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MS 빅데이터를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효과 분석 : 강남대로 사례를 중심으로

        정다운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4년 서울시는 도시 내 혼잡을 해소하고 버스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주요 간선도로 중앙에 버스통행을 위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그런데 2014년 기준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속도는 19.9km/h로 일반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속도 20.2km/h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평균통행속도 감소는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 정차용량 초과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나 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BM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들의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용량 초과 현상이 통행시간과 정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기위해 BM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시간, 정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차용량 초과 분석 결과 강남대로 양방향 모두 대부분의 정류장에서 정류장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양방향 모두 강남역 정류장에서 평일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행시간을 분석한 결과 강남대로 양방향 모두 대부분의 정류장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의 통행시간(초/km)이 일반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시간보다 짧게 나타났는데 강남역 부근에서만 역전된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시성 분석 결과 양방향 모두 0~1사이의 정시성을 가지고 있어 다른 지역의 버스차로 정시성과 비교했을 때 나쁘지 않은 정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과 통행시간, 정시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정차면 용량초과와 통행시간의 상관관계는 0.38로 나타났고 정차면 용량초과와 정시성의 상관관계의 경우 0.36으로 나타났다. 즉, 정차면 용량초과와 통행시간, 정시성의 상관관계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은 정시성보다 통행시간에 미비하지만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색시간비율(g/C), 정차시간, 정차대수와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과의 상관관계도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정차대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다음으로 정차시간이 정차면 용량초과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C의 경우에도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경우 5월 한 달 자료를 이용하여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만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 후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서울시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운영평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In 2004,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Seoul were supposed to improve Bus Service quality. However now, Bus travel speed(km/h)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19.9km/h. This speed is slower than Bus travel speed in ordinary Bus Lane. Many felt that Bus stop capacity excess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diminished bus service quality. In this study analysed the Bus stop excess, travel time and reliability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Using BMS big data. A Bus stop capacity excess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analysis showed that most bus stop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exceeded the capacity limit. Such a capacity excess phenomenon mainly appears on weekday. A Bus travel time in Gangnam-daero analysis showed that most bus travel time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less than ordinary bus lane. but, the bus travel time in Exclusive median bus lnae near Gangnam station is more than ordinary bus lane. A Bus stop Reliability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analysis showed that all bus stop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reliability were between 1 and 0. so,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Gangnam-daero reliability is good. In this study analysed two correlation analysis. One correlation analysis is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travel time.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travel time of 0.38,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Another correlation analysis is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reliability.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reliability of 0.36,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 식물플랑크톤과 물벼룩을 이용한 저농도 비점오염원의 영양염류 제거

        정다운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For removal of nutrients from eutrophic stream water polluted by non-point sources, an artificial microbial food web (AMFW) system comprising processes of phytoplankton growth and Daphnia magna grazing was developed. The AMFW system was a continuous flow system constructed with one storage reservoir of 3 m³ capacity, one phytoplankton tank of 3 m³ capacity and one zooplankton growth chamber of 1.5 m³ capacity. The system was optimized by setting hydraulic retention time of phytoplankton tank as 3 days and D. magna density as 740-1000 individual l-1. When the system was operated on a eutrophic stream water that was delivering 471 g of total nitrogen (TN) and 29 g of total phosphorus (TP) loadings for 45 days, 250 g (53%) of TN and 16 g (54%) of TP were removed from the water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phytoplankton tank. In addition, 64 g (14%) of TN and 4 g (13%) of TP were removed from the water by harvesting zooplankton biomass in the zooplankton growth chamber, resulting in significant overall removal rates of TN (69%), nitrate (78%), TP (73%)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94%). Whil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AMFW system is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eco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wetland technology, its operation is less limited by availability of space or seasonal shift of temperatur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MFW system is a highly efficient, flexible system for reducing nutrient levels in tributary streams and hence nutrient loading to large aquatic systems receiving the stream water.

