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치태반의 임상적 고찰

        정갑인,이해혁,이효환,유정완,남계현,이임순,이권해 순천향의학연구소 199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4 No.2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make preparations of what for proper emergency care and delivery in order to improve maternal and fetal well-being. Methods : The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atients with placenta previa who had been admitted and delivered at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May, 1998,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was 2.0%. Placenta previa has occurred more often in multigravida(92%) than primigravida(8%). Vaginal bleeding was most frequent(37.3%) presentation. The mean gestational age at the first bleeding episode was 31~35 weeks(46.4%). The type of placenta previa was totalis (31.3%), Partialis(18%), marginalis(32.7%), low lying(18%).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obstetrician and the pediatrician should be prepared for emergency care and delivery of the placenta previa patients, with the improvement of delivery room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KCI등재

        우리 안의 ‘아이’라는 자원 - ‘동심’과 ‘내면아이’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

        정갑임(鄭甲任)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7

        본 연구는 서양 심리상담의 ‘내면아이’와 양명학의 ‘동심’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성인이 된 우리 안의 ‘아이’라는 자원과 만나 생명과 자기실현에 대한 우리의 감각을 키우고 확장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내면아이와의 비교를 통해 양명학의 동심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그 철학적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새롭게 끌어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하늘이 심어준 영명한 뿌리[靈根]’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지만, 왕양명의 당대 제자들조차 이해하기 힘들었던 양명학의 골수인 ‘양지(良知)’를 ‘동심’과 연동시켜 풀어냄으로써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탁오가 거짓을 끊어낸 순수한 진심이라고 재해석한 ‘이언(邇言)’을 동심과 닿아있는 진실한 삶의 언어이자 가식 없고 솔직한 욕구(need)의 표현으로 본다. 여기서 생명의 의지가 우리를 통해서 표현되는 욕구와 욕구를 총족시키기 위한 특정한 수단과 방법에 집착하는 욕망(desire)의 구별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점은 왕양명의 공부법인 ‘치양지(致良知)’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확보하는 것과도 연결된다. ‘양지’와 마찬가지로 ‘치양지’ 또한 현대인에게는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접근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안내자인 동심으로 인해 본래의 생명력을 회복하고 타고난 온전함을 회복하는 자기실현을 돕는 치양지의 방법들을 더욱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Inner Child’ in western counselling and ‘The Heart of Child’ in Yang-Ming studies, and it proposes the way to enhance our ability for self-fulfilment encountering the resource of ‘Child’ in ourselves. Furtherm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eart of child’ in Yang-Ming studies by reinterpreting ‘The Heart of Child’ through comparing it with ‘Inner child’. This research enables us to understand and approach to ‘Liang-chih’ and ‘The Heart of Child’ which are spiritual root given by Nature, which was difficult even for students of Wang Yang-Ming at that time. Additionally Lee Tak-oh’s reinterpretation of ‘Er’yan’ as a pure heart that broke off the lie is seen as a language of true life and an expression of unpretentious and honest need. Here,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sire that cling to certain means and methods to fulfill the needs and the need through which the will of life is expressed through us. The point is to achieves the concrete method for ‘Embodiment of Liang-chih’ as the ways of Wang Yang-Ming’s studies. Since we don’t have concrete method or access to ‘Embodiment of Liang-chih’ like ‘Liang-chih’ yet, this research enables us to find ways to recover innate vitality and inborn wholeness through ‘The Heart of child’ which is to be revealed in this study.

