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화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및 발전 방안 연구 : 지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정다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에 의해 나타난 고령화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문화재단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역할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세기 이후 의학의 발전과 영양상태의 개선 등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년의 삶에 관심이 증대되면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남은 인생을 행복하고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한 욕구는 교육수준과 건강상태, 혹은 가족관계 등 개인적인 요건에 따라 편차가 있겠지만, 창의성과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신장⋅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고령인구를 위한 새로운 문화를 양성하고 그들의 고립감과 우울, 그리고 그로 인한 노후질병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사회 공동체에 기여하거나,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현재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정책을 살펴보았다. 둘째,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실태와 문제점을 짚어보고 문화예술교육의 역할 및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최근 지방자치단체와 광역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지역문화재단의 현황과 기능을 살펴본 후, 그 중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문화재단 4곳을 선정하여 중⋅장년층 및 노년층 관련 문화예술교육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지역주민과 지역문화재단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및 담당자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미국, 독일, 일본 3개국의 해외 관련 사례들을 탐색하고 지역문화재단에서 우리나라 고령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문화재단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고, 그들이 문화예술을 즐기고 경험하며, 나아가 우리 사회의 발전과 고령화 사회의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centered around local culture foundations and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for them based on study finding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ging society caused by the extension of human life expectancy. Since the 20th century, deman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with increased interest in elderly life as the average life span of humans exte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al science and improvement of nutritive conditions. The desire to spend the rest of one’s life happily and meaningfully varies depending on one’s personal requirements, such as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family relationships. However,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can continuously expand and develop creativity and sensitivity, can foster a new culture for the elderly population and reduce their isolation, depression, as well as illnesses caused by isolation or depression.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can form communities to contribute to the social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policy of curr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examined. Second,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elderly population in Korea were addressed, and the role and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confirmed. Third, after reviewing the status and functions of local culture foundations, which are rapidly growing around local governments and metropolitan cities, four local cultural foundations that are actively operating were selected to explore how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middle age and elderly people are being operated. Fourth,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residents, participants and persons in charg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local culture foundations to investigate their opinions. Fifth, related case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USA, Germany, and Japan were studied and future direc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momentum for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t local culture foundations and contribute to helping the elderly enjoy and experience culture and art and actively be involved in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nd issues concerning aging society.

      •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

