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楊口白土의 生産과 運送에 관한 연구

        정두섭(Jung, Du-Su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양구의 백토는 조선시대 분원에서 사용하던 원료의 주종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양구지역에서는 1년에 500~550石의 백토를 분원이 해체되는 시기까지 꾸준히 공납하였다. 하지만 백토를 세는 단위인 ‘石’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백토의 1石은 9斗이고, 1斗는 16kg이라는 결과를 가지고 접근한 논문이다. 양구백토의 채굴은 담당 읍인 양구의 民戶 500호가 역사에 동원되었고, 백토의 正土 선별과 운송은 춘천ㆍ홍천ㆍ인제ㆍ낭천 등에서 담당하였다. 동원된 인력과 운송량은 각 지역별 인구수와 비례되었다. 운송은 육로운송과 수로운송으로 구분되는데, 제 시기에 납입하지 못한 경우와 가뭄이 지속된 경우에 육로로 운송되는 경우가 있고, 그 외에는 일반적으로 수로 운송이 주가 되었다. 육로운송의 경우, 운송에 관계된 읍의 驛馬와 사람이 동원되어 등짐으로 300리 정도의 역로를 3일 정도의 시간으로 분원에 운송된 것으로 보인다. 수로운송은 『經國大典』에 나타나 있는 대ㆍ중ㆍ소선의 규모보다 작은 지토선이나 경강사선을 이용하였다. 배 한척에 25石, 즉 3.6톤 정도를 해당 읍이 할당량만큼 나누어 싣고, 봄ㆍ가을 수량이 풍부한 시기를 선택하여 수운을 시행하였다. 수운은 약 4일 정도가 소요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의 하천상황과 적재량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다면 당시 양구백토를 운송했던 배의 규모도 파악되리라 본다. White clay of Yanggu was a main source among all raw materials used at Bunwon (governmental kiln sites)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That is why Yanggu area has a long history of steadily paying tribute of white clay as much as 500 to 550 seoks (a unit of traditional measure) per year to royal authorities until Bunwon was later liquidated. However, there is not yet any further established conception of ‘seok (石)’, a unit of measure for white clay. This study took an approach from a finding that 1 seok of white clay is equal to 9 dus (斗) where 1 du means 16 kg in our contemporary measure. For the excavation of white clay in Yanggu, current historical documents demonstrate that about 5 households of Yanggu were mobilized for excavation works, and acceptable white clay was screened and transported by people in Chuncheon, Hongcheon, Injae, Nangcheon and other areas to Bunwon. Here, mobilized manpower and transported volume were proportional to the population of each area. White clay was transported broadly via two paths such as land route and watercourse: Land route was used in case of failure to meet deadline and in case of long and continuous drought, but watercourse was usually employed as main path of transport in normal cases. For transport via land route, it is estimated that post horses and workers involved in transport were mobilized to carry and deliver white clay to Bunwon with the help of packmen in about 3 days via post road as long as 117.9 km (300 ri). For watercourse transport of white clay from Yanggu to Bunwon, our ancestors employed local vessels or Gyeonggang private vessels on smaller scale than large-, medium- and small-sized vessels provided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a standard code of law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A town community of Yanggu area carried about 25 seoks (i.e. 3.6 tons) of white clay in one vessel as allocated, and water transport was executed in a select series of timings with affluent water volume of river during spring and fall season. It is estimated that water transport of white clay required about 4 days. In comprehensive view of watercourse conditions and load weight of white clay as evidenced by historical documents in those times, it is expected that we will possibly estimate the scale of vessels for transport of white clay from Yanggu.

