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주(譯註) : 『신당서(新唐書)』 권 214, 「열전(列傳)」 139, "유오(劉悟)" 역주(譯註) -{부(附)} 『구당서(舊唐書)』 유오전(劉悟傳) 역주(譯註)-

        정병준 동국사학회 2007 동국사학 Vol.43 No.-

        兩唐書 유오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하고 있다. 그 중 몇 가지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唐代`割據藩鎭`의 연원과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당조의 통치를 약화시킨 유력한 `할거번진`들이 가진 공통점 중 하나는 그들 모두 반란을 일으킨 安祿山의 부하였다는 점이다. 단, 여기에도 두 가지 계통이 존재한다. 하나는 안사의 난 말기에 唐朝에 투항하였다가 다시 당조를 이반하고 당말까지 당조의 통치를 거부하였던, 이른바 `河北三鎭`이 그들이다. 또 하나는 안사의 난 중에 안록산을 이반하여 당조의 일원으로서 반란군과 싸우다가 반란이 종결된 뒤 당조의 지배를 벗어난, 平盧 번진과 淮西 번진이다(鄭炳俊, 「李正己 一家 이후의 山東 藩鎭-順地化 過程」, 『대외문물교류연구』 3, 2004, p.122). 유오는 이정기 일가가 지배하던 평로 번진의 군장으로 복무하였다. 그가 평로 번진에 복무하게 되는 과정과 활동 내용을 통해 당시 할거번진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세력을 키우고 유지하였는가를 잘 알 수 있다. 한편, 양당서 유오전에는 유오의 숙부이면서 宣武節度使가 된 劉全諒이란 인물이 보이는데, 그 역시 요서 평로군 출신이다. 단, 절도사 유전량은 당조에 대해 불손한 태도를 취하지 않았다. 둘째는 高句麗 遺民史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산동의 평로 번진을 지배한 李正己 일가는 고구려 유민이다. 중국 학자 孫慧慶에 의하면 안사의 난 중인 肅宗 上元 2년(761), 이정기는 平盧節度使 侯希逸과 함께 평로의 병사 2만여 명을 거느리고 遼西지역에서 오늘날의 山東지역으로 남하하였다. 그때 그들이 거느린 총인원은 병사 가족들을 포함하여 모두 10만인 정도였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리고 그 10만 중 가장 많은 숫자를 점하는 것은 漢族이었지만, 그 다음으로 많은 숫자가 고구려 유민이었을 것이라고 한다(「唐代平盧節度使南遷之后 議」, 『北方文物』1992-4, p.74). 그렇다면 이정기와 평로군의 남하는 고구려 유민사에서 큰 획을 긋는 일대 사건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 뒤 이정기는 후희일을 몰아내고 스스로 평로군의 藩帥에 올라 3세대 4대에 걸쳐 약 54년 동안 산동지역을 사실상 독립적으로 지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고구려 유민들이 여러 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유오는 이정기 일가가 멸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이 역시 고구려 유민사의 일대사건이라 할 수 있다. 양당서 유오전에는 이정기 일가의 멸망과정이 상세히 적혀 있다. 셋째는 이정기 일가가 멸망한 후에도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당조의 지배에 순응하지 않았던 평로 번진의 잔존 세력을 살펴볼 수 있다. 이정기 일가가 멸망한 후 평로 번진은 세 개의 번진으로 분할되어 모두 당조의 명을 받드는 지역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유오는 이정기 일가를 멸망시킨 공으로 昭義節度使에까지 오르자 그 역시 당조에 불손한 태도를 보였으며, 그 자손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러한 유오 일가가 의지한 세력이 바로 이전의 평로군에서 데려간 병사들이었다는 점이다. 즉 『資治通鑑』권243, 敬宗 寶曆원년 7월조를 보면 "昭義節度使劉悟之去……州也, 以…..兵二千自隨爲親兵"(p.7844)라고 적혀 있는데, 이때 ……은 평로군을 가리킨다. 또 『新唐書』권193, 「列傳」118, `忠義下·賈直言`에는 유오의 아들인 소의절도사 劉從諫에 대해 기술하