        정다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기질이라는 선천적인 특성과 유아 편식과의 관계, 환경적인 요인인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가 유아의 편식에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하고 적합한 편식 지도를 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기질과 유아 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유아 기질의 하위 5가지 범주(활동성, 접근-회피성, 적응성, 반응강도, 기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유아 기질 유형(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과 유아 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 기질 유형(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에 따른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인천, 대전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고, 설문조사는 2019년 1월 14일부터 2019년 2월 8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활용한 설문지는 식품군에 대한 편식 체크리스트는 최명주(2002)가 개발한 검사를 본 연구자가 송미옥(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 체크리스트는 유아 편식 체크리스트와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 기질 도구는 Thomas와 Chess(1977)가 뉴욕 종단 연구에 근거하여 Korn(1977)과 함께 개발한 검사 도구를 김용희(1991)와 김성민(2001)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목적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 산출, t검정 그리고 상관성을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의 하위 5가지 범주인 활동성, 접근-회피성, 적응성, 반응강도, 기분기질과 유아의 편식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활동성과 반응강도가 높은 유아일수록 대부분 모든 식품군에서 편식 수준이 높게 나왔다. 그리고 순한 기질 유아와 까다로운 기질 유아의 유아 편식 점수를 비교한 결과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 편식 점수는 김과 우유 및 유제품 식품을 제외한 모든 식품군에서 3점 이상으로 나타나 편식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식품군에 대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유아는 편식 수준이 낮아져 편식을 하지 않으며 골고루 잘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기질 유형(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에 따른 어머니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순한 기질의 유아보다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가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에 더 영향을 받으며,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는 식품에 대한 어머니의 기호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편식 수준이 낮아져 모든 음식에 대해서 골고루 잘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유아 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순한 기질을 가지고 있는 유아일수록 편식 수준이 낮았고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일수록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가 식품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선천적 특성인 유아의 기질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어머니가 식품에 대한 관심을 높임으로써 유아가 다양한 식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개항후 대외기구 개편과 거류 일본인 대책

        정다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876년 「조일수호조규」(이하, 「조규」)가 체결되어 단절되었던 조일통교가 재개되었고, 조선 정부는 「조규」 체결을 종래의 왜관교린체제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조규」에 의한 조일통교는 영사재판권 · 미곡수출 · 무관세를 보장하고 있었으며, 거류 일본인들은 일본 정부의 직접 외교 관할 아래 상업 활동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조규」에 의한 조일관계의 인식 차이는 미곡의 무관세와 일본으로의 유출 문제로 이어졌고, 이를 시정하기 위해 조선 정부는 1878년의 두모진에 해관을 창설하고 조선 상인에게 수세를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두모진 해관은 일본의 거센 반발로 바로 철회될 수밖에 없었고, 이후, 1879년부터 조선 정부는 일본 정부와 직접적인 교섭을 통해 해관세 문제 등을 교섭하고자 하였다. 조선 정부는 김홍집과 · 영선사 · 조사시찰단 · 조병호를 파견하여 청과의 외교관계 및 시찰을 통해 해관세 개정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일본 정부와의 직접 교섭은 일본 측의 거부로 좌절되었고, 결국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여 미국과 관세 협정을 맺은 뒤에야 1883년 일본과 「조일통상장정」을 통해 일본 무역과의 해관세를 징수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조선 정부는 조일교섭을 진행하면서 청과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고 공법적 대외인식을 체득하게 되었고, 1880년대 전반부터 만국공법적 균세 외교를 지향하기 시작하였다. 1880년 12월, 청의 총리아문을 모방하여 統理機務衙門을 설치하여 12司를 설치하였으며, 이후 1881년 11월에 12司는 7司로 개편되었다. 통리기무아문의 개편에서 외교업무를 담당한 事大司와 交鄰司는 同文司로 통합되었는데, 이것은 교린을 중심으로 하는 대일인식에서 벗어난 것이었다. 그러나 임오군란이 발발하면서 조선 정부가 지향했던 균세 외교는 흔들리게 되었다. 통리기무아문은 대원군에 의해 폐지되었고, 임오군란 이후, 조선 내 청의 외압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혁 기구가 친청세력인 김윤식과 어윤중을 중심으로 재편되었기 때문이다. 임오군란 이후, 의정부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조선의 근대 개혁 기구는 통리내무아문과 통리외문아문으로 이원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內政을 담당하는 통리군국사무아문(내아문)과 외교 · 통상 업무를 담당하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외아문)으로 개편 되었다. 갑신정변 이후, 원세개를 중심으로 친청세력이 강화되자 고종과 민씨 세력들은 내아문을 의정부로 이관하였고, 內務部라는 기구를 통해 친청세력이 장악하고 있던 외아문을 견제하고자 하였다. 내무부는 외국인 고문을 통해 차관도입을 시도하였으며, 1887년에 외아문의 직제를 개편하여 외아문이 갖고 있던 외교 · 통상 업무를 제외한 업무를 내무부로 이관하였다. 