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모자반 물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정다현,안나경,최연욱,박지혜,배난영,박선희,김민지,김꽃봉우리,안동현,Jeong, Da-Hyun,Ahn, Na-Kyung,Choi, Yeon-Uk,Park, Ji-Hye,Bae, Nan-Young,Park, Sun-Hee,Kim, Min-Ji,Kim, Koth-Bong-Woo-Ri,Ahn, Dong-Hyu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는 BALB/c mice의 등 쪽 부위에 반복적인 DNCB 도포를 통해 유발시킨 아토피 피부염에 있어서 참모자반 물 추출물의 효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참모자반 물 추출물을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고 IL-4 및 IFN-γ cytokine의 분비량, 비장세포 증식능, 혈청 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조직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모자반 물 추출물을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IL-4 cytokine과 총 IgE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FN-γ cytoki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장세포 증식능에는 참모자반 물 추출물의 도포처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결과, 참모자반 물 추출물을 2주간 지속적으로 도포 처리하였을 때, 그 증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core 또한 DNCB 단독 처리군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등 조직 관찰에서도 참모자반 물 추출물에 의해 DNCB로 유발된 아토피 동물 실험군의 경피 및 진피 조직 두께 및 진피에서의 mast cell의 침윤 정도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결과를 종합 해볼 때, 참모자반 물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anti-atopic effect of Sargassum fulvellum water extract (SFWE). Atopic dermatitis (AD) was induced in BALB/c mice by spreading 2,4-dinitrochlorobenzene (DNCB) to the dorsal skin area. The production of IL-4 and total IgE of the SFW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DNCB only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of the IFN-γ of SFWE treated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DNCB only group. In addition, SFWE alleviated the AD symptoms when compared to the DNCB only group and reduced the epidermal thickness and the number of mast cells in histological analysi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SFWE has an anti-atopic activity through the modulation of IL-4 and IFN-γ cytokines, and the total IgE in DNCB-induced BALB/c mice. Therefore, SFWE can be utilized with atopic disease therapies.

      • KCI등재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정다현 ( Da Hyun Jeong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김민지 ( Min Ji Kim ),강보경 ( Bo Kyeong Kang ),박시우 ( Si Woo Bark ),박원민 ( Won Min Pak ),김보람 ( Bo Ram Kim ),박홍민 ( Hong Min Park ),임무혁 ( Moo Hyeog Im ),안동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BALB/c mice에 SMEE를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SMEE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IFN-γ 및 IL-4 cytokine의 분비량, 비장세포 증식능, 혈청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MEE를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IL-4 cytokine과 총 IgE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FN-γ cytoki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증식능 측정결과, SMEE 처리구의 경우 negative control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억제됨을 나타냈으며, 비장세포의 비이상적인 증식에 SMEE 도포처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결과, SMEE를 2주간 지속적으로 도포 처리하였을 때, 그 증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core 또한 positive control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SMEE는 Th1 cytokine 생성은 증가시키고 Th2 cytokine 생성은 억제하여 IgE의 과다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topic dermatitis (AD) is a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preceding the development of allergic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argassum micracanthum ethanol extract (SMEE) on AD. AD was induced by spreading 2, 4-dinitrochlorobenzen (DNCB) on the back sides of BALB/c mice. The efficacy of SMEE was tested by observing the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proliferations of Raw 264.7 cells and the secretion of cytokines and IgE. The secretion of IL-4, and I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MEE in a dose dependent manner, while IFN-γ was increased. In addition, SMEE alleviated the AD symptoms better when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EE has an inhibitory effect on AD, and may serve as a useful bio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osmeceuticals.

      • KCI등재

        미역(Undaria pinnatifida) 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

        정다현 ( Da Hyun Jeong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강보경 ( Bo Kyeong Kang ),정슬아 ( Seul A Jung ),김현지 ( Hyun Jee Kim ),정희예 ( Hee Ye Jeong ),박시우 ( Si Woo Bark ),안동현 ( Dong Hyun Ah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2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5 No.4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Undaria pinnatifida water extract (UPWE) were investig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potential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UPWE, the cell proliferation, nitric oxide (NO),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and IL-1β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the macrophage proliferation treated with UPWE compared to the control. NO level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UPWE. Moreover, the secretion of IL- 6, TNF-α and IL-1β were suppres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IL-6 inhibition activities were over 50% at 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PWE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aterials.

