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질 상태에 따른 포토그래매트리 스캐닝 품질 비교 연구

        전형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63

        최근 들어 3D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은 사진, 영상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휴대폰, CCTV와 같은 기기들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3D 스캐닝 기술은 광학기술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발달에 인공지능까지 결합하여 산업 체계의 근간을 바꾸고 있다. 3D 스캐닝에 대한 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객체에 직접 접촉하여 정밀하게 스캐닝 하는 접촉 방식(contact)과 깊이 카메라와 레이저를 활용하여 스캐닝 하는 비접촉 방식(non-contact)이 있다. 비접촉 스캐닝 방식은 레이저나 적외선을 직접 조사하여 이미지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능동형(acitve)과 촬영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동형(passive)으로 나눈다. 각각의 방식은 비용과 사용의 편의성 등 사용목적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을 가진다. 능동형 스캐닝은 고가의 센서를 사용하며 고품질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반면 수동형 스캐닝은 비용 절감 면에서 유리하나, 능동형 스캐닝에 비해 품질의 편차가 있다. 특히, 포토그래매트리(photogrammetry)스캐닝 방식은 조명의 환경조건 또는 객체 특성에 따라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동형 포토그래매트리 스캐닝 방식에서의 품질을 향상 시키기 위한 광질에 따른 품질 비교 연구에 목적을 둔다. 따라서 소프트라이트, 하드라이트의 광질 상태에 따른 포토그래매트리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실측자료(ground truth)와 비교하였다. 또한 능동형 스캐닝 방식으로 획득된 데이터도 소프트라이트, 하드라이트로 나누어 실측자료(ground truth)와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스캐닝에 사용된 객체는 120 mm(H) × 120 mm(V) × 120 mm(D) 크기의 ‘피라미드(Pyramid)’와 600 mm(H) × 1,000 mm (V) × 600 mm (D) 크기의 ‘모아이(Moai)’를 사용하였고, 딜레토사의 페가수스(Pegasus)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객체를 출력하였다. 품질 평가는 3D모델링 오픈 소스 도구인 ‘클라우드컴페어(Cloudcompare)’를 사용하여, 점군간 비교 분석(Point-to-point comparison), 횡단면 비교 분석(Cross section), 평면 비교 분석(Plane fitting)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비교분석은 각각의 스캐닝 결과와 실측자료(ground truth)간의 표준편차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군 비교 분석에서 ‘피라미드(Pyramid)’의 경우 능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17896이며, 하드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10017이다. 수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67557이며, 하드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07116이다. ‘모아이(Moai)’의 경우 능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15683이며, 하드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02329이다. 수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81519이며, 하드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23381이다. 둘째, 횡단면 비교 분석에서 ‘피라미드(Pyramid)’의 경우 능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 하드라이트환경 아래에서 횡단면이 서로 맞는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수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 환경에서 횡단면이 서로 맞지 않는 낮은 품질의 정합 결과를 보였으며, 하드라이트 환경에서는 횡단면이 서로 맞는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모아이(Moai)’의 경우 능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 하드라이트 환경 아래에서 횡단면이 서로 맞는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수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 환경에서 횡단면이 서로 맞지 않는 낮은 품질의 정합 결과를 보였으며, 하드라이트 환경에서는 횡단면이 서로 맞는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평면 비교 분석의 경우 ‘피라미드(Pyramid)’의 능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07465이며, 하드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04084이다. 수동형에서는 실측자료(ground truth)와 소프트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3146이며, 하드라이트의 표준편차는 0.004351이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수동형의 경우 광질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동형과 능동형 모두 하드라이트 에서는 낮은 표준편차 수치와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소프트라이트에서는 수동형의 경우 높은 표준편차 수치와 낮은 수준의 정합 결과를 보였고 능동형의 경우는 낮은 표준편차 수치와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본 결과를 통해 광질 제어를 통한 포토그래매트리 스캐닝 방식의 성능 향상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기기 등 다양한 카메라를 활용한 스캐닝 기술의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성경적 상담설교의 분석과 방향 : 성경적 상담과 설교의 통합을 중심으로

        전형준 총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what the biblical theory of counseling is; to clarify the theory and concepts of biblical counseling as applied to preaching;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Further,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biblical counseling sermons are analyzed from example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stablishe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what is biblical counseling theory? Second, why is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necessary, and what are its concepts and basis? Third, how can biblical counseling sermons be analyzed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 Fourth, what is the direction of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direction for biblical counseling theory and preaching through document researches. Further, the structure of biblical counseling sermons is suggested, and their content analyzed from examples.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uggest the biblical counseling theory, the theological basis, the seven principles, dynamics, and methods of biblical counseling, and the history of biblical pastoral counseling, etc., a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Counseling Educational Foundation, which is composed of counseling professors from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S. Second, why is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necessary, and what are its concepts and basis?