특히 외아문 직제 개편 후, 외아문의 고유 권한이라 할 수 있는 주미공사파견을 내무부가 독자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내무부의 시도는 외아문의 외교 업무가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한편, 1883년 조선에 해관이 창설되기 시작하면서 외아문 소속으로 개항장에 감리서가 설치되었다. 감리서는 1887년 외아문의 직제개편 이후에도 여전히 외아문 소속이었으며, 감리서의 주요 업무는 해관에 관한 사항을 외아문에 보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감리서의 감리는 독자적인 지위로써 형성되지 못하였다. 1883년에 최초로 개항장에 감리가 파견되었지만, 1885년 이후, 지방 수령인 府使가 감리를 겸직 상태가 지속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리는 기존의 지방 府使의 역할을 겸직함으로서 해관 업무와 함께 지방 행정관으로서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거류 일본인 관련 업무의 경우, 폭행 사건이 많았는데, 이때 감리서에서는 일본 영사에게 공법에 걸맞지 않는 행동이라며 반박하였다. 또한 개항장에 질병이 발생하면, 백성들에게 효유하여 거류 일본인과의 왕래를 저지하거나, 조선인이 거류 일본인의 거주지인 일본전관조계 내에서 萬人契와 같은 도박을 하지 못하도록 감독하였다. 그러나 거류 일본인의 활동은 「조규」에 의해 보장되고 있었기 때문에 감리서의 역할은 일반적인 행정 업무 보고와 지방관의 역할에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조선의 중앙 행정기구가 의정부 · 내무부 · 외아문의 삼권병립의 형태로 존재하며 견제하고 있는 가운데 각 부서의 업무들이 독자화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화는 개항장 거류 일본인 활동의 근거 및 보장이 되는 「조규」의 개정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결국 감리서의 거류 일본인 대책은 일반 행정 업무 처리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form of foreign organizations and Japanese settlement practices of Gamriseo in regards to group dynamics of Japanese settlers in Chosŏn government. In 1876, severed Korean and Japanese relations were re-established by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KangHwa. The Chosŏn government considered The Treaty of KangHwa as a traditional Waegwan System. However, Korean and Japanese relations under The Treaty of KangHwa differed from the existing system. The Treaty of KangHwa included Consular jurisdiction, Rice exports and customs-free clauses, and commercial activities of Japanese settlers were guaranteed by direct-effect foreign jurisdiction of Japanese government. Commercial activities of Japanese settlers developed favorably under Consular jurisdiction and Rice exports clauses of The Treaty of KangHwa, and This became a serious problem during the Chosŏn era. To correct this, the Chosŏn government attempted to negotiate customs-free and other issues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from 1879. However, this effort was frustrated by Japan’s refusal, and the Chosŏn government could not collect customs fees on Japanese trade until 1882 when they signed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an agreement on trading tariffs with America. Since the 1880s, the Chosŏn government had restructured foreign organizations into T`ongni Kimu Amun and T`ongni Kyosub Tongsang Samu Amun(Oeamun) and endeavored to manage Japanese settlers at open ports by Gamriseo, which was a part of the foreign organizations. Gamriseo was also in charge of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ve work as well as the maritime customs. However, Gamriseo could not directly punish Japanese settlers who caused troubles as Consular jurisdiction of the Korea-Japan Treaty continued. They were only able to file complains about these issues to the Japanese consul. In other words, Gamriseo failed to establish itself as an independent agent, and the politics of the Chosŏn era in the late 1880s was fragmented. The system was ‘compatibility of the three powers’; Euijeongbu office was the highest administrative office; Oeamun was in charge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Naemubu, with king Kojong as the center, was in charge of the palace office. The work of each department was interdependent and fragmented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political power. In this situation, Gamriseo had no choice but to deal with issues of Japanese settlers at a working level, and the Chosŏn government could not reach the level of a Treaty Revision, which could have fundamentally rectified Consular jurisdiction of Japanese settlers.

      • 일본 하세데라(長谷寺) 십일면관음보살상 연구: 도상과 모각을 중심으로