      • KCI등재

        유기체적 지성과 치유 - 왕양명의 만물일체관을 중심으로 -

        정갑임(鄭甲任)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9

        본 연구는 왕양명이 그의 만년에 강조했던 ‘만물일체(萬物一體)’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왕양명철학의 핵심인 ‘양지(良知)’를 ‘유기체적 지성’으로 재해석한다. 양지의 성격은 유기체적 세계관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데 왕양명은 천지만물의 자연세계를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체로 본다. 그는 ‘만물과 한 몸이 되는 인[萬物一體之仁]’이라는 말로 자아에 대한 집착을 넘어서는 천지자연의 생명의 원리를 체화시켜 자신이 바로 우주적인 유기체적 생명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릴 것을 요청한다. 왕양명에게 있어서 이러한 알아차림은 자아에 대한 집착에 갇히지 않고 자신이 천지만물이라는 유기적 생명체와 하나임을 깨닫는 행위이다. 이것은 ‘나는 누구인가?’라고 하는 우리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에 관한 주제와도 연결된다. 더 나아가 어떤 방식으로 타인, 공동체, 그리고 자연 세계와 관계를 맺을 것인가? 라는 주제와도 연관된다. 코로나로 인한 팬데믹이라는 불안정한 위기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특히 왕양명의 ‘만물일체관’에 귀 기울여 볼 것을 제안하는 이유는 이럴 때일수록 신체적으로 감정적으로 인지적으로 다층적인 수준에서 자기조절을 할 수 있는 통합된 개인들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 공동체에서 적어도 한 사람이 자기조절을 할 수 있으면 그 사람이 함께하는 공동체는 공동조절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어떤 위협이라도 혼자 겪으면 트라우마가 되기 쉽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된 공동체로 함께 겪어내면 서로를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켜주어 개인은 물론이고 그 집단에도 치유와 성장의 큰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Yangji(良知)’, the cor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as ‘organic intelligence’ to clarify the meaning of ‘all things in one(萬物一體)’ which appears as the core concept in Wang Yang- Ming’s later years. The character of Yangji is closely related to Wang Yang- Ming’s organic view of the world. Wang Yang-Ming regards the world of heaven and earth as a living creature. Through the word ‘being one with all’, he asks to go beyond our obsession with self and foster the principles of cosmic life to realize that we ourselves are a cosmic life. For Wang Yang-Ming, the awareness of universal life is the act of abandoning the attachment to self and realizing that he is a member of universal life and one with the universal life of all things. It is also linked to the theme of our own true identity: “Who am I?” and “How will you further relate to others, the community, and the natural world?” It is also associated with the topic. The ontological basis for co-existence is all-in-one theory, which is an organic theory based on the Monism of the life force(氣一元論).

      • KCI등재

        행위론에 입각한 앎의 성격에 관한 연구

        정갑 범한철학회 2007 汎韓哲學 Vol.46 No.3

        I think that the concepts and expression used by Wang Yang-Ming and Wittgenstein are different but they have quite a few common parts in terms of philosophical introspection. Wang Yang-Ming, in opposition to the intellectualist theories which considered knowledge different from acting, understood the knowledge in an acting aspect and regarded acting only as a true trial, while Wittgenstein found that understanding has an aspect of ‘being capable (kőnnen)' as well as ‘knowledge (Wissen)' which could be described in languages, and emphasized that, in case of language, the latter was expressed by ‘using' and more generally by ‘an action'. In this respect, the two philosophers appear to try to establish the core of their philosophical introspection on ‘the knowledge based on the theory of action'. 왕양명(1472~1529)과 비트겐슈타인(1889~1951)은 지금까지 서로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해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전혀 끌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우선 지역적으로나 시대적으로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점 이외에, 무엇보다도 이들의 철학적 성찰의 토대인 ‘행위론’에 기반을 둔 ‘앎’의 개념에 대한 동서양의 비교철학적 이해가 아직 충분하지 못한 점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왕양명이 앎(知)과 행함(行)을 별개의 것으로 보는 기존의 학설에 반대하여 ‘행함(行)’의 측면에서 앎을 이해하고, 행함만이 앎의 증험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을 가진 점과, 비트겐슈타인의 경우 ‘어떤 것을 이해함(understanding)’에는 언어로 기술될 수 있는 ‘지식(Wissen)’ 뿐만 아니라, ‘할 수 있음(Knnen)’의 측면이 있으며, 바로 후자는 언어의 경우 '사용(use)'으로, 좀 더 일반적으로는 '행위(action)'로 나타남을 강조하였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두 사상가들은 ‘행위론에 입각한 앎’에 그들의 철학적 성찰의 핵심을 정립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왕양명과 비트겐슈타인의 비교연구를 통해 그들이 주장하는 '앎의 성격'을 면밀히 비교 고찰함으로써 두 사람이 '행위론적인 앎'이라는 입각점에서 깊이 조우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자기 치유를 위한 정체성