      • 논문(論文) : 여말선초(麗末鮮初) 양구지역 백자요지(白磁窯址) 성립에 관한 연구

        정두섭 ( Du Sub Jung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양구지역은 고려 시대의 전통적 자기 생산지가 아니었으며 자기가 만들어진 시기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하지만 14세기 고려의 사회적 배경을 통한磁器所 해체와 확산과정을 살펴보면 그 시기를 추정하여 볼 수 있다. 忠定王 2년(1350)부터 왜구의 본격적 침입은 남해안에 위치한 전라도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이때를 전후해서 해안가는 물론 내륙까지 쳐들어와 약탈을 자행했으므로 해안 지방에서 가마를 운영하던 장인들이 내륙 깊숙이 들어가 그 지방의 원료를 사용해서 청자 및 자기를 만들었다. 양구 지역은 도자기 제작에 필요한 용수와 땔감, 그리고 胎土가 풍족했기 때문에 청자의 제작기술을 지니고 있었던 장인들은 어렵지 않게 정착하여 백자를 제작하였을것이다. 양구의 窯業은 이러한 과정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이성계 발원 불사리장엄구 일괄품을 통해 홍무24년 4월 즉, 1391년의 4월에 그릇이 제작되었음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이 외에 발원자와 발원목적, 그리고 양구 방산의 사기장인 沈.이라는 제작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자기들은 방산면 장평리, 송현리, 금악리 등에서14~15세기경에 제작된 편들과 태토와 유약, 번조방식 등이 서로 공통되는데, 태토를 정제하는 기술이 아직은 미흡하여 분쇄 과정만으로 거친 원료를 사용하였고, 유약 또한 고려 시대 청자에 맞는 것으로 제조가 되어 다소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 유약을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된다.世宗實錄』「地理志」에 기록된 양구 방산지역 20호의 50명이 거주한 기록을 통해, 1호에 평균 2.5명이 가족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亡姓으로 기록된 성씨 등을 토대로 자기수공업에 필요한 기본인력의 수와 자기점촌을 이루는 호수 등을 통하여 20호 기준 50명의 4곳, 30호 기준 75명의 3곳, 또는 40호 기준 100명의 2곳 정도의 자기점촌이 양구 지역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3기의 요지에서 모두 4점의 관사명이 새겨진 백자 도편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백자요지가 성립되고, 이어서 바로 공납자기를 제작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공납청자를 만들던 강진일대의 장인들이 양구지역에 정착하였을 연계성을 더해 준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청자의 제작기술을 이미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태토를 선택했어도 어느 정도의 기술력은 유지되었고, 중앙에도 공납할 수 있는 백자를 제작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It is not known when porcelains were made in Yanggu exactly, and Yanggu was not a porcelain producing district of Koryo kingdom neither. However in 14th century, the dissolution and dissemination of porcelain producing station make it possible for us to estimate when the district was formed. Since 1350, Because of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 raiders, the southern coast of Chulla province had been badly damaged. An aftermath of this made craftsman move inside of the Peninsula, producing porcelain of that area. Craftsman from the southern coast might settle down in Yanggu very well, because it had plenty of materials, such as water, wood, and clay. The porcelain production in Yanggu began in this process. I could know not only that the porcelain was made in April, 1391 based on Yi Seong-gye praying package of sarira containers posses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ut also that prayer, praying purpose, and the producer Simryong, the master craftsman of Bangsanmyun, was existed. The porcelain was common in overglaze, clay, and burning form with those produced in Bangsanmyun, Jangpyungli, Songhyunli, Keumakli around 14th or 15th century. I also could verify that they used rough materials only because they didn``t have enough refining technique and used overglaze plenty of iron fits for Koryo porcelain. I could understand that there lived 50 people of 20 families in Bangsanmyun, 2.5 person per one family. And I estimated that many producing points were existed in Yanggu, 4 points of 50 persons in 20 families, 3 points of 75 persons in 30 families, 2 points of 100 persons in 40 families, based on lost name, standard workforce for porcelain industry, and number of families making porcelain industry. Also, I could find the broken pieces stamped 4 residential names in 3 producing points. I think that the producing area was quickly made and porcelain could be supplied to the Government because craftsman from Kangjin settled down in Yanggu. Although the clay was different, they could supply porcelains to the Government because they already had techniques making celadon porcelains.

