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사의 의미 기능과 텍스트 -「もう」와「旣に」의 경우-

        전자연 ( Ja-yeon J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6 No.1

        본 논문에서는 부사「もう」와「旣に」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텍스트 타입에 따라 어떠한 사용상의 특징이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다의적인 의미 기능을 갖는 「もう」는 「旣に」에 비해 사용빈도가 높으며, 소설의 회화문, 시나리오뿐만 아니라 지문(地文)에서도 자주 쓰인다. 회화문의 「もう」는 문체적으로는 격의 없는 회화체에서 사용되며, 사태가 실현된 후의 상태임을 나타내는 시간적인 의미와 화자의 평가감정(<의외성=화자의 예상보다 빨리 실현된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내는 무드적인(modal) 의미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또한 「もう」는 미래의 <비실현(irrealis)>의 사태에 관한 문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현된 사실(realis)> 에 대한 <의외성>이 <사실로 인식하기 어렵다>고 하는 화자의 무드적인 태도라고 한다면, <의외성>의 표현 역시, 工藤(2007)에서 말하는 넓은 의미의 <비실현성>의 표현으로도 생각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사「もう」와「旣に」는 시간부사로서 유의 관계에 있으나, 무드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もう」는 <비현실성>의 무드적인 의미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부사라는 점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타입 및 문체적 특징과 연관되어 「旣に」와의 차이점을 보인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ifference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temporal adverbs mou and sudeni between two text types, spoken discourse and the narrative text of novels. The temporal adverbs mou and sudeni express basically the presence of an actualization at some time prior to reference time. Sudeni appears exclusively in formal dialogue or the narrative text of novels only to express the temporal meaning, while mou can appear in the colloquial dialogue, and express modal meaning describing the speaker`s subjectivity to code the speaker`s affective response to a situation which the speaker failed to predict(i.e. the coding of surprise). The modal meaning of mou comes to the fore in contexts describing speaker’s evaluation/feelings apparently. Furthermore, in contrast to sudeni, mou is compatible with irrealis, which portrays situations as purely within the realm of thought, such as optative and hortative sentences. When mou is used to modal meaning in realis, it functions to convey surprise entailing a judgement by the speaker that a given situation is unexpected and noncanonical, which is fundamentally the same as that Kudo(2007) calls "quasi-irrealis"The temporal adverbs mou and sudeni carry out substantially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modal meaning, in which type of texts they are used.

      • KCI등재

        부사 「べつに」의 의미와 용법 - <감동사적 용법>을 중심으로 -

        전자연 ( Jun Ja-ye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본 논문에서는 현대 일본어의 부사 「べつに」를 대상으로 화자의 부정적인 심적 태도를 표명하는 <감동사적 용법>을 설정하고 <부사 용법>과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べつに」의 의미·기능을 고찰하였다. 「べつに」의 파생적인 용법인 <감동사적 용법>은 술어와 함께 쓰이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청자의 예상과는 반대되는 응답을 하는 것으로, 청자(혹은 청자의 발화내용)에 대한 무관심이나 무시, 당혹감 등 화자의 부정적인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데 쓰인다. 이러한 「べつに」의 <감동사적 용법>은 <부정>에 관련되어 있다는 면에서 <부사 용법>과 연속성을 갖는다. <부사 용법>은 술어의 <부정>에 관한 것이나, <감동사적 용법>은 청자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표출적인 의미·기능이라 할 수 있다. 부정 술어와 공기하는 진술부사로부터 화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감동사적 용법>이 파생하는 「べつに」의 의미변화는 흥미로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mainly discuss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Japanese adverb betsuni, when used in the interjectional usage to carry expressive value relating the speaker`s negative attitude of his or her mind, by focusing on continuation of the adverbial and interjectional usages. Most typically, in the derivational interjectional usage, betsuni stands alone as an utterance, without negative predicate which it may co-occur. As a negative response against the addressee`s assumption, it shows the speaker`s negative attitude such as his or her unconcern, ignorance, embarrassment about the addressee (or the addressee`s speech). A characteristic common to both usages is that speakers use betsuni in speech event contexts in which (they think) a negative expression is required. The adverbial usage is about the predicate negation, however, the interjectional usage functions as the speak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gainst the addressee`s expected reaction. The derivational meaning of betsuni in interjectional usage is an interesting role as a adverb used with a negative predicate expressing the speaker`s negative attitude or feelings.