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is necessary because the times require it. That is, because the present age is prevalent with individualism, egocentrism, anti-authoritarianism, anti-institutional attitudes, materialism, and hedonism, not to mention the increase in divorce rates and the acceleration in disruption of families. Moreover, due to the decrease in the power of the church, the future pastoral ministry desperately calls for counseling pastoral services that can heal the spirit; hence the need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e basis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from the Bible can be found in Isaiah 9:6 where Jesus Christ is referred to as a “counselor.” Further grounds may be found in Genesis 3, Philippians 2, John 1, and Matthew 5-7, Peter, John, James, and Apostle Paul’s letters. These theological bases are employ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rmons, and the value of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ird, how can actual biblical counseling sermons be analyzed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 Donald Capps’ sermon is analyzed for a structural analysis of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and a new structure for biblical counseling sermons is suggested as follows: (1) find the entrance amid the circumstances; (2) look for the motives of the heart; (3) interpret biblical passages and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God and Jesus Christ; (4) recognize the changes in heart renewed through the Scriptures and the Holy Spirit; and (5) plan for the future with the renewed heart. The sermons of David Powlison, Paul D. Tripp, and that of mine are employed to analyze the content of biblical counseling sermons. Fourth,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1) sermons based on the biblical view of the Bible; (2) sermons dependent upon the workings of the Holy Spirit; (3) sermons adapting the biblical counseling theory; (4) sermons intended to change the human heart; (5) sermons for healing human sufferings and wounds; and (6) sermons intended to restore relationships. In sum,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o which biblical counseling theory is applied, shall be sermons grounded on the biblical view of the Bible, and dependent upon the Holy Spirit. The sermons shall be preached to change human hearts, to heal wounds, and to restore relationships. Moreover, the structure of biblical counseling sermons is suggested from examples, an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blical counseling sermons are confirmed from the analysis thereof. Therefore,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shall be employed in church ministry so as to contribute to the well-rounded treatment of Christians, and to the expansion of God’s kingdom. 본 연구는 성경적 상담 이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설교에 적용한 성경적 상담 설교의 이론과 개념은 어떤 것인지를 밝혀, 성경적 상담 설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것을 위해 성경적 상담 설교의 실제에서 구조 분석과 설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경적 상담 이론이란 무엇인가? 둘째, 성경적 상담 설교는 왜 필요하며, 그 개념과 근거는 무엇인가? 셋째, 성경적 상담 설교의 실제에서 설교의 구조와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넷째, 성경적 상담 설교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성경적 상담 이론과 성경적 상담 설교의 방향을 제시하고, 성경적 상담 설교의 실제에서는 성경적 상담 설교의 구조를 제안하며 설교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경적 상담 이론이란 무엇인가? 성경적 상담 이론을 제시하기 위해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의 상담학 교수들로 이루어진 기독교 상담 교육 연구원(Christian Counseling Educational Foundation)의 성경적 상담의 신학적 기초와 성경적 상담의 7대 원리, 성경적 상담의 역동성, 성경적 목회 상담의 역사, 성경적 상담의 방법 등을 고찰하였다. 둘째, 성경적 상담 설교는 왜 필요하며, 그 개념과 근거는 무엇인가? 성경적 상담 설교는, 먼저 시대적인 필요성을 갖는다. 현대 사회에는 개인주의, 자기중심주의, 반권위주의, 반제도적인 태도, 물질중심주의, 쾌락주의가 만연해 있고, 가정 현상으로는 이혼율 상승 등 가정 분열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목회적 필요성을 갖는다. 사회에 대한 교회의 영향력 감소에 따른 미래 목회의 대안으로서, 영혼을 치유하는 상담 목회 사역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기 때문이다. 성경적 상담 설교의 성경적 근거는 이사야 9장 6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호칭을 ‘상담자’라는 의미의 “모사”로 표현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창세기 3장, 빌립보서 2장, 요한복음 1장, 마태복음 5-7장, 베드로, 요한, 야고보, 바울서신도성경적 상담 설교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신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설교의 중요성을 밝히고 성경적 상담 설교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성경적 상담 설교의 실제에서 설교의 구조와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성경적 상담 설교의 구조 분석에서 도날드 캡스(Donald Capps)가 제안한 상담 설교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았다. 성경적 상담 설교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제안에서는, 첫째, 상황 속에서 진입구를 발견하라. 둘째, 마음의 동기를 살피라. 셋째, 성경 말씀을 해석하며 하나님의 성품과 예수 그리스도를 드러내라. 넷째, 말씀과 성령을 통해 새로워진 마음의 변화를 인식하라. 다섯째, 변화된 마음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계획하라 이다. 성경적 상담 설교의 분석에서는 데이빗 파울리슨(David Powlison)의 설교 분석과 폴 트립(Paul D. Tripp)의 설교 분석, 그리고 본 연구자(전형준)의 설교를 분석 하였다. 넷째, 성경적 상담 설교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1)성경적인 성경관을 가진 성경적인 설교, 2)성령의 역사에 의지하는 설교, 3)성경적 상담 이론을 적용하는 설교, 4)인간의 마음의 변화가 설교의 목적인 설교, 5)인간의 고통과 상처를 치유하는 설교, 6)관계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설교가 그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경적 상담 이론을 설교에 적용한 성경적 상담 설교는 성경적 성경관을 바탕으로 한 성경적 설교이며, 성령에 의지한 설교로서 인간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상처를 치유하며 관계를 회복케 하는 목적으로 선포되어야 한다. 