        정갑임(Jung, Gap-yim)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5

        21세기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대부분의 우리들은 이 사회 속에서 하는 역할들(role)을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자신의 정체성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고 강화시키기 위해 애쓰고 노력한다. 그 과정에서 부딪히는 내외부적인 마찰과 갈등들은 고스란히 크고 작은 심신의 병리현상을 낳는 계기와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은 자기치유를 위한 정체성을 찾기 위해 Oxford leadership Academy의 설립자이자 현재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국제적인 경영컨설턴트인 브라이언 베이컨이 제시하는 정체성인 ‘지도자’와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서 오랜 세월동안 지도자의 품성과 세계관을 함양하는 텍스트로 기능해온 ?대학?에 대한 해석에서 왕양명이 제안하는 ‘대인’이라는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두 사람은 공히 당대의 자아관과 가치관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그 대안으로 ‘지도자’와 ‘대인’을 제시함으로써 정체성의 전환을 골자로 하는 자기치유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브라이언 베이컨과 왕양명이 제안하는 방법론과 그 방법론이 근거하는 철학을 함께 살펴보는 것은 왕양명의 철학이 함의하고 있는 유학적 통찰과 방법을 현대적 관점에도 효력있는 교육 혹은 치유의 프로그램으로 재구성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작업이기도 하다. Most of us, living the 21th Century, take often our roles in societ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s our own identities. We make efforts to maintain and fortify our own identities. All the conflicts and troubles arisen from such efforts would function as the causes of various pathological phenomenon. To find out the identity for self-healing, this article examined the ‘leader’ identity suggested by Brian Bacon who founded Oxford leadership Academy and is an active international management consultant, and the ‘great person’ identity that Wang Yang-Ming suggested in his interpretation of ?Great Learning?, the text for leader’s personality and world view in East Asia confucianism culture over long time. Wang as well as Bacon, assuming critical attitudes toward the self concept and values of the time, suggested ‘great person’ and ‘leader’ as an alternative, providing self-healing methods centered on the change of identity. Studying the methodologies Wang and Bacon suggested together with the philosophies on which the methodologies based, is also an effort to check the possibility to restructure the confucian insights and methods involved in Wang’s philosophy into a educational or healing program that will be effective in modern view.

      • KCI등재

        왕양명의 良知와 철학상담

        정갑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논집 Vol.26 No.-

        본 논문은 왕양명의 철학이 지니는 유학적 통찰력을 음미함으로써 현대의 철학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여 철학상담의 방향성과 방법론에 대해 하나의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철학상담의 영역에서 심리학이라는 분야가 철학에서 독립되어 나갔다는 이유로 대부분의 철학상담 작업은 인간의 감성과 감정에 대한 논의는 배제한 채로 이성적 측면에서만 제한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철학상 담은 삶의 이러저러한 여정에서 때로 고통스러워하며 때로 환호하며 생생하게 살아 있는 인간의 삶을 다루고자 하는 것인데, 살아있는 인간에게 있어서 이성과 감성, 정신과 육체, 그리고 영적 세계와 현실세계의 분리는 있을 수 없다. 바로 그런 점 에서 철학상담은 인간의 모든 영역과 능력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영역의 복원과 회 복이 필요하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우리는 왕양명 철학의 핵심 개념인 ‘양지(良 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 통합적인 능력으로서의 제시되 는 양지(良知)는 왕양명에게서 ‘본래성’이라고 간주되었지만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 리들 대부분이 망각하고 있기에 회복이 요청된다. 감성, 지성 그리고 영성을 포괄 하는 통합적인 능력이란 측면에서 양지의 발굴은 오늘날 철학상담의 방향성에 매우 의미 있는 제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왕양 명의 ‘양지’를 ‘몸의 감각’의 회복, ‘자각적인 사유’의 활성화, 그리고 ’우주적 연대 감‘의 복원이라는 측면으로 조명한다.