      •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multimorbidity pattern among adults in South Korea

        정다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Multimorbidity Pattern among adults in South Korea Abstract The term “multimorbidity” refers to one person with two or more diseases at the same time. This is a concept that has emerged as diseases continue to accumulate with the ongoing increases in life expectancy. It signals the need for better patient management because it increases mortality rates and the cost of medical care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Multimorbidity pattern study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its complexity and designing management protocols. On the other hand, several dietary factors such as food and nutrient intake, dietary habits, and dietary quality index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multimorbidity. To date, there has been a lack of investigation regarding multimorbidity in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mmon multimorbidity patterns in Korean adul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cardiometabolic diseases pattern (CMP).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design, and multimorbidity patterns were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Dietary factors including food and nutrient intake, dietary quality index, and diet habits were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multimorbidity pattern was estimated by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Three multimorbidity patterns were identified: CMP, an inflammatory diseases pattern (IP), and a cancer and other diseases pattern (COP). The three multimorbidity patterns overlapped, and CMP was the most common [52.5%]. The CMP subjects were older and were more likely to be male and less educated, have a lower income, and be laborers. A higher number of them were smokers and high-risk consumers of alcohol 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Furthermore, in this group, intake of carbohydrates, calcium, fruits, sugar, and sweetener was lower than in the non-CMP group. Moreover, the intakes of calcium (OR=0.809; 95%CI=0.691-0.945), potassium (OR=0.838; 95%CI=0.704-0.998), fruits (OR=0.841 ; 95%CI=0.736-0.960), and vegetables(OR=0.857; 95%CI=0.746-0.985)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CMP, while the consumption of irregular meals(OR=1.164; 95%CI=1.034-1.312) and skipping breakfast(OR=1.279; 95%CI=1.078-1.518)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MP.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MP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multimorbidity pattern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nd highlighted that CMP was associated with reduced calcium, potassium, fruits, and vegetables intakes. An unhealthy lifestyle including eating irregular meals, skipping breakfast,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was also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CMP in this study.

      • 입학사정관제의 현황 분석과 조직 간 협력모형 개발

        정다운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제의 시행 현황과 이에 대한 평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대학, 고교 간 바람직한 협력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실시되었다. 먼저 입학사정관제가 시행되고 있는 현황의 전반적인 경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년에 정부 지원을 받은 4년제 대학 60곳의 2012학년도 입학사정관제 전형유형과 활용된 평가자료들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평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입학사정관 3명과 고교 교사 4명, 그리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조사한 결과들을 수합하여 현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조직 간 협력모형’을 Chen이 제시한 프로그램 논리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구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 및 방법들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제의 전형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기추천 및 전공적합 유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기회균등, 농어촌‧지역균형‧지역인재, 전문계 고교 및 재직자, 재외국민 유형 순으로 그 뒤를 따랐다. 둘째, 현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활용되는 평가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전형들이 학생부와 자기소개서를 활용하였다. 추천서 역시 절반 이상의 전형에서 활용되었으나, 포트폴리오와 수능최저학력은 상대적으로 활용 빈도가 낮았다. 셋째, 대학 입학사정관과 고교 교사, 입학사정관제 입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평가 이해관계자들은 모두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대학생들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대학 생활의 만족도도 높다는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에 교내 활동과 고교-대학 간 연계가 활성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현 입학사정관제가 지닌 문제점 및 한계로 애매모호한 평가준거, 새로운 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부족, 입학사정관의 평가전문성에 대한 의문, 공정성 논란, 평가의 부담, 입학사정관의 불안정한 지위, 대학의 소극적인 태도, 효과성 검증의 어려움 등을 지적하였다. 전형 유형 및 평가자료에 대한 양적 분석과 평가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확인된 문제점들은 고교와 대학, 그리고 정부 간 협조 체제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의 핵심 조직인 고교-대학-정부 간 협력모형을 구안하였다. 변화모형에서는 ‘조직들 간의 협력’과 ‘입학사정관제의 원활한 시행’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하는 데 조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처치들을 인과적 논리에 따라 정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행위모형에서는 변화모형을 통해 정리된 여러 가지 처치들이 서로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절차 및 작동 방식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이제까지 실시된 입학사정관제 관련 연구들 중 체제 중심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전무했던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의 운영 방안을 모형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직 간 협력모형은 정부-대학-고교 간의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따라서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협력적으로 업무를 이행함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 향후 입학사정관제의 운영에 관한 정책 수립 시 유용한 정보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조직 간 협력모형은 입학사정관제의 운영뿐만 아니라 평가에 있어서도 평가준거로서 활용 가능하다. 조직 간 협력모형을 통해 입학사정관제의 운영지침과 평가준거가 일치를 이룬다면, 평가 활동 및 결과가 제도의 개선과 발전에 효과적으로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 L.v. Beethoven의 <피아노 소나타 30번(Op. 109)> 연구