또한, 성경적 상담 설교의 실제에서 성경적 상담 설교의 구조를 제안하였고, 설교 분석에서 성경적 상담 설교의 방향과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성경적 상담 설교를 교회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더욱 권장함으로써 기독교인들의 전인치료에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하나님 나라 확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전형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화 다양성 교육이 인정교과서로 보급되며 문화 다양성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중등학교와 달리 문화 다양성에 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초등학교에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성장환경에 따라 다르다. 우리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의 문화를 접한 초등교사와 우리 문화와 함께 여러 나라의 문화를 접한 초등학생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도 다를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 다양성 교육이 초등교육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이 문화 다양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 연구하여 초등교육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문화 다양성 교육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문화간 소통 역량에 대한 차이는 어떠한가? 우선 연구와 관련된 문헌 자료 및 인식 조사 자료를 통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문화간 소통 역량을 알아보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6)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이용해 경기도에 근무 중인 173명의 교사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문화 다양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하였다.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 문화적 소통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요인인 ‘세계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경험과 인식 및 태도’에서 초등교사가 비교적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해당 요인은 초등교사가 다양한 문화를 인터넷이나 TV 등 매체에서 얻는 비율이 높고, 많은 직·간접적 경험에 의한 것이라는 문항이 영향을 끼쳤다. 둘째, 문화적 소통 역량과 이 역량의 하위 영역 중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은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정의적 영역도 영역 전체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정의적 영역에 포함된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과 존중 및 상호교류에의 자신감’과 ‘타 문화에 대한 민감성’에서 상반되고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과 존중 및 상호교류에 자신감이 높고, 타 문화를 가진 사람과 상호교류할 때 민감성이 낮았다. 반면, 초등교사는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과 상호교류에의 자신감은 낮았으나, 타 문화를 가진 사람과 만날 때 세심하게 관찰하거나, 미세한 차이를 살피려 노력하는 등 타 문화에 대한 민감성이 높았다. 문화적 소통 역량 중 행동적 영역은 모든 문항에서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응답 사이에 차이가 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문화 다양성 교육이 초등학교에 도입되기 위해서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에게 각기 다른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문화적 소통 역량 결과에 따라 초등학생에게 여러 문화에 대한 직·간접적 경험을 제공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을 기르는 교육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에게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과 상호교류할 때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방법을 위주로 교육해야 하며, 초등교사에게는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과 상호교류할 때 자신감을 기르기 위한 연수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초등교사와 초등학생 모두 행동적 영역에 낮은 점수를 기록한 결과에 따라 초등교육에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과 의사소통할 때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 대화를 시작하는 방법, 존중하는 법을 표현하는 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교육해야 한다. 문화 다양성 교육은 세계 문화 다양성을 보호하는데 우리나라가 발을 맞출 뿐 아니라 인권 교육과 세계 시민성 교육, 문화 교육 등 전인교육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되어 문화 다양성 교육이 초등교육에 성공적으로 도입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s wher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s distributed as a recognized textbook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s actively conducted.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ulture vary depending on the growth environment.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encountered the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around our cultur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ncountered the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along with our culture will also have differ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an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cultural diversity in order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successfully settle in elementary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s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through literature data and perception survey data related to research. Using the questionnaire u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6), 173 teachers working in Gyeonggi-do and 140 fifth and sixth graders of ○○ Elementary School in Suwon, Gyeonggi-do, were compared and studied.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 results in "experienc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global cultural diversity." This factor was influenced by the ques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 high rate of obtaining various cultures from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d TV, and that it is due to many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areas of cultur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sub-areas of this cap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ults of the affective domain, but conflicting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openness and respect for other cultures and confidence in mutual exchange" and "sensitivity to other cultures" included in the affective doma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highly confident in openness, respect, and mutual exchange of other cultures, and were less sensitive when interacting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low