      • KCI등재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조직에 대한 참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정다현(Da-Hyun Jeong),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민지(Min-Ji Kim),강보경(Bo-Kyeong Kang),박시우(Si-Woo Bark),박원민(Won-Min Pak),김보람(Bo-Ram Kim),안나경(Na-Kyung Ahn),최연욱(Yeon-Uk Choi),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8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물자원인 참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SFEE)의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SFEE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SFEE 100 μ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type으로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NO, IL-6, TNF-α 및 IL-1β 분비량과 iNOS, COX-2 및 NF-κB와 같은 염증성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대식세포 배양액의 NO₂- 농도를 측정한 결과 SFEE 첨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0 μg/mL의 농도에서 90% 이상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 μg/mL의 농도로 첨가 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TNF-α 및 IL-1β 분비량을 각각 79, 73, 87%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NO 생성과 연관이 있는 iNOS 단백질과 COX-2 및 NF-κB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SFEE의 항염증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확인하기 위해 in vivo 실험을 진행한 결과 croton oil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염증 반응에 의한 경피 및 진피 두께의 발달을 현저히 억제시키고 염증성 세포인 비만세포의 조직으로의 침윤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참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은 염증 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의 발현을 억제하여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그에 의해 NO, IL-6, TNF-α 및 IL-1β 분비를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참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SFEE) o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SFEE remarkably suppressed production o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TNF-α, and IL-1β) at 50 and 100 μg/mL. There were no cytotoxic effects on proliferation of macrophages treated with SFEE compared to the control. SFEE reduced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formation of edema in mouse ears was reduced at the highest dose tested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in the acute toxicity test, no mortality occurred in mice administered 5,000 mg/kg body weight of SFEE over the 2-week observation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FEE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aterial.

      • KCI등재

        참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

        정다현(Da-Hyun Jeong),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강보경(Bo-Kyeong Kang),정슬아(Seul-A Jung),김현지(Hyun-Jee Kim),정희예(Hee-Ye Jeong),박시우(Si-Woo Bark),안동현(Dong-Hyun Ahn) 한국생물공학회 2012 KSBB Journal Vol.27 No.6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water extracts (SFWE) were investig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potential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SFWE, the NO, TNF-α, IL-6, IL-1β, and cell proliferation were measu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O and TNF-α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when SFWE was added to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oreover, the expression of IL-6 and IL-1β cytokines was suppressed by SFWE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IL-6 inhibition activities were over 50% at 1% of SFWE. The cytotoxicity of SFWE and the proliferation of macrophages was measured by MTT assay. As a result,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the macrophage proliferation treated with SFWE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FWE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can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aterials.

      • KCI등재

        송엽 에탄올 추출물의 아토피 저해 활성

        정다현(Da-Hyun Jeong),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정슬아(Seul-A Jung),김현지(Hyun-Jee Kim),강보경(Bo-Kyeong Kang),박시우(Si-Woo Bark),김태완(Tae-Wan Kim),안동현(Dong-Hyun Ahn) 한국생물공학회 2013 KSBB Journal Vol.28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hibitory effects of pine needle ethanol extracts (PNEE) on atopic dermatitis (AD). To determine inflammatory activity PNEE was added to LPS-induced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for an in-vitro test. In addition, anti-AD test was carried out by spreading PNEE on the dorsal skin of 2,4-dinitrochlorobenzene (DNCB)- induced BALB/c m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nitric oxide (NO) secretion was suppressed when 1~50 μg/mL of PNEE were added to LPS-induced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Moreover, levels of TNF-α, IL-6, and IL-1β? were decreased. For the anti-AD test, PNEE alleviated symptoms of the erythema in DNCB-induced mice. Furthermore, the IFN-γ secretion of the group treated with PNEE was increased in splenocytes from DNCB-induced mice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while IL-4 secretion diminished. Through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PNEE can inhibit AD by modulating the IFN-γ, IL-4 cytokines production and inhibiting inflammation.