        정다운 고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고전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교향곡, 협주곡, 성악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약 1500여곡의 작품을 남겼으며 그 중 피아노 작품은 약 350여곡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피아노 작품으로 손꼽히는 피아노 소나타는 32곡으로 되어있으며 1793년부터 1822년까지 약 30년에 걸쳐 작곡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베토벤의 작곡 방식을 잘 알아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토대로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들을 살펴보고 특히 피아노 소나타의 특징을 초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자세히 연구했다.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에서는 고전시대의 소나타 형식이 완성되었고 중기 소나타에서는 전형적인 소나타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이 나타나며 후기 소나타에서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이 반영되었는데 특히 낭만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본 논문의 주제인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0번(Op. 109)>은 5곡의 후기소나타 중 세 번째 작품으로 고전시대 말인 1820년에 작곡되었으며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곡에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이 나타나는데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낭만시대의 음악적 특징만을 강조했다면 본 논문에서는 낭만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바로크와 고전시대의 음악적 특징들도 함께 연구하였다. 우선 이 작품은 전 악장에 걸쳐 독립적인 성부 진행을 중시하는 대위법적인 선율이 나타나며 특히 3악장에서는 푸가, 캐논, 바소 콘티누오 등의 바로크적 기법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이 곡은 각 악장의 빠르기가 빠름-느림-빠름의 일반적인 소나타 악장배열에서 벗어나 빠름-빠름-느림의 배열을 가졌으며 그 중 3악장에는 소나타에서 잘 쓰이지 않는 변주곡 형식이 사용되어 고전 소나타의 외적인 틀을 벗어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각 악장을 개별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1, 2악장은 소나타 형식, 3악장은 변주곡 형식을 사용하여 모두 고전시대의 음악 형식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낭만시대의 음악적 특징으로 베토벤은 곡 전체의 감정이나 분위기까지 악보 상에 지시하며 주관적인 감정을 표현하였고 다양한 빠르기나 급격한 강약의 변화로 곡에 즉흥적인 요소를 가미하였으며 많은 임시표와 폭 넓은 음역대의 사용으로 새로운 음향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악장의 비중을 살펴보면 1악장을 강조하던 고전시대의 피아노 소나타와는 달리 3악장에 가장 큰 중점을 두었다. 또한 1악장과 2악장 사이, 3악장의 제 2변주에서 제 6변주 사이에 아타카 기법을 사용하고 3악장의 주제와 변주의 마지막 부분에 으뜸화음(Ⅰ)이 약화되어 종지효과가 감소되면서 곡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는 효과를 주었다. <피아노 소나타 30번>은 베토벤의 중요한 작곡기법 중 하나인 순환형식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음형분석을 통해 각 악장의 선율을 분석한 결과 전 악장이 기본음형을 바탕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피아노 소나타 30번>은 고전시대의 기본적인 음악형식의 틀을 갖추면서도 바로크시대와 낭만시대의 음악적 특징까지 잘 조화되어 있어 세 시대의 음악적 특징이 모두 나타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 베토벤이 음형을 다루는 방식은 짧은 동기나 음형이 발전되는 바로크적 기법, 주제 선율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고전적 방식, 음형이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낭만시대의 순환형식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베토벤만의 전시대적인 기법이 사용되었다고 하겠다.