openness to other cultures and confidence in mutual exchange, but they were highly sensitive to other cultures, such as carefully observing them or trying to observe subtle differences when meeting people with other cultures. Among the 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ll questions, and overall, low scores were recorded. In order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be introduced into elementary schools,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emphasi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ultur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education is needed to foster awareness of various cultures by pro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various cultur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educated mainly on how to carefully observe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when interac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develop training to develop confidence when interac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addition, bo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focus on how to express themselves, how to start a conversation, and how to express respect when communicating with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in elementary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not only helps Korea to protect global cultural diversity, but also helps whole-person education such as human rights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and tha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ill be successfully introduced into elementary education.

      • 公演文化施設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關한 基礎的 硏究 : 오페라하우스의 面積構成 分析을 中心으로

        전형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극이나 음악회 같은 공연예술은 현대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정신적 필수품이 되어 왔고, 공연장은 연극 또는 음악회를 대중이 감상할 수 있는 시설로서 중요한 사회적 의의를 갖고 있다. 공연예술의 기원은 원시지역사회의 종교의식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흔적이 인류역사의 발자취가 미치는 곳마다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공연예술은 인간의 생활상이나 정신세계를 반영해 주었고 변화하는 시대의 조류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 왔다. 과거 종교 의식의 의례와 합창이라는 주술적 행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오페라, 뮤지컬, 콘서트, 심포니, 발레, 연극 등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면서 대중성과 전문성에 바탕을 둔 각 공연양식에 맞는 공간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21세기의 주요산업으로 문화산업을 언급하고 있는 이 시대에 대표적인 산업시설이며, 공연예술의 생산기반시설 이라고 할 수 있는 전용 공연장을 갖추는 것은 공연예술의 인프라를 형성함은 물론 우수한 공연예술의 창조와 대중에게 전달하는 보급 장소로서 그 사회적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이미 세계 선진 도시들에서는 다양한 공연문화시설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추가 건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서구에 비해 늦게 이루어 졌지만 국내에서도 근대화 이후, 현대 공연장은 대중문화예술 보급의 목적으로 각 지방을 중심으로 문예회관 등이 건립되고 있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연문화시설을 보면 각각의 기능군 들의 연계를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연장들과 해외의 공연장들을 비교해 보았을 때 사용자에 대한 배려가 고려되지 않음으로 인해 실제로 공연장을 사용하는 배우나 공연물을 제작하는 스텝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공연문화시설의 공간구성과 운영방법의 유기적인 관계구축에 따른 재기능 수행에 있어서는 그 체계가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대부분의 문예회관시설이 다목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용도와 사용자 요구에 따른 전문적인 시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연문화시설의 확보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공연예술 각 장르별 전용 공연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용 공연장의 건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전용 공연장의 건립이 추진되어야 하며, 더불어 공연장 건축계획에 필요한 관련연구와 특히 오페라극장과 같은 전용공연장의 경우 전문적인 성격상 건립단계 이전부터 공연운영·기획과 규모 및 공간구성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건축 계획적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공연장 건축계획에 있어서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객석과 무대에 관한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공연장의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과 각 공간별 사용자를 고려한 Space Program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연구주제의 설정배경, 연구 필요성 등을 전제로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속성을 고려한 공간별 분류체계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공연장과 실제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향후 건립될 전용 공연장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Space Program에 관한 일련의 연구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용 공연장을 그 대상으로 하여 공연장의 Space Program에 관한 내용을 사용자적 특정에 따라 공간체계를 분류함과 동시에 면적특성의 추출을 통해 공연장의 공간계획 즉 Space Program의 기본방향 수립 시 합리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계획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우선 일반적인 공연장의 내용을 고찰하여 공연장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함께 공연장의 사용자와 공간구성을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공연장의 공간구성 체계를 추출하였으며, 전용극장 즉 오페라 상연이 가능한 공연장과 객석규모 1,500석 이상의 중·대규모 공연장으로 한정하여 국·내외 10개의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면적구성을 앞서 추출한 공간구성 체계를 기준으로 대영역(공공서비스·공연·공연지원·관리)과 세부영역(순수서비스·문화서비스·관객·무대·공연·공연지원·제작·관리·설비·공용)으로 분류 하고 각 영역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연장의 구성 특성 및 면적구성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의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관을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문화시설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즉 공간구성 및 면적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연장의 면적분포 구성은 공연장의 구성 및 부속실의 배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그 특징이 대별됨을 알 수 있었다. 