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한,태 국제결혼가정의 삶에서 발견되는 맥락적 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은희 ( Eunhee J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태국출신 결혼이주여성이 포함된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그 구성원들이 어떠한 삶을 살아가며 여기에는 어떠한 맥락적 조건이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중소도시 저소득층 모계 국제결혼가정이 처한 사회경제적 맥락에 대한 통찰이 가능하다. 사례의 국제결혼가정은 종교적 배경에서 자발적으로 국제결혼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배우자 모두에게 국제결혼은 현실적으로 결혼에 이를 수 있는 대안적 선택지였다. 해당 가정은 친족적 연망이 공고하지 않은 가운데 부부가 모두 생업으로 바빴으며, 다문화 단체나 기타 이주민 공동체와의 관련 없이 고립된 핵가족으로서 살아가고 있었다. 이처럼 중소도시 저소득층 모계 국제결혼가정은 결혼의 계기, 사회적 관계 등에서 여타의 국제결혼가정과 구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중소도시 저소득층 모계 국제결혼가정이 처한 언어문화적 맥락에 대한 통찰이 가능하다. 해당 가정의 언어문화적 맥락은 상당 부분 앞서의 사회경제적 맥락에 의해 결정되고 있었다. 배우자의 동화적 압력 하에서 해당가정의 결혼이주여성은 언어적 문화적으로 한국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립된 핵가족의 일원으로서 풍부한 한국어 자원을 만나기는 어려웠으며 그 결과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한국어 발달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또 해당 자녀의 경우 태국어나 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없는 한국어 단일 사용자로서 성장하고 있었으며, 교육기관 입소와 함께 한국어 발달이 재개, 촉진되고 있었다. 즉 결혼이주여성이나 그 자녀의 한국어 발달은 이들이 처한 언어문화적 맥락에 의해 결정적으로 좌우되는 바, 그에 대한 논의는 이들이 처한 언어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중소도시 저소득층 모계 국제결혼가정이 처한 제도교육적 맥락에 대한 통찰이 가능하다. 해당 가정에 대한 제도교육적 관심은 결혼 후 자녀가 출생하고서도 상당기간 동안 거의 전무했다. 자녀의 취학을 즈음하여 해당 가정에게 제공된 몇 가지 제도교육적 배려들이 발견되나, 이것들은 해당 가정의 문화적 다양성이나 사회적 관계, 한국어 발달을 촉진하고, 고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요컨대 해당가정에서 발견되는 제도교육적 맥락을 통해 앞서의 사회경제적, 언어문화적 맥락에서 발견되는 어려움들이 해소되기에는 여러 모로 무리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under what contextual conditions an maternal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is located and what their lives are varied according to those contextual conditions. For this purpose, I selected an maternal international-marriage family as a case and conducted a qualitative case-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socio-economic condition which shapes lives of the case-family members. The case-family members lived in a medium-sized city around Seoul and were a nuclear family without any relation with other neighbours or ethnic communities. While the immigrant woman of that family was immediately incorporated into labour-class after marriage and aggressive in adapting herself to Korean-society, she had hardly any people or multi-cultural group to interact with and support her adjustment into everyday life in Korea. Next, there is an lingua-cultural condition which limits lives of the case-family members. The case-family were almost entirely Koreanized in its culture which excluded the immigrant woman`s first language and her native culture in daily life. The child of the family has been grown up as a monolingual speaker whose Korean was not fluent like his mother`s.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 was delayed until he came in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here he gained abundant opportunities to interact verbally with other Korean students and foster his language skills. The spouse of the immigrant woman had no interest on home language of her and never try to support her who consistently attempted to teach her first language to their child. Finally, there is an institutionalized-educational condition which limits lives of the case-family members. There had not been hardly any institutionalized-educational interest on the family until the kid of the family entered the elementary school. However, while there were provided after-school activity or multicultural program for the child and the other family members from the school, those programs were not fitful for the kid and the family either in various ways. The immigrant woman had much trouble in discipling, educating, and guiding her kid in Korean, which, consequently, she mainly depended on the other sources or private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him academically. Based on the above, this paper not only dealt with the relations between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case-family and lives of those family, but also drew some implications about the socio-ecomomic, lingua-cultural,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conditions of marternal intertional-marriage family.