      • KCI등재

        ⌈?新唐書⌋? 권7, 德宗本紀 역주

        정병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2 No.-

        당 후기와 오대는 ‘藩鎭時代’라고도 하는데, 이는 당시 번진들이 국가?사회 전반에 걸쳐 큰 세력을 떨쳤기 때문이다. 그리고 번진이 존속한 시기는 200년간의 ‘당송변혁기’와 꼭 일치하는데, 이는 번진이 장기간의 大변혁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음을 나타낸다. 그 안에서도 德宗연간(779∼805)은 번진들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였다. 앞선 代宗(재위; 762∼779)이 번진과의 충돌을 피하며 안주 정책을 펼쳤던 것과 달리 덕종은 즉위 초기부터 강경한 자세를 보였고 그러면서 긴장이 고조되다가 마침내 양자가 정면충돌하였다. 그 결과 유명한 ‘四王二帝’의 반란이 일어나는데, 덕종이 궁지에 몰려 마침내 四王에게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였다. 이에 4왕은 일단 반란의 태도를 거두고 당조와의 공존을 바란 듯 보이지만, 2제는 황제를 칭한 만큼 반란을 지속하다가 결국 멸망하였다. ?신당서? 덕종본기는 당시의 상황을 짧으면서도 명료하게 보여주는 사료이다. 관련 사서에서는 각 반란의 시점을 명확하기 기술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신당서? 본기는 그 시점들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있다. 물론?신당서? 본기는 宋代의 명분론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관점에 따라서는 다른 견해가 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당서? 본기는 ?자치통감?이나 ?구당서? 본기보다 간략함에도 불구하고, 두 사서에 보이지 않는 기사도 적지 않다. ?신당서?를 관통하는 번진 인식은 方鎭表의 서언에 잘 드러난다. 즉 “당은 中世이후 功을 세우고 난을 수습할 때 비록 항상 번진에 의지하였지만, 나라가 망한 것도 이들에 의해서였으니 어찌 경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에 방진표를 만든다”(권64, 1759쪽)라고 한다. 번진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지적하면서도 결국은 경계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송대에 주류를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그 후 중국인의 번진론에 큰 영향을 미쳐 번진을 ‘할거세력’으로 보는 전통적 인식의 기반이 되었다(정병준, ≪日知錄≫ ‘藩鎭’ 기사를 통해 본 唐末五代의 藩鎭像,?중국학보? 44, 2001 등 참조). 이 역주의 주된 관심사는 덕종이 번진 개혁에 나선 즉위 초기부터 2제의 난이 종결되는 정원 2년(786)까지에 있다. 이 기간에 덕종은 번진 정책 외에도 여러 가지 개혁을 시도하였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양세법의 제정이다. 양세법도 번진개혁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은 여러 연구

      • KCI등재

        ⌈新唐書⌋ 권214, ?列傳? 139, ‘劉悟’ 譯註

        정병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7 동국사학 Vol.43 No.-

        兩唐書유오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하고 있다. 그 중 몇 가지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唐代‘割據藩鎭’의 연원과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당 조의 통치를 약화시킨 유력한 ‘할거번진’들이 가진 공통점 중 하나는 그들 모두 반란을 일으킨 安祿山의 부하였다는 점이다. 단, 여기에도 두 가지 계통이 존재한다. 하나는 안사의 난 말기에 唐朝에 투항하였다가 다시 당 조를 이반하고 당말까지 당조의 통치를 거부하였던, 이른바 ‘河北三鎭’이 그들이다. 또 하나는 안사의 난 중에 안록산을 이반하여 당조의 일원으로 서 반란군과 싸우다가 반란이 종결된 뒤 당조의 지배를 벗어난, 平盧번진 과 淮西번진이다(鄭炳俊, ?李正己一家이후의 山東藩鎭-順地化過程?, 대외문물교류연구 3, 2004, p.122). 유오는 이정기 일가가 지배하던 평로 번진의 군장으로 복무하였다. 그가 평로 번진에 복무하게 되는 과정과 활 동 내용을 통해 당시 할거번진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세력을 키우고 유지하 였는가를 잘 알 수 있다. 한편, 양당서 유오전에는 유오의 숙부이면서 宣武 節度使가 된 劉全諒이란 인물이 보이는데, 그 역시 요서 평로군 출신이다. 단, 절도사 유전량은 당조에 대해 불손한 태도를 취하지 않았다.

