러시아 문학을 연구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선택/포기 메시지 프레이밍과 준거 대안 간 조화성이 소비자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정보라,김재휘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3 No.3

        In accordance to the response compatibility Hypothes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o lead consumer’s attitude change depending on which alternative is on focus, whether the chosen one or the not-chosen one. It assumes, as Shfir(1993) has suggested in his response compatibility hypothesis, the fit of focused alternative and message framing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attitude change. It also predicts the effect of this fit on attitude certain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attitude certainty towards the attitude change. Experiment 1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consumer’s cognitive response depending on the 2(Focused alternative: chosen option/not chosen option) X 2(Message framing: choice/reject) condition. The results suggests that in ‘the chosen option’ condition, ‘choice framing’rather than ‘reject framing’ showed faster response time while in ‘the not-chosen option’ condition, ‘reject framing’ rather than ‘choice framing’ showed faster response. Also,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at was in mind of participant when it comes to focused alterative. In experiment 2,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 2(Focused alternative: chosen option/not chosen option) X 2(Message framing: choice/reject) experimental design. As a result, in ‘the chosen option’ condition, the attitude change by different message framing was not strong and it only influenced on the attitude certainty. However, in ‘the not-chosen option’ condition, it reveals strong attitude change depending on the message framing where the attitude of not-chosen option became more favorable in the ‘choice framing’ and more unfavorable in the ‘reject framing’. In this condition, the message framing has different effects on attitude change, and this was mediated by the attitude certainty. The result was mainly analyzed with the valence and this suggests participants were more prone to positive focus in the choice framing while negative focus in the reject framing. The result of study provides implication in various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Shafir(1993)가 제안한 반응 조화설을 바탕으로, 준거 대안과 메시지 프레이밍 간 조화성이 비교 대안들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이 과정을 태도 확신성이 매개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우선 실험 1에서는 선택/포기 과업이 메시지 프레이밍으로 적용됨에 따라 소비자의 인지 반응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일차적으로 검증하였다. 참여자의 기술 내용 분석 결과, 대안 처리의 긍정적 초점화 반응은 ‘포기’보다 ‘선택’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인 초점화 반응은 ‘선택’보다 ‘포기’ 메시지 프레이밍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준거 대안과 프레이밍의 조화성에 따른 대안의 인지적 처리 반응 시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준거 대안이 무엇인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한 뒤, 선택/포기 메시지 프레이밍이 태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태도 확신성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준거가 ‘채택 대안’일 경우에는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태도의 변화 차이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 조건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이 태도 확신성에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준거가 ‘비 채택 대안’일 경우에는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라 태도의 극성이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즉 메시지 프레이밍이 ‘선택’으로 제시된 경우, 비 채택 대안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고, ‘포기’로 제시된 경우에는 비호의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이 조건에서 메시지 프레이밍은 태도 확신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 확신성은 대안과 메시지 프레이밍 간 조화성이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선호가 이미 형성된 시점 이후에도 대안 처리의 초점화를 다르게 유도하는 프레이밍을 통해 소비자의 태도 변화를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안드레이 비토프의 <푸쉬킨 연구소>와 부조리 문학

        정보라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8 슬라브학보 Vol.33 No.2

        Andrei Georgievich Bitov (Андрей Георгиевич Битов, 1937-)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Russian-Soviet Postmodernist authors. Pushkin House (Пушкинский дом, 1964-1971), his most representative work, is comprised of roughly three parts. At the end of each part Bitov inserts a chapter entitled “Version and Variant” to present possible versions of a different plot. This unique structure and the freely intervening voice of the author make Pushkin House a creatively subversive work that questions numerous literary conventions. In Part III, the hero Lyova is killed in a duel and then resurrected. The author does not give any scientific or even reasonable explanation; Lyova simply comes back to life on his own and returns to his everyday life at the Pushkin Institute.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understand such illogical plot from the viewpoint of the absurd. The absurd in Pushkin Hous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absurd in Western absurdist theater or even from the absurdist literature from the Modernist era in the Russian literary tradition. The absurd in literature is an attempt to show the existential meaninglessness of life through literary works. The abusrd in Pushkin House, on the other hand, is an intended effect in order to question the conventional reading of literature as a reflection or an imitation of life. Through the absurd, Pushkin House urges the reader to shift her focus from her own external reality to the fictional reality inside the story and to re-consider reality as a pale reflection of the fictional world.

      • KCI등재

        보론함량에 따른 D-glass의 유전율 특성

        정보라,이지선,이미재,임태영,이영진,전대우,신동욱,김진호,Jeong, Bora,Lee, Ji-Sun,Lee, MiJai,Lim, Tae-Young,Lee, Youngjin,Jeon, Dae-Woo,Shin, Dongwook,Kim, Jin-Ho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1

        E-glass (electrical glass) fiber is the widely used as a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of PCBs (printed circuit boards). However, E-glass fiber is not stable because it has a dielectric constant of 6~7. On the other hand, D-glass (dielectric glass) fiber has a low dielectric constant of 3~4.5. Thus, it is adaptable for use as a reinforcing material of PCB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D-glass compositions with low dielectric constant, and measured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In the glass composition, the boron content was changed from 9 to 31 wt%. To confirm the dependence of the dielectric constant on melting properties, D-glass with 22 wt% boron was melted at $1550^{\circ}C$ and $1650^{\circ}C$ for 2hrs. The glass melted at $1650^{\circ}C$ had a lower dielectric constant than the glass melted at $1550^{\circ}C$. Therefore, the D-glass with boron of 9~31 wt% was fabricated by melting at $1650^{\circ}C$ for 2hrs, and transparent clear glass was obtained. We identified the non-crystalline nature of the glass using an XRD (x-ray diffractometer) graph.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values depending on the boron contents were measured and found to be 88.6 % ~ 82.5 %. Finally,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glass with 31 wt% boron was found to have decreased from 4.18 to 3.93.