        정다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본 하세데라(長谷寺) 십일면관음상의 도상적 특징과 의미를 재검토하고 모각상模刻像과 관련한 제문제를 살핀 것이다. 하세데라 관음상은 일본에서 오랜 시간 널리 숭배됐고 이에 따라 많은 모각상이 만들어진 중요한 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세데라 관음상에 대한 연구는 일본에서도 미진했으며 따라서 국내에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조금씩이나마 진행된 연구는 주로 상이 들고 있는 석장의 상징적 의미와 도상의 형성 시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연구는 실제 하세데라 관음 신앙의 내용과 거리가 있다. 모각상에 대한 연구도 주로 원상의 도상을 따른 상의 개별 작례를 소개하는 데에 그쳤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된 기록 자료와 시각 자료를 통해 도상과 모각상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제시하고 조명했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하세데라 관음상의 연원을 밝혔다. 우선 소실된 원상原像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하세데라 관음연기觀音緣起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원상의 제작 연대, 크기, 재료, 불사佛師, 발원자, 제작 목적, 도상에 대한 내용이 서로 다른 기록에서 어떻게 기술되며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폈다. 초기 기록에서부터 하세데라 관음상은 720년대에 승려 도쿠도(德道)에 의해 후지와라(藤原) 가문의 후원을 받아 세워졌다 한다. 상은 약 7.8m에 해당하는 2장 6척의 크기였으며 도쿠도가 감득感得한 방형方形의 대좌 위에 세워졌다 한다. 이후의 기록에는 상이 불사 게이몬에(稽文會), 게이슈쿤(稽主動)에 의해 세워졌다는 내용이 추가됐다. 연기의 내용은 더욱 각색되어 상이 녹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천황가와 후지와라 가문의 번영을 기원하는 목적에서 세워졌다는 내용이 추가됐다. 이러한 연원을 가진 상은 영험상靈驗像으로 여겨졌고, 헤이안 시대와 가마쿠라 시대에 많은 참배객들이 하세데라를 참배했다. 그리고 연기를 시각화해 연기회권을 제작했다. 논문에서는 그러한 참배 양상과 회권에 나타난 상의 모습을 살폈다. Ⅲ장에서는 하세데라 상의 도상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우선 원상의 특징이 재건상再建像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기록을 통해 확인했다. 하세데라 상은 일곱 번의 소실과 재건을 거쳤으며 현재의 상은 무로마치 시대 1538년에 세워진 상이다. 이 장에서는 과거의 재건 기록에서 하세데라 관음 도상의 대표적인 특징인 석장에 대한 기술이 실재 여부와는 무관하게 누락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그에 반해 도쿠도가 감득했다는 방형 대좌는 계속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석장과 대좌에 대한 이같은 태도는 하세데라 관음연기에서도 그대로 나타나, 신도들이 석장 보다 대좌를 더 중시해왔음을 알 수 있다. 석장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상징이기보다 다른 십일면관음상과 하세데라 상을 구분하는 외형적 특징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석장이 하세데라 상을 대표하는 지물이 된 것은, 가마쿠라 시대에 하세데라 관음이 일반적인 관음 이미지로 차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으로 보인다. Ⅳ장에서는 하세데라 상의 모각상들을 살펴보았다. 학자들은 하세데라 상의 모각상을 다양하게 정의하는데, 이는 하세데라 상 신앙이 복잡하게 발전했던 것과 관계가 깊다. 이 장에서는 하세데라 원상의 도상을 따른 소위 ‘하세데라식式’ 상을 원상의 모각상으로 보되, 그 외 다른 형태의 모각상이 남아있을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그리고 도상 외의 또 다른 측면인 크기, 전설, 봉안 장소 등의 요소에 주목해 모각상을 살폈다. 이를 통해 하세데라 상의 모각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졌음을 살폈다. 본 논문은 하세데라 관음상을 다룬 국내 첫 논문이다. 논문에서는 하세데라 상과 관련된 시각자료로 하세데라식 상, 연기회권, 차도差圖, 삼십삼소만다라三十三所曼茶羅, 관음화상, 현불懸佛 등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를 다루고자 했다. 여기서 다룬 하세데라 관음 이미지는 현재 보고된 이미지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기록자료 역시 풍부하게 남아 연기와 영험담과 같은 설화, 일기와 기행문, 역사서, 지리지 등 다양한 기록이 전하고 있다. 하세데라 상은 다양한 미술사적 주제에서 접근할 여지가 많은 상이다. 본 논문을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사례가 조명되고 차후 더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게 되길 바란다.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the iconographical feature of the Eleven-Headed Avalokiteśvara of Hasedera(長谷寺) and an examination of the questions regarding the replication. Hase Kannon(長谷觀音) has been worshipped widely for an extensive period, thus serving as the origin of many replicas. Despite its importance, however, studies on the Hase Kannon have been rather sparse in Japan, and as a result, are virtually unknown in Korea. The small amount of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khakkhara and the period surrounding its iconographic formation are topic unrelated to the actual content of the sculpture’s worship. Studies on its replicas have mostly focused on introducing the individual examples of replicas. This paper utilizes textual and visual materials related to the Hase Kannon to shed light on several question regarding its iconography and replication. Chapter Ⅱ discussed the origins of the Hase Kannon. The chapter examined the basic materials regarding the lost original via the Hasedera Kannon Engi(長谷寺觀音緣起). Through that, it sought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ext describe the details of its creation, such as the date, size, materials, sculptor, commissioner, the iconographical features of the sculpture, and how these details differ from each other. Early text point to the monk Tokudō(徳道), sponsored by the Fujiwara(藤原) Clan, as the one who oversaw the creation of the sculpture in the 720s. The sculpture was 2 jō(丈) and 6 shaku(尺), equivalent to 7.8m, and erected on square pedestal that Tokudō had divined. Later text add that the sculpture was created by Keimon’e(稽文会) and Keishukun(稽主勲). Then, further elaborations provided in the Hasedera Kannon Engi claim that the sculpture was made from a camphor