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실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효과적 실천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바울,이승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4

        This study traced the emergence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rom the analysis of Lortie 's(1975) classic study of “Schoolteacher: A socioloigcal study.” The NGT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inhibing and enabling factors in implemn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ies in S. Korea.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inhibiting factors of PLC are as follows: 1)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2) difficulty in sharing vision, 3) lack of enthusiasm and motivation for change, 4) Performative cultu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5) lack of skill or capacity in building and sustaining teacher communities 6) lack of leadership capacity, 7) competitive environment and so on. In order to promo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suggest there should be 'additional time', 'convenient space for communities', 'trustful relationship', 'flexible budget’ , 'stepwise approches to community activities' and others. Situated in Lortie’s theoretical framework, the findings are used to draw conclusions useful for rethinking approaches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 Korea. 본 연구에서는 Lortie(1975)의 세 가지 교직 문화(개인주의, 현재주의, 보수주의)를 이론적 분석틀로 활용하여 우리나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의 저해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명목집단기법이라는 연구기법을 통해 탐색적 차원에서 재조명해 보았다. 연구결과, 교사공동체 운영의 저해요인으로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부족’, ‘비전공유의 어려움’, ‘변화에 대한 열정과 동기 부족’, ‘관주도의 성과주의 문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전문성 부족’, ‘리더의 부재’, ‘경쟁주의적 환경 등이 도출되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추가적 시간 배정‘, ’공간 확보‘, ’친밀한 관계 형성‘, ’예산운영의 자율성‘, ’부담없는 활동으로부터 단계적 도입‘, ’교사 공동체 리더의 역량 강화‘, ’인센티브 제공 또는 폐지‘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로 도출한 저해요인 및 이를 토대로 살펴본 활성화 방안을 Lortie가 제시한 현재주의, 개인주의, 보수주의의 분석틀을 통해 구조화하였다. 특히, 가장 두드러진 저해요인으로 분석된 ’현재주의‘ 차원의 문제들을 Hargreaves와 O’Connor(2017)의 논의의 연장선에서 재해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문적 학습공동체 정책의 재설계(redesign)를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정바울 한국교육정치학회 2016 敎育政治學硏究 Vol.2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lthough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ostering and developing PLCs as a means to counter top-down reform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e issue of the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still in its infancy within the literature of PLC.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 of sustainability of PLC by asking: How does a school become a sustainabl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ver time, and what kind of challenges and dilemmas have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of sustaining PLC over time. Data derived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n elementary school in which the PLC has been sustained more than a decade in the context of the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public school system in South Korea. Finding reveals that in its journey towards sustain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ver a decade, the caring community and change driven PLC which the elementary school consciously established itself from the beginning was inadvertently followed by a more pedagogically-driven PLC model in a somewhat serendipitous and dialectical manner in the face of the emerging conflicts among communities members over the competing goals between school restructuring and instructional/curricular improvement. This finding identifies potential conflicts and tensions involved in navigating and reconciling its aspiring extended community-based and school change driven PLC approach with the emerging pedagogical PLC in sustaining a PLC over time. It suggests that to be a sustainable it is crucial for a PLC to strike a balance in energy and time between community sustenance and instructional innovation from the outset and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remain inclusive so that the membership of a PLC can be extended beyond the teachers. By challenging current studies that conjure a overly optimistic image of the PLC and underplay the conflicts and challenges within the PLC approach, this study provides more realistic and articulated understandings of a sustainable PLC and its micro-political and power-ridden process and in doing so suggests a promising new research avenue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다양한 차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지속성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된 연구 문제로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지속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고, 하위 연구문제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지속 과정에서 어떤 도전과 갈등, 딜레마가 발생하고 이는 어떻게 다뤄지는 지에 주목하여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공립학교로는 보기 드물게 오랜 시간에 걸쳐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한 초등학교에 대해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과정은 평탄하고 순조로워 보이는 표면과 달리, 실제로는 울퉁불퉁하고, 우연적이며, 갈등으로 점철된 험난한 과정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개념에 대한 구성원간의 상이한 이해(특히 공동체 개념과 전문성 개념 이해를 둘러싼 긴장)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실천과 기존 관료제적인 학교 문화 사이에서의 충돌 등으로 인해 갈등이 종종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교육정치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실천 및 지속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갈등과 딜레마를 미시정치학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구안하기 위한 연구가 요청된다고 제안하였다. 한편, 전문적 학습 공동체 연구 관련 시사점으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개념을 단순히 기능적 차원에서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공동의 노력과 연수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기존의 인식과 실천의 틀에서 탈피하여, 학교 체제와 문화의 재구조화라는 의미까지 포괄하는 차원에서 보다 폭넓게 재규정하고 이에 적합한 실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고려해 볼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대상의 보다 포용적 확대와 함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시행 초기 단계부터 공동체 유지와 교수-학습 개선을 균형 있게 추진하기 의도적인 시간 배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 조명 : ‘가장된 동료성’과 그 변주를 중심으로