      • KCI등재

        Vibrio sp. PKA 1003의 알긴산 분해 조효소 생산 최적 조건과 조효소의 특성

        김현지(Hyun-Jee Kim),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동현(Dong-Hyun Kim),선우찬(Chan Sunwoo),정슬아(Seul-A Jung),정다현(Da-Hyun Jeong),정희예(Hee-Ye Jung),임성미(Sung-Mee Lim),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3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응용가능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소적 분해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해조류로부터 알긴산 분해 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탐색하고, 분리하여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최적생육 조건 및 그 조효소액의 알긴산 분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갈조류인 지충이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Vibrio sp. V140으로 동정되었으며 PKA 1003으로 명명하였다. Vibrio sp. PKA 1003균주의 최적 생육 특성을 알아본 결과, pH 7, 3% NaCl, 25℃ 및 48시간이었으며, 6% 알긴산과 1:1 배양 시 분해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Vibrio sp. PKA 1003 균주가 생산하는 조효소의 알긴산 분해 최적 조건은 pH 9, 30℃, 6% 알긴산 및 63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시간에 따라 TLC를 실시한 결과, 배양 12시간부터 서서히 분해되어 2개의 spot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효소액에 의해 알긴산이 여러 가지 단당 또는 올리고당으로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효소액에 trypsin을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trypsin 처리구 및 조효소액 처리구의 환원당 생성량이 각각 70.91 및 538.62 μg/mL로써 알긴산 분해 활성이 효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Vibrio sp. PKA 1003의 최적 생육 조건 및 알긴산 분해 최적 조건에서 알긴산 분해 효소 및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characteristics and alginate-degrading activity of marine bacterium isolated from brown seaweed (Sargassum thunbergii). The results of 16S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the strain the genus Vibrio and the strain was subsequently named Vibrio sp. PKA 1003.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Vibrio sp. PKA 1003 were at pH 7, 3% NaCl, 25℃, and 6% alginic acid, with a 48-hour incubation time. A crude enzyme preparation from Vibrio sp. PKA 1003, showed its highest levels of alginate-degradation activity when cultured at pH 9, 30℃, and 6% alginic acid, with a 63-hour incubation time. Thin layer chromatography analyses confirmed that the crude enzyme released monomers or oligomers from sodium alginate, and results from trypsin treatment showed that the alginate degrading activity depends on this enzyme produced by Vibrio sp. PKA 1003.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brio sp. PKA 1003 and its alginatedegrading crude enzyme is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alginate oligosaccharides.

      • KCI등재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에탄올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에 미치는 열, pH 및 감마선 조사의 영향

        김동현(Dong-Hyun Kim),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민지(Min-Ji Kim),선우찬(Chan Sunwoo),정슬아(Seul-A Jung),김현지(Hyun-Jee Kim),정다현(Da-Hyun Jeong),김태완(Tae-Wan Kim),조영제(Young-Je Cho),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4

        본 연구는 지충이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식품산업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pH 및 감마선 조사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지충이 추출물을 1, 2.5 및 5 mg/mL의 농도에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6.12, 19.32 및 37.37%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의 lipase 저해활성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21℃, 15 min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13% 정도 저해활성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pH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중성영역(pH 4-8)에서는 안정하였으나, pH 2 및 10 조건하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마선 조사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 없이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이 식품산업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hibitory activity of Sagassum thunbergii (ST) against porcine pancreatic lipase was assessed after heat treatment, pH changes, and gamma irradiation.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 ethanol extract exhibited high lipase inhibitory activity (37.37%) at 5 mg/mL. The ST ethanol extract was treated with heat at 60℃ for 10, 30, and 60 min; 80 and 100℃ for 10 and 20 min; and 121℃ for 15 min, pH (2, 4, 6, 8 and 10) and γ-irradiation (3, 7 and 20 kGy). The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ST ethanol extract increased in all heat treatments, especially at 121℃ for 15 min (51.55%) compared with the control. With regard to pH stability, the ST ethanol extrac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t pH 4~8, but somewhat decreased inhibitory activity was revealed at pH 2 (26.25%) and 10 (29.93%). On the other hand, the ST ethanol extract was not affected by γ-irradiation treatment conditions us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 has a potential role as a functional food agent.