tree(楠) and dedicated to the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and the Fujiwara Clan. The sculpture was thus considered a miraculous sculpture, and many worshipers visited Hasedera during the Heian and Kamakura Periods. Hasedera Kannon engi was also written into Emaki(繪卷). This paper examined the forms of worship dedicated by the followers and investigated the sculpture’s appearance on Emaki. Chapter Ⅲ is dedicated to the examination of the Hase Kanon’s iconographical features and the questions thereof. Historical text were used to verify that the origin’s characteristics appear continuously over the sculpture’s reconstruction. Hasedera Kannon underwent seven losses and reconstructions, and the sculpture surviving today is the one erected in 1538, during the Muromachi Period. Furthermore, textual material of reconstruction did not feature any descriptions of the Kannon’s khakkhara,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 regardless of its presence. Conversely, the square pedestal said to was divined by Tokudō remains a vital part of the sculpture’s description. These differences in attitudes are also reflected in the Engi, where worshippers are said to have considered the pedestal more valuable than the khakkhar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hakkhara was considerd not as a symbol with a particular meaning but, rather, as a feature of its appearance that distinguished the Hase Kannon from the other Eleven-Headed Avalokiteśvara. Chapter Ⅳ examines the Hase Kannon’s replicas. Definitions of the replicas considerably vary among scholars, reflecting how the worship of the object has developed in complex was over time. This chapter defines the Hase Kannon’s replica as the reputed Hasdera-type sculptures while opening the possibility of other forms of replicas until the present day. The replicas were studied in terms of elements other than their iconographical significance, namely, their size, legend, and location. From these results, the diverse facets of the Hase Kannon’s replication were examined. This paper is the first Korean paper to examine the Eleven-Headed Avalokiteśvara of Hasedera. It sought to inspect a diverse range of images, from Hasedera-type sculptures to the Engi Emaki, The images examined represent only a part of those presently reported. There is also a plethora of other forms of records, from folktales such as the Hase Kannon Engi to reports and worshipper essays, historical documents, and geographical texts. Hase Kannon certainly warrants a diverse range of approaches from different perspctives in art histor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paper can shed light on a case hitherto under-examined, catalyzing more diverse studies on the Hase Kannon.

      • 필라테스 리포머운동이 성인여성의 골반불균형에 미치는 영향

        정다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의 신체는 안정성을 위해 균형과 대칭을 이루고 있지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균형과 대칭을 이루지 못한 경우가 있다. 현대인의 생활 습관 때문에 생긴 ‘의자병(sitting disease)'이라는 질병의 신조어가 생길정도로 현대인들의 좌식생활은 시간이 길어지고 오래앉아 있으면서 좋지 않은 자세습관 때문에 신체의 중심부의 근육손실 일어나게 되어 골반 불균형을 초래 하게 된다. 골반의 불균형이 있는 사람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에 영향을 미쳐서 상지 전체의 자세에 영향을 끼치고, 하지는 다리와 고관절에 영향을 준다. 영향을 받게 된 고관절은 하지 길이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고 무의식적으로 반대쪽 골반과 비교적 상승되어 있는 골반의 다리를 무리하게 사용되게 되어 골반 내 근육을 과 긴장상태로 만들어 생식기 기능과 배설기능이 저하되고 내장과 연관된 통증까지 유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리포머 운동을 통해서 성인여성의 신체균형을 회복하고 골반의 구조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는 무릎, 발목에 손상이 없고, 수술 경험도 없는 20-30세의 여성으로 하지 정렬분석 측정하여 기능적 다리길이와 실재 다리길이를 검사하여 좌·우 길이가 다른 대상자들이 8주동안, 주 2회, 60분 수업으로 진행후 다리길이의 변화, 한 다리 스쿼트(single leg squat)의 좌·우 다리각도의 차이가 줄어 하지 균형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알아봤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SPSS(21.0) 통계프로그램의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필라테스 리포머 운동전 기능적 좌·우 다리길이(M=1.14, SD=.33)는 운동후 기능적 다리길이(M=.24, SD=.07)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운동전 실재 좌·우 다리길이(M=1.51, SD=.83)는 운동후 실재 다리길이(M=.36, SD=.35)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한 다리 스쿼트의 좌·우 각도차이를 측정결과(M=12.13, SD=3.60)는 운동후 각도(M=2.50, SD=2.33)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따라서 필라테스 리포머 운동이 골반 불균형 개선과 다리길이 불균형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필라테스 운동을 하여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골반과 직접적으로 붙어있는 근육의 발달로 몸의 중심부(core)이 단련되어 파워하우스(power house)가 단단해진 상태로 엉덩이 관절, 골반, 체간의 코어 안정성 감소는 하체 손상의 잠재성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둔근이 강할수록 고관절의 균형 능력이 향상된다. 