      • KCI등재

        楊口地域의 白磁와 白土

        정두섭(Jung, Du-Su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양구지역은 오래전부터 백자의 제작지인 동시에 경기도 광주 분원의 백토 공급지로 유명하다. 양구의 도요지에 관한 가장 이른 기록은 『世宗實錄』「地理志」‘土産’조(1432)에 보인다. 이후 양구지역의 백자에 대한 기록은 일제강점기의 자료들에서 확인된다. 한편 白土에 관련한 내용들은 다양한 사료에서 백토의 채굴과 품질, 그리고 그에 관한 폐단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고려 말 왜구의 침입 등으로 강진 일대의 해안가에서 가마를 운영하던 장인들이 내륙에서 정착하던 중 원료와 땔감, 그리고 수로를 통한 물자의 운송이 용이한 양구지역에서 백자가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양구는 고려 말 〈이성계 발원백자〉의 제작을 비롯해 조선시대에는 인순부, 공안부, 예빈시, 장흥고 등의 중앙 관청에서 사용하는 공납자기의 제작지가 된다. 1467년 분원 설치 후에는 일부 양구지역 사기장들이 분원 사기장으로 입역되었으며, 분원에서 사용하는 많은 양의 백토를 채굴하여 공급하는 공급처가 된다. 이때부터 양구의 가마는 지역 수요의 자기제작지로 성격이 바뀌며, 분원으로 공급되는 원료의 채굴지 및 실험번조소 역할을 겸하게 된다. 양구백토는 불순물이 적게 함유된 백운모계 고령토질 도석으로 백색도가 높으며, 1200~1250℃에서 이상적으로 번조된다. 또한 굴취 및 분원 운송에 관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이 사료를 통해 확인된다. 양구지역은 오랜 시간 동안 백자가 제작되었고, 백자 원료의 생산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곳이다. 양구의 려말선초 백자는 고려시대의 백자가 계승되어 조선시대의 백자로 연결되었음을 보여주어 한국 도자사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다. 앞으로 한국 도자사에서 양구 백자와 백토의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확립되기를 기대해본다. Yangu area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has been well-known as the producing center of white porcelains and the supply center of white clay for porcelain yards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since long times ago. Earliest records of governmental kiln sites (Bunwon) in Korean history are found in ‘local products (土産)’, a section of “Sejongsilok Jiriji (世宗實錄 地理志)” (1432). Later, records about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Yangu area can be found in historical records published in the age of colonized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relevant articles about white clay (白土) - especially, excavation and quality of white clay, and resulting corrupt practices - are continuously mentioned in a variety of historical documents. While craftsmen who operated their kilns ashore in Gangjin area (Jeonnam Province, Korea) began to settle down in the interior of country due to invasion of Japanese pirate raiders on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age of Goryeo dynasty, white porcelains began to be produced in Yangu area (Gangwon Province), a location of easy transport for raw materials, firewood and commodities by way of inland watercourse. Yangu was a place of ‘Yi Seong-gye Baekja’ produced in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and became also a producing center of tributary porcelains used at central government offices such as Insunbu, Gong-anbu, Yebinsi and Jangheungo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After governmental kiln sites were installed in 1467, some of porcelain craftsmen who worked in Yangu area were employed as craftsmen for those kiln sites, and Yangu area became later a crucial supply center to excavate and provide abundant amount of white clay used for governmental kiln sites. From then onward, kilns in Yangu area became changing in nature as producing center of porcelains demanded by regional customers, and this area worked as excavation site for raw materials supplied to kiln sites and also functioned as an experimental porcelain baking factory. On the other hand, Yangu’s white clay is composed of kaolin clay falling under white mica,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 content of impurities, high white chromaticity and ideal baking at 1200 to 1250℃. In addition, existing historical documents are evidences of many challenges in excavating white clay and transporting it to kiln sites. Yangu area has a long history as a producing center of white porcelains and has played a crucial role as a producing center of raw materials for white porcelains. White porcelains in Yangu area during transition period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demonstrate that white porcelains of Goryeo became handed over to those of Joseon. That is why Yangu is recognized as an indispensable target location of studies in Korean china and porcelain history.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formulated follow-up studies regarding this topic, so that academic theories on white porcelain and white clay in Yangu area will be well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a and porcelain.