      • KCI등재

        학벌주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적 이해: 서울대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희 ( Eunhee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적 접근에 기초하여 서울대생들의 학벌주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대생들은 “샤부심”이라는 학벌주의적 자긍심 속에서 학벌의 후광효과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 일상적인 호감과 특혜, 특권 속에서 사회적 기회와 편의를 얻고 있었으며, 학벌이 주는 안도감과 든든함 속에서 허영과 과시욕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서울대라는 꼬리표 속에서 선입견과 편견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학벌배경이 드러날 경우 낙인효과와 토큰효과를 겪고 있었다. 또 개인이 아닌 서울대라는 대표성으로 호명됨으로써 인격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에 저항하여 부정과 방조, 연극과 가면 등 다양한 정체성관리 전략을 동원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학교라는 제도를 지지하면서 능력주의와 경쟁을 정당화하고 있었으며, 학벌주의의 존재자체를 부정하면서도 학벌기득권자로서의 지위를 누리고자 하였다. 또 학생들은 변화된 사회경제적 상황 하에서 학벌 가치의 하락을 겪으며 학벌과 능력주의의 허구, 경쟁과 불평등의 모순을 깨닫는 가운데 학벌주의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아울러 학벌주의를 벗어난 자신만의 새로운 가치와 윤리, 태도를 추구하면서 학벌주의를 벗어난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상을 토대로 학벌획득자의 학벌주의 정체성과 그 함의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academic clique identit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students based on narrative approach to analyze how SNU students experienced academic factionalism and what identity they form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cademic clique identity of SNU students can be summed up by the word "shabushim." They not only enjoyed the halo effect of SNU, but also experienced favorable overvaluation. In addition, they have had various opportunities and convenience in social life because of people`s preference for their academic background. Some of them felt relief and reliance on their academic cliquism while experiencing vanity and lust for their school fraternity. However, their academic clique identity also had some negative aspect such as `stigma` effects, which SNU students suffered from because of sociocultural prejudice in the label of SNU. In special, when the academic background was revealed, they experienced a token effect, which means as they became the center of attention, they were perceived as representative of SNU. Called as “SNU” instead of their own names, they felt the alienation of losing their own personalities. Therefore, some students immersed themselves in their struggling for recognition as personal existences, so that various strategies including negation, giving-up, acting and masking were used. At the same time, the students have had some academic clique awareness and attitude including maintaining a consistent preference and support for the present meritocratic school system and justifying its institutionalized competition mechanism. While some of them tried to deny academic factionalism, others acknowledged the falsity of academic cliquism, experienced identity crisis, and questioned the legitimacy of competitive, meritocratic school system. As a result, as they tried to find their own values, ethics, and attitudes, they constructed their new identity freed from academic cliquism and pursued their own way of living, for example selecting modest jobs far from social standards of success. Based on the above, I interpreted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scussed limitations.

      • KCI등재

        저소득층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의 학교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전은희(Jeon, Eu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생애사적 접근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전형을 통해 외고에 입학 후 일반고에서 자퇴한 저소득층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의 중도탈락의 배경과 맥락을 학교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에서 해당 청소년은 사교육의 도움 없이 학교 공부를 따라가고 있었다. 또 기초수급 대상자이자 다문화가정 학생으로서 몇 가지 복지적 혜택 누리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가난을 수치로서 경험하고 자신의 다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해가고 있었다. 일부 교사는 해당 청소년을 온정적으로 대하고 있었으며, 이는 해당 청소년이 학교생활을 이어갈 힘이 되고 있었다. 중학교에서 해당 청소년은 우수한 성적으로 교사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으며 다문화적 배경이 ‘아우팅’ 당함으로써 교우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학교는 초등학교 때와 유사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동시에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가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통합 전형을 통한 외고 진학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외고 입학 후 해당 청소년은, 어려운 수업과 사교육의 지원 부재로 학업 좌절을 겪었으며, 경제적 곤란으로 일상적인 학교생활을 이어가기 어려웠다. 또 사회경제적 격차가 큰 동급생들 사이에서 거리감을 느꼈으며, 담임에게 도움을 구하였으나 담임의 부적절한 언행에 실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교 측은 수업료의 면제 외에 아무런 지원을 하지 않았으며 결국 건강의 악화로 일반고로 전학하였다. 일반고에서 해당 청소년은 학업 결손 누적으로 학업 성취가 미미하였고 병원 진료로 결석이 잦아지면서 담임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학교상담을 통해 사태를 해결해보려 했으나, 상담비밀의 유출로 오히려 담임과의 갈등이 심화, 자퇴하였다. 이상을 기초로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의 학교경험과 중도탈락을 세 가지 질문, 1) 복지인가 차별인가, 2) 능력주의인가 귀속주의인가, 3) 포섭인가 배제인가를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life-history approach, attempts to explore the schooling experiences of a low-income multicultural drop-out female student who attended an elit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upernumerary special select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In primary school, the girl received some benefits, including exemption of lunch money and entry fee etc. From this she felt shame and humiliation and became aware of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towards minority students by the school. Some of teachers showed compassion to her and were of help to her. In middle school, she reached the highest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ed in a number of academic programs organized by the education office. However, the academic level of the program was so high that she could not catch up with the rest of the class. Her multicultural background was also disclosed at this time by a classmate, so that she experienced some degree of conflict with her classmates. She fell behind academically compared to her classmates, who supplemented their studies with expensive private education. Furthermore, she faced not only difficulties caused by socio-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experienced financial difficulties related to club activities, group-meetings and peer-interactions. While she found no official support from school authorities other than exemption from schooling expenses, only her teacher personally gave her advice and provided her with extra reference books. After one year, although having changed to an ordinary high school near to her home, she could not adapt herself to this new school. Not only was she unable to catch up with the class due to her underperformance in her previous school, but she also came into conflict with her new homeroom teacher who at first showed her favor but then became disappointed at her low academic accomplishment, frequent habit of leaving school early l medical reasons, amongst other causes. All of these factors resulted in her dropping out of school.