그 특징으로는 공연장의 구성을 단독/분동형 및 복합형(분리형 및 혼합형)으로 또한 배치 유형에 따라 후/측면 배치형, 양측면 배치형, 혼합 배치형 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공연문화시설에서 공연영역 즉 무대와 객석이 공연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거의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공연영역의 면적이 객석 수가 증가함에 따라 또한 무대의 개수 및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무대와 객석의 면적이 늘어나는 산술적 비례의 차이를 보이지만 연면적 대비 분포면적은 각 공연장이 거의 유사하며 이는 공연문화시설의 연면적 및 분포비율, 즉 규모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공연장의 스페이스 프로그램 선정 시 전체면적 및 연면적 대비 각 영역별 평균적 분포는 1,500석 내외의 공연장을 기준으로 공공서비스 영역 29.64%, 공연영역은 17.49%, 지원영역은 32.18%, 관리영역 20.69%이고 2,000석 이상의 공연장을 기준으로는 공공서비스 영역 32.86%, 공연영역은 13.51%, 지원영역은 28.66%, 관리영역은 24.97%로 분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평균적인 분포의 차이가 나타나는 공연장의 경우에는 공연장의 특성, 즉 기획·운영적 특징과 Producing, Non-Producing, 레퍼토리 시스템 등 지향하는 성격에 따른 무대영역의 비중 및 지원시설에 따라 틀려지는 바 이는 향후 공연문화시설의 면적구성 계획에 있어 중요한 고려요소라 할 수 있다. 결국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규모의 차이는 반드시 객석의 수로만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공연장의 운영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공연장의 규모는 오히려 관객이 볼 수 없는 영역인 무대 주위의 공연지원시설과 제직부문의 비율에 따른 시설의 차이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고 무대와 객석 즉 공연영역이외에 공연장의 규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는 공연장의 기획과 운영측면에서 본 공연장의 지향하는 특성 및 성격이다. 그와 함께 규모를 결정 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바로 Non Producing Theater와 Producing Theater의 차이이다. 이것은 제작부문 공간의 유무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속단체의 유무에 따라 그 규모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내용은 공연장의 총 규모를 산정하는데도 중요하지만, 세부 시설의 관계를 결정하는데도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Producing Theater를 추구하는 공연장일 경우 무대의 시설과 면적, 무대 주위의 공연지원시설의 면적과 연면적 대비 비율의 충분한 확보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연장 공간구성 즉 스페이스 프로그램의 계획적 특성 중 조사대상관의 도면과 관련문헌상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소요 제실 및 세부영역의 면적구성을 분석 하였으나 공연장을 계획함에 있어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수히 많다. 그 중 각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공연장의 영역과 운영방식과의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실제적인 현장조사와 국·내외 사례에 있어 한정된 범위로 인한 제한된 정보습득 등 연구의 한계를 추후의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연장의 공간구성 및 스페이스 프로그램에 대한 계획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현대의 전용화 양상에 따른 오페라 전용 공연장 건축의 기본계획 방향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erforming arts, such as play or concert, have become psychological necessities of a modern life, and the performing arts center is a facility of great social significance, where the general public can enjoy play or concert. The origin of performing arts goes back to religious rituals of a primitive community, and their trace can be found along every pathway of human history. Accordingly, performing arts reflect human life style or spiritual world, and they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with the changing currents of time. Originated from shamanistic rituals and chants of the past religious rituals, the performing arts have now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opera, musical, concert, symphony, ballet, and play, requiring an appropriate space for each performing art based on popularity and speciality. In the 21st century, where the cultural industry is considered as the main industry,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dedicated to performing arts is being addressed as the facilities will be able to form an infrastructure for performing arts, as well as to create and present quality performing arts for the general public.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been using various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they are continuously building additional facilities. Korea joined this trend late compared to the West, but many cultural centers have been built since the modern age across the nation to spread popular culture and the arts.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facilities under operation are not arranged properly, and the needs of the users have not been considered; as a result, the complaints of actors and staff members who use the facilities are on the ri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a system of operation are still poor, and most of the arts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also multi-purpose functions so performing cultural facilities with specialized functions on the needs of users should be secured.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centers dedicated to each genre of the performing arts is being addressed, and more dedicated performing arts centers should be constructed accordingly. Research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erforming arts centers, especially opera house due to its specialized characteristics, is needed before the construction stage, 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planning/size of performanc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should be considered in conducting such research. From a literature review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erforming arts centers, it was found that a lot of research was done on the auditorium and stage, but few research was conducted on space program, considering the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and users of each space. In addition, based on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reviewed, a classification system of space should be deriv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users, and