      • KCI등재

        中國古代赦免制度와 그 역사적 연혁

        정병준,이진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역사상 赦免制度는 국가 차원의 관용[寬恕] 행위로 통치자의 일종의 권위와 恩賜, 德化를 상징하였다. 국가의 사면 행위는 범죄인이 마땅히 받아야 할 형벌을 君王이 면제 혹은 경감해주는 구체적 표현으로 중국 고대 사회에서 感化, 按撫, 훈계,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펼치는 등의 긍정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비록 이러한 제도는 ‘人治’의 색채를 비교적 많이 지니고 있어 일부 근현대 법률가의 비난을 받았지만, 사면제도가 중국 고대에 일종의 중요한 형사 정책으로 그 역사적 합리성을 가지고 각종 관계를 효과적으로 조정하며 균형을 잡고 또 사회 모순을 완화하여 法律의 허점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였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 KCI등재

        레슬리 뉴비긴 : 종교개혁 신학사상의 현대적 적용

        정병준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7 No.-

        이 논문은 20세기의 위대한 선교신학자 레슬리 뉴비긴(1909-1998)이 종 교개혁사상을 후기 계몽주의 다원주의 사회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를 살 펴보려는 것이다. 뉴비긴은 20세기 후반의 서구사회에서 과학적 세계관을 새로운 이교주의로 보고 기독교 신학에 인식론적 새 출발을 하려고 했다. 뉴비긴은 개혁신학의 토대위에 선교사의 경험과 에큐메칼 운동의 경험을 수렴하여 통전적이고 독창적인 신학을 제공하였다. 이 글은 첫째, 뉴비긴 의 생애와 그의 신학형성에 영향을 준 사건들을 검토했다. 둘째, 20세기의 세계기독교의 변화에 대한 뉴비긴의 이해를 검토했다. 셋째 뉴비긴의 신학 에서 종교개혁사상과 관계된 부분을 ⑴ 하나님 지식, ⑵ 오직 믿음, 오직 은혜, ⑶ 성경의 권위, ⑷ 교회: 하나님의 가족, ⑸ 선택의 교리, ⑹ 만인제 사장직과 직제, ⑺ 교회와 국가의 순서로 연구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great missionary theologian of the 20th century, Lesslie Newbigin (1909-1998) applied the ideas on the Reformation Theology to the post-Enlightenment pluralist society. He saw the scientific world view as a new paganism of the Western societ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seek to provide a new epistemological starting point for Christian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Reformed theology, Newbigin provided a creative and wholistic theology based on his missionary and ecumenical experiences. This paper divides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his biography and the events that affected his theological formation. The second part is about his understanding of the shifts in world Christianity in the 20th century. The third part studies seven ideas on the Reformation theology in order of (1) knowledge of God, (2) sola fide, sola gratia, (3) authority of Scripture, (4) church: household of God, (5) doctrine of election, (6) lay priesthood and ministry, and (7) church and state rel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당(唐)과 신라(新羅)의 ‘赦’ 기사 비교 검토

        鄭炳俊 중국사학회 2020 中國史硏究 Vol.0 No.127

        唐代的赦从大方面可分为叁种: 一, 死罪以下全部赦免, 十恶除外; 二, 赦免十恶以下的所有罪名; 叁, 十恶及其他重要罪名除外, 赦免所有罪名. 伴随着赦的同时, 赐予各种恩赏的情况也很多. 在 『旧唐书』ㆍ 『新唐书』本纪和 『资治通鉴』中大部分情况是只简略地记录 了“赦”或“大赦”, 但毋庸置疑, 实际上是有着多样形式和内容的; 虽然新罗 的赦几乎全部以简略记事的形式载于 『三国史记』本纪中, 但可以看到历史 中包含的各种形式和内容. 片面记录的新罗赦的内容与唐比较来看, 相似点不少. 新罗的赦记事是 以传承资料为基础. 尽管如此, 新罗的赦外形上与唐相同点很多.由此可 见, 新罗很大程度上引进了唐的制度. 尽管新罗与唐在国家体制上存在很 多差异, 但由于(赦制度)其基本塬理十分简单, 所以能很大程度引进唐的赦 制度.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