      • KCI등재

        개선된 아밀로제닌 PCR을 이용한 우즈베키스탄 출토 고인골의 형태학적 성별과 유전자형 성별의 비교

        김기정(Kijeong Kim),아리오나 턱럼(Ariunaa Togloom),전은희(Eunhee Jeon),이민수(Min-Soo Lee),조연옥(Youn-Ock Cho),가와치멛 르학와수렝(Gavaachimed Lkhagvasuren),민나영(Na-Yung Min),최지혜(Jee-Hye Choi),김종대(Jong-Dae Kim),김근철(Keun-Cheol 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4

        체질인류학, 고고학, 법의학 등의 분야에서 사람의 뼈에서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인골 머리뼈에서 계측하는 방법에 근거를 둔 형태학적 성별의 판단법과 기존의 amelogenin PCR 증폭방법을 더욱 개량한 유전학적 성별 결정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부터 20세기 이전에 이르는 고인골 중 머리뼈가 보존된 6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형태학적 성별구분은 우즈베키스탄 학자의 결정을 따랐고, 유전학적 성별결정은 본 연구에서 개선한 amelogenin PCR 증폭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형태학적 남자에서 유전학적으로 남자로 판명된 경우는 20예 중 13예였다. 형태학적 여자에서 유전학적으로 여자로 판명된 경우는 40예 중 20예였다. 결론적으로 개선된 아밀로제닌 PCR 증폭방법을 이용한 고인골 남녀 성별 판별법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Determination of male and female is important in anthropology, archeology and forensic sci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genotype sex of improved amelogenin PCR amplication method with morphological sex of ancient human bones. Sixty human skulls which lived from the Bronze Age to twenties centuries and excavated in Uzbekistan were used in this study. Morphological sex was determined by Uzbekistan scientist, and genotype sex was determined by improved amelogenin PCR ampli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Among 20 morphological males, 13 samples (65%) were genotypical male. Among 40 morphological females, 20 samples (50%) were genotypical male. In conclusion, morphological method might be inadequate for sex determination of ancient bones. The improved amelogenin PCR method will be useful in sex determination of ancient bones.

      • KCI등재후보

        Y haplogroup 결정요소인 biallelic marker RPS4Y DNA를 이용한 몽골출토 옛사람뼈의 성별

        김재현(Jae-Hyun Kim),김기정(Kijeong Kim),아리오나 턱럼(Ariunaa Togloom),전은희(Eunhee Jeon),이민수(Min-Soo Lee),조연옥(Youn-Ock Cho),가와치멛,르학와수렝(Gavaachimed Lkhagvasuren),민나영(Na-Yung Min),최지혜, 다스제벡 투멩, 김근철, 노맹석, 박기원,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4

        고대 유전자(ancient DNA)에 대해 분자생물학적 기법들이 이용되면서 과거에는 얻지 못했을 정보들을 옛사람 등의 DNA로부터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형질인류학에 있어서 옛사람 성별연구는 결혼, 매장형태, 성별간 사망률, 질병에 대한 성별간의 차이, 키, 식습관, 부장품들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몽골 옛사람 DNA를 대상으로 PCR 증폭방법을 이용해 옛사람에서 남성을 확인하여 형태학적 성별과 비교하였다. 재료는 몽골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부터 몽골시대에 이르는 옛사람 중 머리뼈가 보존된 5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형태학적 성별구분은 몽골학자의 결정을 따랐고, 유전학적 성별결정은 본 연구에서 개선한 Y 염색체 SNP 표지자인 RPS4Y PCR 증폭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학적으로 남성로 판명된 52예 중 형태학적인 여성은 10예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Y 염색체 SNP 표지자인 RPS4Y PCR 증폭방법을 이용한 옛사람 남녀 성별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Many data from ancient human remains became useful by molecular approach for ancient human DNA. In anthropology, genetic sex is essential to understand marriage and burial patterns, differential mortality rates between sexes, and differential patterns by sex of disease, diet, status, and material possession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genotype sex of 52 ancient human bones with well preserved skulls, and to compare with the morphological sex. Parts of femur and other bones were used as ancient bones excavated in Mongolia aged between bronze and Mongol period. Morphological sex was determined by Mongolian scientist, and genotype sex was determined by using biallelic marker RPS4Y for Y haplogroup. Of 52 genetic males, 10 samples were morphologically female. In conclusion, biallelic marker RPS4Y. PCR amplication method will be useful in sex determination of ancient b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