a series of research on space program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needs for future performing canters should be planned by analyzing general performing arts center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enters that are currently under operation. In this study, the space programs of dedicated performing cent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area, a rational method and practical planning guidelines are suggested to establish a basic direction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r space program of performing arts centers. In proceeding this study, the contents of general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first review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users and spatial 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a system of spatial composition for performing arts centers was derived. Limited to the theaters dedicated to playing operas, as well as medium/large size centers with a seating capacity of over 1,500 seat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omposition of 10 performing centers from local and aborad were classified into the large scale features (public service, performance, performance support, and management) and the detailed features (general service, cultural service, audience, stage, performance, performance support, production, management, equipment, and shared space), and comparative analyses of each 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From th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omposition were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rom the analyses of the space programs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rst, the area/distribution/composition of performing arts centers ar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centers and the arrangement types of annex build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are the composition of the centers (single/pavilion type and mixed type), and the arrangement types (rear/side arrangement type, both-side arrangement type, and mixed arrangement type).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s of the performance areas, that is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in performing arts facilities are almost are almost similar. As the performance area increases, the number of seats and the number and size of the stage are increased. However, the ratio of a gross floor area to a distribution area was found to be similar for each center.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gross floor area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performing arts facilities are no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size of the centers. Third, when selecting a space program for a center, an average distribution of each area to a total area and a gross floor area is 29.64% for the public service are, 17.49% for the performing area, 32.18% for the supporting area, and 20.69% for the management area obtained from the performing centers of about 1,500 seats; and 32.86% for the public service are, 13.51% for the performing area, 28.66% for the supporting area, and 24.97% for the management area obtained from the performing centers of over 2,000 seats. In the case of the performing centers that have differences in an average distribu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planning and operation), a ratio of the stage area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ize of performing centers are not necessaril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eats, but are determined by an operational method of the centers. The size of performing area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in facilities depending on a ratio between the performance supporting facilities and a production area, where the audience cannot see.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size of performing center, excluding a performing area (stage and auditorium), i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y of the center. Another factor is the difference between non-producing theater and producing theater. This implies that the size of the cent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producing space. This fact is important in both estimating a total size of a performing center and determining a relation with detailed facilit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a center pursuing a producing theater, the facility and size of stage, as well as a ratio between the area of performance supporting facilities and the gross floor area, should be sufficiently secured. In this study, the area composition of each required facilities and detailed areas based on objective data that can be confirmed from the drawings and related literature of the centers under investigation. However, in planning a performing center, there are several other factors that can affect space program. Among the factors, in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erforming area and an operation method, which are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by an actual on-site survey and the limited information acquired from cases locally and abroa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en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rogram were analysed in this research. Bas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for planning a performing center dedicated to opera.