      • 대학연구성과물의 특허권에 관한 고찰

        정다운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C를 지식정보화시대라고 일컫는 바와 같이, 새로운 기술을 창출하고 그 성과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시대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80년대부터 특허권을 중시하여 그 경쟁력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국제적으로도 특허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이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손해배상도 엄청난 금액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세계 각국에서도 WTO와 TRIP협정을 받아 들여 특허권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도 특허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성과를 가치 있는 특허권으로 권리화 하며 그에 대한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우리나라의 대학은 연구개발 비용에 대한 막대한 자금지원을 받고 있으며 많은 우수한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학문영역에서는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만큼의 연구성과물을 창출해내지 못하고 있으며 또 이를 권리화 하고 사용하는데 상당히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비하여 미국, 일본 등 일부 선진국의 경우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대학 연구성과물의 실시와 양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운용하고 있다. 정부가 자금을 제공한 대학연구성과물의 특허권 활용의 모범으로는 1980년대 초반부터 관련 입법을 정비한 미국의 예를 들 수 있다. 미국은 1980년 기술혁신법(Technology Innovation Act 일명 'Stevenson-Wydler Act')과 대학및중소기업특허절차법(University and Small Business Patent Procedure Act 일명 'Bayh-Dole Act')를 제정한 이래 정부지원 대학연구성과물의 민간부문으로의 기술이전이 급속히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국가산업발전 및 경쟁력의 제고에 절대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일본은 미국의 이러한 성공을 거울삼아 관련 법제도의 정비를 위한 연구, 조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학술연구가 특허권 취득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학술연구를 통하여 유용성 있는 과학기술 기반을 제공하고, 학술연구진흥의 관점에서 연구자의 연구성과가 발명과 특허로 결실을 맺고 그 사용이 활성화됨으로써 대학의 연구활동 자체를 촉진하고 다시 발명을 왕성하게 하는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연구성과물의 특허권 관련 3주체(발명자, 자금제공자, 대학)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권리·의무 관계를 규명한 후, 특허권의 귀속을 명확히 하고, 향후 대학연구성과물의 특허권 사용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연구성과물 특허권의 기본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대학연구성과물의 특허권 관련 3주체(발명자, 자금제공자, 대학)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률관계를 고찰하였다. 대학연구성과물의 특허권 실시와 양도 현황을 살펴보면 그 활용은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을 선진국(미국, 일본 등)에서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알아보았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대응 될 수 요소들을 찾아보았다. 최근(2001. 12. 10) 특허법과 기술이전촉진법이 개정되어 국·공립대학도 정부지원 대학연구개발성과물의 특허권을 보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 법인 형태의 기술이전전담기구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공립대학에 투입되는 인구개발예산이 국가 전체 연구개발투자의 4%(99년, 5744억원)에 이르고 있음을 감안할 때 종래의 국·공립대학의 특허출원, 등록실적 저조와 대학연구성과물이 특허로 보호받지 못하고 사장되고 있다는 등의 지적이 상당부분 개선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의 취지가 제대로 살아나기 위해서는 미국의 입법례에서 살펴보았던 것처럼 보다 정체한 입법적 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특허권을 국공립대학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일정범위 안에서는 권리 자체를 국유로 하거나 그 독점 배타성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및 정부의 감독권 내지 개입권이 필요하며, 정부지원 대학연구성과물의 의무적인 연구결과 발표와 일정기간 내에 대학이 보유한 특허권을 실시하여 현실적으로 기술이 유통될 수 있도록 강제하고, 특정인과의 불공정거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건이 구비된 경우 대학이 실시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국가가 개입하여 강제실시를 명할 수 있도록 하고, 강제실시를 명하였음에도 대학이 이를 이행하지 않을 때에는 국가가 대학이 보유한 특허권을 환수하는 조치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학 특허사용의 질적인 향상을 통한 직무발명 논란을 줄여야 할 것이다. 특허출원 및 유지를 위해서는 개인이 감당하기에 어려운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현재 개인적으로 특허를 소유하고 있는 대학교수들 중에서 특허기술의 이전을 통한 로얄티 수입을 얻는 경우는 별로 없으므로, 대학의 특허사용의 질적인 향상을 통해 자연적으로 대학을 통해 특허출원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As the 21st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is century asks us the new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in every part of society. In this respons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ad realized the importance of a patent right in early 1980s and has made much effort to develop and reinforce the area of a patent for the future competitiveness. As the number of disputes concerned with patent has risen and damages has incredibly increased, the International concern for a patent right is elevated. Most countries accepted the agreement of WTO and TRIP and developed the patent law.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Korea should understand the urgent need of recognizing importance of a patent related area and explore the ways to protect the ownership through the law and activate the regulation nationwide. The universities in Korea have been supported in their demands for enormous expense of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ontain excellent work forces. Nevertheless, the universities have not met the demands of society to produce valuable work and are insufficient to protect their works by law. In comparison with Korea, some high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Japan have already settled the legal system to utilize and activate university research work and put in practice. For example, USA established Technology Innovation Act (Stevenson- Wydler Act) and University and Small Business Patent Procedure Act (Bayh-Dole Act) in 1980. This acts have facilitated the technology transfer from government -supported-university-work to private section, which contributed to the national industrial advance and strengthene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Considering the successful case of America as an example, Japan gives an impetus to improving laws and researching. Although the academic research and development in university do not directly aim to obtain patent right, the legal system to regulate and protect university research work can offer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facilitate research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production by giving researchers ownership of their works and ensuring their patent righ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rights and the obligations of the three subjects(inventor, supporter, university) who are related with a university research work, clarify the ownership of the patent right, and inquire into the way of facilitating the legal system for the patent right of a university research work. In connection with this purpose, I review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atent right of a university research work, and examined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ree subjects(inventor, supporter, university) who are related with university research work. The application of university research work to patent right system is very limited in Korea, and I gave examples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Japan for us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legal system of university work. On December 10, 2001, Korea has revised the Patent Law and the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Law to enable national or public universities to obtain the patent right of their university research work. The law regulates the establishment of a organization which is wholly responsible for the technology transfer. Considering that the budget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lloted to national or public universities reaches 4% of national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national or public university's low rate patent application would rise and the problem of existing unprotected university research works would be improved. In order for these laws to fulfil its function, it should be supported by elaborate legislative system, as the examples of USA's legislation show. Although the patent right is given to national or public universities, the right itself is necessary to be made to belong to government within certain extent, and a safety device such as government's march-in right and supervisory right is necessary to prevent universality's monopolized exclusiveness. There should be regulations that make a university present the result of the governmental aided research and work periodically, and licence after a certain period in order for the technology to be circulated in practice. In case that a university denies to licence on the basis of its own regulation that is established to prevent the unfair trade, the government should have march-in right and order the university to licence. If the university still resists government's order, the government could take an action to retrieve the patent right from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adverse criticism about work for hire through improving patent related legal system. Considering that the process of the patent application and the management of it needs enormous expense that is unbearable to one individual and there is few case for a professor who has a patent right to make a profit through its royalty, there should be a policy to lead a individual inventor to apply a patent right through a university by improving patent related legal system.