      • KCI등재

        否定におけるとりたて副詞の機能 -「特に」と「別に」の分析-

        전자연 ( Jun Ja-yeo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1

        本稿は、副詞「特に」と「別に」を取り上げ、否定文におけるとりたて副詞の意味と機能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本稿の內容は、次のようにまとめられる。 (1)「特に」は、肯定文と同樣、<同類の物事のなかでも特別なものとして取り上げる>という意味で用いられる。「特に」によってとりたてられる要素は、否定の焦点となる文の部分であれば、述語でも述語以外の文の部分でもいい。「特に」が否定述語をとりたてる場合は、文法的否定形式である限り、述語のタイプに特別な制限はないが、述語の否定の側面に直接に關わるのではなく、否定の焦点となる述語の命題的な側面をとりたてる動きをする。 (2)「別に」は、述語以外の文の部分をとりたてることはできない。「特に」と同樣、文法的否定形式とは特別な制限なく共起することができる。しかし、「別に」は、否定述語のモダリティ一の側面と相關する。コンテクストから推論される肯定的想定に對する話し手の否認を表す文での使用が特徵的で、「推論されやすい想定とは違っているが、だからといって」のような話し手の評價感情をとりたてる意味で用いられていると考えられる。さらに、「(どうでも)いい/かまわない」のような述語のタイプと共起する点でも、「特に」とは異る。 (3)「特に」と「別に」は、否定述語をとりたてることができる点で基本的に共通しているが、否定述語のどの側面と相關するかで相違点を持つ。兩者の違いは、命題的な側面に關わる否定であるのか、モダリティ一に關わる否定であるのかという、否定のあり方においてはっきりする。 This article mainly discuss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Japanese focus-attracting adverbs tokuni and betsuni, when used in negative sentences. The most typical features are as below. (1) Tokuni is construed as a focus-attracting device in negative sentences. It is involved with the portion of the scope of negation, in terms of the emphatic function. The types of co-occurred negative predicates are not limited especially. (2) Betsuni is used as the same focus-attracting function that performed by tokuni in negative sentences. As for the type of co-occurred negative predicates, it appears to be same either. However, in contrast to tokuni, betsuni is compatible with affirmative predicates such as doodemo ii and kamawanai, which have negative (i.e. careless or unmindful) implications. (3) A characteristic common to both adverbs is that they are used to attract the focus in negation. However, tokuni and betsuni carry out substantially different values. It is shown that tokuni is correlated with the propositional negation ; on the other hand, betsuni is correlated with modal negation, which is speaker’s denial to the assertion.

      • KCI등재

        부사「まったく」의 의미와 기능 -메이지기와 현대의 용례비교를 통하여-

        전자연 ( Ja Yeon J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본 논문에서는 메이지기와 현대 일본어의 「まったく」의 용법을 비교하여 두시기의 「まったく」의 의미와 기능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まったく」가 <부사용법>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두 시기 사이에 중요한 차이점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오로지 화자의 부정적인 평가감정만을 표출하는 <감동사적용법>으로서 사용되는 「まったく」는 현대 일본어에 있어 그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메이지기에도 화자가 부정적인 평가감정을 표출하는 문맥에서 쓰인 <부사용법>과 <감동사적용법>의 연속적인 용례가 관찰 된다. 이러한 메이지기의 용례는 현대 일본어에 특징적인 <감동사적용법>의 파생을 암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감동사적용법>은 문말에 위치하거나 단독으로 쓰여 오로지 화자의 부정적인 평가감정의 표출에만 사용되는 점과 「まったくもう」와 같이 감동사「もう」와 결합한 복합형식으로도 사용되는 점에 있어 <부사용법>과 구별된다. This article mainly discusses the difference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adverb mattaku between Meiji and modern Japanese. In the use of mattaku as the adverbial usag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een between in Meiji and modern Japanese. However, in modern Japanese, the interjectional usage of mattaku that expresses the speaker’s negative evaluation or feelings is observ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Nevertheless, the signs of interjectional usage of mattaku in modern Japanese were already shown in Meiji Japanese, in contexts describing speaker’s evaluation or feelings apparently. Only in modern colloquial Japanese, mattaku appears at endings of sentences or stands alone as an utterance only to express the speaker’s negative evaluation or feelings. Furthermore, mattaku can be used as forms like mattakumou which is combined with the mou as interjectional usage.

      • KCI등재

        부사「もう」의 의미와 기능 -메이지기와 현대의 비교 연구-

        전자연 ( Ja Yeon Ju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8 No.1

        본고에서는 부사「もう」의 의미·기능에 대하여 메이지기와 현대 일본어의 차이를 고찰하였다.「もう」가 시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와 수량면에서의 추가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두 시기에 있어 차이점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화자의 감정을 표출하는 감동사적 용법의「もう」의 사용이 증가한다.「もう」가 술어의 뒤에 위치하거나 술어와 함께 쓰이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되어, 오로지 화자의 감정만을 표출하는 용법은 메이지기에는 보이지않는다. 나아가 현대일본어에서는「まったくもう」와 같이「もう」가 감동사와 결합한 복합형식으로도 보다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대일본어의 감동사적 용법은 시간적인 의미와 함께 화자의 평가감정을 나타내는「もう」의 의미적인 복합성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article mainly discusses the difference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adverb mou between Meiji and modern Japanese. In the use of mou to indicate temporal or quantitative(i.e. addition in terms of quantity or amount) mean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een between in Meiji and modern Japanese. However, in modern Japanese, the interjectional usage of mou that expresses the speaker’s feelings is observed to be inclined to increase. In modern colloquial Japanese, mou appears at endings of sentences or stands alone as an utterance only to express the speaker’s feelings. Furthermore, mou can be used as forms like mattakumou which is combined with other interjections. The signs of interjectional usage of mou in modern Japanese were already shown in Meiji Japanese, which might be brought out the semantic complexity of mou indicating both temporal meaning and speaker’s evaluation/feel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