      • 조직 PR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효용성 연구 : KAIST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중심으로

        전형준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SNS는 빠른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SNS는 전통적인 미디어에 비해 물리적인 제약이 적으며 넓은 범위로 빠르게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장점 등으로 인해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로 자리매김 했으며 기업, 정부기관, 단체 등에서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PR을 위한 도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및 PR의 도구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 SNS를 DeLone & McLean의 ‘수정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에 기반하여 PR을 위한 SNS의 효용성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안하였으며 KAIST 페이스북 펜페이지에 대한 설문을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여 타당성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연구모형은 페이스북 팬페이지에서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사용과 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항목으로 콘텐츠 유형,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온라인 공동체 의식으로 나누어 연구했으며 그 결과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정보 품질이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사용과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콘텐츠 유형은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사용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만족에는 영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PR도구로 사용할 경우 정보 품질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며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통해 전달하는 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라는 인식이 생겼을 때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제공 및 온라인 공동체 의식 형성으로 인한 긍정적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R도구로서 SNS를 활용한 일련의 활동들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안하고 SNS가 PR도구로서의 효용성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기업 또는 정부기관, 단체 등에서 SNS를 이용한 PR의 효용성 측정에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smartphones, SNS has become wildly popularized 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dia, SNS has less physical restrictions and due to the fact that it has an advantage of carry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far and wide, it has settled down as a tool for communications between individuals as well as a tool for effective PR usage for business, governme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this research, the study has been based off on Delone & McLean’s “Updat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regarding to SNS that are actively using communication and PR tools, and has suggestions as to how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those SNS. Also, through the surveys regarding the KAIST Facebook fan page, the results have verified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The newly suggested measuring model is a study done through the Facebook fan page with categories to measure the users’ satisfaction and users’ intention. The categories include: type of contents, quality of information, quality of service, and online community spirit.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information” of the fan page affected the most on user satisfaction / user intention and that “type of contents” did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 user intention but had little to do with the satisfaction itself. If the Facebook fan page is used as a PR tool, the priority should be focused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Also, according to our research, when people become aware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Facebook fan page is useful inform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various contents and service provided along with the formation of online community spirit bring positive results. This research has suggested a new measuring model for efficiency of using SNS as a PR tool, and it implies a significant meaning on the fact that this research has suggested SNS, as a PR tool, to be a guideline to measure efficiency. Furthermore, we hope that this model will become the fundamental resource for measuring the efficiency of SNS as a PR tool in business, governme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 기업의 SNS 마케팅 활동이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 팬페이지 애널리틱스를 중심으로

        전형준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 네트워크(SNS)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SNS가 등장했다. 상호작용성, 정보 교류,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이용 동기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 또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중 페이스북은 대표하는 SNS 채널로서 기업에서도 페이스북 페이지를 활용해 홍보 채널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운영 초기, 기업은 팬 수 확보에 나섰고 그 결과 최근 기업 페이스북 팬 수는 많게는 수백만에 이를 정도로 늘어났다. 기업의 목표는 팬 수 확보를 넘어 콘텐츠를 통해 고객에게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재고하고, 나아가 소통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 평가하는 주요 수치가 바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페이스북의 ‘좋아요’, ‘댓글’, ‘공유’, ‘클릭 수’ 등이다. 해당 수치 달성을 위해 콘텐츠 제작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제작 고려 사항을 3가지로 나눠 독립변수를 구성하였다. 콘텐츠 소재, 콘텐츠 구조, 메시지 스타일 등이 페이스북의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좋아요’와 콘텐츠 상에 모든 이용자의 행동 ‘전체 클릭 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 변수를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 정의하고,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좋아요’에 미치는 요인으로 ‘자사 연관성’, ‘실사 사용 여부’, ‘콘텐츠 소재 난이도’, ‘실생활 관여도’, ‘경어체*난이도’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전체 클릭 수’의 경우, ‘자사연관’, ‘실생활 관여도’, ‘격식*관여도’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콘텐츠 목적에 따른 최적화된 콘텐츠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업 페이스북 운영자와 콘텐츠 제작자의 운영, 제작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패턴언어를 활용한 친환경 실내건축 재료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전형준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unusual weather as urgent and important issues to address for us and descendents which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Because Korea depends on imported energy has been more than 95% since 1994, it is important to secure energy on our own for the future. In particular, it would be better to save energy in the building sector since it takes up more than 30%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As an alternativ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eco-friendly buildings, and it is becoming more concrete and active in the field of building. However, there has not be enough studies on eco-friendly interior architecture though it consumes a lot of energy in a short life cycle and various functions compared to build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material in interior architecture while there are active developments in environment-friendliness in the hope of developing the eco-friendly interior architecture