        정바울 한국교육행정학회 2012 敎育行政學硏究 Vol.30 No.1

        본 해석적 논평은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을 그의 학문적 배경과 궤적을 따라 조명해 보았다. 특히 그의 사상이 응축되어 녹아있는 ‘가장된 협력성’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책무성과 표준화 개혁의 시대를 조우하게 되면서 다양한 개념들로 변주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 글을 통해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적 공헌에 대한 분석과 함께 그의 학자로서의 삶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의 학문과 삶에 대한 보다 유기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interpretative essay, I outline Andy Hargreaves' scholarship by drawing on his research and writings to consider how the scholarly work of Andy Hargreaves significantly evolved over time and constantly extended the borders and the horizons of our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change. This article also revisits his concept of contrived collegiality and traces its varied incarnations under current standardized reform to raise critical issue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This article concludes by reflecting on the human side of Andy Hargreaves to gain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his scholarship.

      • KCI등재

        교육대학교 신입생 종단 분석(1988-2022): Lortie의 충원 자원 분석틀에 따른 사회경제적 배경과 진학 결정을 중심으로

        정바울,남승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3

        Until just one generation ago,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haracterized as relatively easy gates, where tuition fees were low, and employment was guaranteed; however, the entrance threshold was only slightly high. On the contrary, the recent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considered to have transformed into a narrow gate, where entrance is difficult due to the high-level academic achievement required. How can such an abrupt and unprecedented change be understoo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longitudin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 freshmen survey conducted from 1988 to 2022 by applying Lortie’s framework for teacher recruitment resources. The main finding is that the major attractors and facilitators of the recruitment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changed over tim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freshmen from the late 1980s to the mid-1990s belong to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he major recruitment resources were socioeconomic constraints as a facilitator and money income and social mobility as attractors. Alternatively, the study found that the majority of freshmen from the late 2010s to the early 2020s belong to middle-class or higher socioeconomic backgrounds, whereas a proportion of freshmen from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jor recruitment resources of the changed population were employment security (attractor) and blocked aspirations and convertibility (facilitator).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rtie's teaching profession theory, which has become a classic framework of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profession, has been expanded and refined by re-illuminating Lortie’s teaching profession recruitment theory in the Korean context, where the preferenc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is very high. This scenario has markedly contrasted with that in the United States. Second, providing timely and empirical data necessary for teacher training and the establishment of recruitment policy appropriate to the new phase of teacher training have been possible, which is indicated by the recent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불과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교육대학교는 학비가 저렴하고 취업이 용이하나 입학의 문턱이 그리높지 않은 비교적 ‘쉬운 문’의 특징을 가진 대학이었다. 최근의 교육대학교는 높은 수준의 학업 성취 능력이 요구되어 입학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은 ‘좁은 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변화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화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ortie의 교직 충원 자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1988년부터 2022 년까지 약 30여 년간의 A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종단적으로 추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어려운 사회·경제적 배경가정 출신 신입생의 비중이 상당하였으나, 201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는 어려운 사회·경제적배경을 가진 학생의 비중은 줄어든 반면 중류층 이상의 학생 비중이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신입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화는, 1990년대 중반까지의 교육대학교 진학은 주로 ‘사회·경제적제약’ 촉진자, ‘금전적 수입’ 및 ‘사회적 이동’ 유인자 등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면, 최근의 교육대학교 진학은 주로 ‘고용 안정성’ 유인자, ‘희망과 호환 가능성’ 촉진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고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는 교직 연구의 고전이 된 Lortie의 교직 충원 이론을1960년대 미국 상황과는 현저하게 대비되는 교직에 대한 선호가 높은 한국적 맥락에서 재조명함으로써Lortie의 교직 이론을 확장, 정교화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대표되는 교사양성의새로운 국면을 맞아 교사양성 및 교원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의적절하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서울형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정바울,문영빛,김용우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Vol.2019 No.12