      • KCI등재

        왕양명의 ‘良知’와 게슈탈트 치료의 ‘알아차림(awareness)’ 비교 연구

        정갑임(Jung Gap-Yim)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4

        왕양명 철학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연구주제를 가지고 몇 년간 씨름을 해오던 본 연구자는 게슈탈트 치료를 접하면서 게슈탈트 치료의 핵심어인 ‘알아차림(awareness)’ 이 늘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안타까움을 주었던 ‘양지(良知)’라는 왕양명 철학의 골수를 현대적 의미에서 가장 근접하게 표현한 말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왕양명 철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철학교육 및 철학상담에 활용하는데 관심이 큰 본 연구자는 게슈탈트 심리치료가 첫째, 매우 현대적인 치료법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을 원자로서가 아니라 상호연관된 유기체적 관점으로 본다는 점, 둘째, 인간의 치유능력이 본래적인 것이며 배우거나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타고난 것으로 자연의 일부인 유기체가 가진 능력이라고 보는 점, 그리고 셋째,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의 ‘내적인 힘’에 대한 알아차림과 자각을 통해 자기 치유와 성장을 추동해낸다는 점에서 왕양명의 치유철학과 매우 유사한 태도와 입장을 지닌다는 것을 알고서 이에 대한 본격적인 탐색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왕양명 철학의 치유적 성격을 분명하고도 명료하게 드러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우리 시대에 공존하는 타 문화권과의 소통을 통해 우리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의 보편성을 확보하는 작업이 되기를 기대한다. After getting to know Gestalt Therapy, this researcher, who had tackled the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Wang Yang-ming philosophy as a research theme for several years, had an impression that ‘awareness’, the keyword of Gestalt Therapy, would be the best word that can express most clearly ‘Liang-chih(良知)’, the nebulous core concept of Wang’s philosoph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Gestalt Therapy sees, although being a very modern therapy, individuals from an interrelated organism point of view, not as atom, and takes the healing powers of human as innate and inborn, not as learned and studied, and the power naturally given to organism. The therapy derives self-healing and growth through the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one’s own inner power, having very similar position to the healing philosophy of Wang. For above reasons, this researcher, who was very interested in reinterpreting Wang’s philosophy contemporarily then using for philosophy education and philosophy consultation, tried to study Wang’s philosophy and the therapy comparatively.

      • KCI등재

        경계(boundary)와 정체성

        정갑임(Jung Gap-yim)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시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어떤 연관성도 갖지 못하는 왕양명과 비트겐슈타인의 세계보기에 주목하고 이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두 사람의 철학자가 공히 치유철학의 입장에서 원자론적 세계보기가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병증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자기정체성 혹은 자아관과 깊은 연관을 가진다고 지적하기 때문이다. 원자론적 세계관의 폐해는 자아관에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왕양명은 ‘구각적기(軀殼的己)’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비트겐 슈타인은 ‘유아론적 자아’로부터 도출되는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왕양명과 비트겐슈타인의 세계보기를 ‘경계boundary’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세계관, 관계, 그리고 정체성의 연관관계를 통해 해명해보고자 한다. 세계를 ‘Top-down’의 ‘전체론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두 사람의 철학자는 의식적으로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인간의 분할행위의 계기와 양상들, 그리고 분할 행위를 통해 분할된 부분들 사이에 생기는 관계에 주목하는데, 비트겐슈타인은 ‘내재적 관계’에, 왕양명은 ‘상호의존적 관계’에 주의를 기울인다. 왕양명과 비트겐슈타인은 전체론적 세계에서 분할행위를 통해 나누어진 부분들 간의 관계가 ‘상호의존적’임을 드러내며, 한 가지 분할의 방식을 절대화하거나 그것에 고착되는 것의 위험성을 지적한다. 그리고 유연하고 다각적으로 경계를 바라보는 또 만들어가는 방식을 제안한다. The reason to pay attention to and examine the world views of Wang and Wittgenstein which do not have any periodical or regional connection, is that both philosophers indicate atomic world view out of healing philosophy deeply relevant to self-identity or self image which becomes an important cause of individual and social symptom. As the harmful effects of atomic world view more clearly appeared in self image, Wang warned of possible dangers of ‘Gugakjeokgi (to think of one’s body as the self)’ and Wittgenstein demonstrate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deduced from ‘the ego in solipsism’ This thesis, in this context, attempted to explain world views of Wang and Wittgenstein through the links between world view, relation and identi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a boundary’. The two philosophers who see the world from a ‘top-down’ ‘holistic perspective’ pay attention to chances and aspects of segmentation which are unconsciously performed by human beings and to relationships between the segmented parts; Wittgenstein to ‘the internal relation’ and Wang to ‘interdependent relation’. Wang and Wittgenstein prove that the parts divided by segmentation in a holistic world have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nd point out the dangers of one segmentation method that can be absolutized or permanent. At the same time, they suggest a method to see and make a boundary flexible and multi-sided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