강화된 둔근은 신체를 수직방향으로 지탱하고 주요한 관절을 보호하고 안정시키고 역할하여 고관절의 균형을 맞춰 하반신의 발목 관절과 함께 신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본 연구는 필라테스 리포머 운동 전·후의 골반불균형 및 하지 길이 차이를 측정한 20-30대 성인여성이 올바른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바른정렬에 따른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human body was balanced and symmetrical for stability, but there were cases where balance and symmetry were not achieved due to various causes. This was a new disease of the disease called 'sitting disease' caused by the lifestyle of the modern people. Modern people's sitting life was long, and it causes long - sitting and poor sitting posture habits to cause muscle loss in the center of the body, resulting in pelvic imbalance. A person with a pelvic imbalance affects the normal flexion of the spine, affecting the posture of the entire upper limb, and affecting the legs and hip joints. The affected hips were exposed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legs, and the legs of the pelvis, which were raised relatively to the opposite pelvis, and used forcibly, causing the muscles in the pelvis to become tense and the genital function and excretion function to decrease. It can also cause associated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pelvis and restoring the adult body balance through the Pilates Reformer exercise. By targeting females aged in 20-30s without knee or ankle injury and no prior experience of surgery. Apparent method-funtional leg length and true method-funtional leg length were examined by an alignment analysis of the legs discrepancy. After 8 weeks and 60 minute lessons on twice a week, the change in leg length and the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leg angle with single leg squat were reduced,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balance improvement. Data were analyzed by SPSS(21.0) statistical program.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ilates Reformer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pelvic imbalance and also in improving the unbalance.

      • 숭고개념의 형성사 : 롱기노스에서 칸트까지

        정다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예술의 동력은 숭고라는 범주에서 나온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숭고는 오늘날 중요한 심미적 범주가 되었다. 오늘날의 예술이 아름다움이 아니라 숭고를 문제 삼는 까닭은, 숭고가 인간의 한계와 고통에 대한 사유이며 타자를 발견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숭고의 부활을 주도한 현대의 철학자들은 숭고를 재해석할 때 주로 칸트의 숭고이론을 불러오지만, 우리가 칸트의 숭고론만을 살펴보았을 때는 왜 숭고가 ‘부정적인 즐거움’, ‘불쾌의 쾌’, ‘고통에서 발생하는 즐거움’과 같은 형용모순의 쾌로 서술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그의 숭고론은 그의 독자적인 작업이 아니라, 거의 한 세기 내내 주목받고 여러 사람들에 의해 개념화되었던 이론에 질서를 부여하고 자신의 체계 속에서 심화시킨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근대에 숭고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불쾌의 쾌의 발견과 정당화의 문제’에 주목해 개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숭고라는 새로운 심미적 감정이 발견되고 개념화되는 과정을 중요 저자들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 개념의 형성과정을 전체로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장은 숭고 이론의 원형을 보기 위해 롱기노스를 다루고, 2장은 근대에 숭고를 부활시킨 부알로를 다룬다. 고전주의자 부알로는 ‘신구논쟁’의 전사라 할 수 있는 ‘서사시 논쟁’에서 자신의 주장에 대한 전거를 마련하기 위해 롱기노스에게 관심을 갖게 된다. 부알로는 롱기노스의 [숭고에 관하여]를 프랑스어로 번역하고 그것을 ‘신구논쟁’에서 활용함으로써, 롱기노스의 숭고 이론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켰다. 그는 롱기노스의 숭고를 수사학에서 해방시켜, 숭고를 수사학적 개념이 아니라 심미적 개념으로 만든다. 3장은 영국에서 숭고를 중요한 심미적 개념으로 이론화한 첫 번째 비평가인 데니스를 다룬다. 우리는 데니스를 통해 부알로에서 버크로의 이행 과정을 엿볼 수 있다. 그는 고전주의자 부알로가 거부했던 길, 즉 시에 기독교의 주제들을 도입하는 길을 적극 승인함으로써 숭고 개념에 새로운 길을 낸다. 그는 롱기노스가 말했던 위대한 사상이 곧 종교적인 관념들이며,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정념은 ‘공포를 동반하는 열광적인 정념’이라고 주장한다. 데니스와 더불어 숭고의 감정은 경이에서 공포로 변하게 되고, 숭고에 불쾌의 요소가 자리하게 된다. 4장은 버크의 숭고론을 다룬다. 버크는 데니스의 관점을 이어받아 그에게서 선취된 개념들에 근거를 마련한다. 그는 고통과 즐거움을 완전히 분리하고, 그로부터 ‘딜라이트’라는 개념을 만들어냄으로써, 숭고가 순수한 쾌가 아니라 고통과 관계하는 독특한 쾌의 감정임을 밝힌다. 또한 버크는 숭고의 원천이 왜 공포인지를, 신의 능력 또는 힘에 주목함으로써 해명하려고 한다. 그것을 위해 그는 숭고한 대상의 조건에 ‘크기’ 외에 ‘힘’이라는 조건을 새로 추가한다. 버크와 더불어 숭고의 감정은 고통과 관계하는, 불쾌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쾌의 감정이 되고, 숭고는 ‘크기’와 ‘힘’이라는 두 범주를 갖게 된다. 5장은 멘델스존의 숭고론의 변화 과정을 다룬다. 