        최근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높다. 2012년부터 시작된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정책은 교육이 학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지역사회 및 다양한 네트워크의 교육적 지원을 통해 보다 의미 있는 교육실천을 모색하려는 접근이다. 이에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지역 주민, 기초지방자치단체, 그리고 교육청 사이에 민관학 거버넌스가 구축되어 다각도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학교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의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자치구 별로 편차가 큰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 관련 선행연구들은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지역사회 기반 협력적인 민관학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들이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조직화 운동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와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 기법을 통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역설적이게도 학교 업무에 추가되는 것으로 부담을 느끼며 기피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이 지역사회조직화 운동의 주체로서 참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관료제적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주체적이기 보다는 회의와 반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혁신교육지구정책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소진동 대응 Stewart Platform 기반 Hexapod형 진동절연장치의 배치에 따른 전달률 특성 연구

        정바울,이승찬,한재흥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22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32 No.5

        A microvibration source such as a reaction wheel or control moment gyro, which adversely affects the high pointing stability required for modern satellites, generates a six-degrees-of-freedom (6-DOF) disturbance force. Therefore, the vibration isolator must also be capable of isolating 6-DOF vibration. A hexapod isolator is designed to isolate 6-DOF vibration by extending the single-axis isolator. The Stewart platform is widely used for 6-DOF vibration isolation and manipulation. The cubic configuration,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figurations of the Stewart platform, has several advantages in terms of manipulation; however, there is a cross-coupling issue in terms of vibration isolation. In this study, for the generalized configuration of the Stewart platform, force transmissibility change due to the varying angle of the strut and strut inclination angle is analyzed to suggest the optim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Stewart platform to reduce cross-coupling for a 6-DOF microvibration isolator.

      • KCI등재

        점진적 제도변화의 동인으로서 「1수업 2교사제」에 관한 연구

        정바울,김용우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Co-teaching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in South Korea. Previous studies on co-teaching mostly conducted in the contexts of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nglish as Foreign Language(EFL) have not examined the ways in which co-teachings were implemented in elementary education settings. This qualitative study instead shows the way in which co-teaching played as a major driver for gradually but consequential educational change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Finding reveals that initially the co-teaching at the pilot school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e teach, one support’model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departmentalized teaching system. However, the co-teaching practices has been enacted in the way in which gradually incorporated the three major elements of co-teaching. By showing the under-explored practices of co-teaching in elementary education, our analysis shows co-teaching played major driving force of an evolutionary and less confrontational mechanism for collaborative professionalism. 최근 1수업 2교사제 정책으로 코티칭(co-teaching)에 대한 관심이 높다. 초등학교의 자기충족적인(self-contained) 교실과 1인(solo) 담임제 학교 문법하에서 코티칭은 가히 이단적(異端的)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1수업 2교사제 정책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바다별초등학교 사례는 보기 드문 연구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라는 실험적 시도의 실천 양상을 교수-학습 차원과 교직문화 차원에서 탐색적으로 조명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코티칭 이론과 점진적 제도변화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바다별초의 1수업 2교사제를 질적 단일 사례 연구기법을 통해 조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수-학습 차원에서, 초기에는 코티칭 양상이 한 명이 가르치고, 다른 한 명은 지원하는 ‘교수+지원(one teach, one support)’형태를 띠었으나, 점차 다양한 수업 유형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시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직문화 차원에서는 초기에 코티칭 제도가 그 취지를 살리기 보다는 교과전담제라는 굴절된 형태로 실천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점차 전문적 협력을 위한 실천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점진적 제도변화의 동인으로서의 1수업 2교사제가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