      • KCI등재

        조선시대 관요백자 원료의 물성과 소성온도에 관한 試論

        정두섭(Jung Du-Su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필요한 자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옹원의 관요를 전문적으로 운영하였다. 이에 따라 1467~1468년 사이에 경기도 광주 일대에 분원이 설치되어 왕실과 관청용 백자를 제작하고 공급하였다. 관요백자의 제작에 필요한 원료를 여러지방에서 공급받게 되는데, 공급되는 원료에 따라 색상의 변화 및 품질의 고하가 결정되므로 양질의 원료 공급은 관요 운영에 중요한 부분이었다. 특히 양구 백토는 적어도 16세기부터 조선시대 관요백자 제작에서 매우 중요한 원료로 평가되었다. 본 고에서는 사료를 통한 양구백토에 대한 고찰, 그리고 화학적인 분석과 실제 실험 결과등을 통해서 조선시대 관요 백자의 원료 물성 분석을 토대로 명칭과 실제 소성온도를 추정하였다. 화학분석표와 백토시편 미세구조 변화와 실제 번조실험을 통하여 관요백자 제작에 사용된 양구의 백토는 0.13~0.73%의 철분이 함유된 백운모계 고령토질 도석으로, 철분 등 도자기 소지 원료로 사용하기에 불순물이 적고, 대체적으로 미립의 균질한 원료로서 백운모질의 백토로 1,200℃ 정도에서 적절한 번조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주백토는 A1203의 많은 함량으로 내화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자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두 종류의 원료들이 방산자기박물관의 소성 실험을 통한 결과와 관요에 공급되었던 흙들의 공급량과 종류 등을 증합해 보았을 때 분원에서 사용되는 양구 백토는 기물의 크기에 따라 양구백토 단미, 또는 진주백토가 적당량 섞여서 도자기 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원료에 대한 문헌을 통한 정확한 명칭분석과 여러 지역의 백자 도편 등의 재번조 실험 등을 통해 기존의 조선백자 1,300℃설에 대한 전면 재검토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도자기 소성용 가마와 태토에 많은 변화가 있기 때문에 현재의 기준으로 1,300℃의 소성온도를 논하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There was a special government kiln in Saongwon to make porcelain which was needed for royal family in Chosun dynasty. So, branch kilns were installed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to make porcelains for ruling household and government office in 1467 and 1468. Base materials were supplied to make porcelains from many local districts,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s was important because government office had chosen materials of high quality. Especially, Yanggu white clay was estimated as an important material to make porcelains in government use since the 16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Yanggu white clay in historic references, temperature at which the porcelain were made, and the names of materials through chemical experimentation and ingredient analysis. Yanggu white clay is white mica, kaolin which contains 0.13~0.73% iron, has less impurities, and consists of homogeneous white mica particles which were properly fired at 1,200℃. However Jinju white clay has abundant of Al₂O₃ which is magnetized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 Therefore, we found that Yanggu white clay only, or with some amount of Jinju clay, ha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porcelain, to sum up researches so far. In addition, researches and experiments make certain that there should be a reexamination against the firing temperature of 1300℃, because the kiln and firing circumstance of that age are different from today's. Thus, it is irrational to insist that the firing temperature was 1300℃ by current criteria for judgement.

      • 대학 선교를 위한 교목의 사역과 사명

        정두섭(Jung Doo Seop) 대학복음화학회 2008 대학과 복음 Vol.13 No.-

        A university student is important as a leader of the country and a church in the future. Missionary work in universities is the shortcut to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Therefore, missionary work in universities is very important. Those people who have such a calling like this have founded Christian universities. However, the missionary work in universities today is not much active. In this situation, what is the duty and the mission of college ministers? A college minister is a person who professionally serves in a special area, a university. Thus, college ministers should be professional at pastoral work and missionary work in a university. As a professional of missionary work in a university, a college minister is an evangelist, a teacher, a pastor, a bishop, a missionary and a minister. What is the mission of a college minister as a person in charge of missionary work in a Christian university? It is similar to being a prophet, a priest and a king. All these works should be cooperated by every Christian in the university. A college minister is a conductor of missionary work in a university. To serve well for these duties, the next three points should be noticed. One, the nature shape of a Christian university should be stabilized. Two, the professionalism of college ministers should be increased. Three, to make the effective missionary work in universities, all Christians and missionary associations, pastors and churches should build the united front.

      • KCI등재

        불연속체 동해석 기법을 이용한 발파진동 영향평가

        박병기(Park, Byung-Ki),전석원(Jeon, Seokwon),박광준(Park, Gwang-Jun),도덕수(Do, Deog-Soo),김태훈(Kim, Tae-Hoon),정두섭(Jung, Du-Seop)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5 No.12

        Since blast-induced vibration may cause serious problem to the rock mass as well as the nearby structures, the prediction of blast-induced nitration and the stability evaluation must be performed before blasting activities. Dynamic analysis has been increased recentl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blast-Induced vibr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ere based on the continuum analysis unable to consider rock joints which significantly affect the wave propagation an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They also adopted pressure corves estimated tv theoretical or empirical equations as input detonation load, thus there were very difficult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ropagating media. In this study, therefore, we suggested a dynamic distinct element analysis technique which uses velocity waveform obtained from a test blast as an input detonation load. A distinct element program, UDEC was used to consider the effect of rock joint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proposed method, the test blast was simulated.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proposed method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vibration data from the test blast. Through the dynamic numerical modelling on the planned road tunnel and slope, we evaluated the effect of blast-induced nitration and the stability of rock sl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