      • 선거조사 설문 내용과 형식에 관한 비교연구 : 한국과 미국의 설문지를 중심으로

        정다운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미국 선거조사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조사에서 필요한 설문 문항의 내용과 형식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로는 2002년 우리나라의 대통령 선거와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사용된 설문을 사용하였고 공간적 범위로는 주로 정치 선진국으로 알려진 미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선거 설문조사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선거와 관련된 문헌조사를 하여 선거 조사에서 필요한 문항을 선택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를 선행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선거 조사와 관련된 설문지를 수집해서 1. 유권자의 배경 변수에 관한 설문 문항, 2. 유권자 속성에 관한 설문 문항, 3. 유권자 정책 입장에 관한 설문 문항, 4. 후보 선택에 관련된 설문 문항, 5. 후보자 특성에 관련된 설문 문항, 6. 시대적 상황에 관련된 설문 문항, 7. 기타 설문 문항으로 나누어 우리나라와 미국의 설문 문항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선 설문조사의 규모와 설문지의 분량에서 엄청난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내용 면에서는 우리나라의 경우에 거의 모든 문항에서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문항만이 존재하는 반면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 단계별로 나누어 물어본다. 이러한 차이의 근본은 설문조사에 들어가는 비용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2002년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조사에서는 여성 관련 질문과 공명선거에 관련된 질문이 많았다. 이는 설문 조사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한국여성개발원의 후원을 받아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반면에 미국은 국가과학재단의 풍부한 자금 지원에 힘입어 주요 선거가 있을 때마다 여러 분야의 학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방대한 설문지 작성과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선거 기간의 경우 많은 국민들이 정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자신들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국가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나 선호를 조사하여 사회과학연구의 기초가 되는 자료를 축적하기에 좋은 시기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연구재단과 같은 공익적 기능의 단체로부터 연구 지원을 받아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선거조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tents and forms of election survey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includes temporally and spatially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02 and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in 2008.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relevant literature related to the election surveys in order to choose the required items analyzed in the previous theoretical discussions. Secondly, We proceed the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following items contain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surveys: 1. Questionnaires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voters, 2. Questionnaires on the voter properties, 3. Questionnaires on the policy positions of the voters 4.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candidate selection, 5.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candidate attributes, 6.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s, 7. Other items. As a result of this study, enormous disparities existed in the scale of surveys and the amount of questionnai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ase of Korea, almost all questions were directly asked in terms of information, while in the United States, there were several steps in questioning.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urveys were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cost of surveying. In 2002, there were many questions concerning women and clean elections in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survey, sinc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Women Development Institute alloted some amount of money for this survey. On the other hand, in America, the America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funded a lot of money for writing questionnaires, let alone practical surveying. During election periods, a great many people have a lot of interest in politics and express their opinions actively. Therefore, these periods are best times to accumulate data fundamental to the social science research by examining and evaluating voter's preferences on national policies. Considering this, we need to have a lot of election surveys in order to ascertain what public opinions of voters really are.