      • 성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가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정보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0

        본 연구는 부모의 부부관계가 성인 자 녀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역할 정체 감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관계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부부관계 하위요인 중 갈등이 많을 수록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았으며 아버지의 역 할이 협조적일수록 성역할 정체감이 양성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대응 의료진의 정신건강 및 소진 연구

        정보라,이다영,이정현,현소연,이송은,이숙현,심민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3 신경정신의학 Vol.62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mental health and burnout of medical staff at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which responded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appropriate management plans. Methods The mental health and burnout levels of medical staff responding to COVID-19 were evalua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during the period July 1–14, 2021. To analyz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an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followed by Scheffe post-hoc tests for pairwise comparisons. Results A total of 77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 analysis of the clinically significant symptoms of the group showed that 29.5% ha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30.6% had depression, 15.8% had anxiety, 39.8% had somatic symptoms, and 4.5% were seen to be at risk of suicide. The average scores for burnout were as follows: 3.55±1.75 for emotional exhaustion, 2.68±1.73 for depersonalization, and 3.89±1.40 for personal accomplishment. Mental health problems and burnout were found to be high in women, those in the 20–39-year age bracket, those with less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Conclusion The medical staff responding to COVID-19 were observed to experience high levels of mental health and burnout problem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younger age, lower work experience, and employment at a public health center,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mental health and cause burnout. Therefore, individualized and systemic support for mental health and to prevent the burnout of medical staff responding to cases of COVID-19 is needed.

      • 위기가족을 위한 돌봄의 체계론적 모델 : 영성과 가족치료의 만남

        정보라,송민애,최광현 한국실천신학회 2012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12 No.1

        가족체계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가족 안의 갈등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며 갈등발생의 근본원인은 그 가족이 가진 역기능적인 가족시스템과 구조에 있다. 가족시스템이론 안에서 가족들의 인식과 행동의 구조는 가족시스 템의 구조와 형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가족 안의 갈등은 더 이상 갈 등을 경험하고 있는 개인들의 성격과 개인적인 특성을 통해서 기인된 문 제가 아니다. 한 가족시스템에서 발생된 갈등은 그 가족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이 표현 된 것으로 본다. 즉, 역기능적인 시스템을 가지고 있 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가족위기와 갈등은 바로 가족시스템의 문제인 것 이다. 가족상담은 교회현장 속에서 상담사만이 아니라 목회자의 활동영역이 될 수 있다. 목회자는 가족문제와 같은 가족문제를 개입하는데 보다 치료의 잠재력 을 갖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신학과 목회 그리고 상담이 같은 분명한 지평 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가족문제를 가족체계이론을 통해 해결하려는 가족목회 돌봄의 모델이 기독교상담 영역 안에서 수용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할 것 이다.

      • KCI등재

        서사적 정체성과 변화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사랑의 경험을 중심으로

        정보라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4 No.-

        Pastoral counseling sessions involve not only a closer reading of narrative identity but also challenging the influence of the master narratives in the culture that influence personal narratives of the counselee. By highlighting re-storying narratives, the client and counselor can enter into a process of relating human experiences to the presence of God.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pastoral theological implications while considering narrative identity and its change concerning love experiences. The concept of Eros is analyzed to explicate and preserve the alterity of the Others in the works of Emmanuel Levinas. Love experiences show that caring for ourselves requires attending to our narrative identity and narrative changes, as shown through Kent Haruf’s novel Our Souls at Night. The personal identity of the main characters continues to develop and change through love experiences weaving the influences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is study considers how creating personal narrative may become more integrative in late adult years and beyond as we seek to bring the opposing themes of agency, communion, anxiety, death, and generativity together. Finally, pastoral theological implications for narrative identity and its change are sketched about the roles of confining stories, backstories, and under-told stories/ untold stories concerning a narrative psychological lens.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themes of Otherness of the counselee, the theological narratives, and their guiding images. As pastoral counselors care for the stories of love experiences, the practice of story care can lead to psychological growth and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of the narrative identity of the counselee in God’s presence. 목회상담은 내담자의 서사적 정체성을 깊이 이해할 뿐 아니라 서사에 영향을 주는 문화 안 거대담론의 영향력에 도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내담자와 상담자는 인생 이야기를 다르게 이야기하는 가운데 인간 경험을 하나님의 현존과 함께 관련 지우는 과정에 들어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랑 경험에 근거한 서사적 정체성과 그 변화의 의미를 살펴보면서 목회신학적 함의를 고찰하는데 있다. 임마누엘 레비나스의 에로스 개념은 타인의 타자성을 설명하고 보존하기 위해 분석된다. 켄트 하루프의 소설 『밤에 우리 영혼은』에 나타난 사랑 경험은 돌봄이 우리의 서사적 정체성과 그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요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종적으로, 서사적 정체성과 그 변화에 관한 목회신학적 함의는 제한하는 이야기, 배경 이야기, 나누지 못한 이야기의 역할, 내담자의 타자성, 신학적 서사 안 하나님 이해의 중요성과 함께 제시된다. 목회상담자가 내담자의 사랑 경험에 대한 개인적 서사를 돌볼 때, 이러한 이야기 돌봄의 실제는 하나님의 현존 안에서 내담자의 심리적이고 영적인 성장 및 서사적 정체성의 의미 있는 변형을 이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