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서지적 연구

        정경,박부자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Hwaeomsa dharani is the only material with which we can reconstruct the overall aspects of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unified Silla. Despite its value as significant material, it has not been much noticed so far unlike other 「Mugujeonggyeong」 materials transmitted from unified Silla. Therefore, this author aims to reveal its value as significant material by examining the contents, patterns of transcription, marks of correction, and the New Characters of Wu Zetian. Regarding it, this study has found some characteristics of Hwaeomsa dharani and summed them up as follows: first of all, only the dharani was transcribed, excluding the Buddhist scriptures of 「Mugujeonggyeong」. The characters needed to recite the dharani were not transcribed. Six dharanis form a set and are transcribed repetitively, and they are transcribed 28 times at least. Also, in the beginning of each session, the title of a dharani, ‘最勝無垢清淨光明大根夲陁羅 ’, is transcribed. After transcribing six dharanis once, one or two blank lines are left for division before transcribing the next ones. There is space between Chinese characters to distinguish a dharani from another within a sess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see one of the concrete ways to produce mugujeonggwang dharani for enshrinement used during unified Silla. Hwaeomsa dharani was transcribed not for reciting but purely for enshrinement. Meanwhile ‘卜’ was used for deletion marks. This is the earliest example of using ‘卜’ for a deletion mark in Korea. In addition that, marks for reversal or repetition are also found. As in other Silla scriptures, ‘埊’, the new characters of Wu Zetian, was also used. 화엄사 다라니는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된 무구정광다라니 전체 모습을 재구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 그 자료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무구정경」 자료에 비해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서오층석탑 출토 다라니의 내용과 필사 양식, 부호, 측천무후자의 사용 등을 살펴 그 자료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 확인된 화엄사 다라니의 특징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엄사 다라니에는 「무구정경」의 경문을 제외한 다라니만 필사되어 있으며, 다라니 내 다라니의 암송을 위한 표시들은 필사되어 있지 않다. 여섯 개의 다라니가 한 세트가 되어 반복적으로 필사되었고 최소 28회 필사되었다. 또 매회의 시작 부분에 다라니명 ‘最勝無垢清淨光明大根夲陁羅 ’를 필사하였다. 여섯 개의 다라니를 한 차례 필사하고 다시 다음 차례의 다라니를 필사할 때에는 空行을 두어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고, 한 회 안에서 다라니와 다라니를 구별할 때에는 隔字를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통일신라 시대에 납탑용 무구정광다라니를 제작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화엄사 다라니가 암송을 위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납탑을 위해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삭제부로는 ‘卜’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삭제부 ‘卜’이 쓰인 매우 이른 시기의 용례이다. 이 외에도 전도부, 반복부 등의 부호가 확인되었으며, 다른 신라 사경처럼 측천무후자 ‘埊’도 사용했음이 확인되었다.

      • 지역사회병원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혈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정경해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1

        목적: 병원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중 하나로 약제내성과 분리빈도의 증가가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황색포도상구균혈증 환자의 지역사회병원에서의 임상상과 항균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5년 4월 사이에 서울 특별시립 보라매병원에 내원한 환자중 황색포도상구균혈증으로 확인된 69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원내 감염이 32례(46.4%), 병원외 감염이 37례(53.6%)였으며, 원발병소로는 폐 15례(21.7%), 피부상처/욕창 14례(20.3%), 원발성 복막염과 골/관절이 각각 6례(8.7%), 정맥 카테터 감염이 5례(7.2%)있었다. 58례(84%)에서 한가지 이상의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뇌혈관질환, 간경변, 당뇨, 악성종양 등 만성질환이 대부분이었다. 발열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으며, 21례(30.4%)에서는 쇽으로 발현하였다. MRSA는 30.4%에서 분리되었으며, 고령의 항균제 치료경력이 있고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감염률이 높았다. 전체 사망률은 47.5%, 균혈증에 의한 사망률은 31.9%였으며, 항균제 감수성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황색포도상구균은 지역사회병원에서도 사망률이 높은 병원감염의 주요한 원인균으로,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감염관리, 각종 침습적 시술에 의한 이차감염의 예방 및 감염시 조기에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is common and life threatening, and the frequency of infections caused by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linical featur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for the empirical selection of antibiotic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69 cases of S. aureus bacteremia between March 1991 and April 1995, retrospectively. Results: Thirty-two patients(46.4%) had community acquired infections and 37(53.6%) had nosocomial infections. The common foci of S. aureus bacteremia were lung(21.7%) and skin wound/decubitus ulcer (20.3%). Fifty-eight patients (84%) had one or more underlying diseases including cerebrovascular disease, liver cirrhosis, diabetes mellitus, and malignancy. MRSA was isolated in 30.4% of all patients. Overall mortality was 47.5%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patients with MRSA and methicillin sensitive S. aureus bacteremia. Conclusion: S. aureus bacteremia resulted in considerable mortality in chronic debilitated patients in community hospital. Prevention of infection and early treatment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is necessary.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와 그 가치

        박부자(Pakh, Bu-ja),정경재(Chung, Kyeong-j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는 가장 많은 양의 다라니 필사본이 남아 있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를 재구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다라니에서 같은 다라니를 필사한 지편을 모두 모아 서로 비교하여 글자가 누락되거나 추가된 경우, 다른 글자로 잘못 쓴 경우 등의 필사 오류를 변별해 낸 후,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온전히 재구해보았다.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가 재구된 셈이다. 재구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현전하는 다른 무구정광다라니와 비교한 결과,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이 석가탑 『무구정경』과 같은 계통이기는 하지만 동일본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초기 사경과 대장경 계통의 차이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석가탑 『무구정경』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과정이나 통일신라시대 무구정경 관련 유물 간 시대의 선후 관계 등에 대해 학계에서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Mugujeonggwang Dharani excavated from the West Stone Pagoda at Hwaeom-sa Temple is the only material which can reconstruct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s the Dharani has the largest amount of transcriptions left. This paper, thus collected all transcription of the same Dharani from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compared them to distinguish transcription errors, such as missing, added or replaced letters, and aimed on reconstructing the entire transcribed manuscript of the Dharani found at Hwaeom-sa Temple. This reconstruction of the transcription of the Dharani of Hwaeom-sa, in effect, is a reconsruction of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 comparison of the reconstructed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other existing Mugujeonggwang Dharanis showed that while the original manuscript of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may share its stems with the Mugujeonggyeong found in Seokgatab, it is not identical to it. Moreover, the reconstructed transcription served as an important evidence for reconstructing the damaged parts of the Mugujeonggyeong of Seokgatab.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become a basis for mo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the Dharani of Hwaeom-sa or the historical order between the artifacts related to the Mugujeonggyeong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