      •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정다운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애착유형과 청소년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관계가 학교급과 성별, 성적, 부모와 동거여부, 부모벌이 형태, 형제 수, 컴퓨터 위치간의 차이에 어떠한 상호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는데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청소년 애착유형과 인터넷 중독에 각각 3개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었다. 애착유형은 친밀애착(안정적애착), 불안애착(양가적애착), 의존애착(회피적애착)으로 나누었으며, 인터넷 중독의 하위영역은 인터넷 집착, 사회적 고립, 인터넷 중독으로 하위영역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의 중·고등학교 남녀학생 각각 1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애착관련 문항 18문항, 인터넷 사용 관련 질문 34문항과 일반환경에 관한 질문9문항으로 총61문항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부터 청소년 애착유형과 청소년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가 있는지, 애착유형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 인터넷 중독의 평균이 학교급, 성별, 성적, 부모와 동거여부, 부모별이 형태, 형제 수, 컴퓨터 위치간 차이가 있는지, 인터넷 중독에 대한 애착유형의 영향이 학교급, 성별, 성적, 부모와 동거여부, 부모벌이 형태, 형제 수, 컴퓨터 위치에 따라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분석 프로그램은 SPSS 17.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집착의 결과를 보면, 친밀적 애착의 인터넷 집착 점수가 가장 낮았고, 불안정 애착의 인터넷 집착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것으로 보아 인터넷에 집착하는 청소년의 친밀적 애착유형의 청소년들이 집착을 덜 했으며, 불안정 애착유형의 청소년들에게 친밀적 애착유형 즉, 안정적 애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의존적 애착유형에 따른 사회적 고립 평균이 성적이 높은 점수의 평균이 가장 유의미하게 높았다. 청소년들의 인터넷에 대한 사회적 고립 정도가 사회성이 부족한 의존적 애착 청소년들에게 높게 나타난걸 알 수 있다. 이것은 타인과 주변과의 단절고 고립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고립과 의존적 애착과 같으며, 방어기제, 사물을 의지하고 분리의 고통을 숨기고, 친밀감을 덜 추구하며 개인적 정보노출을 꺼리는 의존적 애착(회피적)의 형태로 인터넷 집착이나 중독에서와 다르게 사회적 고립이라는 영영과 유사한 의존적 애착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의존하는 성향이 같으며, 요즘 사회의 핵가족형태나 이기주의적 사회형태가 청소년들에게까지 내려오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셋째, 인터넷 중독의 결과 친밀적 애착의 인터넷 중독 점수가 가장 낮았고, 불안적 애착의 인터넷 중독 점수가 가장 높았다. 집착과 중독까지 불안정 애착의 인터넷 점수가 가장 높았는데, 중독은 심리적 의존이나 생리적 의존을 의미한다. 애착이라는 것은 타인과 외 다른 어떤 것과의 관계 즉, 애착을 형성하는 것인데, 불안정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에 점수가 가장 높고 친밀적 애착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아 인터넷 중독의 청소년들에게 안정된 애착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인터넷 중독의 평균이 학교급, 성별, 성적, 부모와 동거여부, 부모별이 형태, 형제 수, 컴퓨터 위치 간 상호작용을 이루는가에 대한 결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인터넷은 반드시 필요한 것임에 틀림없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활동성을 보장 받게 되었으며, 다양한 상품의 구매 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무절제한 사용은 오히려 새로운 사회적 문제점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올바른 가치관과 정체성의 정립이 되어있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그러한 인터넷 사용에 관한 문제점에 많은 부분 노출되어 있으며, 성인에 비해 더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청소년기의 애착형성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주변 사람과의 올바른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번 연구의 결과가 그러한 문제점 해소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전 지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전국적인 확대를 통한 일반화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대상의 수준을 고려하지 못한 측정도구의 사용으로 연구대상의 이해도가 떨어졌으며, 그로인한 연구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난이도 조절을 통해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