      • KCI등재

        반죽에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최정수(Jung-Su Choi),김동현(Dong-Hyun Kim),선우찬(Chan Sunwoo),정슬아(Seul-A Jung),김현지(Hyun-Jee Kim),정다현(Da-Hyun Jeong),정희예(Hee-Ye Jeong),최호덕(Ho-Duk Choi),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5

        모닝빵 반죽을 2차 발효 후에 microwave, 가압가열 및 microwave/가압가열 병행 처리를 하여 오븐에 굽기 전후 모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모닝빵의 pH는 가압가열 처리한 빵이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microwave 처리한 반죽을 오븐에 구운 빵(25~28%)이 무처리구(33%)와 비교 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빵의 색도 측정 결과, 겉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오븐에 굽지 않은 microwave 1분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 내부는 가압가열 처리한 빵에서 명도는 감소하였으며,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가압가열 처리한 빵에서 경도, 검성, 씸힘성 및 전단력이 무처리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microwave 1분 처리 후 오븐에 구운 빵이 색,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무처리구와 유사한 평가를 받았으나, 가압가열/microwave 병행 처리 후 구운 빵이 색, 향, 형태,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으로 모닝빵 반죽에 물리적 처리 시 빵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좋지 않게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이전 연구에서 빵의 알레르겐성을 가장 감소 시킨 가압가열/microwave 병행 처리 후 오븐에 구운 빵이 품질 및 기호도 평가에서 가장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 후에도 빵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utoclave and microwave treatments on dough to determine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quality after the dough was cooked into bread. Wheat dough after secondary fermentation was treated with a microwave (1 min), an autoclave (30 min), and both an autoclave and microwave (30 min/1 min). We then measured the pH, moisture content,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H was slightly decreased when it was treated in an autoclave (baking and no baking) and autoclave/microwave (baking and no baking). When microwaved and baked, the moisture content most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In crust color, there were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lightness, redness, or yellowness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when microwaved (no baking). The lightness of the crumb color decreased, while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hen dough was treated with an autoclave (baking and no baking) and autoclave/microwave (baking and no baking).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and shear for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dough was treated with an autoclave (baking and no baking) and autoclave/microwave (baking and no baking)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color, aroma, taste, or overall preference when microwaved and baked. Color, aroma, shap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the worst when the dough was treated with autoclave/microwave (baking and no bak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claving and microwaving may reduce the quality of bread, and countermeasures to this problem are necessary.

      • KCI등재

        감태 물 추출물의 Trypsin 저해활성에 대한 열 및 pH 안정성

        정슬아(Seul-A Jung),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민지(Min-Ji Kim),김동현(Dong-Hyun Kim),선우찬(Chan Sunwoo),김현지(Hyun-Jee Kim),정다현(Da-Hyun Jeong),정희예(Hee-Ye Jeong),김태완(Tae-Wan Kim),조영제(Young-Je Cho),안동현(Dong-H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는 감태 물 추출물의 일반특성과 trypsin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 물 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색도는 명도가 86.21로 높고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각각 0.38 및 15.49로 낮게 나타났으며 pH는 6.17로 약산성으로 나타났다. 감태 물 추출물의 trypsin 저해활성은 5, 2.5 및 1 ㎎/㎖ 농도에서 각각 76.21%, 62.41% 및 60.41%를 나타냈으며 IC50값은 0.83 ㎎/㎖이었다.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80oC까지 열처리에 안정하였고 pH 2~8 범위에서 안정하였으나 100℃와 121℃ 열처리와 pH 10에서 활성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유지하여 열 및 pH에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태 물 추출물이 지니는 trypsin 저해활성이 열 및 pH에 대해 안정성을 지녀 식품산업에 응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done to verify th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WE-EC) against trypsin and the effects on various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The WE-EC showed high trypsin inhibitory activity of 76, 62 and 60% at concentrations of 5, 2.5 and 1 ㎎/㎖, respectively. In all heat treatments excepted for two conditions, such as 100℃ for 20 min and 121℃ for 15 min, the inhibitory activity was stable compared with the untreated group. With regard to pH stability, the WE-EC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t pH 2~8, but somewhat decreased inhibitory activity was revealed at pH 10. Therefore, the WE-EC could be used in the food industry as a natural trypsin inhibi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