material database for those who work in this field to utilize conveniently, efficiently and actively. To this end, first, study on the posi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in eco-friendly architecture is done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s and current status of domestic eco-friendly materials database. Second, classifica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materials will provide th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Third, a pattern language expression elements by Christopher Alexander is derived and reinterpreted in an application representation to analyze the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visually. Finding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re;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design in terms of common items such as materials and resources of domestic and foreign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pace can be an important element in completing eco-friendly architecture. In addition, by analyzing domestic eco-friendly materials database,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materials and there is no part related to interior architecture materials, so a new eco - friendly material database for indoor architecture is needed. Based on the material types suitable for interior architects that are derived by material, property, space configuration and user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and case studies, I inten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application. By examining the Pattern Language of Christopher Alexander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database including the application, six expression elements of the pattern language are derived in classification, importance, connection, transition, emphasis and schematic. Based on the pattern linkage of that application, desired patterns and information are placed on each screen and the ECO M.I.D (ECO friendly Material for Interior Designers is developed as the application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expression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type of information.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interior architecture and analyzed the expressions of pattern language in this study and suggest an application basic model for interior designers. Since there are diverse and wide ranges of eco-friendly materials as well as difficulties in their systematic handling, continuous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tioners. However, various methods of expressing eco-friendliness are done in this study, and the interest of eco-friendly materials of interior architects is inspired. Furthermore, I hope that eco-friendly community will be formed.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기상이변 등의 환경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의 건강과 후대의 안녕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시급하고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왔는데 많은 부분이 과도한 에너지 소비와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1994년부터 매년 95%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기에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스스로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체 에너지 사용량 측면으로 보면 건물분야에서 약 30%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건축을 통한 절약이 시급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정부차원에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고 건축분야에서는 비교적 구체화되고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건축에 비해 생애주기가 짧고 다양한 기능을 담고 있는 실내건축은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친환경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분야에 있어서 친환경이 대두되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금, 실내건축분야에서 친환경성 특히 재료의 중요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실내건축가들이 친환경 재료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친환경 실내건축 재료 데이터베이스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을 하여 궁극적으로 친환경 실내건축을 활성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들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친환경 재료 데이터베이스 현황을 통해서 친환경 건축의 실내건축분야 위치를 살펴본다. 둘째, 실내건축가를 위해서 재료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재료에 대한 전문적 이해를 돕는다. 셋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의 패턴언어(A Pattern Language) 표현요소를 도출하여 애플리케이션 표현 방법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효율적인 정보전달 방식을 분석한다. 이론고찰을 통해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의 재료 및 자원이라는 공통항목으로 인해서 실내건축분야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공간을 완성시키는 마감재인 재료는 친환경 건축을 완성시키는 중요한 요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친환경 재료 데이터베이스들을 분석하여 재료에 대한 정보가 미흡하고 실내건축 재료에 관련되어 제공되는 부분은 따로 없어서 실내건축에 대한 새로운 친환경 재료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이론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실내건축가들에게 적합한 소재별, 물성별, 공간구성별, 사용자별 재료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의 기초라 할 수 있는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의 패턴언어(A Pattern Language)를 고찰하여 패턴언어의 표현 요소로 구분, 중요성, 연계, 전이, 강조, 도식 총 6개를 도출하였으며, 표현방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의 패턴 연계도를 바탕으로 각 화면에 제공하고자하는 패턴과 정보를 배치하고 각각의 정보의 형태에 맞는 표현요소를 활용하여 실내건축가를 위한 친환경 재료 애플리케이션인 ECO M.I.D(ECO friendly Material for Interior Designers)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실내 건축에 관해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패턴언어의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실내건축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초 모형을 제안해보았다. 물론 친환경 재료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광범위하기에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실무자 입장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다루어줘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친환경에 대한 다양한 표현방법들이 연구되고 실내건축가들의 친환경 재료에 대한 관심을 고취되어 더 나아가 친환경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초등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형준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즉,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교사효능감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담당업무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배경요인 중 보직이나 교육경력에 따른 스트레스의 영향은 없었으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서는 남교사는 여교사보다 스트레스의 평균이 높았는데, 하위요인을 분석해 보면 업무와 인간관계, 개인환경에 대한 부담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연령에서는 50대 이상의 교사보다는 업무량이 많은 30~40대의 교사의 스트레스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배경요인인 성별, 보직, 연령, 교육경력에 따라 자아효능감, 학생참여효능감, 수업전략효능감, 학급경영효능감의 요인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초등교사의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여 스트레스를 낮춰주고 교사효능감을 높여줄 수 있는 요인을 찾아 초등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향후 관련 연구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 있어 표집체계가 광범위하고 그 내용을 세부적으로 비교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초등교사의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세부적으로 통제하지 못했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