멘델스존은 1758년에 발표한 숭고에 관한 논문에서는 아름다움과 숭고를 구분하지 않았고, 숭고를 ‘순수한 쾌의 감정에 기초한 경탄’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후 버크에 대한 숙고를 통해 ‘불쾌의 쾌’의 가능성을 자신의 미학 체계 속에서 설명해 내기 위해 분투한다. 그는 버크의 숭고의 요소들을 일부 받아들이고 일부는 자신의 미학 체계 내에서 변형시켜, 1771년에 자신의 숭고론을 수정해 다시 출간하게 된다. 멘델스존의 숭고론의 변화 과정을 통해 우리는 독일 미학 전통에 영국의 이론이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6장은 칸트의 숭고론을 다룬다. [판단력 비판]에서 칸트는 숭고가 고통과 관계하고, 불쾌감이 동반된 부정적 쾌감이라는 버크의 숭고의 부정성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그 부정성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해명하면서 칸트는 숭고를 새로운 지평으로 옮겨놓는다. 그는 우리가 숭고의 경험에서 갖는 ‘불쾌의 쾌’의 본질이 감성적 존재로서의 자신의 한계에 대한 자각과 지성적 존재로서의 자신에 대한 환기에 있다고 설명한다. 우리는 현실에 대한 절망과 부정 속에서 비로소 내 안에 아직 도래하지 않은 것에 대한 희망과 긍정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Sublime has become an important aesthetic category today, as can be said that the motive power of modern art comes from the sublime category. The reason why art of today is not beauty but sublime matters is that sublime is a place of human limitation and suffering and a place to find others. Modern philosophers who led the renaissance of the sublime mainly recall Kant's sublime theory. But when we look only at Kant's sublime theor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y it is described as such the pleasure of an contradiction as ‘negative pleasure’, ‘unpleasant pleasure’, ‘delight from pain’. Because his sublime theory is not his own unique work. He organized and deepened in his system a theory that were noticed and conceptualized by many people for nearly a century. This paper aims to outlin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sublime concept in modern times, focusing on the ‘discovery of unpleasant pleasure and the problem of justification’.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conceptualizing the new aesthetic feeling of sublime through text analysis of important authors, and help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is concept as a whole. I deal with Longinus to see the archetype of sublime theory in Chapter 1. In Chapter 2, I deal with Boileau, who revived the sublime in modern times. The classicist Boileau is interested in Longinus to establish his authority on his argument in the epic debate, the prehistory of ‘the Old and New Controversy’. Boileau has sparked interest in Longinus's sublime theory by translating Longinus's "On Sublime" in French and using it in ‘the Old and New Controversy’. He frees Longinus's sublime from rhetoric and makes it aesthetical rather than rhetorical concept. In Chapter 3, I deal with Dennis, the first critic to theorize sublime as an important aesthetic concept in England. Dennis gives us a glimpse of the transition from Boileau to Burke. Dennis opens a new way to the concept of sublime by actively approving the path rejected by the classicalist Boileau, the way of introducing Christian themes to the poem. According to him, the great ideas that Longinus referred to are religious ideas, and the passions that these ideas provoke are ‘enthusiastic passions with fear.’ With Dennis, the feelings of sublime change from wonder to fear, and the element of discomfort is placed in the sublime. In Chapter 4, I deal with Burke's theory of sublime. Burke develops Dennis’s point of view. He completely separates pain from pleasure and creates the concept of ‘Delight’. In doing so, he reveals that sublime is not a pure pleasure, but a unique pleasure mixed with pain. Burke also tries to explain why the source of sublime is horror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wer or power of God. He adds a condition of power, in addition to size, to the condition of a sublime object. Along with Burke, the feeling of sublime become a feeling of negative pleasure related to pain, and sublime has two categories, ‘size’ and ‘power.’ In Chapter 5, I discuss the process by which Mendelssohn's theory of sublime undergoes change. In his 1758 paper on sublime, Mendelssohn did not distinguish sublime from beauty, and described sublime as ‘a wonder based on pure feelings of pleasure.’ Later, though, he tries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pleasant pleasure’ in his aesthetic system through his consideration of Burke. He accepts some of Burke’s elements of sublime, transforms some within his aesthetic system, and in 1771 revises his theory of sublime and republishes it. This process allows us to see how British aesthetic theories are incorporated into the German tradition. In Chapter 6, I deal with Kant's theory of sublime. In Criticism of Judgment, Kant begins with Burke's idea of ​​the negativity of sublime, which is that the sublime is an negative pleasure associated with pain. But explaining the essence of negativity, Kant shifts the sublime to a new horizon. According to him, the essence of the ‘unpleasant pleasure’ we have in the experience of sublime lies in the awareness of ourselves as emotional beings and, at the same time, as intellectual beings. In despair and denial of reality, we are conscious of hope and affirmation of what has not yet arrived in me.

      • 계획된 행동이론 변인과 기술규범 및 가족음주력이 대학생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다영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ollege drinking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in spite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programming. College students have been found to drink more heavily and frequently than others. And heavy drinking may lead to academic problems, criminal behaviors, injuries and dea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jzen'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s variables, descriptive norms and family history of alcohol problems,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behavior which includes quantities and frequencies of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5 undergraduate students including 11 universities in the city of Daejeon and Sejong as well as Chungbuk and Chungnam provinc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 t-test, F-test, Scheffe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grade, experiences of military service, types of residence, academic major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s associations, ages at onset of alcohol use, and amount of allowance showed mean differences of TPB's variables which is attitude, subject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participants. Mean of descriptive norm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experience of military service, type of residence, location of the colleges the subjects attend, academic major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associations, ages at onset of alcohol use, amount of allowance, descriptive norms and drinking behavior. And, mean of drinking behavior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experience of military service, type of residence, college locations, academic maj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associations, ages at onset of alcohol use and allowance. Seco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consistently predicted drinking inten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associations, and ages at onset of alcohol use. However, factors such as descriptive norms and family history of alcohol problems did not predict drinking intentions. Thir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quantities of alcohol consumed and frequencies of alcohol consumption were predict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rinking intention, descriptive norm, family history of alcohol problems, and gender even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associations, and ages at onset of alcohol use. Fourth,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oblem drinking was predict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rinking intention, descriptive norm and gender, even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associations, and ages at onset of alcohol use.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e TPB's ability to predict and explain drink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nd descriptive norms and family history of alcohol problems directly affected drinking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peers,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y should supervise and monitor the students’ excessive drinking behavior. In addition,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could include refusal techniques education and parent interven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